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639B1 - 선회식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선회식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639B1
KR100420639B1 KR10-2001-7007642A KR20017007642A KR100420639B1 KR 100420639 B1 KR100420639 B1 KR 100420639B1 KR 20017007642 A KR20017007642 A KR 20017007642A KR 100420639 B1 KR100420639 B1 KR 100420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wing
hydraulic
plate
hydraulic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194A (ko
Inventor
사에키후미마사
나가오히데키
후쿠모토츠토무
이리노데루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2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선회프레임(17)의 왼쪽 세로판(19)과 오른쪽 세로판(20) 사이에는 아래쪽 가로판(23)과 위쪽 가로판(24)을 설치하고, 오른쪽 세로판(20)에는 위쪽 가로판(24) 의 상면측에 위치하여 호스삽입구멍(26)을 설치한다. 또 아래쪽 가로판(23)과 위쪽 가로판(24) 사이에는 위쪽으로부터 낙하하여 오는 토사가 흐르는 토사통로(25) 를 형성한다. 따라서 호스삽입구멍(26)으로부터는 옵셋용 유압호스 (37E), 버킷용유압호스(37F), 아암용 유압호스(37G)로 이루어지는 유압호스(37)를 인출할 수 있어 이들 유압호스(37)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 토사통로(25)는 낙하한 토사를 상부 선회체(2)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유압호스(37)의 주위에 토사 등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회식 건설기계{SWING TYPE CONSTRUCTION MACHINERY}
일반적으로 선회식 건설기계로서는 유압셔블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유압셔블은 하부 주행체와, 그 하부 주행체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에 의해 대략 구성되고, 그 상부 선회체의 앞부분에는 작업장치가 부앙동(附仰動 ; 버킷이 위를 바라보고 밑을 내려다 보는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셔블에는 좁은 장소에서의 굴착작업 등에 적합한 기종이 있고, 이 유압셔블의 상부 선회체는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장치는 앙동함으로써 상부 선회체상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유압셔블은 작업장치를 선회반경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부 선회체를 선회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류의 유압셔블에 사용되는 상부 선회체는 선회프레임과, 그 선회프레임의 좌측에 배치된 운전석과, 상기 선회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트와, 그 카운터웨이트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프레임의 뒤쪽에 탑재된 엔진과, 그 엔진보다도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프레임의 오른쪽에 배치된 제어밸브군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 선회체에는 엔진, 제어밸브군 등을덮는 외장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프레임은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과, 그 바닥판 위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 설치된 좌, 우의 세로판과, 작업장치의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여 좌, 우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양쪽 끝이 각각 그 세로판에 고정된 가로판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판은 각 세로판의 쓰러짐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부재를 이루고 있다.
한편, 작업장치는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부움과, 그 부움의 선단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과, 그 아암의 선단에 회동 가능에 설치된 버킷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세로판과 부움 사이에는 부움실린더가 설치되고, 부움과 아암과의 사이에는 아암실린더가 설치되고, 아암과 버킷 사이에는 버킷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움의 뒤면에는 아암, 버킷에 접속된 유압배관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그 유압배관과 제어밸브군은 아암용 유압호스, 버킷용 유압호스 등의 유압호스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상부 선회체 중, 주로 프레임에 관한 구성을 도 9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선회프레임(101)은 바닥판(101A) 위에 좌, 우의 세로판(101B) (오른쪽만 도시)이 세워 설치되고, 좌, 우의 세로판(101B) 사이에는 앞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진 가로판(101C)이 설치되어 있다. 또 좌, 우의 세로판(101B)에는 작업장치(102)의 부움(102A)의 푸트부가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가로판 (101C)의 뒤부분에는 뒤쪽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103)이 설치되고, 그 칸막이판 (103)은 가로판(101C)과 함께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칸막이판(103)의 뒤쪽에는 엔진(도시 생략) 등을 덮는 외장커버(10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선회프레임(101)의 바닥판(101A)에는 부움(102A)의 설치위치의 근방에서 오른쪽의 세로판(101B)보다도 오른쪽 바깥쪽에 위치하여 제어밸브군(10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른쪽의 세로판(101B)에는 제어밸브군(105)의 근방에서 가로판 (101C)의 하면측에 위치하여 호스삽입구멍(101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칸막이판 (103)에는 부움(102A)의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여 호스인출구멍(10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밸브군(105)으로부터 부움(102A)으로 연장되는 유압호스(106)는 세로판(101B)의 호스삽입구멍(101D), 칸막이판(103)의 호스인출구멍(103A)을 통하여 부움(102A)에 도달하고, 그 부움(102A)에 설치된 유압배관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유압셔블은 좁은 장소에서 토사의 굴삭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버킷으로 토사를 퍼올린 상태에서 부움(102A)을 앙동 (仰動)하고, 아암을 부동(俯動)함으로써 작업장치(102)를 상부 선회체의 선회반경내에 수납하여 이 상태에서 상부 선회체를 선회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굴착장소와 반대측에 대기하고 있는 운반차량에 토사를 실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유압셔블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유압호스 (106)는 선회프레임(101)을 구성하는 가로판(101C)의 하면측에서 칸막이판(103)의 안쪽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유압호스(106)에 손이 닿기 어려워 조립작업, 교환작업 등이 곤란한 것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유압호스(106)는 칸막이판(103)에 형성된 호스인출구멍(103A)으로부터 부움(102A)을 향하여 유도되고 있다. 한편 유압셔블을 사용한 토사의 굴착작업 시에는 작업장치(102)를 선회자세로 하기 위하여 버킷을 위쪽으로 들어 올렸을 때에 버킷내의 토사(107)가 흘러 떨어져 오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버킷으로부터 흘러 떨어져 칸막이판(103) 위를 미끄러져 떨어지는 토사(107)는 호스인출구멍(103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유도된 유압호스(106)에 걸리고, 이 유압호스(106)에 의해 가로막혀 칸막이판(103) 위에 퇴적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퇴적한 토사나 빗물은 호스인출구멍(103A)으로부터 상부 선회체내로 들어가 바닥판(101A) 위에 퇴적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토사의 굴착작업 등을 행하는 유압셔블 등의 선회식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유압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상부 선회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선회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상부 선회체의 일부와 작업장치의 일부를 도 2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에서 본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제어밸브군, 유압호스를 외장커버를 벗겨 낸 상태에서 도 2 중의 화살표 V-V 방향에서 본 요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낙하한 토사의 배출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7은 선회프레임, 각 가로판, 유압호스, 호스커버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 6과 동일한 위치에서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
도 9는 종래기술에 관한 상부 선회체와 작업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호스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여 조립작업, 교환작업 등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선회식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사 등이 유압호스의 주위에 퇴적하거나, 상부 선회체내에 침입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선회식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선회식 건설기계는 하부 주행체와, 그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선회프레임 위에 엔진, 운전석이 설치된 상부 선회체와, 그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의 앞부분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장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은 바닥판과, 그 바닥판 위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 설치되고, 앞쪽에 작업장치의 연결부가 설치된 좌, 우의 세로판과, 작업장치의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여 좌, 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양쪽 끝이 각각 상기 세로판에 고정된 가로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중 적어도 한쪽의 세로판에는 상기 가로판의 상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여 작업장치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압호스를 삽입하는 호스삽입구멍을 설치한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호스삽입구멍은 가로판의 상면보다도 위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호스삽입구멍으로부터 유압호스를 인출함으로써 그 유압호스를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어 유압호스를 작업장치에 설치된 유압배관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 호스삽입구멍은 가로판의 상면보다도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나, 그 호스삽입구멍은 세로판에 가로구멍으로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낙하하는 토사 등이 상기 호스삽입구멍으로부터 상부 선회체내에 침입 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또한 유압호스와 가로판과의 사이에는 간격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호스의 주위에 토사 등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판의 상면측에는 호스삽입구멍에 삽입된 유압호스와의 사이에 낙하하여 오는 토사가 흐르는 토사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낙하하고 있는 토사는 가로판과 유압호스 사이의 토사통로를 흐르기 때문에 유압호스에 접촉하거나, 퇴적하는 일 없이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이 채용하는 다른 구성의 특징은,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은바닥판과, 그 바닥판 위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 설치되어 앞쪽에 작업장치의 연결부가 설치된 좌, 우의 세로판과, 작업장치의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양쪽 끝이 각각 상기 세로판에 고정된 상, 하의 가로판에 의해 구성하고, 작업장치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압호스는 상기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을 통하여 작업장치에 설치된 유압배관에 접속한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좌, 우의 세로판 사이에는 아래쪽의 가로판과 위쪽의 가로판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2매의 가로판에 의해 각 세로판의 쓰러짐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유압호스는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을 통하고 있기 때문에 2매의 가로판 사이에 유압호스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설치할 수 있고, 이 공간을 토사 등이 통과하는 토사통로로서 이용할 수 있어 토사 등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상, 하의 가로판 사이에는 낙하하여 오는 토사가 흐르는 토사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낙하하고 있는 토사는 위쪽의 가로판과 아래쪽의 가로판 사이의 토사통로를 흐르기 때문에 유압호스에 접촉하거나, 퇴적하는 일 없이 배출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중 적어도 한쪽의 세로판에는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에 위치하여 유압호스가 삽입되는 호스삽입구멍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호스삽입구멍은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호스삽입구멍으로부터 유압호스를 인출함으로써 그 유압호스를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어 유압호스를 작업장치에 설치된 유압배관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 호스삽입구멍은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에 설치하고 있으나, 그 호스삽입구멍은 세로판에 가로구멍으로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낙하하는 토사 등이 그 호스삽입구멍으로부터 상부 선회체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호스를 좌, 우의 세로판 사이에서 위쪽의 가로판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장치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유압호스를 위쪽의 가로판을 이용하여 다발로 묶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선회프레임의 앞부분측에는 각 세로판 중 한쪽의 세로판보다도좌, 우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바닥판 위에 제어밸브군을 설치하고, 유압호스의 한쪽 끝측은 그 제어밸브군측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어밸브군을 좌, 우의 세로판의 앞쪽에 설치된 작업장치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고, 그 제어밸브군과 작업장치와의 사이를 유압호스에 의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사이에는 유압호스를 덮는 호스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압호스를 향하여 토사 등이 낙하하여도 이 토사는호스커버에 충돌하는 것 뿐이므로, 토사에 의해 유압호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선회식 건설기계로서 유압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8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1은 유압셔블의 하부 주행체, 2는 그 하부 주행체(1) 위에 선회장치(3)를 거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이고, 상기 하부 주행체(1)의 앞쪽에는 토사배출장치(4)가 상, 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 선회체(2)의 앞쪽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작업장치(5)가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5는 상부 선회체(2)의 앞쪽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장치이고, 작업장치(5)는 뒤에서 설명하는 선회프레임(17)의 각 세로판(19, 20)에 연결부(6A)(도 4참조)를 거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부움(6)과, 이 하부 부움(6)의 선단부에 좌, 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부움(7)과, 이 상부 부움(7)의 선단부에좌, 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리테이너(8)와, 이 아암리테이너(8)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9)과, 그 아암(9)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10)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하부 부움(6)의 선단부와 아암리테이너(8)와의 사이에는 링크로드(1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링크로드(11)는 하부 부움(6), 상부 부움(7), 아암리테이너(8)와 함께 평행링크를 형성하고, 이 평행링크에 의해 하부 부움(6)에 대하여 아암(9)[아암리테이너(8)]를 항상 평행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선회프레임(17)과 하부 부움(6) 사이에는 부움실린더(12)가 설치되고, 아암리테이너(8)와 아암(9) 사이에는 아암실린더(13)가 설치되고, 아암(9)과 버킷 (10) 사이에는 버킷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부움(6)과 상부 부움(7)의 사이에는 옵셋실린더(1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부움(6)을 앙동한 상태에서 뒤쪽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부움(6)의 배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실린더(13), 버킷실린더(14), 옵셋실린더 (15)를 향하여 유압을 급배하는 복수개의 유압배관(16)(1개만 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유압배관(16)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옵셋용 유압호스(37E), 버킷용유압호스(37F), 아암용 유압호스(37G)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부 선회체(2)는 뒤에서 설명하는 선회프레임(17), 운전석(28), 엔진 (30), 제어밸브군(35), 외장커버(42)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17은 선회프레임이고, 이 선회프레임(17)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상의 평판으로서 형성된 바닥판(18)과, 이 바닥판(18)의 대략 중심부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어 바닥판(18)에 세워 설치된 왼쪽 세로판(19)과, 그 왼쪽 세로판 (19)의 오른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판(18)에 세워 설치된 오른쪽 세로판(20)과, 상기 왼쪽 세로판(19)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왼쪽 뒤 세로판(21)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프레임(17)에는 왼쪽 세로판(19)의 왼쪽(바깥쪽)에 위치하여 바닥판(18)의 위쪽을 덮도록 운전석발바닥판(22)(도 1 중에 도시)이 설치되고, 그 운전석발바닥판(22)의 위쪽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운전석(28), 조작레버장치(29)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왼쪽 뒤 세로판(21)은 오른쪽 세로판 (20)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세로판부(21A)와, 그 세로판부(21A)의 앞쪽 위치에서 왼쪽 세로판(19)과 오른쪽 세로판(20)을 연결하는 연결판부(21B)로 이루어져 있다.
또 23은 하부 부움(6)의 연결부(6A) 근방에 위치하여 왼쪽 세로판(19)과 오른쪽 세로판(20) 사이에 설치된 아래쪽 가로판이고, 그 아래쪽 가로판(23)은 좌, 우의 세로판(19, 20)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가 두꺼운 강도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아래쪽 가로판(23)은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을 향하여 점차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판부(23A)와, 그 경사판부(23A)의 선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바닥판(18)에 맞닿은 수직판부(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 가로판(23)은 경사판부(23A)와 수직판부(23B)의 좌, 우방향 양쪽 끝측이 좌, 우의 세로판(19, 2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수직판부(23B)의 하단부가 바닥판(18)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24는 아래쪽 가로판(23)의 위쪽에 위치하여 왼쪽 세로판(19)과 오른쪽 세로판(20) 사이에 설치된 위쪽 가로판이고, 이 위쪽 가로판(24)은 아래쪽 가로판(23)과 마찬가지로 좌, 우의 세로판(19, 20)의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가 두꺼운 강도부재로서 형성되고, 아래쪽 가로판(23)의 경사판부(23A)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쪽 가로판(24)은 그 좌, 우방향 양쪽 끝측이 좌, 우의 세로판(19, 2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25는 아래쪽 가로판(23)의 경사면부(23A)와 위쪽 가로판(24) 사이에 형성된 토사통로로서, 그 토사통로(25)는 뒤에서 설명하는 유압호스(37)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되고, 상기 토사통로(25)는 뒤에서 설명하는 토사(50) 등이 굴러 떨어지는 통로로 되어 있다.
26은 오른쪽 세로판(20)에 설치된 호스삽입구멍으로, 이 호스삽입구멍(26)은 위쪽 가로판(24)의 앞쪽 가까이에 위치하여 상기 위쪽 가로판(24)의 상면측, 즉 위쪽 가로판(24)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삽입구멍(26)은 작업장치(5)측에 압유를 급배하는 뒤에서 설명하는 옵셋용 유압호스(37E), 버킷용 유압호스(37F), 아암용 유압호스(37G)를 인출하는 것이다.
27은 상부 선회체(2)의 좌측에 설치된 캐노피이고(도 1, 도 2참조), 그 캐노피(27)는 전, 후방향과 좌, 우방향으로 이간되어 세워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27A, 27A, …)와, 그 각 지주(27A) 상에 설치된 캐노피루프(2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노피(27)는 앞쪽이 바닥판(18)에 설치되고, 뒤쪽이 지지프레임(41)에 설치되어 있다.
28은 캐노피(27)내에 위치하여 선회프레임(17)의 운전석발바닥판(22)(도 1 중에 도시) 위에 대좌(28A)를 거쳐 설치된 운전석으로, 이 운전석(28)의 앞쪽에는 조작레버장치(2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레버장치(29)는 운전석발바닥판(22) 위에 세워 설치된 레버스탠드 (29A)와, 이 레버스탠드(29A)의 상단측에 설치된 주행조작레버(29B), 작업조작레버 (29C)와, 상기 레버스탠드(29A)내에 위치하여 작업조작레버(29C)에 의해 작동하는 감압밸브형의 파일럿밸브(도시 생략)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30은 선회프레임(17)의 뒤부분측에 좌, 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로설치 상태로 탑재된 엔진(도 2중에 점선으로 도시)이고, 그 엔진(30)의 오른쪽에는 라디에이터, 오일쿨러 등의 열교환기(31)가 배치되고, 엔진(30)의 왼쪽에는 유압펌프(32)가 설치되어 있다.
또 33은 선회프레임(17)의 뒤쪽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트이고, 이 카운터웨이트(33)는 상부선회체(2)의 선회반경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34는 선회프레임(17)의 오른쪽에서 엔진(30)보다도 앞쪽에 배치된 작동오일탱크이고(도 2, 도 5 중에 도시), 그 작동오일탱크(34)는 유압실린더, 유압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한 작동오일을 저장하는 것이다.
35는 작동오일탱크(34)의 앞쪽에 위치하여 선회프레임(17)의 오른쪽 세로판 (20)의 오른쪽(바깥쪽)에 배치된 제어밸브군이고, 이 제어밸브군(35)은 밸브지지부재(36)를 거쳐 바닥판(18) 위에 탑재되어 있다. 또 제어밸브군(35)은 상, 하방향으로 겹쳐 설치된 복수개의 방향제어밸브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방향제어밸브는 아래쪽으로부터 순서대로 토사배출용 방향제어밸브(35A), 좌, 우의 주행용 방향제어밸브(35B, 35C), 예비방향제어밸브(35D), 옵셋용 방향제어밸브(35E), 버킷용 방향제어밸브(35F), 아암용 방향제어밸브(35G), 부움용 방향제어밸브(35H), 선회용 방향제어밸브(35J)로 되어 있다.
또 각 방향제어밸브(35A 내지 35J) 중, 방향제어밸브(35A 내지 35C)에는 기계조작식의 방향제어밸브가 사용되고, 그 각 방향제어밸브(35A 내지 35C)는 조작레버장치(29)에 케이블(도시 생략)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그 외의 방향제어밸브 (35D 내지 35J)에는 유압파일럿식의 방향제어밸브가 사용되고, 그 각 방향제어밸브 (35D 내지 35J)는 조작레버장치(29)의 파이럿밸브에 파일럿호스(도시 생략)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각 방향제어밸브(35A 내지 35J) 중, 작업장치(5)의 아암실린더(13), 버킷실린더(14), 옵셋실린더(15)를 제어하는 아암용 방향제어밸브(35G), 버킷용 방향제어밸브(35F), 옵셋용 방향제어밸브(35E)는 오른쪽 세로판(20)의 호스삽입구멍 (26)과 대략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방향제어밸브(35G, 35F, 35E)와 실린더(l3, 14, 15)를 뒤에서 설명하는 아암용 유압호스(37G), 버킷용유압호스(37F), 옵셋용 유압호스(37E)를 사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이들 유압호스 (37G, 37F, 37E)는 방향제어밸브(35G, 35F, 35E)로부터 호스삽입구멍(26)까지 거의 곧바로 가지고 갈 수 있고, 이들 유압호스(37E, 37F, 37G)의 처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37은 제어밸브군(35)에 접속된 유압호스이고, 이 유압호스(37)는 토사배출용 유압호스(37A), 주행용 유압호스(37B, 37C), 옵셋용 유압호스(37E), 버킷용 유압호스(37F), 아암용 유압호스(37G), 선회용 유압호스(37J) 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토사배출용 방향제어밸브(35A)에는 토사배출용 유압호스(37A)가 접속되고, 그 토사배출용 유압호스(37A)는 센터조인트(도시 생략)를 거쳐 토사배출장 치(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좌, 우의 주행용 방향제어밸브(35B, 35C)에는 주행용유압호스(37B, 37C)가 접속되고, 그 주행용 유압호스(37B, 37C)는 센터조인트를 거쳐 하부 주행체(1)에 설치된 좌, 우의 주행모터(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 옵셋용 방향제어밸브(35E)에는 옵셋용 유압호스(37E)가 접속되고, 버킷용방향제어밸브(35F)에는 버킷용 유압호스(37F)가 접속되고, 아암용 방향제어밸브 (35G)에는 아암용 유압호스(37G)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옵셋용 유압호스(37E), 버킷용 유압호스(37F), 아암용 유압호스(37G)는 오른쪽 세로판(20)에 설치된 호스삽입구멍(26)을 거쳐 위쪽 가로판(24) 위로 인출되고, 하부 부움(6)의 연결부(6A)의 아래쪽을 통하여 유압배관(16)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들 유압호스(37E, 37F, 37G)는 위쪽 가로판(24) 위에서 호스브래킷(38)에 의해 정렬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부움용 방향제어밸브(35H)에는 부움용 유압배관(37H)이 접속되고, 이부움용 유압배관(37H)은 도시 생략한 부움용 유압호스를 거쳐 부움실린더(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선회용 방향제어밸브(35J)에는 선회용 유압호스(37J)가 접속되고, 이 선회용 유압호스(37J)는 선회장치(3)의 구동원을 이루는 선회모터(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39, 40은 선회프레임(17)의 주위에 설치된 스커트커버이고, 이 스커트커버 (39, 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33)에 연속하도록 선회프레임 (17)의 주위를 덮어 설치되어 있다.
41은 캐노피(27)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도 4, 도 6 중에 도시)이고, 그 지지프레임(41)은 선회프레임(17)의 뒤쪽에 엔진(30)을 타고 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41)은 전, 후방향과 좌, 우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다리체(41A, 41A)(2개만 도시)와, 그 각 다리체(41A) 위에 좌, 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지지대좌(4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42는 선회프레임(17) 위에 위치하여 그 선회프레임(17)의 오른쪽으로부터 뒤쪽에 걸쳐 배치된 외장커버이고, 이 외장커버(4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30)의 위쪽으로부터 앞쪽을 덮도록 선회프레임(17) 위에 세워 설치된 엔진 앞 커버(43)와, 선회프레임(17)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작동오일탱크(34), 제어밸브군 (35) 등을 덮는 오른쪽 커버(44)와, 왼쪽에 위치하여 유압펌프(32) 등을 덮는 왼쪽 커버(45)와, 카운터웨이트(33)의 위쪽에 위치하여 엔진(30)의 뒤쪽을 덮는 보닛 (46)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47은 엔진 앞커버(43)와 아래쪽 가로판(23)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판이고, 그칸막이판(47)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 판체(47A)와 위쪽 판체(47B)를 상, 하방향으로 접속함으로써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칸막이판(47)은 상단측이 엔진 앞커버(43)에 나사고정되고, 하단측이 아래쪽 가로판(23)의 상단측에 나사고정되어 전체로서 앞쪽을 향하여 점차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47)은 엔진 앞커버(43)와 아래쪽 가로판(23) 사이를 폐쇄하여 토사 등이 상부 선회체(2)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48은 아래쪽 가로판(23)의 앞쪽에 설치된 보호커버이고, 이 보호커버(48)는 상단측이 아래쪽 가로판(23)의 경사판부(23A)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커버(48)는 조작레버장치(29)에 설치된 파이럿밸브와 제어밸브군(35)을 접속하는 파일럿호스(모두 도시 생략)를 덮는 것이다.
여기서 아래쪽 가로판(23)의 경사판부(23A), 칸막이판(47), 보호커버(48)는 앞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하나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사면은 낙하하여 온 토사 등을 토사통로(25)를 통하여 앞쪽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49는 좌, 우의 세로판(19, 20) 사이에 설치된 호스커버이고, 이 호스 커버(49)는 좌, 우의 세로판(19, 20)에 볼트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커버(49)는 옵셋용 유압호스(37E), 버킷용 유압호스(37F), 아암용 유압호스(37G)가 위쪽으로 노출하는 부위, 즉 호스삽입구멍(26)의 전단부로부터 하부 부움(6)의 연결부 (6A)까지의 사이에 이들 유압호스(37E, 37F, 37G)를 덮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셔블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운전석(28)에 시이트고정하고, 조작레버장치(29)의 주행조작레버(29B)를 전, 후방향으로 경전(傾轉 ; 사판식 유압펌프에 있어서 사판의 경사 또는 기울어짐)에 의해 하부주행체(1)를 주행시킨다. 이 때에 도시 생략한 다른 조작레버를 경전조작하여 토사배출장치(4)를 상, 하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토사배출장치(4)에 의해 토사의 배출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 오퍼레이터는 작업조작레버(29C)를 전, 후방향과 좌, 우방향으로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1) 위에서 상부 선회체(2)를 선회동작시키거나 작업장치 (5)를 부앙동시켜 토사의 굴삭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셔블을 좁은 작업현장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버킷(10)에 의해 토사를 굴삭한 후에 도 1,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부움(6)을 앙동하여 아암(9)을 부동함으로써 작업장치(5)를 상부 선회체(2)의 선회반경내에 수납한다. 그리고 이 자세에서 상부 선회체(2)를 선회동작함으로써 예를 들면 굴삭장소와 반대측에 대기하고 있는 운반차량에 굴삭한 토사를 실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 시에는 상부 선회체(2)를 선회동작하고 있을 때에 버킷(10)내의 토사의 일부가 흘러 떨어지고, 이 흘러 떨어진 토사(50, 50, …)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2) 위에 쏟아져 내린다.
이 때 경사면을 형성하는 아래쪽 가로판(23)의 경사판부(23A), 칸막이판 (47), 보호커버(48)는 낙하되어 온 토사(50)를 위쪽 가로판(24) 사이에 유압호스가존재하지 않는 공간으로서 형성된 토사통로(25)를 통하여 앞쪽으로 배출할 수 있어 토사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선회프레임(17)의 오른쪽 세로판(20)에는 위쪽 가로판(24)의 상면측, 즉 위쪽 가로판(24)보다도 위쪽에 위치하여 호스삽입구멍(26)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호스삽입구멍(26)으로부터 옵셋용 유압호스 (37E), 버킷용 유압호스(37F), 아암용 유압호스(37G)를 인출함으로써 작업자는 이들 유압호스(37E, 37F, 37G)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잡고 취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유압호스(37E, 37F, 37G)는 작업장치(5)에 설치된 유압배관(16)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조립작업, 교환작업 등에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호스삽입구멍(26)은 위쪽 가로판(24)의 상면측에 설치하고 있으나, 그 호스삽입구멍(26)은 오른쪽 세로판(20)에 가로구멍으로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낙하하는 토사(50), 빗물 등이 그 호스삽입구멍(26)으로부터 상부 선회체(2)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부 선회체(2)의 내부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좌, 우의 세로판(19, 20) 사이에는 아래쪽 가로판(23)과 위쪽 가로판(24)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2매의 가로판(23, 24)에 의해 각 세로판(19, 20)의 쓰러짐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아래쪽 가로판(23)과 위쪽 가로판(24) 사이에는 토사통로(25)를 설치할 수 있고, 이 토사통로(25)는 유압호스가 존재하지 않은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버킷(10) 등으로부터 낙하하는 토사(50)는 칸막이판(47), 토사통로(25), 보호커버(48)의 순으로 앞쪽으로 배출할 수 있어 토사(50)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로판(23, 24)은 강도부재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토사통로(25)에 토사가 퇴적하였다 하더라도 바 등으로 찔러 강제적으로 배제할 수도 있다.
또 제어밸브군(35)은 오른쪽 세로판(20)의 오른쪽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제어밸브군(35)을 작업장치(5)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어밸브군(35)과 작업장치(5)를 유압호스(37)에 의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각 세로판(19, 20) 사이에는 옵셋용 유압호스(37E), 버킷용 유압호스 (37F), 아암용 유압호스(37G)를 덮는 호스커버(4, 9)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낙하한 토사(50)가 이들 유압호스(37E, 37F, 37G)에 충돌하거나 퇴적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압호스(37E, 37F, 37G)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쪽 가로판(24) 위에 호스브래킷(38)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쪽 가로판(24)을 이용하여 상기 호스브래킷(38)에 의해 유압호스(37E, 37F, 37G)를 정렬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아래쪽 가로판(23)의 위쪽에 간격을 두고 위쪽 가로판 (24)을 설치하고, 이 위쪽 가로판(24)의 상면측에 위치하여 오른쪽 세로판(20)에 호스삽입구멍(26)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선회프레임(61)을 바닥판(18), 왼쪽 세로판(19), 오른쪽 세로판(20), 왼쪽 뒤 세로판 (21), 운전석발바닥판(22)(도 1 중에 도시), 아래쪽 가로판(23)에 의해 구성하고, 위쪽 가로판(24)을 생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호스삽입구멍(26)은 아래쪽 가로판(23)의 위쪽에 간격을 두고 오른쪽 세로판(20)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에 의하여 호스삽입구멍(26)에 삽입된 유압호스(37E, 37F, 37G)와 아래쪽 가로판(23)의 상면과의 사이를 토사통로(25)로서 확보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오른쪽 세로판(20)에 호스삽입구멍(26)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밸브군(35)을 왼쪽 세로판(19)의 왼쪽에 배치한 경우에는 왼쪽 세로판(19)에 호스삽입구멍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회식 건설기계로서 소형의 유압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중형, 대형의 유압셔블, 휠식 유압셔블 등의 다른 선회식 건설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은 바닥판과, 이 바닥판 위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 설치되어 앞쪽에 작업장치의 연결부가 설치된 좌, 우의 세로판과, 작업장치의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여 좌, 우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양쪽 끝이 각각 상기 세로판에 고정된 가로판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중 적어도 한쪽의 세로판에는 상기 가로판의 상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여 작업장치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압호스를 삽입하는호스삽입구멍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호스삽입구멍으로부터 유압호스를 인출함으로써 그 유압호스를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고, 유압호스를 작업장치에 설치된 유압배관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호스삽입구멍은 가로판의 상면보다도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 호스삽입구멍은 세로판에 가로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하는 토사 등이 이 호스삽입구멍으로부터 상부 선회체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부 선회체의 내부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압호스와 가로판 사이에는 간격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호스의 주위에 토사 등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판의 상면측에는 호스삽입구멍에 삽입된 유압호스와의 사이에 낙하하여 오는 토사가 흐르는 토사통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낙하하고 있는 토사는 가로판과 유압호스 사이의 토사통로를 흐르게 할 수 있어 유압호스에 접촉하거나 퇴적하는 일 없이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은 바닥판과, 그 바닥판 위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 설치되어 앞쪽에 작업장치의 연결부가 설치된 좌, 우의 세로판과, 작업장치의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여 좌, 우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양쪽 끝이 각각 상기 세로판에 고정된 상, 하의 가로판에 의해 구성되고, 작업장치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압호스는 상기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을 통하여 작업장치에 설치된 유압배관에 접속하고 있기때문에 2매의 가로판에 의해 각 세로판의 쓰러짐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유압호스는 위쪽의 가로판의 위쪽을 통하고 있기 때문에 2매의 가로판 사이에 유압호스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설치할 수 있고, 이 공간을 토사 등이 지나는 토사통로로서 이용할 수 있어 토사 등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상, 하의 가로판 사이에는 낙하하여 오는 토사가 흐르는 토사통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낙하하고 있는 토사는 위쪽의 가로판과 아래쪽의 가로판 사이의 토사통로를 흐를 수 있어 유압호스에 접촉하거나, 퇴적하는 일 없이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중 적어도 한쪽의 세로판에는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에 위치하여 유압호스가 삽입하는 호스삽입구멍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호스삽입구멍으로부터 유압호스를 인출함으로써 그 유압호스를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고, 유압호스를 작업장치에 설치된 유압배관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호스삽입구멍은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에 설치하고 있으나, 이 호스삽입구멍은 세로판에 가로구멍으로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낙하하는 토사 등이 그 호스삽입구멍으로부터 상부 선회체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부 선회체의 내부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호스는 좌, 우의 세로판 사이에서 위쪽의 가로판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장치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유압호스를 위쪽의 가로판을 이용하여 묶도록 고정할 수 있어 유압호스를 정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프레임의 앞부분측에는 각 세로판 중 한쪽의 세로판보다도 좌, 우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바닥판 위에 제어밸브군을 설치하고, 유압호스의 한쪽 끝측은 그 제어밸브군측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밸브군을 좌, 우의 세로판의 앞쪽에 설치된 작업장치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어밸브군과 작업장치 사이를 유압호스에 의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사이에는 유압호스를 덮는 호스커버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압호스를 향하여 토사 등이 낙하하더라도 이 토사는 호스커버에 충돌하는 것뿐이므로 토사에 의해 유압호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압호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하부 주행체와; 그 하부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선회프레임 위에 엔진, 운전석이 설치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의 앞부분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장치로 이루어지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위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 설치되고, 앞쪽에 상기 작업장치의 연결부가 설치된 좌, 우의 세로판과; 상기 작업장치의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여 좌, 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양쪽 끝이 각각 상기 세로판에 고정된 가로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중 적어도 한쪽의 세로판에는 상기 가로판의 상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여 상기 작업장치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압호스를 삽입하는 호스삽입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판의 상면측에는 호스삽입구멍에 삽입된 유압호스와의 사이에 낙하하여 오는 토사가 흐르는 토사통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3.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어 선회프레임 위에 엔진, 운전석이 설치된 상부 선회체와; 이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의 앞부분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장치로 이루어지는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위에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 설치되고, 앞쪽에 상기 작업장치의 연결부가 설치된 좌, 우의 세로판과; 상기 작업장치의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여 좌, 우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 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쪽 끝이 각각 상기 세로판에 고정된 상, 하의 가로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작업장치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압호스는 상기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을 통하여 작업장치에 설치된 유압배관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의 가로판 사이에는 낙하하여 오는 토사가 흐르는 토사통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중 적어도 한쪽의 세로판에는 상기 위쪽의 가로판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유압호스가 삽입되는 호스삽입구멍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호스는 상기 좌, 우의 세로판 사이에서 상기 위쪽의 가로판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프레임의 앞부분측에는 상기 각 세로판 중 한쪽의 세로판보다도 좌, 우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바닥판 위에 제어밸브군을 설치하고, 상기 유압호스의 한쪽 끝측은 그 제어밸브군측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8.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프레임의 좌, 우의 세로판 사이에는 상기 유압호스를 덮는 호스커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KR10-2001-7007642A 1999-10-19 2000-10-17 선회식 건설기계 KR100420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97325 1999-10-19
JP29732599 1999-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194A KR20010093194A (ko) 2001-10-27
KR100420639B1 true KR100420639B1 (ko) 2004-03-02

Family

ID=1784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642A KR100420639B1 (ko) 1999-10-19 2000-10-17 선회식 건설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76259B1 (ko)
JP (1) JP3377198B2 (ko)
KR (1) KR100420639B1 (ko)
DE (1) DE60042882D1 (ko)
WO (1) WO2001029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3571B2 (ja) * 2005-09-28 2011-06-01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ー
JP4698443B2 (ja) * 2006-03-02 2011-06-0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5019516B2 (ja) * 2007-02-27 2012-09-05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配管配設構造
JP4941089B2 (ja) 2007-05-15 2012-05-3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上部旋回体及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6145029B2 (ja) 2013-11-12 2017-06-07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
JP6011553B2 (ja) * 2014-01-21 2016-10-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配索構造
JP6224565B2 (ja) * 2014-10-03 2017-11-01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JP6706213B2 (ja) * 2017-03-01 2020-06-03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油圧ショベル
JP7039397B2 (ja) * 2018-06-21 2022-03-2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7217823B2 (ja) * 2018-06-21 2023-02-03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7208878B2 (ja) * 2019-09-12 2023-01-19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JP7377776B2 (ja) 2020-07-03 2023-11-1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JP7369311B2 (ja) 2022-03-09 2023-10-25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646U (ko) * 1990-07-27 1992-03-30
JPH07180177A (ja) * 1993-12-21 1995-07-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H08232286A (ja) * 1995-02-23 1996-09-10 Kubota Corp バックホー
JPH10280474A (ja) * 1997-04-09 1998-10-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US5860233A (en) * 1997-04-14 1999-01-19 Caterpillar Inc. Valve configuration and mounting arrangement
JPH11229433A (ja) * 1998-02-16 1999-08-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3464144B2 (ja) * 1998-03-25 2003-11-05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29330A1 (fr) 2001-04-26
EP1176259A1 (en) 2002-01-30
EP1176259A4 (en) 2007-02-21
JP3377198B2 (ja) 2003-02-17
DE60042882D1 (de) 2009-10-15
EP1176259B1 (en) 2009-09-02
KR20010093194A (ko)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639B1 (ko) 선회식 건설기계
JP3464144B2 (ja) 旋回作業機
JP6873771B2 (ja) 荷役車両
JP4172135B2 (ja) 建設機械のフィルタ類装着構造
JP3949858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7166067B2 (ja) 建設機械
JP7039397B2 (ja) 旋回作業車
JP7201536B2 (ja) 建設機械
JP5160401B2 (ja) 旋回作業機
JP7369311B2 (ja) 旋回作業車
JP5507348B2 (ja) 建設機械
JP3464142B2 (ja) 旋回作業機
JP3403632B2 (ja) 旋回作業機
JP3459352B2 (ja) 旋回作業機
JP3104647B2 (ja) 作業機の給排液用集中パネル
WO2021192625A1 (ja) 建設機械
JP3656369B2 (ja)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
JP7217823B2 (ja) 旋回作業車
JP3911584B2 (ja) 浚渫船
JP4005429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H10217777A (ja) 補助燃料タンク付き作業機
JP4250855B2 (ja) 建設機械のポンプ室
JPH1120781A (ja) 浮遊油回収方法および装置
JP6510708B2 (ja) 作業機
JP2022062462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