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115B1 - 기록매체용기록및/또는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용기록및/또는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115B1
KR100422115B1 KR1019960017872A KR19960017872A KR100422115B1 KR 100422115 B1 KR100422115 B1 KR 100422115B1 KR 1019960017872 A KR1019960017872 A KR 1019960017872A KR 19960017872 A KR19960017872 A KR 19960017872A KR 100422115 B1 KR100422115 B1 KR 10042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cording
springs
reproduc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633A (ko
Inventor
야스노리 스가노
마사야스 이또
세이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4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디스크형 기록매체 등과 같은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소정의 경사각으로 자동차의 객실내에 배치된다. 그러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하우징과, 기록 및/또는 재생부와, 탄성지지기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수평상태와 수직상태사이에 경사각으로 배치된다. 기록 및/또는 재생부는 하우징내에 수용되어서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한다. 탄성지지기구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가 하우징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탄성으로 지지한다.

Description

기록매체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본 발명은 기록매체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신호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기계장치부가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떨어져서 간격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가지고 있는 기록매체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정보신호에 대한 기록매체로는, 자기테이프 등의 테이프형 기록매체와,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및 자기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하 간단히 "디스크"라 칭함)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중에는, 자동차의 객실에 장착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용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자동차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 자동차의 구동시 수반하여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이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로써 기능하는 디스크구동부에 가해지게 되면, 그러한 디스크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이 양호하게 수행될 수 없었다. 기록 및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디스크구동부에 설치된헤드장치의 디스크에 대한 위치가 변동되어서 디스크에 형성된 트랙을 정확하게 따를 수 없게 된다. 그러한 헤드장치의 디스크에 대한 트래킹동작이 방해를 받게 되면, 정보신호가 음악인 경우에는, 헤드장치에 의한 디스크로부터의 정보의 독출 또는 또다른 트랙의 주사에 대한 방해는 소위 "사운드점프" 즉, 일련의 연속적인 음성신호가 되어야만 하는데 있어 불연속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자동차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디스크구동부를 지지기구로 지지하여서 그 부품이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일정한 간격 또는 거리를 갖도록 하고 있다.
즉, 지지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서 디스크구동부가 그를 수용하는 외부하우징으로부터 매달리도록 디스크구동부를 설계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스프링의 일단은 디스크구동부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반면, 그 타단은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된 체결부에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디스크구동부는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간격진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되며, 그럼에 따라서, 자동차가 구동되는 동안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그러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구동부에 어떠한 진동 및 충격도 전달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식으로 구성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낮은 빈도수의 진동이 발생하거나 외부하우징이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디스크구동부가 외부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식으로 디스크구동부가 외부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외부하우징에 가해진 진동 및 충격이 지지기구에 의해서 충분히 흡수되지 못할 것이며,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진동 및 충격이 디스크구동부에 가해지게 되어, 디스크구동부가 외부하우징의 내측면과 부딪히게 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디스크구동부는 외부하우징의 내측의 중립위치에 지지되어 있어야만 한다.
이 "중립위치"는 디스크구동부가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가 되는 위치이다. 디스크구동부를 외부하우징의 중립위치에 지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어떠한 방향으로부터도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으며, 디스크구동부가 외부하우징의 내측면에 부딪히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자동차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수평상태 뿐만 아니라 그것이 기울어진 상태 또는 그것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객실내의 위치에 따라서 수직으로 곧추선 상태로도 사용되도록 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주목하라. 예를들어,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일예로 객실차량에 장착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그 장치의 외부하우징이 승객용 좌석의 하단플로어 또는 트렁크의 플로어에 장착될 때는 수평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대시보드(dashboard)나 좌석의 뒷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때에 따라서 외부하우징을 경사진 상태 혹은 수직상태로만 장착할 수 있다. 그 장치를 트렁크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때에 따라서는 트렁크의 크기에 따라서 외부하우징을 수직상태로 장착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렇기 때문에, 전술한 자동차용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지지기구를 구성하는 스프링이 외부하우징의 설치시의 경사각에 따라서 재장착될 수 있도록, 외부하우징에 대해 디스크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즉, 그러한 스프링을 스프링이 구동부의 상부위치에서 외부하우징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상태로 재장착하여서, 디스크구동부가 외부하우징의 상단에서 매달리게 되도록 하여서 그 디스크구동부를 외부하우징의 기울기상태와 무관한 중립위치에 지지하고 있다.
지지기구로는, 외부하우징의 체결부로 하여금 연속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지지기구에 있어서는, 체결부가 디스크구동부의 상부로 위치되도록 외부하우징의 설치시의 기울기상태에 따라서 체결부를 이동시키며, 그럼에 따라서 지지기구를 구성하는 스프링이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식으로 외부하우징의 상단에 디스크구동부를 매달리게 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구동부를 중립위치에 지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지지기구를 사용하여 디스크구동부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이 지지기구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재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외부하우징내에 각각의 스프링을 위한 복수의 체결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스프링의 재장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부하우징에 개구를 부설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만아니라 장치 그 자체가 대형화되게 된다. 또한, 조립 등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더구나, 외부하우징에 개구를 형성하기 때문에, 외형이 추잡하게 될 수도 있다.
체결부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서조차도, 장치자체의 구조의 복잡성 및 대형화와, 또한 제조공정에 대한 보다 큰 복잡성이 유발되었으며, 동시에, 상술한 구성뿐만 아니라 외부하우징에 대한 설계도 제한되었다.
상술한 바와같이, 지지기구를 형성하는 스프링의 재장착 또는 외부하우징의 설치 상태 및 외부하우징의 경사각에 따른 체결부의 이동을 요구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스프링의 재장착을 위한 동작 및 이동동작에 다소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장치의 사용자가 부가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강요되었다. 이러한 동작은 쉽게 잊혀지거나 장치를 처음 설치할 때 잘못 수행되거나 설치위치가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구동부를 중립위치에 더이상 지지할 수 없게 됨에 따라서, 정보신호에 대한 안정된 기록 및/또는 재생을 보증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시 경사각이 변하게 되면, 이때 스프링을 재장착하는 것과 체결부를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정보신호의 안정된 기록 및/또한 재생을 보증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록매체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과, 기록 및/또한 재생부와, 지지기구를 갖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하우징은 수평상태와 수직상태사이의 경사각으로 배치된다. 기록 및/또는 재생부는 하우징내에 수용될 때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한다. 탄성의 지지기구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의 무게와 탄성지지기구에 의한 탄성지지력이 하우징이 수평 및 수직상태로 배치되면 평형을 유지하도록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지지하며, 하우징이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면, 기록 및/또는 재생부가 하우징에 대하여 모든 방향으로 대략 등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양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용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며, 여기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이하 "디스크"라 총칭함)등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적용된다. 특히,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는, 자동차의 객실에 장착되어 설치될 디스크플레이어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플레이어에 사용될 디스크로는, 예를들어 120mm의 직경을 갖는 독출전용 광디스크와, 80mm의 직경을 갖는 독출전용 광디스크와, 64mm의 직경을 가지며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광디스크와, 64mm의 직경을 가지며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광자기디스크 등이 거론될 수 있다.
여기서, 광디스크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층과 광자기기록재료 등으로 만들어진 기록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층은 투명한 디스크기판상에 코팅된다. 독출전용 광디스크의 경우에 있어서, 정보신호는 미세한 피트로 디스크 기판표면에 기록된다. 광자기디스크는 투명한 디스크기판상에 코팅된 자성재료로 만들어진 기록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보신호는 이러한 기록층을 부분적으로 가열하는 동시에, 기록될 신호로 변조된 수직자계를 가함으로써 기입된다. 정보신호는 이 기록층에 레이저광선 등의 직사광선으로 편광된 빛을 조사하고 광디스크로 부터 역으로 반사된 빛의 편광각도의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독출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디스크플레이어의 구성을 제 1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 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디스크플레이어는 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내에 수용된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를 부설하고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부(2)에는 디스크가 장착되며, 여기에 음성신호가 기입되거나 그로부터 음성신호가 독출된다. 즉, 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에는 하우징(1)에 배치된 마운팅판(mounting plate)을 통해서 장착된 디스크구동기구와 광픽업장치가 설치된다. 이 디스크구동기구는 디스크를 지지하는 디스크테이블과 이 디스크테이블의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가 설치되어 있어서 디스크테이블에 유지된 디스크를 예를들어 일정한 선형속도로 구동시킨다. 또한, 광픽업장치는 디스크구동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디스크상에 광선을 조사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을 수행한다.
하우징(1)은 그 측면을 완전히 밀접시킨 상태의 정방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나사나 기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객실의 플로어, 벽 등에 장착된다.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하우징(1)내에 수용되고, 복수의 스프링(4, 5 및 6)을 갖는 지지기구에 의해 이 하우징(1)의 내측면에 대하여 지지되며, 그 결과 하우징(1)의 내측에서 다음의 설명과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이 지지기구를 형성하는각각의 스프링(4, 5 및 6)의 일단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에 설치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한편, 그 타단은 하우징(1)의 내측면에 설치된 체결부와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1도∼제 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그 사방으로 하우징(1)의 내측면에서 소정의 틈새 및 간격이 형성되도록 지지된다. 여기서 언급되는 "소정의 틈새 및 간격"은 충분한 틈새 및 간격이며, 그것으로 인해,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하우징(1)내측으로 이동될 때, 자동차등의 이동시 야기되는 진동 및 충격을 하우징(1)에 인가함으로써, 하우징(1)의 내측면과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서로 접촉하거나 부딪히지 않을 것이다.
본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지지기구는 장력의 코일스프링인 제 1∼제 3스프링(4, 5 및 6)을 가지고 있다. 한쌍의 지지기구는 제 2도 및 제 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양측을 향하고 있는 하우징(1)의 내측면과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측면과 하우징(1)의 내측면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댐퍼(3)가 배치되어 있다. 이 댐퍼(3)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축(7)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댐퍼(3)는 모자형태를 이루는 실링부재(3a)를 부설하고 있어서, 하우징(1)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지지축(7)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3a)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들 내부에는 오일이나 지방 등의 적절한 점탄성을 갖는 액체(31)를 밀봉하고 있다. 이들 댐퍼(3)는 하우징(1)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이동속도를 억제하여, 하우징(1)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진동을 흡수하여 약화시킨다.
이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하우징(1)을 객실에 고정하여 설치하여서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경사각이 미도시된 수평피봇축에 대하여 사용가능각도의 범위내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 제 1실시예에 있어서, 피봇축은 디스크플레이어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축이다. 따라서, "하우징(1)의 경사도"는 이 하우징(1)의 전면이 수직으로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가 수평방향으로 규정될 때, 그 전면이 수평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피봇되는 상태이다.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사용가능각도의 범위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0˚∼ +90˚이다. 하우징(1)의 경사각이 ±0˚인 상태는 하우징(1)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하우징(1)의 경사각이 +90˚인 상태는 하우징(1)의 전면이 상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하우징(1)의 경사각이 +45˚인 상태는 하우징(1)의 전면이 비스듬히 상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 1도 및 제 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우징(1)이 수평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장착될 때에는, 지지기구의 제 1스프링(4)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중심(G)을 관통하여 수평의 가상피봇축을 관통하는 라인상의 피봇축에 수직하는 평면에 위치되어서, 수평면(S)으로부터 +45˚의 각도로 상측으로 비스듬히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피복축측에 위치된 이 제 1스프링(4)의 일단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반면, 피봇축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된 그 타단은 하우징(1)의 체결부와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1스프링(4)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사이에서 신장된다.
제 1도 및 제 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우징(1)이 수평방향을 향하는 상태에 있게 될 때, 제 2스프링(6)은 이 피봇축을 관통하는 라인상의 피봇축에 수직하는 평면에 위치되어서, 수평면(S)으로부터 +135˚의 각도로 상측으로 비스듬히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피봇축측에 위치된 이 제 2스프링(6)의 일단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한편, 피봇축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된 그 타단은 하우징(1)의 체결부와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2스프링(6)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사이에서 신장된다.
제 1도 및 제 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우징(1)이 수평방향을 향하는 상태에 있을 때, 제 3스프링(5)은 이 피봇축을 관통하는 라인상의 피봇축에 수직하는 평면에 위치되어서, 수평면(S)으로부터 -45˚의 각도로 하측으로 비스듬히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피봇축에 위치된 이 제 3스프링(5)의 일단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한편, 그 피봇축과 떨어진 측에 위치된 그 타단은 하우징(1)의 체결부와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3스프링(5)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사이에서 신장된다.
이러한 식으로 구성된 지지기구는, 그 수직방향으로,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W)와 개개의 스프링(4, 6 및 5)의 장력(F1, F2및 F3) 즉, 무게(W)와 제 1스프링(4)의 장력(F1)을 평형으로 유지하여서, 하우징(1)의 경사각이 이용가능한 범위내의 중심점의 각도인 위치로 즉, 제 6도 및 제 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우징(1)이 수평위치에서 +45˚각도만큼 기울어지고,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하우징(1)의 중립위치에 위치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즉,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하우징(1)의 중립위치에 위치될 때, W는 F1과 같게 된다.
지지기구에 있어서, 하우징(1)이 제 6도 및 제 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평방향으로 +45˚만큼 기울어져서 장착될 때, 스프링(4, 6 및 5)의 장력(F1, F2및 F3) 즉, 제 2스프링(6)의 장력(F2)과 제 3스프링(5)의 장력(F3)은 서로 평형이 유지되어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하우징(1)의 중립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며, 그럼에 따라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하우징(1)의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여기서 "중립위치"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하우징(1)의 내측면에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가 되게 되는 위치이다. 즉, 기록 및/또는 재생부(2)를 중립위치에서 지지함으로써, 그것이 하우징(1)의 내측면에 부딪히지 않으며, 하우징(1)의 내측으로의 이동가능거리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된다.
제 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평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하우징(1)의 경사각이 ±0˚일때,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W)와 스프링(4, 6 및 5)의 장력(F1, F2및 F3)의 합력은 수평전방방향으로의 (1/2)F와 수직하측방향으로의 (1-(1/2))F와의 합력, 즉 ((2-2))F가 된다. 따라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하우징(1)내에서 합력 ((2-2))F에 따르는 거리만큼 정확하게 중립위치에서 전방하측으로 비스듬히 이동한다. 또한, 하우징(1)이 수직방향을 향해 장착된 상태 즉, 하우징(1)이 제 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직으로 곧추서도록 장착되는 상태에서의경사각이 +90˚일때에는, 제 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W)와 스프링(4, 6 및 5)의 장력(F1, F2및 F3)과의 합력은 수평후방방향으로의 (1/2)F와 수직하측방향으로의 (1-(1/-2))F와의 합력 즉, ((2-2))F가 된다. 따라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하우징(1)내에서 합력 ((2-2))F에 따르는 거리만큼 정확하게 중립위치에서 후방하측으로 비스듬히 이동할 것이다.
이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합력 ((2-2))F에 따르는 거리만큼 중립위치에서 이동하는 경우라도, 장치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스프링(4, 6 및 5)의 스트로크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내측면사이의 틈새 또는 간격을 설정하고 있다.
합력 ((2-2))F에 따르는 이동거리를 스프링(4, 6 및 5)의 스프링상수를 보다 크게 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스프링(4, 6 및 5)의 장력(F1, F2및 F3)의 합력(F)을 제 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2방향으로 분할시키면, -22.5˚방향으로의 제 1장력(Fa) (=W/(2-2))과, +112.5˚방향으로의 제 2장력(Fb) (=W/(2-2))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장력(Fa, Fb)은 제 10도의 화살표(A)만큼 지시된 이용가능각도범위의 중심점의 각도(+45˚)에 대하여 대칭이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제 11도 및 그에 계속되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 11도∼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2실시예를 따르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대향하는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지지기구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에 대해서 ±0˚∼ +90˚의 디스크플레이어에 대한 사용가능각도를 만들며, 장력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 1∼제 3스프링(8, 9 및 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가하였음을 주목하라.
이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제 1스프링(8)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중심(G)을 관통하는 수평피봇축에 수직하는 평면에 위치되어서 수평면과 평행하는 면의 S방향에서 +112.5˚의 각도로 비스듬히 상측으로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 12도 및 제 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제 1스프링(8)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체결되는 피봇축측에 위치되는 그 일단에는 후크부(13)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우징(1)의 체결부(15)와 체결되는 피봇축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한 타단에는 후크부(12)를 형성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 1스프링(8)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사이에서 신장된다.
제 11도 및 제 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2스프링(9)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중심(G)을 관통하는 수평피봇축에 수직하는 평면에 위치되고, 피봇축으로부터 제 1스프링(8)과 마주하는 측의 배면에 위치되어서, 수평면(S)으로부터 +112.5°의 각도로 비스듬히 상측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2도 및 제 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제 2스프링(9)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체결되는 피봇축측에 위치되는 그 일단에는 후크부(13)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우징(1)의 체결부(15)와 체결되는 피봇축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한 타단에는 후크부(12)를 형성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 2스프링(9)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사이에서 신장된다.
제 3스프링(10)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중심(G)을 관통하는 수평피봇축에 수직하는 평면에 위치되고, 수평면에 평행하는 평면(S)의 방향으로부터 -22.5˚의 각도로 비스듬히 하측으로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2도 및 제 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 제 3스프링(10)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체결되는 피봇축측에 위치되는 그 일단에는 후크부(13)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우징(1)의 체결부(15)와 체결되는 피봇축에서 떨어진 측에 위치한 타단에는 후크부(12)를 형성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 3스프링(10)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사이에서 신장된다.
제 1, 제 2 및 제 3스프링(8, 9 및 10)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부(12 및 13)는 이러한 스프링을 구성하는 와이어재료를 구부려서 링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후크부(12 및 13)가 체결되는 하우징(1)에 설치된 체결부(14 및 15)는 그것들에 후크부(12 및 13)가 체결될 때, 용이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2도에 잘 나타낸 제 2실시예의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복수의 댐퍼(3)들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을 주목하라. 하우징(1)의 전면에는, 디스크를 하우징(1)의 내측으로 마운팅(mounting)하거나 그로부터 디스크를 이젝팅(ejecting)시키기 위한 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뚜껑(11)을 부설하고 있다.
제 12도에 나타낸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댐퍼(3)간의 간격이 길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제 1, 제 2 및 제 3스프링(8, 9 및 10)에 의해 야기된 회전이동에 대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제 2실시예의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또한, 제 1, 제 2 및 제 3스프링(8, 9 및 10)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중심(G)을 관통하는 수평피봇축을 가로지르는 라인과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서, 지지기구의 전체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예의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스프링(8, 9 및 10)의 장력과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W)는 하우징(1)의 경사각이 사용가능각도의 중심점의 각도일 때, 즉 수평위치에서 +45˚만큼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될 때,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하우징(1)의 중립위치에 위치하도록, 평형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의 중립위치에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지지된다. 이어서, 하우징(1)이 수평으로 장착될 때, 즉 경사각이 ±0˚일 때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W)와 스프링(8, 9 및 10)의 장력의 합력에 따르는 거리만큼 정확하게 중립위치에서 전방상측으로 비스듬히 이동한다. 또한, 하우징(1)이 수직방향을 향하는 상태 즉, 하우징(1)이 수직으로 곧추서도록 장착되는 경사각이 +90˚인 상태에서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무게(W)와 스프링(8, 9 및 10)의 장력의 합력에 따르는 거리만큼 정확하게 중립위치에서 후방하측으로 비스듬히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지지기구에 대한 스프링(8, 9 및 10)의 스트로크와, 기록 및/또는 재생부(2)와 하우징(1)의 내측면과의 사이의 틈새 및 간격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스프링(8, 9 및 10)의 합력에 따르는 거리만큼 중립위치에서 이동하는 경우라도,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충분히 사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에 진동 또는 충격을 가함으로써 야기된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이동거리를, 지지기구를 형성하는 스프링(8, 9 및 10)의 스프링상수를 보다 크게 함으로써,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즉, 스프링(8, 9 및 10)의 스프링상수를 보다 크게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야기되는 스프링(8, 9 및 10)의 신장폭은 작아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스프링(8, 9 및 10)은 그것들이 무부하상태의 길이에서부터 크게 신장되지 않는 상태로 사용된다. 그렇지만, 하우징(1)에 큰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 스프링(8, 9 및 10)중 어느 하나가 크게 신장되게 되면, 기록 및/또는 재생부(2)로부터 신장하는 스프링(8, 9 및 10)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프링(8, 9 및 10)은 임의의 길이 즉, 무부하상태의 길이 혹은 그 이하로 쉽게 압축된다. 즉,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하우징(1)의 체결부(15)사이의 거리가 임의의 길이 즉, 스프링(8, 9 및 10)이 신장되지 않는 무부하상태의 길이보다 짧게 되는 경우가 존재하게 된다.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하우징(1)의 체결부(15)사이의 거리가 스프링(8, 9 및 10)이 신장되지 않는 무부하상태의 길이보다 짧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스프링(8, 9 및 10)의 후크부(12)가 체결부(15)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식으로, 체결부(14 및 15)간의 거리가 스프링(8, 9 및 10)이 무부하상태에 있을 때의 길이보다 짧아지게 되면, 즉 압축방향으로의 힘이 스프링(8, 9및 10)에 인가될 때 후크부(12)가 체결부(15)에서 이탈되지 않을때에는, 이러한 스프링(8, 9 및 10)이 고정체로써 작용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자유이동을 억제한다.
따라서, 스프링(8, 9 및 10)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하우징(1)의 체결부(15)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압축되는 경우라도, 스프링이 고정체로써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4도에서 화살표(L)로 지시한 방향으로의 최소의 길이 즉, 스프링(8, 9 및 10)의 후크부(12)의 일단의 길이를 그 신장방향으로 보다 길게 하였다. 이러한 식으로, 적어도 한쪽의 후크부(12)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함으로써, 스프링(8, 9 및 10)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하우징(1)의 체결부(15)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압축될 때, 이러한 스프링(8, 9 및 10)을 통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에 대한 진동 및 충격의 전달이 억제될 수 있다. 후크부(12)의 길이는 하우징(1)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의 매그니튜드(크기)와 스프링(8, 9 및 10의 스프링상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스프링(8, 9 및 10)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하우징(1)의 체결부(15)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압축되는 경우에는, 후크부(12)의 첨단과 스프링(8, 9 및 10)의 코일부(8a)의 말단과의 간격(D)을 체결부(15)의 직경보다 작게 만들어서 후크부(12)가 하우징(1)의 체결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식으로 후크부(12)를 구성함으로써, 제 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하우징(1)의 중립위치에서 하우징(1)내측으로 이동하고, 스프링(8, 9 및 10)중의 어느 하나의 스프링이 크게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러한 신장된스프링(8, 9 및 10)에 마주하는 측에 위치한 다른 스프링(8, 9 및 10)을 제 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무부하상태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로 압축시키는 경우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후크부(12)길이의 폭만큼 이동하게 될 경우라도, 하우징(1)의 체결부(15)로부터 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부(2)는 스프링(8, 9 및 10)중의 어느 하나를 무부하상태보다 더 짧은 길이로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후크부(12)가 체결부(15)로부터 떨어져서 이동되게 되고, 이어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2)가 또다시 그 중립방향으로 역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후크부(12)와 체결부(15)가 서로 부딪히게 되어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2)에 충격이 가해지게 될 우려가 있다. 결과적으로, 기록 및/또는 재생부(2)에 진동이 가해지게 되어서, 광픽업장치에 의한 광디스크의 트랙에 대한 주사가 방해를 받게 되거나, 또다른 트랙이 주사될 수 있음에 따라서, 정보신호에 대한 계속적인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후크부(12)와 체결부(15)의 부딪힘으로 인한 충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크부(12)가 체결부(15)에 대하여 접촉하는 부분에 고무 등과 같은 충격흡수성재질로 된 완충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완충부재를 후크부(12) 및 체결부(15)의 양측 모두 또는 어느 한쪽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그러한 완충부재를 설치하는 대신에, 제 1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프링(8, 9 및 10)을 구성하는 와이어재료를 후크부내측으로 두번 감겨지도록 구부려서 완충부(16)를 부설할 수도 있다. 이때, 첨단부(12a)의 탄성변위를 용이하게해주기 위한 간격(16c)은 후크부(12)의 첨단부(16a)와 베이스부(16b)사이에 제공된다. 그러한 간격(16c)을 갖는 완충부(16)는 첨단부(16a)의 탄성변위와 충격흡수를 용이하게 해준다.
또한, 스프링(108, 109 및 110)을 제 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코일부(8a)를 밀접하게 접촉시키지 않고 일정한 틈새(B)를 갖도록 감음으로써, 압축방향으로의 탄성변위를 용이하게 해준다. 그러한 스프링(108, 109 및 110)을 사용함으로써, 기록 및/또는 재생부(2)의 체결부(14)와 하우징(1)의 체결부(15)사이의 거리가 무부하상태의 스프링(108, 109 및 110)의 길이보다 같거나 그 이하일 때, 스프링이 탄성적으로 변위되면서 압축될 수 있어, 충격흡수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제 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프링(108, 109 및 110)의 양단부에 설치된 후크부(13)를 체결부(14 및 15)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그 첨단측들간의 간격을 체결부(14 및 15)의 직경보다 작도록 링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하우징내에 배치된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지지기구는, 하우징이 이 하우징의 사용가능범위의 중심점의 위치에 있고, 기록 및/또는 재생부가 하우징의 중립위치에 있을 때, 기록 및/또는 재생부의 무게와 스프링의 장력을 수직방향으로 평형으로 유지하고, 스프링의 장력을 서로 수평방향으로 평형을 유지하여서,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하우징의 중립위치에 지지한다.
따라서, 이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 지지기구는 기록 및/또는 재생부의 변위거리로 하여금 전체 사용가능범위내로 충분히 작도록 유지하면서 이러한 기록 및/또는 재생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로써 자동차의 객실에 장착될 디스크플레이어를 참고로 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장착위치는 객실의 내부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에 장착되는 디스크플레이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이 기록매체로 디스크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적용한 예를 참고로 하여 이루어졌지만, 그 적용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제한되지 않고 자기테이프 등과 같은 테이프형의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기록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의 목적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디스크플레이어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2도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어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 3도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어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4도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어를 구성하기 위한 지지기구의 측면도이다.
제 5도는 디스크플레이어가 수평상태에 있을 때 지지기구의 힘의 분산을 나타내는 벡터다이아그램이다.
제 6도는 디스크플레이어가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지지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7도는 디스크플레이어가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지기구의 힘의 분산을 나타내는 벡터다이아그램이다.
제 8도는 디스크플레이어가 90˚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지지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9도는 디스크플레이어가 90˚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지기구의 힘의 분산을 나타내는 벡터다이아그램이다.
제 10도는 디스크플레이어에 대한 지지기구의 원리를 나타내는 벡터다이아그램이다.
제 11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디스크플레이어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12도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어의 내부에 대한 투시측면도이다.
제 13도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어의 주요부분에 대한 측면도이다.
제 14도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어의 지지기구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5도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어가 평형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6도는 상기 디스크플레이어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스프링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7도는 지지기구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분에 대한 확대측면도이다.
제 18도는 지지기구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하우징 2. 기록 및/또는 재생부
3. 댐퍼 4,6,5. 제 1, 제 2 및 제 3스프링
7. 지지축 8,9,10. 제 1, 제 2 및 제 3스프링
11. 뚜껑 12,13. 후크부
14,15. 체결부 16. 완충부

Claims (11)

  1.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수평상태와 수직상태 및 이들 사이의 경사각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배치될 수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디스크 기록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재생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디스크 재생수단을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으로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수평 및 수직상태로 배열될 경우, 디스크 재생 수단의 무게와 상기 탄성 지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지지력이 균형이 되도록 상기 디스크 재생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대해서 상기 디스크 재상수단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상기 탄성 지지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 재생 수단은 상기 하우징이 수평상태와 수직상태 사이의 경사진 부분의 중간 각도에 배치될 경우에 중립위치에서 모든 방향으로 거의 같은 양만큼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지지수단은 상기 디스크 재생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제 1측면 사이에 배치된 3개의 스프링의 제 1그룹과, 상기 디스크 재생수단과 하우징의 반대 측면인 제 2측면 사이에 부착되는 3개의 스프링의 제 2 그룹을 포함하며, 스프링력의 동작방향이 상기 디스크 재생 수단의 무게중심을 통해 옆으로 확장되는 공통 선의 개개의 점을 통하게 되도록 상기 각각의 스프링 그룹내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수단은, 상기 디스크 재생수단이 상기 하우징이 수평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중립위치의 전방 및 아래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이 수직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중립위치의 후방 및 아래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재생수단이 상기 중립위치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사진 부분의 중간각도가 상기 수평과 수직상태로부터 45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평 및 수직상태에서 동일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는 맞물림 부분에서 상기 스프링들이 상기 하우징과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각 그룹에 대해서, 상기 3개 스프링의 각각의 스프링력의 동작방향은 각각의 동일한 위치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그룹의 각각의 3개의 스프링은 90도 떨어져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각 그룹의 상기 3개의 스프링 중 하나의 스프링은, 디스크 재생수단의 무게중심을 통해 옆으로 확장되는 공통선의 상기 개개의 위치에서 상기 디스크 재생수단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3개의 스프링 중 다른 스프링들은, 상기 개개의 점을 통해 통과하고 상기 개개의 위치를 통과하며, 상기 공통 선에 수직으로 점차적으로 확장하는 다른 선상의 개개의 제 2와 제 3위치에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개의 위치는 상기 제 2와 제 3의 위치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의 각각에 한 쌍의 버퍼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 수단은 상기 제 1, 2, 3 부착점의 반대측면의 상기 다른 라인과 거의 평행하는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디스크 재생 수단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버퍼수단(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프링은 그 일단에 후크부가 부설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탄성력의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길이는 상기 탄성력의 상기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반향에서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버퍼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KR1019960017872A 1995-05-31 1996-05-25 기록매체용기록및/또는재생장치 KR100422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459495A JP3716453B2 (ja) 1995-05-31 1995-05-31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95-134594 1995-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633A KR960042633A (ko) 1996-12-21
KR100422115B1 true KR100422115B1 (ko) 2004-06-26

Family

ID=1513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872A KR100422115B1 (ko) 1995-05-31 1996-05-25 기록매체용기록및/또는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757753A (ko)
EP (1) EP0750309B1 (ko)
JP (1) JP3716453B2 (ko)
KR (1) KR100422115B1 (ko)
CN (1) CN1146602A (ko)
DE (1) DE6962528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224A (ja) * 1996-12-24 1998-07-21 Sony Corp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
TW408314B (en) * 1997-08-22 2000-10-11 Kenwood Corp Supporting structure of floating chassis of disc apparatus
US6477042B1 (en) * 1999-11-18 2002-11-05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Disk drive mounting system for absorbing shock and vibration in a machining environment
JP4347515B2 (ja) * 2000-11-27 2009-10-21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防振ダンパー一体型メカニカルシャーシ
TW540798U (en) * 2002-02-22 2003-07-01 Lite On It Corp Dynamic vibration-damper of CD drive
CA2385922C (en) * 2002-05-10 2007-09-25 Silent Witness Enterprises Ltd. Shock and vibration isolation system
JP4144563B2 (ja) * 2003-07-11 2008-09-0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DE102004013876A1 (de) * 2004-03-20 2005-10-06 Intergraph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Speichermediums
JP2007064354A (ja) * 2005-08-31 2007-03-15 Polymatech Co Ltd 粘性流体封入ダンパー及びディスク装置
US7856916B2 (en) * 2008-07-15 2010-1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solation systems, inertial navigation systems, and recoil artillery systems
US20100051778A1 (en) * 2008-09-03 2010-03-04 Albert Taan Wu Controlled Space with Anti-Shock Function for Automotive Electronics
US8480052B2 (en) * 2011-01-11 2013-07-09 Drs Tactical Systems, Inc. Vibration isolating device
JP7449368B2 (ja) * 2020-03-30 2024-03-13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電子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3895A1 (de) * 1989-04-29 1990-11-15 Deutsche Thomson-Brandt Gmbh Gerät mit erschütterungsempfindlichen teil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2185B2 (de) * 1975-09-22 1979-01-18 Geraetewerk Lahr Gmbh, 7630 Lahr Vorrichtung zur Aufhängung bzw. Abstützung eines Chassis eines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es
JPS60163592U (ja) * 1984-04-07 1985-10-30 ソニー株式会社 乗物用光学デイスクプレーヤ
JPH0249038Y2 (ko) * 1984-10-11 1990-12-21
JPS63203942A (ja) * 1987-02-18 1988-08-23 Seiko Epson Corp 耐振構造
JPH02283934A (ja) * 1989-04-21 1990-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振動絶縁装置
US5042024A (en) * 1989-04-28 1991-08-2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k re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being disposed in different attitudes
JPH0371489U (ko) * 1989-11-08 1991-07-19
JP2552955Y2 (ja) * 1991-04-04 1997-11-0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防振機構
JP2578016Y2 (ja) * 1992-02-06 1998-08-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再生装置用防振支持機構
EP0555072B1 (en) * 1992-02-06 1998-06-2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ibration damping suspension mechanism for recorded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5595430A (en) * 1995-03-27 1997-01-21 Ford Motor Company Resilient retainer for vibration sensitive components
JPH08279279A (ja) * 1995-04-05 1996-10-22 Nippon Columbia Co Ltd 震動衝撃抑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3895A1 (de) * 1989-04-29 1990-11-15 Deutsche Thomson-Brandt Gmbh Gerät mit erschütterungsempfindlichen 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57753A (en) 1998-05-26
DE69625282D1 (de) 2003-01-23
JP3716453B2 (ja) 2005-11-16
US5953303A (en) 1999-09-14
EP0750309A1 (en) 1996-12-27
JPH08329667A (ja) 1996-12-13
KR960042633A (ko) 1996-12-21
EP0750309B1 (en) 2002-12-11
DE69625282T2 (de) 2003-09-04
CN1146602A (zh) 199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115B1 (ko) 기록매체용기록및/또는재생장치
JP2718665B2 (ja) フアイル記憶装置
JPH07105550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5342830A (ja) 緩衝装置及び緩衝装置を用いた円盤状記録媒体用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100734277B1 (ko) 내충격 특성이 향상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JPH1064181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振動吸収ダンパー
JPH0612794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
EP1553600B1 (en) Disk player
JPH06208785A (ja) ダンパ及びフローティング機構
JPH0845207A (ja) ディスク装置の磁気ヘッド
JPH02260191A (ja) 光磁気ディスクドライブ
JP2623177B2 (ja) 情報再生装置
JP2547958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149318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1176100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ヘッド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H05128830A (ja) 車載用機器
JP3260628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207658B1 (ko) 모터의 진동방지장치
JP286189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351838Y2 (ko)
JP3005506B2 (ja) 機器支持機構
JPS62154381A (ja)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の磁気ヘツド装置
JPS59160862A (ja) 磁気ヘツド
JPH10172165A (ja)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の制振装置
JPH08297964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