KR101774357B1 -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357B1
KR101774357B1 KR1020160123693A KR20160123693A KR101774357B1 KR 101774357 B1 KR101774357 B1 KR 101774357B1 KR 1020160123693 A KR1020160123693 A KR 1020160123693A KR 20160123693 A KR20160123693 A KR 20160123693A KR 101774357 B1 KR101774357 B1 KR 101774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epoxy
concrete floor
coat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2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바닥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가 1차 도포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2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가 2차 도포된 바닥면에 중도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도포된 중도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재에서 발생되는 균열로 인한 바닥재의 품질 저하 및 내구성 저하를 해소하고, 균열부위의 확산을 방지하며,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면의 유지보수비용 역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LOOR}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 공장, 물류창고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을 프라이머 및 중도를 포함하는 바닥재로 양생없이 연속시공함으로써, 도막의 박리를 방지하고,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균열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건축물 및 공장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 면을 그대로 노출할 경우 장기적으로 콘크리트의 열화에 의해 바닥면이 파쇄되거나 노화되어 인체에 유해한 콘크리트 분진 발생으로 환경오염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들 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닥의 콘크리트 바닥면, 특히, 주차장 부분을 개선하여 크랙(crack)이나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다양한 바닥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되는 바닥재의 대부분은 에폭시나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계열이다.
하지만, 이러한 에폭시나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는 콘크리트에의 부착성능, 방수성 등은 우수하나, 시공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무기재료인 콘크리트와 합성수지의 물리적 성질의 차이로 인하여 코팅된 수지재료가 박리 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부분적인 박리현상은 이질 재료 간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하여 발생하며, 특히, 국내와 같이 4계절이 뚜렷한 환경에서는 온, 습도 차이에 의해 더욱 크게 발생하여 시공 비용증가 및 민원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에폭시나 우레탄 바닥재는 사용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을 막아주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해, 많은 자재나 공법을 이용하여 균열을 막아내는 기술이 다양하게 선행되어 왔다. 예컨대 콘크리트 모재 위에 방수바닥재 구조를 시공할 때,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시공하고, 이에 바닥재층을 형성하는 시공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프라이머층의 시공 후 이를 양생하고, 다시 바닥재층을 시공함에 따라 도막이 일체화되지 못해 도막이 박리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였으며, 도막의 균열 및 부분파손의 문제 역시 여전히 발생하였다.
또한, 불필요한 양생 기간이 소요됨으로써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 역시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바닥재 시공 방법으로는 콘크리트 모재에서 발생하는 균열로 인한 바닥재의 품질 저하 및 내구성 저하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0419446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모재에서 발생하는 균열로 인한 바닥재의 품질 저하 및 내구성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에폭시 바닥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1차, 2차 프라이머, 중도를 양생 없이 연속도포함으로써, 도막이 일체화되어 모재의 균열부분을 효과적으로 메워주어 균열부위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도막의 박리를 방지하고, 시공기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또한, 시너로 에폭시 수지원액을 희석하여, 이를 콘크리트 바닥면에 도포하는 프라이머로 활용함으로써, 프라이머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함침되어 바닥면의 기공을 완전히 채워주는 것은 물론, 50~100㎛의 도막을 형성하여 후속공정인 중도와 도막의 일체화를 실현하여 도막의 박리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바닥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가 1차 도포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2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가 2차 도포된 바닥면에 중도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도포된 중도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를 1차 도포하는 단계 후, 양생 없이 상기 프라이머를 2차 도포하며, 상기 프라이머를 2차 도포하는 단계 후, 양생 없이 상기 중도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에폭시 수지원액에 시너(thinner)를 1:0.2~0.5 중량비로 혼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도는 에폭시 중도 또는 에폭시 중도와 에폭시 수지원액이 1:1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도를 양생하는 단계 후, 상기 양생된 중도에 상도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도는 에폭시 상도 또는 유무기질복합도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프라이머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800~1,000㎛의 깊이만큼 함침되고, 상기 2차 프라이머는 1차 프라이머의 미진 부분을 채우며 바닥면에 50~100㎛의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며, 상기 중도는 300~1,000㎛의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며, 상기 상도는 50~200㎛의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재에서 발생하는 균열로 인한 바닥재의 품질 저하 및 내구성 저하를 해소하고, 균열부위의 확산을 방지하며,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면의 유지보수비용 역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면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박리와 균열에 취약했던 에폭시 바닥재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닥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1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가 1차 도포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2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가 2차 도포된 바닥면에 중도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도포된 중도를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양생된 중도에 상도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를 단계별로 설명한다.
콘크리트 바닥면을 정리하는 단계.
먼저, 시공될 콘크리트의 바닥면을 정리한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바닥면이란, 신축한 공장, 주차장, 물류센터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은 물론, 에폭시 처리되었지만 높은 하중과 빈번한 차량 등의 통행으로 인해 에폭시 도막의 마모와 박리가 진행된 바닥면 또는 하드너로 마감되었거나, 하드너 상에 에폭시가 시공되었으나 박리되거나 마모된 바닥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바닥면은 분진, 부분적인 요철, 미세한 균열 등의 구조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고, 수분, 유분 및 레이탄스(물유리층) 등과 같은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바닥면의 평활도를 높이기 위해 연삭기, 평삭기 등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연삭하여 정리한다. 이때, 바닥면에 마모된 도막이 존재할 경우 도막제거기 등을 이용하여 도막을 제거하며, 연삭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의 연삭 깊이는 제한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1,000~1,500㎛의 두께로 연삭함으로써, 이물질, 요철, 미세 균열 등을 완전히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리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1차 도포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정리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1차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는 바닥면에 함침되어 도막의 일체화를 제공함으로써, 박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에폭시 수지원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원액으로는 예시적으로, 노루페인트의 크린폭시 레진몰탈투명, 삼화페인트의 에포코트 레진투명, KCC페인트의 유니폭시 레진몰탈투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원액들은 2액형으로, 제1제인 주제와 제2제인 경화제를 각 상품의 사용설명서에 게시된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함은 당연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폭시 수지원액에 시너(thinner)를 1:0.2~0.5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0.3 중량비로 희석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시너로 에폭시 수지원액의 점도를 낮춰 일부, 구체적으로는 1차 프라이머는 바닥면에 함침되도록 하고, 나머지, 즉, 후술될 2차 프라이머는 1차 프라이머의 미진한 부분을 채워주고, 50~100㎛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연속공정인 중도와의 도막 일체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너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바, 에폭시 수지원액을 희석하여 점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종래 희석제인 시너의 비율이 70~90%인 에폭시 프라이머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흡수되어 증발되므로 함침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이러한 이유로 프라이머 양생 후 시공된 중도, 상도의 박리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원액의 점도를 낮추어 프라이머로 활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면에 충분히 함침됨과 동시에 2차 프라이머를 연속 작업하여 함침된 바닥면 위에 50~100㎛의 도막을 형성해 주어 프라이머의 기능과 중도의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도록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프라이머에 함유된 다량의 시너가 증발하며 발생하는 유독화학가스 냄새로부터 작업자의 중독사고를 방지하고, 작은 불꽃에도 반응하여 화재로 이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환경 및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1차 프라이머의 도포량은 제한하지 않으나, 콘크리트 바닥면에 800~1,000㎛의 깊이만큼 프라이머가 함침됨이 바람직한바, 0.4~1ℓ/㎡ 정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라이머의 도포는 공지된 고무 레이크와 롤러를 병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가 1차 도포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2차 도포하는 단계.
다음으로, 프라이머가 1차 도포된 바닥면에 별도의 양생 시간없이 연속적으로 프라이머를 2차 도포함으로써, 1차 프라이머의 미진한 부분을 채워주고, 50~100㎛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양생 없이 프라이머를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이유는, 1차 및 2차 도포된 프라이머가 각각의 층을 이루지 않고 일체화되도록 하여 그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2차 도포하는 프라이머 역시 1차와 동일하게 에폭시 수지원액을 시너로 희석하여 사용함으로써, 1차 프라이머와 분리되지 않고 일체화되도록 한다. 상기 프라이머의 2차 도포량 및 도포방법 등은 1차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프라이머를 두 차례에 걸쳐 도포함으로써, 접착력 약화를 방지하는 한편, 높은 점도의 프라이머를 통해 작업성을 높이고, 함침성을 높여 도막과 콘크리트 모재와의 접착력을 현저히 높여 도막의 박리를 방지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를 추가로 3차 도포할 수도 있는바, 3차 도포 역시 양생없이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1, 2차와 동일한 프라이머를 사용한다.
상기 프라이머가 2차 도포된 바닥면에 중도를 도포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프라이머가 2차 도포된 바닥면에 중도를 도포한다.
이때, 상기 중도 역시 에폭시 중도, 즉 에폭시 라이너를 사용하는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상기 에폭시 중도로서 노루페인트의 에폭시 중도 크린폭시, 삼화페인트의 에포코트 중도, KCC 유니폭시 중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에폭시 중도와 에폭시 수지원액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에폭시 중도의 셀프레벨 기능에 에폭시 수지원액의 강도가 더해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도의 도포 역시 1, 2차 프라이머 도포 후, 별도의 양생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하는바, 양생이 없으므로 프라이머와 중도의 도막이 일체화되어 도막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도포되는 중도가 바닥면의 파손부, 크랙, 균열, 함몰 등에 충분히 충진되어 단차없는 평활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통해 콘크리트의 균열부가 더는 확대되지 않게 됨으로써, 모재에서 발생되는 균열로 인한 바닥재의 품질 저하 및 내구성 저하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도의 도포 역시 고무 레이크와 롤러를 병용하여 도포하되, 도막의 두께가 300~1,000㎛가 되도록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중도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크랙, 함몰 등이 충분히 충진되기 어렵고, 단차가 발생하여 평활한 시공이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으며, 1,000㎛를 초과하면 시공비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탕면의 연, 평삭부터 중도까지 3~4일 소요되었던 종래의 에폭시 바닥공사를 1일로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도막의 박리를 위해 2~3mm 두께로 시공했었던 바닥공사를 도막의 일체화 방법에 의하여 1mm 미만의 간편공사로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포된 중도를 양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도포된 중도를 양생한다. 상기 중도의 양생 조건은 사용된 중도의 종류 및 도막의 두께, 외부온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8~12시간 충분히 양생한다.
상기 양생된 중도에 상도를 도포하는 단계.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양생된 중도에 상도를 도포한다.
상도가 요구되는 경우는 공장, 물류센터, 주차장 등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필요한 현장에는 에폭시 상도를, 식, 의약품 공장 등 친환경, 내구성이 필요한 경우엔 유무기복합도료를 사용하여 작업한다.
상기 에폭시 상도와 유무기복합도료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에폭시 상도로는 노루페인트의 에폭시 상도 크린폭시, 삼화페인트의 에포코트 상도, KCC 유니폭시 상도를 이용할 수 있고, 유무기질복합도료로서는 노루페인트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상도투명 또는 KCC의 유무기질복합도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상도를 사용하면 다양한 색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유무기질복합도료를 상도로서 사용하면 내구성, 내마모성, 내오염성이 매우 강하게 되므로, 현장의 용도에 맞게 상도를 적절히 선택하여 진행한다.
또한, 기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상도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컬러 역시 다양하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상도의 도포는 롤러를 이용하고, 그 두께는 50~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정도가 되도록 도포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도를 양생하여 바닥면의 시공을 마무리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된 본 발명의 바닥면은, 프라이머가 콘크리트 모재에 충분히 함침된다는 점과, 프라이머의 시공 후 별도의 양생 없이 중도를 연속적으로 도포한다는 점에 특징 있다.
따라서, 종래 에폭시 바닥재의 시공과 다르게 콘크리트 바닥면과 프라이머 간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프라이머와 중도가 일체화된 도막을 형성하여 도막의 박리 및 균열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그 유지보수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시공방법은 공기가 단축되면, 공사비용 역시 절감된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콘크리트 바닥면을 1,000~1,500㎛의 두께로 연삭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바닥면에 에폭시 수지원액에 시너(thinner)를 1:0.2~0.5 중량비로 혼합한 프라이머를 800~1,000㎛의 깊이만큼 함침시켜 1차 도포하는 단계와,
    1차 도포된 상기 프라이머의 양생 없이 1차와 동일하게 에폭지 수직원액을 시너로 희석한 프라이머를 2차 도포되게 하여 1차 프라이머의 미진한 부분을 채워주면서 50~100㎛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접착력을 높이도록 프라이머를 2차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가 2차 이후 양생 없이 에폭시 중도 또는 에폭시 중도와 에폭시 수지원액이 1:1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제인 중도를 300~1,000㎛가 되도록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도포된 중도를 양생한 후 양생된 중도에는 에폭시 상도 또는 유무기질복합도료로 이루어지는 상도를 50~200㎛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23693A 2016-09-27 2016-09-27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KR101774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693A KR101774357B1 (ko) 2016-09-27 2016-09-27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693A KR101774357B1 (ko) 2016-09-27 2016-09-27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357B1 true KR101774357B1 (ko) 2017-09-04

Family

ID=5992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693A KR101774357B1 (ko) 2016-09-27 2016-09-27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3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833A (zh) * 2018-09-25 2019-01-18 江苏四知堂工程服务有限公司 一种地坪施工工艺
KR102600751B1 (ko) 2022-11-28 2023-11-13 주식회사 삼표산업 조강형 시멘트 및 초평탄 감수제를 이용한 작업장 바닥용 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578B1 (ko) 2007-01-31 2007-08-16 동일산건(주) 무기질 도장재를 사용한 바닥도장 시공방법
JP2008115581A (ja) * 2006-11-02 2008-05-22 Three Bond Co Ltd 塗り床工法
KR101115326B1 (ko) * 2011-07-20 2012-02-20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5581A (ja) * 2006-11-02 2008-05-22 Three Bond Co Ltd 塗り床工法
KR100749578B1 (ko) 2007-01-31 2007-08-16 동일산건(주) 무기질 도장재를 사용한 바닥도장 시공방법
KR101115326B1 (ko) * 2011-07-20 2012-02-20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833A (zh) * 2018-09-25 2019-01-18 江苏四知堂工程服务有限公司 一种地坪施工工艺
KR102600751B1 (ko) 2022-11-28 2023-11-13 주식회사 삼표산업 조강형 시멘트 및 초평탄 감수제를 이용한 작업장 바닥용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1421C1 (ru) Способ отделки древесной плиты
KR101471302B1 (ko)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774357B1 (ko)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CN102632528A (zh) 一种木材表面缺陷处理方法
US20120088052A1 (en) Water-Base Acrylic Premanufactured Waterproofing Material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 Same
US20160047130A1 (en) Resili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96361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방식 시공방법
CN109648947A (zh) Sbs改性沥青复合非固化涂料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KR100896504B1 (ko) 자기 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도막 방수제의 상도용 무용제 우레탄 코팅제
KR101993615B1 (ko) 도막 방수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 코팅층의 시공방법
KR101607811B1 (ko) 3중 복합방수 공법
CN203891377U (zh) 天然真石涂层结构
CN203891380U (zh) 外墙天然真石涂层结构
KR20200032556A (ko) 콘크리트 바닥 마감 구조 및 방법
KR100477269B1 (ko) 논슬립 및 고경도 수지타일
KR102218074B1 (ko) 염해 방지용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의 시공 방법
KR102065388B1 (ko) 교량표면용 방수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표면 방수 코팅방법
CN203891376U (zh) 氟碳金属漆涂层结构
KR100912816B1 (ko) 주차장바닥의 시공방법
KR101983953B1 (ko) 아크릴 탄성 방수제와 실리콘 페인트의 결합으로 건물 수명 및 도장주기의 연장공법
KR101910961B1 (ko) 친환경 바닥 마감방법
KR101933988B1 (ko) 습윤면에 대해 향상된 접착성을 가지고 고광택 및 내마모성을 가지는 주차장 바닥의 친환경시공방법
KR101732894B1 (ko)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KR102312545B1 (ko) 친환경 모르타르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021456A (ko)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