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894B1 -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894B1
KR101732894B1 KR1020160089323A KR20160089323A KR101732894B1 KR 101732894 B1 KR101732894 B1 KR 101732894B1 KR 1020160089323 A KR1020160089323 A KR 1020160089323A KR 20160089323 A KR20160089323 A KR 20160089323A KR 101732894 B1 KR101732894 B1 KR 10173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rench
layer
tren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안균
Original Assignee
일우토건(주)
토광건설주식회사
티케이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우토건(주), 토광건설주식회사, 티케이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우토건(주)
Priority to KR102016008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7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8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mixtures of the silica-lim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과 결합성, 속경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하여 건물 바닥의 트렌치 주변에 누수, 균열, 들뜸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마감층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 1액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 2액제 1 내지 10중량부와, 백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포함하는 무기바인더 10 내지 20중량부와, 무수석고와 실리카를 포함하는 필러 20 내지 40중량부와, 첨가제 1 내지 10중량부와, 안료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polyurethane mortar compositon and floor fini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과 결합성, 속경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하여 건물 바닥의 트렌치 주변에 누수, 균열, 들뜸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마감층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사용이 많은 주방, 식당, 학교, 급식소, 식품공장 등과 같은 건물의 바닥에는 사용수를 신속히 집수하여 하수로 배출하기 위한 트렌치가 시공된다.
트렌치는 건물의 실내 바닥 주위 둘레를 돌아가며 배치되거나 혹은 바닥 공간이 넓을 시에는 격자형태를 유지하며 바닥의 사용수를 신속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대개 종래 트렌치의 형태로는 바닥에 형성된 U자 형태의 배수통로와 대응하는 U자형태의 단면을 갖는 트렌치 몸체를 배수통로를 따라 설치하고, 트렌치 몸체의 개구된 상부에는 배수홀이 형성된 커버가 결합된다.
이러한 트렌치의 설치 시공은 통상 실내 바닥의 최종 마감패널을 공사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필연적으로 트렌치의 둘레를 따라 마감재를 제거하여 시공할 수밖에 없는데, 이처럼 트렌치 둘레에 위치하는 기존의 바닥 마감재를 절취하여 제거할 경우에는 현장 작업자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제거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밀하지 못한 제거작업으로 인하여 트렌치 주위의 마감재의 제거가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트렌치 주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으로 재차 마감할 수밖에 없는 관계로 최종 바닥의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양생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04319호: 실내 바닥 배수용 트렌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내구성과 결합성, 속경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하여 건물 바닥의 트렌치 주변에 누수, 균열, 들뜸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한 마감층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 1액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 2액제 1 내지 10중량부와, 백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포함하는 무기바인더 10 내지 20중량부와, 무수석고와 실리카를 포함하는 필러 20 내지 40중량부와, 첨가제 1 내지 10중량부와, 안료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필러는 은 이온이 결합된 제올라이트 분말과 셀레늄 분말을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분말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은 건물 바닥의 배수통로를 따라 설치된 트렌치 몸체 및 상기 트렌치 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커버로 이루어진 배수 트렌치 주변의 바닥을 마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 트렌치 주변의 바닥에 시공된 마감재를 제거하는 마감재제거단계와; 상기 마감재가 제거된 자리의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부를 깍되 상기 트렌치 몸체와 가까워질수록 깊어지게 깍아 상기 트렌치 몸체의 외측면과 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면형성단계와; 상기 경사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적층하여 상기 트렌치 몸체와 가까워질수록 두꺼워지는 마감층을 형성하는 마감단계와; 상기 마감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형성하는 정지단계와; 상기 마감층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 1액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 2액제 1 내지 10중량부와, 백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포함하는 무기바인더 10 내지 20중량부와, 무수석고와 실리카를 포함하는 필러 20 내지 40중량부와, 첨가제 1 내지 10중량부와, 안료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마감재는 콘크리트층, 타일, 우레탄방수층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구성과 결합성, 속경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하여 건물 바닥의 트렌치 주변에 누수, 균열, 들뜸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한 마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이용하여 트렌치 주변에 마감층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 1액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 2액제 1 내지 10중량부와, 백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포함하는 무기바인더 10 내지 20중량부와, 무수석고와 실리카를 포함하는 필러 20 내지 40중량부와, 첨가제 1 내지 10중량부와, 안료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한다.
제 1액제인 폴리올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에테르기가 반복적으로 결합 되어 있는 구조로, 수산기(-0H)가 2~3개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액제인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는 분자에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함유하고 있는 유기화합물로서, 폴리에테르폴리올과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생성한다. 이소시아네이트로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와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제 1액제와 제 2액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은 경화되어 우수한 접착성능을 발휘하여 견고한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경화시 마찰을 비롯하여 각종 충격 및 온도변화에 대한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다.
무기바인더로 백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바인더로 백시멘트와 알루미나 시멘트가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무기바인더는 결합력 및 장기 내수성을 증대시킨다.
필러로 무수석고와 실리카가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필러는 몰탈 조성물의 치밀성 향상을 통한 고강도성, 균열 저감성, 내화학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첨가제로 유동화제, 소포제, 점도증가제, 응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유동화제로 멜라닌계 고유동화제, 나프탈렌계 고유동화제, 폴리카르복시계 고유동화제, 리그노설페이트계 고유동화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유동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소포제로는 탄화수소 폴리글리콜계 소포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점도증가제는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응결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안료로 통상적인 유기 안료 또는 무기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무기안료로 이산화티탄, 카본블랙, 산화철 등과 같은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재료들이 혼합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은 내구성과 결합성, 속경성이 우수하고, 건물 바닥의 트렌치 주변에 시공시 누수, 균열, 들뜸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몰탈에 비해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로 필러는 은 이온을 갖는 제올라이트 분말과 셀레늄 분말을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분말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필러로 무수석고:실리카:복합분말이 3: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분말 중의 은 이온이 결합된 제올라이트 분말은 항균성을 부여하고, 셀레늄은 유기물질의 부착을 저감시킨다.
은 이온이 결합된 제올라이트는 은 이온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치환된 이온 교환성 이온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제올라이트는 천연이거나 합성의 것일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으로는 3차원 골격 구조를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제올라이트 물질 중에 존재하는 이온 교환성 이온의 예는 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칼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철 이온이다. 이러한 이온 교환성 이온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항균 금속 이온으로서 작용하는 은 이온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치환(이온 교환)되어 제올라이트에 항균성을 부여한다. 공지의 방법을 통해 제올라이트의 이온 교환성 이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은 이온으로 치환할 수 있다.
셀레늄(selenium)은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하여 유기물질들이 마감층에 부착하는 것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은 크게 마감재제거단계와, 경사면형성단계와, 프라이머도포단계와, 마감단계와, 정지단계와, 경화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바닥에 설치된 배수 트렌치 주변의 바닥을 마감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수 트렌치(10)는 트렌치 몸체(11)와, 커버(15)로 이루어진다. 트렌치 몸체(11)는 건물 바닥에서 일정 깊이로 인입되어 길게 형성된 배수통로를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15)는 트렌치 몸체(11)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배수 트렌치 주변에 기 시공된 마감재를 제거하여 새로운 마감층을 시공하는 보수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를 각 단계별로 살펴본다.
먼저, 배수 트렌치(10) 주변의 바닥에 형성된 기존의 마감재를 제거한다. 기존의 마감재는 건물의 실내 바닥에 기 시공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 마감재의 일 예는 콘크리트층일 수 있다. 또한, 기존 마감재는 타일 또는 우레탄방수층일 수 있다. 기존의 마감재는 배수 트렌치와 인접한 주위만 제거하거나 실내 바닥 전체에 깔린 모두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존 마감재가 제거된 자리의 기초 콘크리트층(1)의 상부를 깍아 경사면(30)을 형성한다.
기 시공된 마감재를 제거하게 되면 기초 콘크리트층(1)이 노출된다. 기초 콘크리트층(1)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새로운 마감층(20)을 형성하게 되면 트렌치 몸체(11)와 마감층(20)의 결합력이 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층(1)의 상부를 일정 깊이로 깍아 트렌치 몸체(11)의 외측면과 접하는 경사면(3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트렌치 몸체(11)와 가까워질수록 깊어지게 깍아 경사면(30)이 트렌치 몸체(11)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유동성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 몰탈 조성물을 경사면(30)에 붓게 되면 폴리우레탄 수지 몰탈 조성물이 트렌치 몸체(11) 방향으로 흘러 내려 트렌치 몸체와(11)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경사면은 고경도 연마재가 부착된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노출면을 연삭하여 표면을 균일하게 다듬을 수 있다.
다음으로, 경사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프라이머로 통상적인 에폭시 도장용 프라이머를 이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는 롤러를 이용하여 연마면에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적층하여 마감층(20)을 형성한다.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마감층(20)은 트렌치의 커버(15) 높이와 일치하도록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적층하여 형성시킨다. 이러한 마감층(20)은 트렌치 몸체(11)와 가까워질수록 두꺼워진다.
다음으로, 마감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형성하는 정지단계를 수행한다. 통상적인 정지도구를 이용하며 마감층의 표면을 수평하게 정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로 우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마감층의 표면에 구배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일정시간 동안 방치하여 마감층을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시공된 폴레우레탄수지 마감층은 접착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누수, 균열, 들뜸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장점을 갖는다.
시공된 마감층의 모습을 도 1에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5는 제거되지 않고 바닥에 남아있는 기존 마감재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5: 마감재 10: 트렌치
11: 트렌치 몸체 15: 트렌치 커버
20: 마감층

Claims (4)

  1.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 1액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 2액제 1 내지 10중량부와, 백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포함하는 무기바인더 10 내지 20중량부와, 무수석고와 실리카를 포함하는 필러 20 내지 40중량부와, 첨가제 1 내지 10중량부와, 안료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필러는 은 이온이 결합된 제올라이트 분말과 셀레늄 분말을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
  2. 삭제
  3. 건물 바닥의 배수통로를 따라 설치된 트렌치 몸체 및 상기 트렌치 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커버로 이루어진 배수 트렌치 주변의 바닥을 마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수 트렌치 주변의 바닥에 시공된 마감재를 제거하는 마감재제거단계와;
    상기 마감재가 제거된 자리의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부를 깍되 상기 트렌치 몸체와 가까워질수록 깊어지게 깍아 상기 트렌치 몸체의 외측면과 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면형성단계와;
    상기 경사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적층하여 상기 트렌치 몸체와 가까워질수록 두꺼워지는 마감층을 형성하는 마감단계와;
    상기 마감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형성하는 정지단계와;
    상기 마감층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 1액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제 2액제 1 내지 10중량부와, 백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포함하는 무기바인더 10 내지 20중량부와, 무수석고와 실리카를 포함하는 필러 20 내지 40중량부와, 첨가제 1 내지 10중량부와, 안료 0.5 내지 5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필러는 은 이온이 결합된 제올라이트 분말과 셀레늄 분말을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콘크리트층, 타일, 우레탄방수층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을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KR1020160089323A 2016-07-14 2016-07-14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KR10173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23A KR101732894B1 (ko) 2016-07-14 2016-07-14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23A KR101732894B1 (ko) 2016-07-14 2016-07-14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894B1 true KR101732894B1 (ko) 2017-05-08

Family

ID=6016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323A KR101732894B1 (ko) 2016-07-14 2016-07-14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816A (ko) * 2019-09-23 2021-03-31 김현곤 폴리우레탄 수지 모르타르 및 그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318A (ja) 2001-05-14 2002-11-27 Aica Kogyo Co Ltd モルタル床用配合物、モルタル床並びに床施工法
KR101379262B1 (ko) * 2013-08-07 2014-03-28 김영란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줄눈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318A (ja) 2001-05-14 2002-11-27 Aica Kogyo Co Ltd モルタル床用配合物、モルタル床並びに床施工法
KR101379262B1 (ko) * 2013-08-07 2014-03-28 김영란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줄눈재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816A (ko) * 2019-09-23 2021-03-31 김현곤 폴리우레탄 수지 모르타르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384097B1 (ko) 2019-09-23 2022-04-08 김현곤 폴리우레탄 수지 모르타르 및 그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051B1 (ko) 친환경적이고 고기능성을 겸비한 무기계 폴리머 수지몰탈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42723B1 (ko) 무기계 폴리머 스톤몰탈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62259B1 (ko) 후막용 수용성 에폭시수지 바닥마감재 조성물
US20100005743A1 (en) Flexible Cement Veneer
KR102109977B1 (ko) 습기차단형 무용제 에폭시 프라이머 겸용 기초 도막방수재
KR100803970B1 (ko) 무기계 수성 폴리머수지 몰탈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하기위한 장치
KR101993801B1 (ko) 침투성 표면강화제와 세라믹 코팅제를 이용한 바닥의 폴리싱 공법
KR20150052722A (ko) 도막형 바닥재, 도막형 바닥재의 수용성 수지바인더, 도막형 바닥재의 전용몰탈, 도막형 바닥재의 수용성 수지바인더와 전용몰탈의 혼합 조성물 및 도막형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732894B1 (ko) 폴리우레탄수지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렌치 주변의 바닥 마감방법
CN101210453B (zh) 地面装修方法
KR20150012434A (ko) 가용성 무기질을 이용한 친환경 광택마감 콘크리트바닥 시공방법
KR101263382B1 (ko) 친환경 수용성 에폭시 수지 몰탈 도막의 형성방법
KR20070114493A (ko) 에폭시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 보수제 조성물과 이를적용하는 공법
US8898994B1 (en) Method for sealing wood subfloors
CN203891377U (zh) 天然真石涂层结构
KR101457037B1 (ko) 고강도 바닥재의 시공방법
CN214195397U (zh) 一种复合型装饰防火地坪
KR101774357B1 (ko)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EP4031723B1 (en) Process for the application of a decorative covering on walls in humid environments and/or which are subject to water jets
KR20070050604A (ko) 요철무늬를 갖는 내마모성 에폭시 바닥재 조성물 및 바닥재시공방법
US873489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concrete-based coating on a ceramic or earthenware surface
CN113121153A (zh) 一种晶石碟片和无缝晶石地板及其制备方法
KR101593026B1 (ko) 지하벽체 난연 배수공법
KR20220095958A (ko) 마이크로시멘트를 포함하는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한 바닥, 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