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847B1 - 후드슬리브 - Google Patents

후드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847B1
KR100418847B1 KR1019970707274A KR19970707274A KR100418847B1 KR 100418847 B1 KR100418847 B1 KR 100418847B1 KR 1019970707274 A KR1019970707274 A KR 1019970707274A KR 19970707274 A KR19970707274 A KR 19970707274A KR 100418847 B1 KR100418847 B1 KR 10041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able
sealing
hood
ho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874A (ko
Inventor
프란츠-프리트리히 프뢰리히
볼프 클루베
한스-위르겐 멜취
한스 빈터호프
라이너 침머
Original Assignee
에르익스에스 게젤샤프트 푀르퍼뫼겐스퍼발퉁 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익스에스 게젤샤프트 푀르퍼뫼겐스퍼발퉁 엠바하 filed Critical 에르익스에스 게젤샤프트 푀르퍼뫼겐스퍼발퉁 엠바하
Publication of KR1998070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7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with means for strain-relieving to interior strengths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75Cable seals e.g. feed-throug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 몸체(2) 및 후드 몸체(42)로부터 형성되는 후드 슬리브(1)에 관한 것이다. 이들 두 개의 부분은 기구적 지지장치(10, 43)의 보조장치와 함께 고정되고, 초기에는 밀봉효과가 없다. 후드 몸체(42) 및 밀봉 몸체(2) 사이의 밀봉은 예를 들어 편심기의 형상을 갖는 기능부재(38)에 의해 동작하는 밀봉 시스템의 보조장치와 함께 수행된다.

Description

후드 슬리브 {HOOD-TYPE CONNECTOR}
이러한 형태의 후드 슬리브는 독일의 오펜레궁스쉬리프트 40 35 557로부터 주지되어 있다. 이 문서는 밀봉 몸체를 갖는 개구 단부에서 끝나는 후드 몸체에 관한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밀봉 작용은, 필요한 밀봉 압력이 외부 상에 부착되고 밀봉 영역 내의 후드 몸체 주위를 고정하는 고정링에 의해 수행되는 밀봉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고정링은 사다리꼴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고, 후드 몸체 및 밀봉 몸체의 플랜지가 그루브 주위에서 고정된다. 고정링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두 개의 부분이 함께 밀봉링을 누르게 된다. 여기서, 후드 몸체 및 밀봉 몸체의 상호 고정은 밀봉 시스템과 함께 결합된다.
유럽 특허 출원 0 120 541도 마찬가지로, 후드 몸체가 고정링의 도움으로 기본 몸체 상에서 가압되고 고리형 밀봉제가 후드 몸체와 기본 몸체 사이에 삽입되는 후드 슬리브를 개시하고 있다. 고정링은 기본 몸체의 대응 짝 부재 내부와 맞물리는 구속부재(engagement element)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폐쇄체는 베이어네트 폐쇄(bayonet closure)의 원리를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필요한 밀봉 압력은 고정링을 회전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본 발명은 후드 몸체 및 밀봉 몸체를 포함하는 후드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밀봉 몸체는 케이블 입구 및 후드 몸체와 밀봉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고리모양의 밀봉 장치를 가지고 있고 후드 몸체의 밀봉 몸체로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후드 슬리브 내에 있는 광섬유 와이어 번들의 안내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내부로부터 보는 도 1에 따른 배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배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밀봉 몸체를 개별적인 부분들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조립 상태로 밀봉 몸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밀봉 시스템에 대한 기능 부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후드 몸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고정 부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접지를 위한 플러그-인 슬리브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고정 부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은 케이블 외피 플랩이 파지되는 케이블 고정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케이블 고정수단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케이블 고정수단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카세트 캐리어를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케이블 입구의 밀봉을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후드 몸체의 수정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17은 밸브 캡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쇄가 외력없이 초기에 수행되고 밀봉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는 후드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특히 광 케이블을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광 케이블의 고정 및 후드 슬리브 내에 있는 광섬유 번들의 안내와 관련된 요구사항이 고려된다.
상기 목적은 후드 몸체 및 밀봉 몸체를 포함하고, 밀봉 몸체는 케이블 입구 및 후드 몸체와 밀봉 몸체 사이에 고리모양의 밀봉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후드 몸체의 밀봉 몸체로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지지장치를 갖는 후드 슬리브로서, 밀봉 몸체는 상하로 배치되는 압력판 및 종결판을 포함하고, 종결판은 후드 몸체 및 밀봉 몸체 사이의 지지장치를 위한 기능부재를 가지며, 밀봉장치는 외주 주변에서 그 폭이 변하는 밀봉 그루브 및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밀봉링을 포함하고, 밀봉 그루브는 압력판 및 종결판 내부에서 외주상의 상호 구속하는 외형에 의해 형성되고, 압력판 및 종결판은 밀봉 그루브가 점점 더 작아지고 밀봉링이 후드 몸체의 내벽에 대한 변형에 의한 밀봉 방식으로 가압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재에 의해 밀봉작용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며, 후드 몸체는 지지장치를 위해 종결판에 대응하는 기능부재를 가지고, 케이블 입구는 케이블 외피(cable sheath) 및 광섬유 케이블의 중앙부재에 대한 압축 밀봉 및 고정 시스템을 각각 구비하고있으며, 광섬유 카세트를 위한 카세트 캐리어는 후드 슬리브의 내부로 돌출하여 배치되고 밀봉 몸체 상에 고정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밀봉 몸체와 카세트 캐리어 사이에 다심 광섬유번들의 분리를 위한 자유공간이 구비되고, 복수의 공급 챔버가 다심 광섬유장치의 초과 길이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 캐리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슬리브의 경우에는, 특히 내부 장착물을 조립한 이후에 후드 몸체가 초기에는 밀봉 몸체를 사용하여 외력없이 함께 결합됨으로써, 밀봉 장치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특히 광케이블에서는 삽입된 케이블이 중앙부재를 사용하여 케이블 입구에서 직접 고정될 수 있는 이득이 있다. 그리고 그 다음에 바로 인접하여, 케이블 외피로부터 자유로운 다심 광섬유장치가 대응적으로 관련된 "기능 번들"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초과 길이를 위해 구현된 공급 챔버에 공급되는 자유 공간이 제공되고 그 때 그것으로부터 적절한 카세트로의 번들링된 공급이 수행된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카세트는 필요한 접근이 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카세트 캐리어에 용이하게 이해되는 방식을 배치되는 이점이 있다.
후드 몸체 및 밀봉 몸체 사이의 밀봉장치가 두 개의 부분사이에서 기계적 지지장치 예를 들어 베이어네트 폐쇄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결과로서, 밀봉 장치는 최적의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부드러운 밀봉링이 삽입되고 그 폭이 변하는 밀봉 그루브를 포함하고 있다. 편심레버 또는 압착 스크루의 형태로 되어 있는 밀봉동작을 위한 기능부재에 의해, 그루브의 폭이좁아짐으로써, 삽입된 밀봉링은 외력 변형에 의해 후드 몸체의 내벽에 대해 가압된다.
케이블 입구의 밀봉은 예를 들어 원뿔형 밀봉제와 같은 압착 밀봉제로서 수행되고, 밀봉링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링은 밀봉 몸체의 내측으로부터 케이블을 도입한 이후 압착링의 도움으로 밀봉되는 방식으로 눌리어진다. 게다가, 여기에 케이블 고정수단이 제공되고, 케이블 고정수단은 케이블 외피가 축방향의 작용력에 반대로 파지되는 파지 부재(gripping element)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케이블 고정수단은 또한 삽입된 광케이블의 각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케이블 밀봉 및 케이블 외피와 각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 시스템이 결합된다는 것에 있다. 이런 배치에서는, 접지 연결과 같은 적절한 전기 전도 연결 능력이 구비될 수 있다.
각 카세트를 위한 카세트 캐리어는 밀봉 몸체 상에 직접 바람직하게는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배치는 밀봉 몸체와 블록 내부에 배치되는 카세트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자유 스페이스는 다양한 케이블 입구로부터의 다심 광섬유장치의 리드가 수행될 수 있는 식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관련된 광섬유 번들의 안내가 기능적으로 요청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후의 슬리브 상에서의 서비스 작업의 경우에, 간단하고 이해하기 용이한 작업이 다심 광섬유 장치의 안내에서 확실하게 된다. 광섬유 번들을 위한 복수의 공급챔버가 제공됨으로써, 부가적인 그룹 요청이 성취된다. 현재 스프라이싱되지 않는 연속적인 다심 광섬유장치 및 여분의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전용 공급 챔버가 구비되어 카세트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일반적인 서비스 작업 동안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슬리브(1)의 전체적인 배치를 도시하고 있고, 광섬유 와이어 번들의 안내가 특히 분명하게 되어 그 이해가 용이하게 된다. 후드 슬리브(1)는 예를 들어 잘려지지 않은 케이블(uncut cable)에 대하여, 각 케이블 입구에 대해 대응하는 케이블 입구(3) 및 이중 케이블 입구를 위한 케이블 입구(4) 및 카세트(6)를 갖는 카세트 홀더(5) 및 여기서는 제거되어 미도시된 후드 몸체를 포함하고 있다.
밀봉 몸체(2)는, 외부에 위치하고 케이블 입구(3, 4)의 밀봉 시스템이 배치되는 종결판(7), 내부에 위치하고 둘 사이에 형성된 외주 밀봉 그루브의 폭이 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종결판(7)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압력판(9) 및 이 밀봉 그루브 내에 배치되는 밀봉링(8)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밀봉 시스템의 작동 모드는 나중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종결판(7)은 후드 몸체와 밀봉 몸체 사이의 순수한 기계적 밀착이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베이어네트 폐쇄체(bayonet closure)로서 구성되는 지지장치(10)를 외주 상에 가지고 있다.
카세트 홀더(5)는 고정부재(11)의 도움으로 밀봉 몸체(2) 특히 압력판(9) 상에 직접 배치된다. 이 고정 부재는 또한 피봇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카세트 홀더(5)가 적절한 작업위치내로 기울어지는 이점이 있다. 카세트 캐리어(5)는 예를 들어 신장된 지지체의 형태로 된 고정부재(11)와 함께 부가적으로 구성됨으로써, 자유 스페이스(12)가 밀봉 몸체(2)와 카세트(6)를 위한 블록 사이에 생성된다. 자유 스페이스(12) 내에서는, 케이블 외피로부터 자유로운 다심 광섬유장치가 "기능 번들"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공된 공급 챔버(13, 14, 15)로 루팅될(routed) 수 있다. 카세트(6)의 블록은 공급 챔버들 사이에 배치되고, 이런 방식으로 다심 광섬유장치의 삽입을 위한 모든 공급 챔버로부터 양호하게 접근할 수 있다. 카세트들은 카세트(6) 상에 있는 모든 기능부들이 접근할 수 있는 위치로 그 위치를 가져갈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세트(6)를 위한 플러그-인(plug-in) 장착이 선택됨으로써, 카세트는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카세트 홀더 내부에 카세트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것도 또한 원리상으로 가능하다.
광케이블(16)은 케이블 입구(3, 4)를 통해 안내되어 고정되고, 고정 시스템의 표시는 명확성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되어 있다. "기능 번들"의 조립은 자유 스페이스(12) 내부에서 수행되고, 이것들은 초과 길이를 갖는 공급 챔버 내부에 놓여지며, 특히 공급 챔버(14) 내부로의 카세트 블록의 상부측에 대한 다심 광섬유장치(17), 공급 챔버(15) 내부로의 카세트 블록의 하부측에 대한 다심 광섬유장치(18) 및 연속적인 다심 광섬유와 공급 챔버(13) 내부로의 여유장치(19)의 초과 길이를 갖는 공급 챔버 내부에 놓여진다.
도 2는 위로부터, 즉 밀봉 몸체(2)에 고정되는 카세트 캐리어(5)의 후방에서 관찰되는 후드 슬리브(1) 내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다심 광섬유 안내는 특히 명확히 도시되었는데; 이것은 다심 광섬유장치의 교차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우측 공급 챔버(14)의 다심 광섬유장치는 카세트 블록의 우측의카세트(6)로 안내되고 좌측 공급 챔버로부터의 다심 광섬유장치(18)는 카세트 블록의 좌측의 카세트로 안내되며, 연속 다심 광섬유장치 및 여유장치(19)의 초과길이는 상부 공급 챔버(13) 내에 잔존하거나 또는 초과길이의 데포지션(deposition) 이후에 케이블 입구로 다시 안내된다. 공급 챔버(13, 14, 15)는 벽에서 위로 구부러지는 업스탠드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각형으로 구부러지고, 압형으로 찍히거나 주입 몰딩부로 형성되어, 다심 광섬유장치가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게다가, 케이블 입구(3, 4)가 통과하는 압력판(9) 상에서 관찰된다.
도 3은 후드 몸체가 제거된 상태에서 측면으로부터 관찰한 후드 슬리브(1)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케이블 입구(3, 4)가, 예를 들어 인도된 상태에서 폐쇄되고 필요시에는 절두 개방되는 스터브로서, 외부 상에서 구성됨으로써, 필요하지 않은 케이블 입구는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들 스터브들은 삽입된 케이블에 대해 비틀림 돌출부로서 동시에 사용되고, 게다가 케이블 입구 밀봉제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진동을 유지한다. 이런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의 밀봉 몸체(2)는, 대응하는 밀봉제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편심 레버와 같은 밀봉작용을 위한 기능부재가 관통하여 안내되는 중앙 개구부(21)를 포함하고 있다. 이 기능부재가 작동하게 될 때, 덮개판(7)과 압력판(9) 사이에 형성되는 가변 밀봉그루브(20)는 밀봉 작용을 위한 기능부재에 의해 덮개판(7) 측으로 당겨지는 압력판(9)에 의해 좁아지게 된다. 동시에,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밀봉링(미도시)은 후드 몸체의 내벽에 대해 밀봉되는 식으로 변형되고 가압된다.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자유 스페이스(12)는 밀봉 몸체(2)와 카세트 홀더(5) 사이에 배치되고 번들의 분포, 번들의 어셈블링, 및 케이블 입구에 인접한 케이블 고정 수단의 어셈블링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능 그룹의 번들을 안내하는 수단의 결과로서 설명된다. 게다가, 공급 챔버(15) 내의 광섬유 번들의 초과길이의 코스가 관찰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카세트(6)의 후방에서 안내된다.
종결판(7), 밀봉링(8) 및 압력판(9)으로 이루어지는 밀봉 몸체(2)의 구조는 도 4로부터 나타날 수 있고, 모든 개별 부분은 미조립된 상태에서 도시된다. 종결판(7)은 가장자리 부분에서 후드 몸체에 속하는 기계적 지지장치를 위한 기능부재(10)를 구비하고, 베이어네트 폐쇄부는 여기서 채택되는 과잉회전을 억제하는 안전장치로서의 멈춤부를 갖는다. 그러나, 이 점에서는 공지된 다른 폐쇄 메커니즘이 또한 설치될 수 있다. 종결판(7)의 내부 림(35)은 고리형 외형(37)과 함께 측벽 및 가변 밀봉 그루브를 위한 그루브 베이스로서 사용되고, 상기 밀봉 그루브의 제 측벽은 압력판(9)의 내부 림(36)에 의해 형성된다. 밀봉제로서 이들 사이에는 10 % 쇼어(Shore) 이상의 경도를 갖는 부드러운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밀봉링(8)이 놓이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 구멍(34) 내부에 삽입되고 도시되지 않은 구멍을 통해 종결판(7)을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편심레버가 밀봉작용을 위한 기능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기능부재가 작동하게 되면, 압력판(9)은 종결판(7)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가변 밀봉그루브는 더 좁아지게 되며, 밀봉링(8)이 변형됨으로써 후드 몸체의 내벽에 대해 밀봉되는 식으로 가압된다.
스터브로서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 입구(3, 4)는 종결판(7)에 설치된다.후드 슬리브에서 끝나거나 스프라이싱되는 케이블은 보통의 케이블 입구(3) 내에 삽입된다. 연속되고 절두되지 않은 케이블 또는 그 밖의 개개의 연속 와이어들 혹은 케이블의 번들은, 두 개의 원통형 구멍이 개구 연결 웨브(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이중 케이블 입구(4)를 통해 삽입된다. 이런 식으로, 케이블은 두 개의 원통형 구멍 및 개구 연결 웨브(23)를 통해 절두되지 않고 삽입된다. 케이블 입구(3, 4)의 밀봉은, 원통형 또는 원뿔형 형상으로 된 탄성 중합체 밀봉링 및 특정 상황에서는 분할되는 압력피스(24, 24a)로부터 형성되는 압착 밀봉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안전성을 위하여, 슬리브 부재로서 구성되는 압력피스의 과잉회전을 방지하도록 멈춤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들 케이블 입구(3, 4)에서는 케이블 외피 및 광섬유의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 공정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런 구성에서는, 원통형 슬리브 부재(24, 24a)는 폐쇄 또는 분할되는 형태의 밀봉제를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케이블 입구(3, 4)의 돌출 트레드 안으로 스크루 체결됨으로써 케이블 입구 밀봉제를 누르게 된다. 이들 원통형 슬리브 부재(24, 24a)는 압력피스(25)가 안으로 돌출되는 방사 개구를 포함하고 있다. 원주 그루브(29) 내부로 고정되는 고정 밴드를 사용하여, 압력피스(25)는 삽입된 케이블 외피의 표면 내부로 가압됨으로써, 미끄러짐에 대해 안정하게 파지된다. 적어도 두 개의 연장 부착부(26)는 광케이블의 각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시스템으로서 원통형 슬리브부재(24, 24a)의 내향 림에 부착되고, 단부에서 함께 안내되고, 그 단부(27)는 플러그 온 될 수 있는 슬리브(28)와 함께 케이블 외부로 돌출되는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수단을 형성한다. 플러깅가능한 슬리브(28)는 부가적으로 전기 전도 접촉부재로서 구성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는, 밀봉제를 압착하고, 케이블 외피를 고정하며 중앙부재를 고정하는 기능은 슬리브 부재로서 구성되는 압력피스(24, 24a)에 결합된다.
더욱이, 접지 전위 통과리드(20)를 위한 개구부(31)는 종결판(7)에 제공된다. 개구부(32, 33)가 이러한 모든 삽입을 위하여 압력판(9)의 적절한 지점에 제공되고, 상기 개구부(32, 33)를 관통하여 삽입된 부재들의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인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압력판(9)이 고리형 밀봉제를 신장시키기 위해서 장애없이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블 입구(4) 및 연결 웨브 내의 이중 밀봉제가 압력피스(2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압력피스(22)로 이중 밀봉제는 하향 가압된다. 이것은 두 개의 슬리브부재(24, 24a)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도 5에서는, 밀봉 몸체(2)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고, 밀봉 시스템의 구성은 종결판(7)과 압력판(9)의 두 개의 림(35, 36) 및 그들 사이에 놓여 있는 밀봉링(8)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케이블 외피 및 케이블 입구(3, 4)의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 시스템의 삽입이 프레스 인(press-in) 압력피스(25)와 함께 분명하게 도시된다. 잔존하는 케이블 입구에서는, 슬리브부재(24, 24a)의 회전 안전을 위한 그루브(78)가 관찰될 수 있다.
도 6은 편심레버(38)로서 구성되고 밀봉작용을 위한 기능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압력판의 작동은 핀(39)에 의해 수행되고, 핀은 종결판을 통해 후드 슬리브 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압력판(7)의 구멍(34)(미도시)에 맞물린다.이 핀(39)은 종결판(7)의 탄성 밀봉제를 통해 외부로 인도되고 편심인 조인트가 존재한다. 레버(40)를 움직임으로써, 핀(39)은 외부측으로 당겨지고, 종결판(7)에 대해 압력판(9)을 누르게 된다. 레버(40)는 이동된 이후 종국적으로 후드 몸체 상에 고정되고 리드 밀봉제가 설치되게 할 수 있다. 핀(39)을 위한 통과리드 밀봉제는, 기능부재가 작동할 때, 작동하는 실리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스크루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가 기능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 기능부재는 어떤 상황하에서 가요성 연장장치에 의해 작용할 수 있다. 슬리브가 개방되어 있는지 폐쇄되어 있는 지를 지시하는 마킹(markings)이 적절하게 구비된다.
도 7은 밀봉 몸체와 대응하고 기계적 지지를 위한, 여기서는 베이오네트 폐쇄를 위한 부착부(43)의 형태로 된 기능부재의 도움으로 밀봉 몸체에 연결되는 후드 몸체(42)를 도시하고 있다. 후드 몸체(4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형의 강화용 리브(44)를 구비하고 있고, 이 리브는 보어 구멍 또는 구멍(45), 부착부들, 또는 요구되는 대로 구성된 유사한 것의 형태로 지지능력과 대응하게 된다. 밸브 개구부(46)는 후드 몸체(4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고, 거기에 밸브(48) 및 폐쇄 덮개(49)를 갖는 밀봉 삽입부(47)가 삽입될 수 있다. 밸브 개구부의 림에 컷아웃(50)이 배치된다.
도 8은 케이블 외피 및 광섬유의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원통형 슬리브 부(24)는 트레드(51)를 사용하여 케이블 입구의 트레드 내로 스크루 체결되고, 밀봉 몸체의 종결판 상에 고정됨으로써, 케이블 입구 밀봉제를 압착하게 된다. 원주 그루브(29)는 슬리브 부(24)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그루브(29)에서 압력피스(25)가 방사 개구부를 통해 안쪽으로 돌출된다. 케이블을 삽입한 다음, 내향 표면 상에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부가적으로 갖는 압력피스(25)는 그루브(29) 내로 당겨지는 고정밴드의 도움으로 케이블 외피 상에서 가압된다. 그래서, 케이블 외피가 고정된다. 반면에, 광섬유의 중앙부재는 밴드 같은 연장물(26)의 도움으로 별개로 고정된다. 중앙부재가 날카로운 가장자리 스프링 부재(52)의 도움으로 고정되는 종결 슬리브(28)는 이들 연장물(26)의 단부(27) 상에 놓여진다. 종결 슬리브(28)는 연장물(26)의 단부(27) 상에 고정되기 위해, 래칭부재(27)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종결 슬리브(28)는 전기연결부재(54)를 구비하고 있다.
도 9는 종결 슬리브(28)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바브(barb)와 같이 작동하고 중앙부재를 파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52) 및 고정부재(53)가 존재한다. 상단은 플러그 접점(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부재를 아래로부터 종결 슬리브(28) 안으로 밀어 중앙 부재가 종결 슬리브(28)에서 파지되어 접촉된다.
도 10은 케이블 고정수단의 다른 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연장된 연장 웨브(64)의 벤트 오버 파트링(bent-over part-ring)(59)이 안으로 결합되는 오목부(63)를 가지고 있다. 조립시 이 링은 케이블 입구 내부로 삽입되고, 트레드 링을 사용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두 개의 연장 웨브(64)는 고정밴드를 사용하여 삽입된 케이블 외피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형성된 구멍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연장 웨브(64)들은 원뿔형으로 함께 안내되고, 중앙부재를위한 고정 슬리브(6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또한 전기 연결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링(60)은 분할될 수 있어서, 절두되지 않은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동안 채용될 수 있다.
도 11에는 슬릿 케이블 외피 플랩이 고정되는 케이블 외피를 위한 고정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고정시스템은 케이블 입구 내의 자유단부로 또는 부착된 플랜지(66)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슬리브(65)를 포함하고 있다. 타단부는 축방향의 슬롯(67)을 가지고 있고, 슬릿 케이블 외피 부는 길이방향으로 이 슬롯으로 삽입되어 가로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크루(69)의 도움으로 고정된다. 다심 광섬유장치는 중앙 개구부(68)를 통해 안내된다.
도 12는 접촉 케이블 외피 부에 의해 고정형으로 파지되지만 종결피스를 사용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블 외피 플랩은 슬리브(65) 내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67)으로 삽입되고 케이블 실드(cable shield)와 접촉하기 위한 부가적인 금속 삽입물(70)이 이들 슬롯(67) 내에 삽입된다. 케이블 외피부의 고정은 고정피스(72)의 도움으로 수행되고, 고정피스는 구비된 슬롯(71) 내의 부착부(73)와 함께 측면에 결합한다. 이 고정피스(72)는 도 13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고, 아웃라인에 따라 결합된다.
도 14는 압력판(9)의 고정 플랜지(77)에 고정되고 회전가능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캐리어(5)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카세트 홀더(5)에서는, 복수의 구획(74)들이 다른 것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가로로배치되는 판부재(76)의 도움으로 형성된다. 각 광섬유 카세트(6)는 이들 구획(74)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배치에서는, 각 카세트가 다른 카세트와 관련없이 서비스 작업을 위해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두 개의 공급 챔버(13, 15)는 보여질 수 있는데, 림(75)이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삽입된 광섬유 번들을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표면부재로부터 형성된다. 물론, 다른 배치물이 예를 들어 각 카세트의 접근성이 적당하게 기울어진 구조체에 의해 보장되게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카세트를 위한 록(lock)(79)이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카세트 블록의 반 이상에 도달하는 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플러그 인 방식이나 피봇 방식으로 카세트 위에 배치되고, 심각한 흔들림이나 요동이 심한 적재의 경우에 카세트 캐리어 내부의 카세트를 보호하게 된다.
도 15는 밀봉장치의 작동을 위한 기능부재의 밀봉제를 도시하고 있다. 단순함을 꾀하기 위해, 이 밀봉 배치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후드 슬리브가 종결판(7)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원통형 블라인드 구멍(80),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탄성물질로 만들어진 거울 대칭 이중 원뿔 호스형 밀봉부(81) 및 도 6에 도시된 기능부재의 통과리드 핀(39)을 위한 개구(83)가 있는 커버(82)를 포함하고 있다. 밀봉제의 작용은 기능부재가 작동하는 동안 수행된다. 이것은 이 과정동안 커버(82)가 블라인드 구멍 내부로 당겨지고, 밀봉제(81)가 통과하는 핀(39) 주위를 밀봉하는 방식으로 압착되기 때문이다. 밀봉 부(81)의 이중 원뿔 형상에 의해, 밀봉 시스템 내의 팽창 요동이 보상된다.
도 16은 예를 들어 네 개의 오목부가 배치되는 후드 몸체(42)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세 개는, 후드 몸체(42)를 밀봉 몸체 상에 더 양호하게 배치하고 그것을 베이어네트 폐쇄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핑거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네 번째 오목부(84)는 캡으로 덮여질 수 있는 밸브에 제공된다.
도 17은 후드 몸체(42)(도 17)의 밸브가 구비된 오목부(84)를 커버하기 위한 캡(85)을 도시하고 있다. 이 캡(85)은 밸브 상에 있는 슬리브 부(86)에 플러깅되고, 몰딩된 막스트립(87)의 도움으로 캡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케이블 입구의 밀봉제는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밀봉 영역 내에서 원뿔형으로 구성되는 벽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향돌출되는 스터브로의 계단이 만들어진다. 이 계단은 플라스틱 밀봉 물질의 압착을 위한 카운터베어링(counterbearing)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밀봉 물질과 계단 사이에는, 삽입된 케이블의 케이블 직경에 정합되는 압착링이 삽입될 수 있다. 이중 삽입의 경우에는, 적절하게 형성된 압력판이 사용된다.

Claims (38)

  1. 후드 몸체 및 밀봉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몸체는 상기 후드 몸체와 상기 밀봉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 입구 및 고리모양의 밀봉 장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후드 몸체를 상기 밀봉 몸체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장치(retaining device)를 구비하는 후드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밀봉 몸체(2)는 상하로 배치되는 압력판(9) 및 종결판(7)을 포함하고,
    상기 종결판(7)은 상기 후드 몸체(42) 및 상기 밀봉 몸체(2) 사이의 지지장치를 위한 기능부재(10)를 가지며,
    상기 밀봉장치는 외주 주변에서 그 폭이 변하는 밀봉 그루브 및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밀봉링(8)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그루브는 상기 압력판(9) 및 상기 종결판(7)의 외주상 상호맞물리는 외형(35, 36, 37)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력판(9) 및 상기 종결판(7)은 상기 밀봉 그루브가 점점 더 작아지고 상기 밀봉링(8)이 상기 후드 몸체(42)의 내벽에 대한 변형에 의한 밀봉 방식으로 가압될 수 있는 방법으로 밀봉 작용시 기능부재(38)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드 몸체(42)는 상기 종결판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장치를 위한 개구부 측 기능부재(43)를 가지고,
    상기 케이블 입구(3, 4)는 케이블 외피(cable sheath) 및 광섬유 케이블의중앙부재를 위한 압축 밀봉 및 고정 시스템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광섬유 카세트(6)를 위한 카세트 캐리어(5)는 후드 슬리브(1)의 내부로 돌출하여 배치되고 상기 밀봉 몸체(2) 상의 고정부재(11)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봉 몸체(2)와 상기 카세트 캐리어(5) 사이에 다심 광섬유장치(19)의 분리를 위한 자유공간(12)이 제공되고,
    복수의 공급 챔버(13, 14, 15)가 상기 다심 광섬유장치의 초과 길이(17, 18, 19)를 수용하기 위하여 카세트 캐리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몸체(42)는 강성 리브를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몸체(42)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몸체(42) 및 밀봉 몸체(2) 사이의 기계적 지지장치를 위한 기능부재(10, 43)는 베이어네트 폐쇄체로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몸체(42)는 밸브 개구부(4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구부(46)는 멈춤부(49)에 의해 덮여질 수 있는 단지(pot) 형상의 오목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 형상의 오목부는 측면 컷아웃(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몸체는 부착부 및/또는 상기 리브에 천공(4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몸체(2)의 상기 압력판(9)의 밀봉 작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재(38)는 상기 밀봉 몸체(2)의 상기 종결판(7)을 통해 구속되고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재는 상기 압력판(9)이 상기 종결판(7)에 대해 당겨지는 중앙 스크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재는 상기 종결판(7)에 대해 상기 압력판(9)을당기는 편심레버(38)이고 축심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레버(38)는 상기 후드 슬리브 상에 잠기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3. 제 9항에 있어서, 가요핀이 밀봉 작용을 위해 상기 기능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8)은 10% 이상의 쇼어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9)은 기계적으로 안정되고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9)은 접지 전위를 위한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몸체(2)는 접지 전위 통과리드(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입구(3, 4)는 외측을 향하는 스터브를 구비하여 배치되고 인도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1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입구(3, 4)는 각각 원뿔형 밀봉제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경우에 원뿔형으로 구성된 구멍, 외측부 상에서 원뿔형으로 정합되는 탄성 밀봉링 및 사다리꼴 트레드를 갖는 스크루 고정부(24, 2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케이블 입구(4)는 연결 웨브 및 압력피스(22)를 갖는 이중 밀봉링이 삽입되는 삽입슬롯(23)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고정부는 멈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입구는 스크루 고정부를 사용하여 압축될 수 있는 원뿔형 밀봉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외피를 위한 고정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 입구의 내측부 상에 배치되는 프로파일된 압력피스(25)를 포함하고, 그루브(29) 내에 고정되는 압축밴드에 의해 상기 케이블 외피의 외주에서 내부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외피를 위한 고정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 입구(3, 4)의 내측부 상에 배치되는 슬롯 형성된 케이블 외피부를 위한 고정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외피 및 상기 케이블 입구(3, 4)에 존재하는 상기 광섬유의 상기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경우에 원통형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슬리브부(58)가 상기 원뿔 밀봉제 및 상기 스크루 고정물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부(58)는 압착밴드에 의해 상기 케이블 외피 상에서 가압될 수 있고,
    상기 슬리브부(58)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상기 중앙부재가 고정 슬리브(61)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웨브(6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58)는 연장 웨브(64)가 부착되고 상기 케이블 외피의 고정부 및 상기 중앙부재가 만들어지는 분할된 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상기 중앙부재를 위한 고정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연장된 부착부(26) 및 일단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슬리브(28)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26)는 상기 각 케이블 입구(3, 4)의 상기 케이블 외피를 위한 고정 시스템의 상기 슬리브(24, 24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38)는 부착부(26) 상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재(28)를 위한 고정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고, 접점이 만들어지는 연결부(54, 6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캐리어(5)는 상기 밀봉 몸체(2) 상에 피봇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캐리어(5)는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캐리어(5)는 분할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할된 카세트 캐리어는 피봇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캐리어(5)는 각각의 경우에 측면에서 접합된 다심 광섬유장치(17, 18)의 초과길이를 위한 공급 챔버(14, 15)를 가지고, 여분의 번들(19)의 연속적인 다심 광섬유장치의 초과길이를 위해 중앙에 배치되는 공급챔버(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카세트(6)는 이동가능하게 위치하여, 상기 카세트의 상기 부품으로의 접근이 확실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카세트(6)는 위치변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카세트(6)는 상기 카세트 캐리어(5) 내부에 배치되어, 피봇점을 중심으로 피봇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스페이스(12) 내부에 자유롭게 놓여지는 상기 다심 광섬유장치는 측면의 상기 공급장치(14, 15)들 중 하나의 입구 포인트에 속하는 상기 다심 광섬유장치에서 관련된 다심 광섬유장치로 결합되거나, 또는 각각 상기 중앙 공급챔버(13)는 초과 길이(17, 18, 19)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적절한 카세트(6)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심 광섬유장치는 케이블 타이, 클램프 또는 헬리컬 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슬리브.
KR1019970707274A 1995-04-12 1996-04-01 후드슬리브 KR100418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3957.7 1995-04-12
DE19513957 1995-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874A KR19980703874A (ko) 1998-12-05
KR100418847B1 true KR100418847B1 (ko) 2004-04-21

Family

ID=775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274A KR100418847B1 (ko) 1995-04-12 1996-04-01 후드슬리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052504A (ko)
EP (1) EP0827596B1 (ko)
JP (1) JPH11503534A (ko)
KR (1) KR100418847B1 (ko)
CN (1) CN1109909C (ko)
AR (1) AR001615A1 (ko)
AT (1) ATE198379T1 (ko)
AU (1) AU692084B2 (ko)
BR (1) BR9604901A (ko)
DE (1) DE59606255D1 (ko)
ES (1) ES2156272T3 (ko)
RU (1) RU2165096C2 (ko)
WO (1) WO1996032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5846A1 (de) * 1996-11-07 1998-05-14 Psi Products Gmbh Bausatz zur Erzeugung einer Muffe für Verteilernetze der Telekommunikation od.dgl.
TW364953B (en) * 1997-04-15 1999-07-21 Rxs Schrumpftech Garnituren Cable closure having a holding device for cassettes for depositing and splicing optical fibres
US6201921B1 (en) 1998-02-20 2001-03-13 Alcoa Fujikura Limited Fiber optic splice enclosure
US6014490A (en) * 1998-06-05 2000-01-11 Siecor Operation, Llc Optical fiber interconnection closure having a fiber management frame
MXPA00007097A (es) * 1998-11-18 2002-07-22 Rxs Ges F R Verm Gensverwaltun Funda de cable que consiste en un cuerpo de recubrimiento y al menos un cuerpo de sellado frontal.
US6496640B1 (en) * 1999-12-16 2002-12-17 Corning Cable Systems Llc Splice closure with removable and pivotable splice trays, and associated methods
US6778752B2 (en) * 2002-05-31 2004-08-17 Corning Cable Systems Llc Below grade closure for local convergence point
DE202006008654U1 (de) 2006-05-30 2006-08-03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Kabelmuffe zur strukturierten Ablage bzw. Handhabung von in Lichtwellenleiterkabeln geführten Lichtwellenleitern
DE202006008655U1 (de) * 2006-05-30 2006-08-03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Kabelmuffe zur strukturierten Ablage bzw. Handhabung von in Lichtwellenleiterkabeln geführten Lichtwellenleitern
ITMI20081082A1 (it) 2008-06-16 2009-12-17 Optotec Spa Dispositivo per sigillare cavi attraverso contenitori per fibre ottiche e contenitor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DE102008032753B4 (de) * 2008-07-11 2010-05-27 Adc Gmbh Adapter für Muffen mit Elastomer-Kabelabdichtungen und Verfahren zur Einführung eines Lichtwellenleiterkabels in eine Muffe
DE202009019110U1 (de) 2009-12-03 2016-07-22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Geldichtungsvorrichtung
CN102147514B (zh) * 2010-10-21 2013-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海底光缆设备的绝缘抗压筒体、海底光缆设备及制造方法
ES2451509B2 (es) * 2012-02-27 2015-02-11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Selector para bandejas de empalme
NZ700672A (en) 2012-04-03 2017-02-24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and organizer
EP2867964B1 (en) * 2012-07-02 2018-06-06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Seal actuator with actuation level indicator
HUE034399T2 (en) 2012-07-02 2018-02-28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sealing unit with multiple sealing module units
EP2867963A2 (en) 2012-07-02 2015-05-06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Cable port size reducer
KR20150043294A (ko) * 2012-07-02 2015-04-22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비브이비에이 재진입가능한 함체
AU2015200237B2 (en) * 2014-02-03 2019-01-17 Prysmian S.P.A. Cable gland
US11846818B2 (en) * 2019-05-07 2023-12-19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High density optical fiber joint enclosure
US11635577B2 (en) * 2020-01-08 2023-04-25 Clearfield, Inc. Gasket for a sealed optical fiber terminal
CN113703109B (zh) * 2021-08-06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头盒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830660L (en) * 1983-03-25 1984-09-25 Wavin Bv Sleeve for cable joint
US4927227A (en) * 1988-10-31 1990-05-22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able closure
DE4035557A1 (de) * 1990-11-08 1992-05-14 Rxs Schrumpftech Garnituren Haubenmuffe
US5308923A (en) * 1992-06-16 1994-05-03 Raychem Corporation Enclosure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 cables
DE4334022C1 (de) * 1993-10-06 1995-03-02 Rose Walter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Spleißkassetten für Lichtwellenleiter, insbesondere in Kabelmuffen
US5479554A (en) * 1994-01-11 1995-12-26 Windsor Communications Splice closure apparatus for continuous optical ground wire communications cable and splicing system
US5774618A (en) * 1996-12-19 1998-06-30 Lucent Technologies Inc. Compact closure for optical fiber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874A (ko) 1998-12-05
WO1996032660A1 (de) 1996-10-17
CN1181817A (zh) 1998-05-13
AU692084B2 (en) 1998-05-28
CN1109909C (zh) 2003-05-28
ATE198379T1 (de) 2001-01-15
BR9604901A (pt) 1998-07-14
JPH11503534A (ja) 1999-03-26
RU2165096C2 (ru) 2001-04-10
EP0827596A1 (de) 1998-03-11
DE59606255D1 (de) 2001-02-01
EP0827596B1 (de) 2000-12-27
AR001615A1 (es) 1997-11-26
US6052504A (en) 2000-04-18
ES2156272T3 (es) 2001-06-16
AU5100096A (en) 199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847B1 (ko) 후드슬리브
KR100233344B1 (ko) 케이블 접속부 밀봉 장치
EP0589618B1 (en) Cable closure which includes a cable sheath gripping assembly
US5689607A (en) Device for holding at least one optical fiber cable, and a splice box making use of the device
EP0646295B1 (en) Cable sealing device
US20070026735A1 (en) Button style cord connector
AU757414B2 (en) Cable closure
US4753499A (en) Joining of optical fibre cables
KR970003180B1 (ko) 케이블 외장의 단부캡 장치
CA2511444C (en) An insulating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s
KR19980703282A (ko) 돔형의 광섬유용 폐쇄체
WO1997042693A1 (en) Seal for sealing an aperture
JPH1048436A (ja) 光ファイバ配線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光ファイバトレイ
JP277616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保護構造とそ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装着装置
RU21360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ащивания кабелей
KR200380998Y1 (ko) 광케이블 접속단자용 트레이의 광섬유 접속부의 고정구조
EP0546657A2 (en) Repairable electric cable connector with backshell
JPH04502971A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用スプライスケース
JP3645039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GB2245776A (en) Lamp holders
MXPA97007814A (en) Connection box for cap
KR20050084235A (ko) 케이블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조합하기 위한 방법
US6085710A (en) Heat shielding structur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6368145B1 (en) Plug
KR100220279B1 (ko) 코드 그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