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854B1 -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854B1
KR100419854B1 KR10-2001-0002263A KR20010002263A KR100419854B1 KR 100419854 B1 KR100419854 B1 KR 100419854B1 KR 20010002263 A KR20010002263 A KR 20010002263A KR 100419854 B1 KR100419854 B1 KR 100419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fluorine
compound
chemical formula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298A (ko
Inventor
윤태호
정광운
조영준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1-000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854B1/ko
Priority to US09/884,964 priority patent/US6531633B2/en
Priority to JP2001197374A priority patent/JP2002212194A/ja
Publication of KR2002006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50Organo-phosphines
    • C07F9/53Organo-phosphine oxides; Organo-phosphine thi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50Organo-phosphines
    • C07F9/53Organo-phosphine oxides; Organo-phosphine thioxides
    • C07F9/5325Aromatic phosphine oxides or thioxides (P-C aromatic link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폴리이미드의 우수한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접착성, 난연성 및 낮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폴리이미드의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불소 치환체와 포스핀옥사이드 치환체를 동시에 함유하는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Triarylphospine oxide derivatives containing fluorine substituent and its synthesis}
본 발명은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폴리이미드의 우수한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접착성, 난연성 및 낮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폴리이미드의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불소 치환체와 포스핀옥사이드 치환체를 동시에 함유하는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소는 가장 큰 전기음성도, 수소에 가까운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반지름 및 다른 원소와의 큰 결합에너지 등의 특성 때문에 분자간력을 저하시켜 표면장력이 낮고 휘발성이 높으며 마찰계수를 작게 하는 특성을 가진다. 특히, 불소화합물은 분자의 바깥쪽에 불소를 가지기 때문에 화학적 반응성이 낮아 화합물의 가공성, 전기절연성 및 내후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수한 가공성 및 낮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폴리이미드의 합성을 위하여 불소를 함유하는 디안하이드라이드 및 디아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폴리이미드는 우수한 물성, 높은 유리전이온도, 열안정성, 높은 접착성 등으로 인하여 원자력이나 태양전지 등의 에너지 관련 분야, 광통신, 광학 재료에 대한 응용, 더 나아가서는 점점 고밀도화되어가는 반도체의 제조를 위한 재료로서 산업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마이드의 접착성 및 난연성 향상을 위하여 포스핀옥사이드를 함유하는 단량체가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미국 버지니아텍(Virginia Tech.)의 맥그라스(J. E. McGrath) 교수팀에 의하여 개발된 비스3-아미노페닐페닐포스핀옥사이드{Bis(3-aminophenyl)phenylphosphineoxide}(이하 "DAPPO"라 칭함)가 좋은 예이다[참고문헌: M. F. Martinez-Nuez et al., Polymer Preprint, 35, p.709 (1994)].
또한, 종래 기술로는 비스3-아미노페닐3,5-비스트리플루오로메칠페닐포스핀옥사이드(DA6FPPO)가 있으며 이는 단량체마다 하나의 포스핀옥사이드와 6개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다[K. U. Jeong, J. J. Kim and T. H. Yoon, Korea Polymer Journal 8, 215-223 (2000), 정광운, 윤태호, 대한민국 특허 10-1999-0050831(출원)].
상기 DA6FPPO는 우수한 가공성 및 낮은 유전상수를 가지지만, 높은 불소함량으로 인하여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이미드의 우수한 물성(우수한 열적 안전성 및 기계적 특성)과 접착력의 저하 없이 유전상수를 낮출 수 있는 단량체의 합성이 요구되어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서는 폴리이미드의 우수한 기계적, 열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낮은 유전상수, 높은 접착력을 얻기 위하여 종래 발명된 DA6FPPO 보다 불소수가 적으며, 불소 및 포스핀옥사이드를 동시에 함유하는 단량체인 비스3-아미노페닐4-트리플루오로메칠페닐포스핀 옥사이드(DA3FPPO)를 합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DA3FPPO로부터 합성된 폴리이미드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특성뿐만 아니라 낮은 유전상수 및 우수한 접착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의 우수한 특성의 저하 없이 우수한 접착력과낮은 유전상수를 얻을 수 있는 단량체를 불소와 포스핀옥사이드을 동시에 함유하는 신규의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의 합성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합성한 화합물의 FT-IR의 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합성한 화합물의1H-NMR의 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합성한 화합물의31P-NMR의 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합성한 화합물의19F-NMR의 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며, X는 수소, 니트로 및 아민기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또한, 유기 용매 및 마그네슘에 플루오로알킬이 치환된 브로모벤젠과 디페닐포스피닉 클로라이드를 그리나드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 4-트리플루오로메칠페닐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4-(trifluoromethyl)phenyl}diphenylphosphine oxide, 3FPPO]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1a에서: R는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3FPPO)에 황산과 질산으로 질산화시켜 다음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 비스3-니트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Bis(3-nitrophenyl){4-(trifluoromethyl)phenyl}phosphine oxide, mDN3FPPO]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1b에서: R는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mDN3FPPO)을 팔라듐 촉매 존재 하에서 수소화시켜 다음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 비스3-아미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Bis(3-aminophenyl){4-(trifluoromethyl)phenyl} phosphine oxide, mDA3FPPO]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c에서: R는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 반응식 1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반응식 1에서: R은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다.
상기 반응식 1과 같이,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을 유기 용매로 하여 마그네슘 턴닝(Mg turning)과 플루오로알킬기로 치환된 브로모벤젠(bromobenzene)[화학식 2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그리나드 시약(Grignardreagent)인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한 후, 이를 디페닐포스포닉클로라이드(diphenylphosphinic chloride)[화학식 4의 화합물]와 그리나드 반응(Grignard reaction)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3FPPO; X = H)을 얻는다. 이때 그리나드 반응물의 몰비는 1 : 1 내지 1 : 1.2 가 바람직하며, 각 반응은 0 내지 5 ℃의 온도에서 3시간, 실온에서 약 24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3FPPO)을 황산과 질산을 이용하여 질산화(Nitration)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 (mDN3FPPO;X = NO2)을 얻는다. 이때의 반응 조건은 -10 내지 -5 ℃의 온도에서 약 3시간, 실온에서 8시간이다. 수득된 화합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mDN3FPPO)를 팔라듐(Pd) 촉매의 존재 하에 무수알코올(absolute ethanol)을 유기 용매로 하여 수소화(Hydrogenation)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음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mDA3FPPO;X = NH2)을 얻는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중합체로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의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화학식 1a의 화합물; 3FPPO)의 제조
자석막대(magnetic stirrer), 첨가용 깔때기(addition funnel), 응축기(condenser) 및 질소 주입구(nitrogen inlet)가 있는 250 ㎖ 3구 환저 플라스크(3-neck round bottom flask) 반응 장치를 준비한다. 마그네슘 턴닝(Mg turning)[Aldrich사 제품] 1.54 g과 증류 정제된 테트라히드로퓨란[Fisher사 제품] 60 ㎖를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얼음물(ice-bath)로 5 ℃ 이하로 낮춘 후, 4-트리플루오로메틸브로모벤젠[4-(trifluoromethyl)bromobenzene
][Aldrich사 제품] 11.4 g를 첨가용 깔때기를 이용하여 서서히 3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용액을 상온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추가로 반응시켜 그리나드 시약(Grignard reagent)인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4-(trifluoromethyl)phenylmagnesium bromide]를 짙은 갈색의 액체로 얻었다.
상기 반응 생성물을 다시 얼음물(ice-bath)을 이용하여 5 ℃ 이하로 냉각시킨다. 냉각된 반응 생성물에 디페닐포스피닉클로라이드(diphenyl phosphinic chloride)[Aldrich사 제품] 10 g를 첨가용 깔때기를 통해 3시간에 걸쳐 가한 후 반응물의 온도가 상온이 되도록 방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가로 반응시켜 검은색에 가까운 갈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 반응 생성물에 10 %의 황산 수용액 10 ㎖를 첨가한 후 물 2 L로 세척하고 다시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시킨 후 클로로포름과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비등 핵산 1 L에 녹여 재결정하여 정제함으로써 목적 화합물(3FPPO) 11.7 g(수율 80 %)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화합물(3FPPO)을 60 ℃ 진공 오븐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그의 융점을 측정하고, FT-IR,1H-NMR,31P-NMR 및19F-NMR로 분석하였다. 융점은 90.5 내지 91.2 ℃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T-IR 분석에서는 1363 ∼ 1500 cm-1에서 C-F 결합 피크를 나타내고 1190 cm-1에서 P=O의 스트레칭 피크(stretching peak)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1H-NMR (용매: DMSO-d6)분석에 의하면 7.95 ∼ 7.84 ppm에서 불소가 치환된 페닐의1H 피크가 나타나고 7.70 ∼ 7.56 ppm에서 디페닐의1H 피크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표제 화합물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31P-NMR 및19F-NMR (용매: CDCl3) 분석에서도 28.37 ppm 및 -41.47 ppm 에서 각각 단일 피크를 보여, 목적하는 표제 화합물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비스3-니트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화학식 1b의 화합물; mDN3FPPO)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합성된 3FPPO를 질산 및 황산을 이용하여 질산화 시킴으로써 목적 화합물(mDN3FPPO)을 수득하였다. 상기 3FPPO 11.7 g과 황산 100㎖를 교반기(mechanical stirrer), 첨가용 깔때기(addition funnel) 및 질소 주입구(nitrogen inlet)가 있는 250 ㎖ 3구 환저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상온에서 녹였다. 소금/얼음물(salt-ice bath)을 이용하여 반응물이 -10 내지 -5 ℃ 범위의 온도가 되도록 한 후 질산 5.14 ㎖와 황산 15 ㎖의 혼합용액을 첨가용 깔때기를 통해 3시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에 방치하여 상온에 이르면 8시간 동안 추가로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반응생성물을 얼음 1 kg과 혼합한 후 혼합물이 상온에 이르면 클로로포름과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비등 알코올 1 L에 녹인 후 재결정하여 정제함으로써 목적 화합물(mDN3FPPO) 13.25 g(수율 90 %)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화합물(mDN3FPPO)을 100 ℃ 진공 오븐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그의 융점을 측정하고, FT-IR,1H-NMR,31P-NMR 및19F-NMR로 분석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융점은 202.3 내지 202.9 ℃ 범위를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FT-IR 분석에서는 실시예 1에서 합성된 3FPPO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의 특성인 비대칭 스트레칭 피크(asymmetric stretching peak)[1530 cm-1]와 대칭 스트레칭 피크(symmetric stretching peak)[1350 cm-1]가 나타났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1H-NMR(용매:DMSO-d6) 분석에 의하면 8.55 ∼ 8.46 ppm, 8.22 ∼ 8.04 ppm 및 8.01 ∼ 7.88 ppm의 세 개의 피크가 나타나 NO2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31P-NMR (용매: CDCl3)에서는 NO2의 형성으로 피크가 28.37 ppm에서 24.62 ppm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단일 피크를 보임으로써 순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19F-NMR (용매: CDCl3) 분석에서 불소 피크는 질산화 반응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3FPPO와 거의 비슷하게 -41.67 ppm에서 단일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비스3-아미노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화학식 1c의 화합물; mDA3FPPO)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에서 합성된 mDN3FPPO를 활성탄 상의 팔라듐 촉매(Pd/C)의 존재 하에 무수 알코올(absolute ethanol)을 유기 용매로 하여 수소화 반응시킴으로써 목적 화합물(mDA3FPPO)을 수득하였다. 상기 mDN3FPPO 13.25 g, 무수 알코올(absolute ethanol) 200 ㎖ 및 10 % Pd/C 2스푼(10 ∼ 15 mg)을 고압 반응기(pressure reactor)에 넣은 후 200 rpm, 100 psi의 수소압 및 50 ℃의 반응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셀라이트(celite)을 이용하여 활성탄(Pd/C)을 여과해낸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물과 알코올(1 : 9)의 용액에서 재결정 한 후 이를 다시 승화법(sublimation)에 의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mDA3FPPO) 10.51 g(수율 92 %)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화합물(mDA3FPPO)의 융점(melting point)을 측정하고, FT-IR,1H-NMR,31P-NMR 및19F-NMR로 분석하였다. 융점은 145.0 내지 145.7 ℃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FT-IR 분석에서는 일차 아민 스트레칭 피크(primary amine stretching peak)가 3450 cm-1와 3340 cm-1에서 나타났고, 일차 아민의 벤딩 피크(primary amine bending peak)는 1584 cm-1와 1487 cm-1에서 나타났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1H-NMR(용매:DMSO-d6) 분석에 의하면 7.90 ppm 과 7.80 ppm에서 불소가 치환된 페닐의1H를 나타내고 있으며 아민이 치환된 페닐의1H은 7.15, 6.85, 6.75 및 6.63 ppm에서 크게 네 개의 피크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5.437 ppm에서는 아민1H 피크가 단일 피크로 나타났다.
한편, 도 3에서 나타낸31P-NMR(용매: CDCl3)분석에서는31P의 피크가 24.62 ppm에서 다시 29.36 ppm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아 아민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아민의 형성은 불소에는 영향이 적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낸19F-NMR(용매: CDCl3) 분석에서는 불소 피크가 -41.43 ppm에서 단일 피크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이미드 고유의 특성(우수한 열적 안전성 및 기계적 특성)을유지하면서 우수한 접착성, 난연성 및 낮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폴리이미드의 중합체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수득된 중합체는 반도체 패키징 재료, 광섬유 및 광학재료의 중간물질, 금속의 접착제 중간물질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고, X는 니트로기 또는 아민기를 나타낸다.
  2. 유기 용매 및 마그네슘에 플루오로알킬이 치환된 브로모벤젠과 디페닐포스피닉 클로라이드를 그리나드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3FPPO)의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1a
    상기 화학식 1a에서: R는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3FPPO)에 황산과 질산으로 질산화시켜 다음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mDN3FPPO)를 제조하는 단계; 및
    화학식 1b
    상기 화학식 1b에서: R는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mDN3FPPO)을 팔라듐 촉매 존재 하에서 수소화시켜 다음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mDA3FPPO)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c
    상기 화학식 1c에서: R는 독립적으로 불소 치환된 알킬기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나드 반응시 그리나드 반응물의 몰비는 1:1 내지 1:1.2 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c의 화합물의 제조시 무수알코올(absolute ethanol)을 유기 용매로 하여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2001-0002263A 2001-01-15 2001-01-15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그 제조방법 KR100419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263A KR100419854B1 (ko) 2001-01-15 2001-01-15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그 제조방법
US09/884,964 US6531633B2 (en) 2001-01-15 2001-06-21 Triarylphosphine oxide derivatives containing fluorine substituen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2001197374A JP2002212194A (ja) 2001-01-15 2001-06-28 フッ素含有アルキル基をもつトリアリールホスフインオキシド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263A KR100419854B1 (ko) 2001-01-15 2001-01-15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298A KR20020061298A (ko) 2002-07-24
KR100419854B1 true KR100419854B1 (ko) 2004-02-25

Family

ID=1970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263A KR100419854B1 (ko) 2001-01-15 2001-01-15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31633B2 (ko)
JP (1) JP2002212194A (ko)
KR (1) KR100419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983B1 (ko) * 2004-05-28 2006-06-20 광주과학기술원 비스페닐-2,3,5,6-테트라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JP5555007B2 (ja) * 2010-02-23 2014-07-23 マナック株式会社 リン含有ジアミン化合物および難燃性ポリイミド
CN107337691B (zh) * 2017-06-28 2019-03-29 湖南大学 一种新型含磷阻燃剂及其制备方法
CN112125928A (zh) * 2020-09-18 2020-12-25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3,5-二氟苯基)二苯基氧膦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283B1 (ko) * 1999-11-16 2002-03-18 김효근 불소 함유 치환체를 가진 트리아릴포스핀 옥사이드 유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12194A (ja) 2002-07-31
US6531633B2 (en) 2003-03-11
US20020095057A1 (en) 2002-07-18
KR20020061298A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1964B2 (ja) アルケノンの簡略化した製法
CN114409515B (zh) 一种偕二氟烯烃化合物的制备方法
CN116888133A (zh) 制备有机锡化合物的方法
KR100419854B1 (ko) 불소 치환체를 함유한 트리아릴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그 제조방법
KR100329283B1 (ko) 불소 함유 치환체를 가진 트리아릴포스핀 옥사이드 유도체
WO2009131107A1 (ja) 含フッ素ボロン酸エステ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TWI745452B (zh) 萘并雙氧族元素二唑(naphthobischalcogenadiazole)衍生物及其製造方法
US7169879B2 (en) Bisphenyl-2,3,5,6-tetrafluoro-4-trifluoromethylphenyl phosphine oxide derivative and synthesis thereof
JP2006193434A (ja) 4,4’−ジアミノビフェニル化合物
JP2001213819A (ja) シクロファン誘導体の製法
KR100419844B1 (ko) 산화인과 플로린을 동시에 함유한 디히드록시 단량체와이의 제조방법
KR20030057798A (ko) 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5874378B2 (ja) スルホン化アリールアミン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95058B1 (ko) 신규한 알킬 할라이드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293909A1 (en) Covered Heteroaromatic Ring Compound
JPH08113582A (ja) 二官能アルキルホスフィンオキサ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7843B1 (ko) 신규한 알킬 할라이드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2296B1 (ko) 포스핀옥사이드와 아다만탄이 동시에 치환되어 있는비스페닐-1-아다만틸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CN113416139A (zh) 一种4-氟取代芳基胺类化合物及其合成方法
KR20190032253A (ko) 디아민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2023028383A (ja) アミノ基含有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反応型難燃剤、並びに、組成物
AU2020259813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bstituted 2-[2-(phenyl) ethylamino]alkaneamide derivatives
JP3281894B2 (ja) 共役系高分子ポリ−2,5−ピリジンジイルビニレンの製造方法
CN115894564A (zh) 磷氮协效阻燃剂dopo基四氮唑类化合物、制备及应用方法
JPH055231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