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956B1 -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956B1
KR100423956B1 KR10-2002-0009252A KR20020009252A KR100423956B1 KR 100423956 B1 KR100423956 B1 KR 100423956B1 KR 20020009252 A KR20020009252 A KR 20020009252A KR 100423956 B1 KR100423956 B1 KR 100423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aper
section
cut
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206A (ko
Inventor
정수훈
Original Assignee
정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훈 filed Critical 정수훈
Priority to KR10-2002-000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9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11/00Machinery for winding combined with other machinery
    • B31C11/02Machinery for winding combined with other machinery for additionally shaping the article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취되어 폐기되는 지관원지의 부분을 최소화하여 재료의 낭비를 해소하도록 한 형태로 재단되고, 이 형태로 인해 제작공정을 단축시켜 단위시간당 제작시간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급된 원지를 재단, 성형하고, 성형된 지관의 끝단부에 라운드부를 절곡 가공하여 지관을 완성하는 지관 제작장치에 대응되기 위해, 공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전, 후단부가 절단되어 지관으로 형성될 구간의 전, 후단부와 일정간격으로 절취구간이 형성되는 지관의 재단원지에 있어서, 전방측 절취구간에는 지관형성구간의 전방측 라운드 형성된 부분의 전방으로 라운드부를 절곡 형성하기 위한 폭만큼의 간격이 이격되어 라운드 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된 재단원지의 형태를 재단하기 위해 제 1, 2 커터부 및 라운드 커터부가 프레싱 구동되는 구동기구에 배열 설치된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재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The cutted stencil in taper bobbin for winding yarn and the machine to cutting the stencil}
본 발명은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절취되어 폐기되는 지관원지의 부분을 최소화하여 재료의 낭비를 해소하도록 한 형태로 재단되고, 이 형태로 인해 제작공정을 단축시켜 단위시간당 제작시간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실 권취용 지관(1)은 원뿔의 첨단부분 일부가 절단된 형태로 제작되며, 일정형태로 재단된 원지를 스핀들에 겹층으로 권취하며 접착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지관(1)은 직조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외면에 권취된 실이 풀려나갈 때, 예리한 상단 모서리에 접촉되어 끊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라운드부(2)가 형성된다.
도 2는 상기된 지관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각 구성부가 설치되는 작업테이블(3)과, 원지(P1)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0)와, 공급된 원지(P1)를 절단하는 재단부(20)와, 재단된 원지(P1)를 지관의 형태로 형성하여 접착하는 성형부(30)와, 성형된 성형지관(1A)을 다음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40)와, 이송된 성형지관(1A)의 상, 하부를 가공하는 가공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50)는 원지(P1)가 롤 형태로 권취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하고, 상기 롤에서 풀려나가는 원지(P1)를 가이드 및 작업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11)를 포함한다.
상기 재단부(20)는 공급된 원지(P1)를 지관(1) 제작을 위한 형태의 재단원지(P2)로 재단하기 위한 것이며, 절단수단으로는 커터(21)를 구동기구(22)와 결합시켜 공급되는 원지(P1)가 프레싱 구동에 의해 순간절단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부(30)는 원추형태(지관과 동일한 형태)의 스핀들(31)과, 스핀들(31)의 광폭단부에 구비된 커터(32)로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31)은 모터(미도시)등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으며, 이 회전력에 의해 이송된 재단원지(P2)가 감겨지며 성형지관(1A)의 형태로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단원지(P2)가 스핀들(31)에 감길 때, 재단원지(P2)의 외면에는 접착제가 연속적으로 도포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스핀들(31)의 광폭단부에 구비된 커터(32)가 지관(1)의 광폭단부(도 1의 하단부)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여분을 절단하여 성형지관(1A)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40)는 성형지관(1A)을 다음 작업위치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며, 수평, 수직 등 여러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지만, 동 도면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상측 이송하는 승강이송기구를 도시한다.
상기 가공부(50)는 이송되어진 성형지관(1A)의 양측 끝단부를 라운드 가공하기 위한 것이며, 가공이 완료된 완성지관(1B)은 외부로 취출된다.
도 3은 도 2의 재단부에서 절단된 종래 재단원지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장치에서 종래 재단원지를 형성하기 위한 커터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재단원지(P2)는 도 3의 상, 하부, 즉 공급되는 원지(P1)의 진행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그 좌, 우측의 폭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 후단부가 절단되고, 절단된 각 내측으로 지관(1)이 완제품으로 취출되었을 때의 형태를 감안하여 절취구간(61, 6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된 재단원지(P2)는 도 2에 나타낸 장치의 재단부(20)의 커터(21) 배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터(21)는 재단원지(P2) 전방의 상, 하측을 절단하기 위한 일부 절단 커터(63)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일부 절단 커터(63)에 의해 절단된 구간 이외의 구간을 절단하여 재단원지(P2)를 원지(P1) 상에서 분리하는 분리 절단 커터(64)가 그 전방에 구비되어 배열된다.
상기된 것과 같은 종래의 재단원지는 도 3과 같은 커터의 배열에 의해 절단되어 전방측의 절취된 형상이 절곡된 선형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지관으로 완성될 구간인 지관형성구간의 형태가 라운드 형성된 것을 감안할 때, 성형지관으로 형성된 후에는 반드시 도 1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여분의 구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여분의 구간은 성형지관이 완성지관으로 제작되기 위해 반드시 가공부에 의해 절단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것으로, 이는 재단원지가 절단된 만큼의 재료 낭비가 발생되고, 이를 절단하기 위한 공정을 독립적으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절단기기 및 각 공정과 공정으로 지관을 이송시키기 위한 부수적인 장치가 더 요구되어, 지관을 형성하는 장치의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절단공정은 지관이 완성되는 작업시간을 지연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단위시간당 지관이 제작되는 개수가 적어짐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성형지관으로 형성된 후 라운딩 작업되는 부분에 여분의 구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재단원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된 재단원지를 재단하기 위해 지관 제작장치의 재단부에서 커터가 배열구비되는 구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실 권취용 지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관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지관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 재단원지의 전개도.
도 4는 도 2의 장치에서 종래 재단원지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 배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재단원지의 전개도.
도 6은 도 5의 재단원지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 배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재단원지를 재단하는 재단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재단원지 71: 전방측 절취구간
72: 후방측 절취구간 73: 지관형성구간
74: 라운드 구간 75: 접촉부
80: 커터부 81: 제 1 커터부
82: 제 2 커터부 83: 라운드 커터부
90: 구동기구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공급된 원지를 재단, 성형하고, 성형된 지관의 끝단부에 라운드부를 절곡 가공하여 지관을 완성하는 지관 제작장치에 대응되기 위해, 공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전, 후단부가 절단되어 지관으로 형성될 구간의 전, 후단부와 일정간격으로 절취구간이 형성되는 지관의 재단원지에 있어서, 전방측 절취구간에는 지관형성구간의 전방측 라운드 형성된 부분의 전방으로 라운드부를 절곡 형성하기 위한 폭만큼의 간격이 이격되어 라운드 구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된 원지를 재단, 성형, 가공하여 지관이 제작되며, 상기 원지를 재단하기 위한 장치는 공급되는 원지의 상측에 다수의 커터가 구비되어 이 커터가 구동기구에 장착되고 프레싱되는 구동에 의해 재단원지가 형성되는 지관 제작장치에 있어서, 재단원지를 재단하기 위한 다수의 커터는, 원지의 공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방측 절취구간을 일부 절단하기 위해 구동기구의 최 후방에 설치되는 제 1 커터부와; 상기 구동기구에서 제 1 커터부와는 재단원지의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어 후방측 절취구간을 일부 절단하는 제 2 커터부와; 상기 구동기구에서 제 1 커터부와 제 2 커터부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 2 커터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커터부에 의해 일부 절단된 내측 끝단을 라운드 형태로 연결 절단하여 재단원지를 완성하는 라운드 커터부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의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재단원지의 전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재단원지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 배열 개략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재단원지(70)는 도 2에서와 같은 지관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의 재단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지의 전방을 절단하여 전방측 절취구간(71)을 형성하고, 일정간격 이송된 원지의 후방을 절단하여 후방측 절취구간(7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방측 절취구간(71)은 성형부(30)의 스핀들(31)에 감겨질 때 원추형의 몸체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지관형성구간(73)의 전방(도면의 좌측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방측 절취구간(71)은 지관형성구간(73)의 전방이 내측으로 일정곡률 만곡된 라운드의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해, 이와 대응되는 라운드 구간(74)이 지관형성구간(73)과 일정간격 유지되어 형성되며, 이 일정간격은 완성지관(1B)의 협단부(도 1의 지관 상측)를 내측으로 말아넣어 라운드부(2)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의 구간이다.
또한, 상기 라운드 구간(74) 하단부는 재단원지(70)가 스핀들(31)까지 이송되어 스핀들(31)과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접촉부(75)가 형성되며, 이 접촉부(75)는 수직변과 수평변이 직교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촉되는 효율이 높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재단원지(70)가 스핀들(31)에 접촉된(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핀들과 근접설치된 지지롤러와 스핀들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스핀들(31)의 회전에 의해 감겨지면, 라운드 구간(74) 상측부는 원추형태의 성형지관(1A)에 수직되도록 마감되는 단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경사 절단된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측 절취구간(72)은 앞서 설명된 바 있듯이 원지(P1)가 연속적(여기서, 연속적이라는 의미는 원지가 스태핑 진행되는 단속적인 이송상태가 연속적으로 수행됨을 의미함)으로 공급되며 진행되기 때문에 다음 재단될 재단원지(P2)의 전방측 절취구간(71)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된 라운드 구간(74)으로 절단되어 사라진 공간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동일선상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후방 절취구간(71)과 지관형성구간(73)의 후단부에 형성된 간격은 전술된 스핀들(31)과 함께 구비된 커터(32)에 의해 절단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재단원지를 재단하는 재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과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재단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작업테이블(3) 상에서 이송되어 공급되는 원지(P1)를 절단하기 위한 다수개의 커터부(80)와, 상기 작업테이블(3) 상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커터(80)를 작업위치 상부에 위치시키고 구동되는 구동기구(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터부(80)는 구동기구(90) 상에 배열된 상태에 따라 제 1 커터부(81), 제 2 커터부(82), 라운드커터부(83)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커터부(81), 제 2 커터부(82), 라운드 커터부(83)는 구동기구(90)를 구성하는 승강블록(91)에 설치된 설치대(92)에서 하향 설치되며, 이들의 배열은 도 6에서와 같이 원지(P1)가 진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라운드 커터부(83), 제 2 커터부(82), 제 1 커터부(81)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 1 커터부(81)는 도면상 상측의 직선커터(C)가 내측이 전방으로 앞선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하측의 직선커터(C)가 전술된 접촉부(75)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측의 직선커터(C)는 상기 라운드 커터부(83)에 의해 라운드 구간(74)이 형성될 구간을 예측하여 절단될 길이가 설정되고, 하측의 직선커터(C)도 접촉부(75)로 형성될 구간을 예측하여 절단될 길이가 설정된다.
상기 제 2 커터부(82)는 상, 하측의 직선커터(C)가 상호 대향되는 내측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경사지게 절단되며, 이 상, 하측의 직선커터(C)는 상기 라운드 구간(74)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후방측 절취구간(72)을 일부절단하기 위해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된다.
상기 라운드 커터부(83)는 제 1 커터부(81)와, 제 2 커터부(82)에서 절취되지 않은 구간을 라운드 형태로 절취하여 라운드 구간(74)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커터부(81), 제 2 커터부(82), 라운드 커터부(83)는 상호 전방측 절취구간(71)과 후방측 절취구간(72)의 거리만큼의 간격이 설정되어 구동기구(90)의 프레싱 구동에 의해 동시에 원지(P1)를 절단하도록 하며, 상기 전방측 절취구간(71)과 후방측 절취구간(72)의 거리는 원지(P1)가 이송되는 1피치를 의미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구(90)는 각각의 커터부(81, 82, 83)가 설치된 설치대(92)의 양단에 결합된 승강블록(91)과, 각 승강블록(91)을 작업테이블(3)의 상, 하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폴(93)과, 승강블록(91)을 상, 하로 유동시키는 동력제공수단인 실린더(9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폴(93)은 작업테이블(3) 상에 세워져 장착되어 가이드 폴(93)이 작업테이블(3) 상에서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설치브래킷(95)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94)는 작업테이블(3)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고, 작업테이블(3)과 설치브래킷(95)을 관통한 램(94a)이 승강블록(91)의 저면과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블록(91)은 가이드 폴(93)이 양측의 상, 하면을 관통설치됨에 의해유동되는 구간을 안내받도록 한다.
상기 승강블록(91)과 고정브래킷(95)의 사이에는 이들에 양단이 지지된 탄성부재인 인장스프링(96)이 장착되어 실린더(94)의 구동에 의한 승강블록(91)의 유동이 원할하도록 한다.
상기된 것과 같은 구성의 재단원지(70)의 형성과정은 지관제작장치에서 원지(P1)가 재단부(20)로 공급되면, 구동기구(90)의 실린더(94)가 승강블록(91)을 하강시켜 원지(P1)를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원지(P1)를 1피치씩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수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지(P1)의 이송에 의해 제 1 커터부(81), 제 2 커터부(82)는 재단원지(70)의 전방측 절취구간(71)과 후방측 절취구간(72)을 순차적으로 일부절단하고, 결국 라운드 커터부(83)에 의해 마지막 절단되어 재단원지(P2)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완성된 재단원지(P2)는, 성형부(30)에 의해 성형지관(1A)이 형성되고 각각의 가공부(50)에서 완성지관(1B)이 형성될 때, 라운드 구간(74)이 이미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기존 성형지관(1A)의 여분 구간이 발생되지 않아 절단가공 공정이 배제된다.
이로인해, 상기 여분 구간을 절단해야 하는 과정은 당연히 배재되어 제작 공수 및 그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가 요구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여분의 구간이 발생되지 않는 재단원지를 제공하여 재료의 낭비를 억제하여 제작원가가 감소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된 재단원지를 재단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공정의 단축에 따른 지관 제작장치의 제작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공급된 원지(P1)를 재단, 성형하고, 성형된 지관(1A)의 끝단부에 라운드부(2)를 절곡 가공하여 지관(1)을 완성하는 지관 제작장치에 대응되기 위해, 공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전, 후단부가 절단되어 지관으로 형성될 구간(73)의 전, 후단부와 일정간격으로 절취구간이 형성되는 지관의 재단원지에 있어서,
    전방측 절취구간(71)에는 지관형성구간(73)의 전방측 라운드 형성된 부분의 전방으로 라운드부(2)를 절곡 형성하기 위한 폭만큼의 간격이 이격되어 라운드 구간(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된 원지의 공급에 의해 후방측 절취구간(72)에는 다음 재단될 재단원지(P2)의 전방측 절취구간(71)이 되도록 하기 위해, 라운드 구간(74)으로 절단되어 사라진 공간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동일선상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3. 공급된 원지(P1)를 재단, 성형, 가공하여 지관(1)이 제작되며, 상기 원지(P1)를 재단하기 위한 장치는 공급되는 원지(P1)의 상측에 다수의 커터(C)가 구비되어 이 커터가 구동기구(90)에 장착되고 프레싱되는 구동에 의해 재단원지가형성되는 지관 제작장치에 있어서,
    재단원지(70)를 재단하기 위한 다수의 커터(C)는
    원지(70)의 공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방측 절취구간(71)을 일부 절단하기 위해 구동기구(90)의 최 후방에 설치되는 제 1 커터부(81)와;
    상기 구동기구(90)에서 제 1 커터부(81)와는 재단원지(70)의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어 후방측 절취구간(72)을 일부 절단하는 제 2 커터부(82)와;
    상기 구동기구(90)에서 제 1 커터부(81)와 제 2 커터부(82)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 2 커터부(82)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커터부(81, 82)에 의해 일부 절단된 내측 끝단을 라운드 형태로 연결 절단하여 재단원지(70)를 완성하는 라운드 커터부(83)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재단장치.
KR10-2002-0009252A 2002-02-21 2002-02-21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KR10042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252A KR100423956B1 (ko) 2002-02-21 2002-02-21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252A KR100423956B1 (ko) 2002-02-21 2002-02-21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417U Division KR200282890Y1 (ko) 2002-05-02 2002-05-02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206A KR20030070206A (ko) 2003-08-29
KR100423956B1 true KR100423956B1 (ko) 2004-03-30

Family

ID=3222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252A KR100423956B1 (ko) 2002-02-21 2002-02-21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9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6566A (en) * 1981-05-27 1985-07-02 Briand Jean P Conical bobbin and method of form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6566A (en) * 1981-05-27 1985-07-02 Briand Jean P Conical bobbin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4645483A (en) * 1981-05-27 1987-02-24 Briand Jean P Conical bobbin and method of 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206A (ko) 200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4297B2 (ja) メッシュ溶接ロボット
KR960000428A (ko) 튜브의 절단방법 및 장치
KR101619827B1 (ko) 폭 가변 롤 포밍 장치
JP2009107001A (ja) 線材特殊曲げ加工機
KR100423956B1 (ko)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KR200282890Y1 (ko) 실 권취용 지관의 재단원지 및 재단장치
CN102189150B (zh) 制造扁平管的设备和制造扁平管的方法
KR100629649B1 (ko) 문틀 제조를 위한 판재 성형장치
KR20020029183A (ko) 건축용 패널용 와이어메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WO2019202637A1 (ja) パンチング装置
KR20010007090A (ko) 벨트 부재의 절단부산물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0381687Y1 (ko) 원형커터를 이용한 절곡용 홈 성형기
KR200381913Y1 (ko) 프레스롤을 이용한 절곡용 홈 성형기
CN201755756U (zh) 一种成型机
JP2020175423A (ja) ヘアピン管材製造装置及びヘアピン管材製造方法
CN112743009A (zh) 一种钢丝产品自动切断设备
JPH04294922A (ja) パイプ切断方法及びパイプカッター
JPH05200637A (ja) 金属板製建具等の製作方法及びその製作装置
CN218746138U (zh) 光伏组件边框型材生产线
KR101600464B1 (ko) 튜브 성형용 용착기의 컷팅장치
CN213106982U (zh) 一种快速送料机构及极片模切机
CN214641090U (zh) 一种双头自动送料切割机
KR102189706B1 (ko) 지관 분리를 위한 테이프 절단장치
KR200381688Y1 (ko) 바이트를 이용한 절곡용 홈 성형기
KR20120126187A (ko) 금속판재의 찬넬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