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398B1 -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398B1
KR100419398B1 KR10-2001-0027200A KR20010027200A KR100419398B1 KR 100419398 B1 KR100419398 B1 KR 100419398B1 KR 20010027200 A KR20010027200 A KR 20010027200A KR 100419398 B1 KR100419398 B1 KR 10041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ain shaft
driven
driven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910A (ko
Inventor
이점길
이문식
Original Assignee
이점길
이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점길, 이문식 filed Critical 이점길
Priority to KR10-2001-002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39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기의 봉착작업시에 상봉과 하봉에 걸린 원단을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 즉, 장력이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원단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봉착작업시 원단의 문양이 비틀려지지 않고, 정확한 자수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발명된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축기어와, 다수의 워엄이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세로로 설치된 주축과; 상기 주축에 설치된 워엄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주축의 회전력을 하봉에 전달하는 제 1종동유닛과; 상기 주축에 설치된 워엄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주축의회전력을 상봉에 전달하는 제 2종동유닛과; 상기 주축에 설치된 워엄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주축의 회전력을 하봉에 전달하는 제 3종동유닛과; 상기 주축에 설치된 워엄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주축의 회전력을 상봉에 전달하는 제 4종동유닛과; 상기 주축의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해 제 1종동유닛과 제 2종동유닛 그리고, 제 3종동유닛과 제 4종동유닛 사이의 주축에 설치된 제 1 및 제 2클러치유닛과; 상기 제 1,2종동유닛 및 제 3,4 종동유닛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주축기어와 맞물림과 동시에 회전력을 각각의 종동유닛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구동유닛과; 상기 제 2종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상봉과 제 1종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하봉 사이의 원단 및 상기 제 4종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상봉과, 제 3종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하봉 사이의 원단을 고정하며,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원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원단고정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STUFF COMPENSATION APPARATUS OF A 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수기의 봉착작업시에 상봉과 하봉에 걸린 원단을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 즉, 장력이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원단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봉착작업시 원단의 문양이 흐트려지지 않고, 정확한 자수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발명된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기에서 직물원단을 이용하여 장식사를 봉착작업함에 있어서 장식사를 임의의 도형으로 이루도록 나열하면서 가늘은 자수사로 하여금 장식사를 감치기식으로 원단에 봉착하였으나 자수기의 특성상 장식사가 공급되는 원단의 길이와 제직하는 길이가 서로 달라서 원단의 길이를 보정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자수기가 짤 수 있는 원단의 길이가 한정되어 원단에 일정한 문양을 제직한 후, 원단의 나머지 부분을 짜기 위해 자수기를 정지시키고, 한 사람의 작업자가 레버를 사용하여 원단이 감겨있는 봉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두 세 사람의 작업자는 봉에 감겨진 원단이 팽팽한 장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문양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단의 문양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먼저 짜여진 문양과 동일한 문양을 맞추기가 굉장히 어려웠다.
예를들면, 자수기에서 원단이 팽팽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공급되는 경우, 원단이 구겨지고, 문양의 좌우상하가 맞지 않으며, 자유변형이 일어나므로 문양이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큰 오차를 갖는 장식사의 배열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곧바로 자수문양의 형태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었다.
또한, 원단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원단을 고정하고 있는 바늘을 원단에서 빼주고 다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수작업을 해야 했으므로 작업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봉에 감겨있는 원단이 구겨지거나 비틀려짐으로써 자유변형이 일어났을 때를 고려하여 좌우 상하 비틀림을 방지하여 원단의 장력을 유지하고 보정할 수 있는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자수기에서 원단을 제직할 수 있는 한정된 길이만큼을 제직한 후, 나머지의 감겨져 있는 원단을 제직하는 경우 원단의 장력을 해제하지 않고 원단을 이송할 수 있어 기존의 작업에서 발생하는 자수 문양의 변형을 방지하고 자수기의 정지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할 수 있는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단에서 바늘을 빼지 않고도 원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작업손실과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는 원단의 보정작업시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원단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원단이 감겨진 상봉,하봉 그리고 원단을 고정하는 원단고정유닛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를 보여주는 설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원단보정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단고정유닛을 보여주는 일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단고정유닛의 원단 고정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축 12 : 주축기어
14 : 원동기어 16 : 구동모터
18 : 제 1워엄 20 : 제 1워엄기어
22 : 제 1종동축 24 : 제 1종동축 브라켓
26,36,48,68,86 : 에어 실린더 28,34,50,70,88 : 연결 플레이트
30,32,56,76,90 : 클러치 38 : 제 2워엄
40 : 제 2워엄기어 42 : 제 2종동축
44 : 제 2종동축 브라켓 46 : 제 1종동기어
52 : 제 2종동 기어축 54 : 제 2종동기어
58 : 제 3워엄 60 : 제 3워엄기어
62 : 제 2종동 기어축 64 : 제 3종동축 브라켓
66 : 제 3종동기어 72 : 제 4종동 기어축
74 : 제 4종동기어 78 : 제 4워엄
80 : 제 4워엄기어 82 : 제 4 종동축
84 : 제 4종동축 브라켓 91 : 스프로킷 축
92 : 스프로킷 93 : 체인
94 : 원단 고정구 95 : 바늘
96 : 체인 지지 브라켓 97 : 체인 가이드
100 : 프레임 102 : 구동유닛
104 : 제 1클러치 유닛 106 : 제 1종동유닛
108 : 제 2종동유닛 110 : 제 3종동유닛
112 : 제 4종동유닛 114 : 제 2클러치 유닛
116 : 원단고정유닛 122 : 고정수단
본 발명은 주축기어와, 다수의 워엄이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세로로 설치된 주축과; 상기 주축에 설치된 워엄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주축의 회전력을 하봉에 전달하는 제 1종동유닛과; 상기 주축에 설치된 워엄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주축의회전력을 상봉에 전달하는 제 2종동유닛과; 상기 주축에 설치된 워엄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주축의 회전력을 하봉에 전달하는 제 3종동유닛과; 상기 주축에 설치된 워엄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주축의 회전력을 상봉에 전달하는 제 4종동유닛과; 상기 주축의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해 제 1종동유닛과 제 2종동유닛 그리고, 제 3종동유닛과 제 4종동유닛 사이의 주축에 설치된 제 1 및 제 2클러치유닛과; 상기 제 1,2종동유닛 및 제 3,4 종동유닛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주축기어와 맞물림과 동시에 회전력을 각각의 종동유닛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구동유닛과; 상기 제 2종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상봉과 제 1종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하봉 사이의 원단 및 상기 제 4종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상봉과, 제 3종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하봉 사이의 원단을 고정하며,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원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원단고정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종동유닛 및 제 3,4 종동유닛과 연결되는 상봉 및 하봉을 단속하기 위해 제 1,2 종동유닛 및 제 3,4종동유닛에 설치되는 다수의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고정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다수의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일단에 고정되는 체인지지 브라켓과; 상기 체인지지 브라켓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스프로킷과; 상기 상하 한 쌍의 스프로킷에 감겨서 원단과 함께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일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원단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끼워서 고정되는 다수의 원단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단고정구는 원단을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바늘이 형성되고, 용접 또는 고정수단에 의해 체인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체인에는 세로방향으로 체인 가이드가 설치되어 원단고정구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를 보여주는 설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원단보정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원단고정유닛을 보여주는 일부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원단고정유닛의 원단 고정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단보정장치는 자수기의 양측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서 세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한 쌍의 채널(channel)형 프레임(100)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0)에 양단이 각각 지지 설치되는 다량의 원단이 감겨진 각각의 상봉(118,121) 및 하봉(119,120)과, 상기 하봉(119)을 회전 동작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 1종동유닛(106)과, 상기 상봉(118)을 회전 동작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 2 종동유닛(108)과, 상기 하봉(12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제 2종동유닛(108)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 3종동유닛(110)과, 상기 상봉(12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 4종동유닛(112)과, 상기 제 1종동유닛(106), 제 2종동유닛(108), 제 3종동유닛(110) 및 제 4종동유닛(112)과 맞물려서 회전되도록 설치된 주축(10)을 구동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유닛(1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축(10)에는 다수의 워엄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바, 제 1종동유닛(106)과 맞물리는 제 1워엄(18)과, 제 2종동유닛(108)과 맞물리는 제 2워엄(38)과, 제 3종동유닛(110)과 맞물리는 제 3워엄(58)과, 제 4종동유닛(112)와 맞물리는 제 4워엄(78)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구동유닛(102)과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주축기어(12)가 설치되어 있다.
주축(10)을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유닛(102)과 상봉(118)을 회전시키는 제 2종동유닛(108)의 단속은 제 1클러치 유닛(104)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클러치 유닛(104)은 구동유닛(102)과 제 2종동유닛(108)의 사이의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유닛(102)에 의해 회전되는 제 3종동유닛(110)은 제 4종동유닛(11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바, 상기 제 3종동유닛(11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 4종동유닛(112)은 제 2클러치 유닛(114)에 의해 단속되어 지며, 상기 제 2클러치 유닛(114)은 제 3종동유닛(110)과 제 4종동유닛(112) 사이의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제 1클러치 유닛(104)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원단이 감겨진 상봉(118)및 하봉(119) 그리고, 상봉(121) 및 하봉(120)의 사이에는 각각의 원단고정유닛(116)이 원단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고정하도록 설치되어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고, 상기 각각의 원단고정유닛(116)은 프레임(100)에 설치된 각각의 고정봉(98)과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단고정유닛(116)은 원단의 양측부를 바늘(95)로 고정시켜 원단이 팽팽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동유닛(102)은 프레임(100)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주축기어(12)를 구비한 주축(10)과, 상기 주축기어(12)와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원동기어(14)와, 상기 원동기어(14)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축(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로 이루어진다.
미도시된 구동원(공압)에 의해 구동모터(16)가 동작하면, 원동기어(14)가 회전하고, 상기 원동기어(14)와 맞물린 주축기어(12)가 회전하고, 주축기어(12)가 회전함에 따라 주축(10)이 회전한다.
상기 구동유닛(102)이 설치된 하부에는 하봉(119)을 회전시킴으로써 원단을 감거나 풀기 위한 제 1종동유닛(10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종동유닛(106)은 우선, 구동유닛(102)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서 주축(10)에 설치된 제 1워엄기어(20)와, 상기 제 1워엄기어(20)와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제 1종동축(22)에 설치된 제 1워엄(18)과, 상기 제 1종동축(22)에 설치된 제 1종동축 브라켓(24)과, 상기 제 1종동축 브라켓(24)의 상부에 고정되어 하봉(119)과 제 1종동축(22)을 단속하기 위한 클러치(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종동축(22)의 일측단에는 제 1워엄기어(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클러치(30)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봉(119)의 일단에 형성된 클러치(30)와 맞물려서 단속이 이루어진다.
제 1종동축(22)을 감싸면서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 1종동축 브라켓(24)에는 에어실린더(26)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 플레이트(28)가 상기 에어실린더(26)에 구비된 로드(도면부호 미도시함)와 제 1종동축(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 실린더(26)가 미도시된 구동원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 1종동축(22)을 일측방향으로 당기고 하봉(119)에 맞물려 있던 클러치(30)를 끊어줌으로서 하봉(119)의 단속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에어 실린더(26)가 제 1종동축(22)을 밀어서 제 1종동축(22)에 형성된 클러치(30)를 밀어주면, 하봉(119)의 클러치(30)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6)의 회전력을 주축(10)을 통해서 전달받은하봉(119)이 회전한다.
한편, 상기 주축(10)의 회전력은 제 2종동유닛(108)에도 전달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 2종동유닛(108)은 주축(1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워엄(38)과 맞물리는 제 2워엄기어(40)가 제 2종동축(4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종동축(42)은 횡방향으로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제 1종동기어(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종동축(42)에는 제 2종동축 브라켓(4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종동축 브라켓(44)에는 에어실린더(4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48)는 미도시된 구동원(공압)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며, 실린더 로드를 구비하고 있고, 에어 실린더(48)의 로드에 연결 플레이트(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50)는 제 2종동기어축(52)과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종동기어축(52)에는 일단에 제 2종동기어(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종동기어(54)의 우측단에는 클러치(5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봉(118)의 좌측단에 형성된 클러치(56)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2종동기어축(52)의 우측단에는 제 2종동기어(5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실린더(48)의 동작에 따라 제 2종동기어(54)가 좌우로 움직이며, 클러치(56)의 단속과 동시에 상기 제 2종동기어(54)와 제 1종동기어(46)가 맞물려서 상봉(118)이 회전된다.
상기 구동유닛(102)과 제 2종동유닛(108) 사이에는 주축(10)의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제 1클러치유닛(1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클러치유닛(104)은 한 쌍의 클러치(32)가 서로 맞물려서 회전 가능하도록 주축(10)의 소정의 위치에 상하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32)에는 연결 플레이트(34)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34)의 타단부는 에어 실린더(36)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에어 실린더(36)에 의해 클러치(32)의 단속이 이루어진다. 즉, 구동모터(16)에 의해 회전되는 주축(10)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려면 에어 실린더(36)를 동작시켜서 주축(10)에 설치된 클러치(32)를 올려줌으로써 제 2종동유닛(108)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클러치(32)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회전력을 전달시킨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36)는 주축(10)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클러치(32)를 단속하고, 상기 제 2종동축 브라켓(44)에 설치된 에어실린더(48)는 클러치(56)를 단속함으로써 상봉(118)과 제 2종동기어축(52)을 단속하여 상봉(118)의 회전을 조절한다. 이때, 제 2종동기어(54)가 제 1종동기어(46)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주축(10)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즉, 상기 에어실린더(48)가 제 2종동기어(54)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제 1종동기어(46)가 제 2종동기어(54)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16)가 작동함에 따라 주축(10)이 회전하면, 주축(10)의 회전력이 제 1클러치유닛(10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2종동유닛(108)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 2종동유닛(108)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제 3종동유닛(110)과, 제 4종동유닛(112)으로 다시 한 번 전달되어 상봉(121) 및 하봉(120)을 회전시켜서 상봉 및 하봉에 감겨있는 원단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제 1종동유닛(106) 및 제 2종동유닛(108)에 의해 회전하는 상봉(118) 및 하봉(119)을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제 2종동유닛(108)으로부터 주축(1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3종동유닛(110)은 상기 하봉(120)의 일단에 형성된 클러치(76)와 서로 맞물려서 회전되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제 3종동유닛(110)은 제 4종동기어(74)를 구비한 제 4종동기어축(72)과, 상기 주축(10)에 형성된 제 3워엄(58)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제 3워엄기어(60)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3종동기어(66)가 형성되며, 중단부에는 제 3종동축 브라켓(64)이 설치되어 있는 제 3종동기어축(62)과, 상기 제 3종동축 브라켓(64)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 에어실린더(68)와, 상기 제 4종동기어축(72)과 에어실린더(68)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실린더(68)는 제 4종동기어축(72)을 죄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4종동기어(74)가 제 2종동기어(54)와 연결시키고, 클러치(76)가 하봉(120)의 클러치(76)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력을 전달해주는 기능을 한다.
계속해서, 제 4종동유닛(112)은 상봉(1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프레임(1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일단에 제 4워엄기어(80)가 설치되고,타단에는 클러치(90)를 구비한 제 4종동축(82)과, 상기 제 4종동축(82)에 세로로 설치된 제 4종동축 브라켓(84)과, 상기 제 4종동축 브라켓(84)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봉(121)과 제 4종동축(82)을 연결하고 있는 클러치(90)를 단속하는 에어실린더(8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4종동축(82)의 일측단에는 제 4워엄기어(80)가 설치되고, 그 타단에는 클러치(90)가 설치되어 상기 상봉(121)의 일단에 형성된 클러치(90)와 맞물려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86)에는 연결플레이트(88)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88)의 타단부는 제 4종동축(82)과 연결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에어실린더(86)에 구비된 로드(도면부호 미도시함)와 제 4종동축(8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실린더(86)가 미도시된 구동원(공압)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면, 일측방향으로 제 4종동축(82)을 당겨주어 상봉(121)에 서로 맞물려서 연결된 클러치(90)를 끊어줌으로서 상봉(121)의 단속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에어 실린더(86)가 제 4종동축(82)을 밀어서 제 4종동축(82)에 형성된 클러치(90)를 밀어주면, 상봉(121)의 클러치(90)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6)의 회전력을 주축(10)을 통해서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16)를 가지고, 상하로 설치된 2조의 상봉(121,118) 및 하봉(120,119)을 동시에 회전시키거나 단속하여 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미도시된 구동원(공압)에 의해 동작되는 각각의에어실린더(26,48,68,86)에 의해 상봉과 하봉을 각각 단속하여 회전력을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단고정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원단 고정구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상하 고정봉(98)이 체인지지 브라켓(96)과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체인지지 브라켓(96)에는 상하 한쌍의 스프로킷축(91)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프로킷축(91)에는 한 쌍의 스프로킷(92)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로킷(92)에는 체인(93)이 감겨져 있다.
상기 체인(93)은 어태치붙이 체인으로서, 다수의 원단 고정구(94)가 체인(93)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단 고정구(94)는 평평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원단을 고정할 수 있는 다수의 바늘(9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93)의 일측부에 용접 또는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122)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체인(93)에는 체인(93)의 유동을 방지하고, 원단 고정구(94)가 원할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97)가 체인(93)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원단고정유닛(116)은 원단을 팽팽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종동유닛과 함께 동작하여 원단의 상승시 원단 고정구(94)가 함께 이동하면서 원단을 지속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원단고정유닛(116)을 풀지 않고도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상봉과 하봉을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원단의 장력을 유지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원단의 길이를 맞추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수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원이 적게들고, 자수기의 정지시간을 단축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단의 길이를 맞출 때, 원단고정유닛을 빼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성이 우수하며, 손쉽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식사의 제직시 원단을 풀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뛰어나고, 품질이 우수해지므로 신뢰성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주축기어(12)와, 다수의 워엄(18,38,58,78)이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세로로 설치된 주축(10)과;
    상기 주축(10)에 설치된 제1워엄(18)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10)의 회전력을 하봉(119)에 전달하는 제 1종동유닛(106)과;
    상기 주축(10)에 설치된 제2워엄(38)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10)의 회전력을 상봉(118)에 전달하는 제 2종동유닛(108)과;
    상기 주축(10)에 설치된 제3워엄(120)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10)의 회전력을 하봉(120)에 전달하는 제 3종동유닛(110)과;
    상기 주축(10)에 설치된 제4워엄(78)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10)의 회전력을 상봉(121)에 전달하는 제 4종동유닛(112)과;
    상기 주축(10)의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해 제 1종동유닛(106)과 제 2종동유닛(108) 그리고, 제 3종동유닛(110)과 제 4종동유닛(112) 사이의 주축(10)에 설치된 제 1 클러치유닛(104) 및 제 2클러치유닛(114)과;
    상기 제 1,2종동유닛(106,108) 및 제 3,4 종동유닛(110,112)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주축기어(12)와 맞물림과 동시에 회전력을 각각의 종동유닛(106,108,110,112)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구동유닛(102)과;
    상기 제 2종동유닛(108)에 의해 회전하는 상봉(118)과 제 1종동유닛(106)에 의해 회전하는 하봉(119) 사이의 원단 및 상기 제 4종동유닛(112)에 의해 회전하는 상봉(121)과, 제 3종동유닛(110)에 의해 회전하는 하봉(120) 사이의 원단을 고정하며, 상기 주축(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원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원단고정유닛(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종동유닛(106,108) 및 제 3,4 종동유닛(110,112)과 연결되는 상봉(118,121) 및 하봉(119,120)을 단속하기 위해 제 1,2 종동유닛(106,108) 및 제 3,4종동유닛(110,112)에 설치되는 다수의 에어실린더(26,36,48,68,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고정유닛(116)은 상기 프레임(100)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다수의 고정봉(98)과;
    상기 고정봉(98)의 일단에 고정되는 체인지지 브라켓(96)과;
    상기 체인지지 브라켓(96)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스프로킷(92)과;
    상기 상하 한 쌍의 스프로킷(92)에 감겨서 원단과 함께 회전하는 체인(93)과;
    상기 체인(93)의 일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원단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끼워서 고정되는 다수의 원단고정구(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고정구(94)는 원단을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바늘(95)이 형성되고, 용접 또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체인(93)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93)에는 세로방향으로 체인 가이드(97)가 설치되어 상기 원단고정구(94)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KR10-2001-0027200A 2001-05-18 2001-05-18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KR10041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200A KR100419398B1 (ko) 2001-05-18 2001-05-18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200A KR100419398B1 (ko) 2001-05-18 2001-05-18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592U Division KR200244597Y1 (ko) 2001-05-18 2001-05-18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910A KR20010069910A (ko) 2001-07-25
KR100419398B1 true KR100419398B1 (ko) 2004-02-19

Family

ID=1970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200A KR100419398B1 (ko) 2001-05-18 2001-05-18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541A (ko) * 2002-01-22 2003-07-31 (주)삼성종합호스 천공 호스 제조장치
CH705553A1 (de) * 2011-09-21 2013-03-28 Laesser Ag Stickmaschine mit Stoffspann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635U (ko) * 1988-02-15 1989-09-08 나성근 자수기의 원단장력 조절장치
KR920006631Y1 (ko) * 1990-09-06 1992-09-21 세실산업 주식회사 스팽글자수기의 천 급송장치
KR970006665U (ko) * 1995-07-07 199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170228Y1 (ko) * 1999-08-25 2000-02-15 신승화 자수 및 누비 복합기의 원단장력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635U (ko) * 1988-02-15 1989-09-08 나성근 자수기의 원단장력 조절장치
KR920006631Y1 (ko) * 1990-09-06 1992-09-21 세실산업 주식회사 스팽글자수기의 천 급송장치
KR970006665U (ko) * 1995-07-07 199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170228Y1 (ko) * 1999-08-25 2000-02-15 신승화 자수 및 누비 복합기의 원단장력 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910A (ko)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870B1 (ko) 케이블 레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419398B1 (ko)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KR101976679B1 (ko) 이중호스 제작장치
KR200244597Y1 (ko)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KR101756055B1 (ko) 다용도 케이블 텐션 유지 및 포설장치
KR200440049Y1 (ko) 텐터기용 이송레일 폭조절장치
KR200434506Y1 (ko)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CN216473779U (zh)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
KR200320490Y1 (ko) 자수기의 구동장치
CN204780115U (zh) 多轴向经编机
WO2011129535A2 (ko) 환편기용 실공급장치
EP2993150B1 (en) Core yarn supplying unit, core yarn supplying device, spinning machine, and core yarn supplying method
KR20000048795A (ko)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을 위한 구동장치
KR200320481Y1 (ko) 자수기의 원단보정장치
KR100445290B1 (ko) 정경 와인더
KR100923753B1 (ko) 탄성사 공급장치
CN209854331U (zh) 一种针织大圆机的牵拉卷取机构
CN217102478U (zh) 一种针织大圆机绕线卷机构
JP3111000B2 (ja) 縫製用ミシンの糸繰出装置
KR100468293B1 (ko) 워터젯트룸의 크릴롤러 구동장치
CN104947306B (zh) 多轴向经编机
CN216548983U (zh)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的收线机构
CN209941178U (zh) 一种环锭纺纱机的牵引组件及一种牵引套件
KR101101706B1 (ko) 원사 권취기
KR200249351Y1 (ko)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