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535B1 -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535B1
KR100418535B1 KR10-2001-0009504A KR20010009504A KR100418535B1 KR 100418535 B1 KR100418535 B1 KR 100418535B1 KR 20010009504 A KR20010009504 A KR 20010009504A KR 100418535 B1 KR100418535 B1 KR 100418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circuit
data
transmission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377A (ko
Inventor
오오이시요시히사
니쯔따히로유끼
와따나베아끼히로
고지히로부미
쯔네까와사또루
Original Assignee
히다치디바이스 엔지니어링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디바이스 엔지니어링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히다치디바이스 엔지니어링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09G5/008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부를 갖는 액정 패널과,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계조 전압을 상기 화소부에 인가하는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계조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화소부를 선택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와, 전송 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액정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상기 표시 데이터 및 상기 전송 클럭의 듀티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 출력된 상기 표시 데이터 및 상기 전송 클럭의 듀티와의 편차가 작아지도록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상기 전송 클럭을 재생함과 함께 래치 클럭을 생성하는 재생 회로와, 상기 래치 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상기 표시 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ISPLAY DATA}
본 발명은,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개평 11-194748호 공보에는,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를 전송 선로에 의해 직렬로 접속하여, 표시 데이터 및 데이터 전송용 클럭을 전송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각 데이터 드라이버는 입력측 및 출력측의 전송 선로의 사이에 버퍼 회로를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펄스를 전송하는 경우에 생기는 전송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의 변화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버퍼회로가 전송 펄스의 하강에 비해 상승 응답 특성이 둔한 회로인 경우에는, 버퍼 회로를 통과할 때마다 전송 신호의 상승이 지연되어 펄스 폭의 감소에 의해 전송 품질이 저하된다.
반면, 데이터 드라이버의 출력측의 버퍼 회로를 통과할 때마다, 전송 신호(표시 데이터 및 데이터 전송 클럭)의 논리 레벨을 반전시켰다 하여도, 한번 발생한 듀티 차이를 해소할 정도는 아니다. 예를 들면, 1개째의 데이터 드라이버에서의 듀티가 50%로 되고, 3개째의 데이터 드라이버에서의 듀티가 45%로 되었을 때, 5개째의 데이터 드라이버에서는 40% 정도로 된다고 예측할 수 있어, 적어도 듀티 50%로 다시 되돌아 가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표시 데이터를 전송 클럭의 상승/하강에서 데이터 드라이버에 취득하는 이중 엣지 전송에 있어서는, 전송 클럭의 엣지에 대한 셋업/홀드 시간의 마진이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에서는 상이하게 된다. 즉, 이중 엣지 구동에서는, 전송 클럭과 표시 데이터의 최대 주파수는 모두 같기 때문에, 입출력 버퍼나 전송 선로의 선폭을 전송 클럭과 표시 데이터에서 같게 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서의 출력 버퍼로부터 입력 버퍼까지의 상승시의 지연 시간 및 하강시의 지연 시간의 전송 클럭과 표시 데이터의 차를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지연 시간은 상승과 상승 하강에서는 다르기 때문에, 전송 클럭의 상승 엣지에서는 셋업 시간의 마진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홀드 시간의 마진은 적게 되고, 반대로 전송 클럭의 하강 엣지에서는 홀드 시간의 마진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셋업 시간의 마진은 적게 된다는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셋업/홀드 시간의 마진은 하강 엣지 및 상승 엣지 모두에 대해서 요구되기 때문에, 결국 셋업/홀드 시간 모두 마진이 적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 클럭 및 표시 데이터의 변화를 억제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데이터의 셋업/홀드 마진을 증가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럭 재생 회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위상 비교 회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위상 비교 회로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엣지 판별 회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VCO의 구성도.
도 8은 본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바이어스 전압과 VCO 발진 주파수의 관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럭 재생 회로의 타이밍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버의 타이밍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럭 재생 회로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지연 회로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연 회로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엣지 비교 회로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일 지연 회로의 타이밍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듀티 재생 회로의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듀티 재생 회로의 타이밍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액정 표시 패널
501: 액정 표시 장치
502: 액정 컨트롤러
503-1∼503-8: 데이터 드라이버
504-1∼504-3: 게이트 드라이버
본 발명은,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표시 데이터 및 전송 클럭의 듀티와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 및 전송 클럭의 듀티와의 편차가 작아지도록,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전송 클럭을 재생함과 함께 래치 클럭을 생성하고, 래치 클럭에 기초하여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표시 데이터를 래치한다.
또는, 본 발명은,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표시 데이터의 셋업/홀드 시간의 마진이 증가하도록, 전송 클럭에 기초하여 래치 클럭을 생성하고, 래치 클럭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를 래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클럭이 전송 클럭의 상승에 대하여 t 기간 빠르게 상승하고, 또한 전송 클럭의 하강에 대하여 t 기간 느리게 하강하도록 생성된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참조 부호 101은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를 출력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384개의 액정 출력선을 갖는 것으로 한다. 참조 부호 102는 입력 전송 클럭이고, 참조 부호 103은 입력 표시 데이터이며, 참조 부호 104는 입력 인에이블 신호이다. 데이터 드라이버(101)는 입력 인에이블 신호(104)에 기초하여, 입력 전송 클럭(102)의 상승 엣지와 하강 엣지에서 표시 데이터(103)를 취득하는 기능을 한다. 참조 부호 105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계조 전압을 포함하는 입력 액정 인가 신호이고, 참조 부호 106은 액정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계조 전압을 결정하는 입력 액정 기준 전압이다. 참조 부호 107은 클럭 재생 회로이고, 참조 부호 108은 클럭 재생 회로에서 입력 전송 클럭(102)에 기초하여 재생된 재생 전송 클럭이며, 참조 부호 109는 래치 클럭이고, 재생 전송 클럭(108)의 2 체배 신호이다. 참조 부호 110은 인에이블 제어 회로이고, 참조 부호 111은 래치 어드레스 개시 신호이며, 참조 부호 112는 출력 개시 신호이고, 참조 부호 113은 출력 인에이블 신호이며, 참조 부호 111∼113은 입력 인에이블 신호(104) 및 입력 전송 클럭(102)에 기초하여 인에이블 제어 회로(110)에서 생성된다. 참조 부호 114는 입력 표시 데이터(103)를 래치 클럭(109)의 상승 엣지에서 래치하는 래치 회로이고, 참조 부호 115는 래치 회로(114)에 의해 래치된 표시 데이터이다. 참조 부호 116 및 118은 출력 버퍼이고, 출력 개시 신호(112)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참조 부호 117은 출력 전송 클럭이고, 참조 부호 119는 출력 표시 데이터이다. 참조 부호 120은 래치 어드레스 생성 회로이고, 참조 부호 121은 래치 어드레스이며, 래치 어드레스(121)는 래치 클럭(109) 및 래치 어드레스 개시 신호(111)에 기초하여 래치 어드레스 생성 회로(120)에서 생성된다. 참조 부호 122는 래치 회로(1)이고, 참조 부호 123은 래치 회로(1)(122)에 있어서 래치 어드레스(121)에 기초하여 취득된 표시 데이터이다. 참조 부호 124는 래치 회로(2)이고, 참조 부호 125는 래치 회로(2)(124)에 있어서 입력 액정 인가 신호(105)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이다. 참조 부호 126은 액정 구동 회로이고, 참조 부호 127은 표시 데이터(125)에 기초하여 입력 액정 기준 전압으로부터 생성된 액정 인가 전압이다. 참조 부호 128은 입력 액정 인가 신호(105)를 버퍼링한 출력 액정 인가 신호이고, 참조 부호 129는 입력 액정 기준 전압(106)을 전류 증폭한 출력 액정 기준 전압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 부호 500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화소부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이고, 참조 부호 501은 액정 표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 영역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1024 ×(RGB) ×68의 XGA라고 하는 규격으로 한다. 참조 부호 502는 액정 컨트롤러이고, 참조 부호 503-1∼503-8은 도 1에서 도시한 데이터 드라이버이며, 참조 부호 504-1∼504-3은 계조 전압을 인가하는 화소(주사 라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전압을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이고, 게이트 드라이버는 256개의 출력수를 가짐과 함께, 데이터 드라이버(503-1∼503-8), 게이트 드라이버(504-1∼504-3)는 액정 표시 패널(500)의 유리 기판상에 배치된 것으로 한다. 참조 부호 505-1∼505-8은 데이터 드라이버 신호 그룹이고, 전단의 액정 컨트롤러(502) 및 데이터 드라이버(503)와 다음 단의 데이터 드라이버와의 사이에서 접속되어 있다. 참조 부호 506-1∼506-3은 게이트 드라이버 신호 그룹이고, 데이터 드라이버 신호 그룹과 같이 전단의 액정 컨트롤러(502) 및 게이트 드라이버와 다음 단의 게이트 드라이버와의 사이에서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클럭 재생 회로(10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 부호 601은 입력 전송 클럭(102)의 입력 버퍼이고, 참조 부호 602는 입력 버퍼(601)로부터 출력된 입력 전송 클럭이다. 참조 부호 603 및 604는 반전 회로이고, 참조 부호 605 및 606은 입력 전송 클럭(602) 및 비교 신호((619))를 각각의 반전 회로(603 및 604)로 반전한 신호이다. 참조 부호 607 및 608은 입력 신호에 있어서의 엣지끼리의 위상차를 비교하여, 그 차를 출력하는 엣지 비교 회로이고, 참조 부호 609-up 및 610-up은 각각의 엣지 비교 회로(607 및 608)에서의 위상 진행 신호이며, 참조 부호 609-dwn 및 610-dwn은 각각의 엣지 비교 회로(607 및 608)에서의 위상 지연 신호이다. 참조 부호 611은 엣지 판별 회로로서, 엣지 비교 회로(607, 608)의 출력에 기초하여 엣지를 판별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여, 그 결과를 위상 진행 신호(612-up), 위상 지연 신호(612-dwn)로서 출력한다. 참조 부호 613은 차지 펌프 회로이고, 참조 부호 614는 바이어스 전압로서, 도면 중에서는 CMOS 회로로 구성되어, 위상 진행 신호(612-up)와 위상 지연 신호(612-dwn)의 논리 레벨에 따라서 바이어스 전압(614)이 변화한다. 참조 부호 615는 루프 필터로서, 바이어스 전압(614)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바이어스 전압(616)을 생성한다. 참조 부호 617은 입력 전위 레벨에 따라서 출력 주파수가 변화하는 VCO(전압 제어 발진기)이다. 참조 부호 618은 분주 회로로서, 래치 클럭(109)을 분주하여, 비교 신호(619)를 생성한다. 참조 부호 620은 비교 신호(619)의 반전 회로로서, 재생 전송 클럭(108)을 출력한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엣지 비교 회로(607, 608)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엣지 비교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고, 도 6은 엣지 판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NOR 회로(901-1∼901-3)와 반전 회로(902)를 구비한다.
도 7은 VCO(617)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참조 부호 1001은 바이어스 입력이 있는 반전 회로이고, 참조 부호 1002는 출력 버퍼이며, VCO(617)는 홀수개의 반전 회로(1001)를 접속함과 함께, 최종 단의 출력을 처음 단의 입력으로 함으로써 발진 주파수를 얻고 있다.
도 8은 바이어스 전압과 VCO(617)의 발진 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클럭 재생 회로(108)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며, 도 10은 데이터 드라이버(101)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이상의 도면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컨트롤러(502)에서 생성된 데이터 드라이버 신호 그룹(505-1)은, 1단째의 데이터 드라이버(503-1)에 전송된다. 여기서, 데이터 드라이버(503)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전송 클럭(102)은 상승/하강 엣지에서 입력 표시 데이터(103)를 취득할 수 있는 타이밍에서 전단의 회로로부터 전송되어 온다. 그러나, 종래 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전단 회로에서의 출력 버퍼나 자체 단 회로에서의 입력 버퍼, 전송선의 임피던스 등에 의해서 입력 전송 클럭(102)이나 입력 표시 데이터(103) 등은 듀티가 변하게 된다.
데이터 드라이버(503)에 있어서는, 처음에 도 1에 도시한 클럭 재생 회로(107)에 있어서 입력 전송 클럭(102)에 기초하여 래치 클럭(109)과 재생 전송 신호(108)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 대해서 도 3∼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클럭 재생 회로(107)에 입력한 입력 전송 클럭(10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버퍼(601)를 경유한 후, 비교 신호(619)와의 상승 엣지끼리를 비교하는 엣지 비교 회로(607)에 입력된다. 한편, 입력 전송 클럭(602)과 비교 신호(619)는 각각 반전 회로(603, 604)에 입력되어 반전된 후, 하강 엣지끼리를 비교하는 엣지 비교 회로(608)에 입력된다.
엣지 비교 회로(607, 60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의 타이밍차트는 예를 들면 엣지 비교 회로(607)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입력 신호의 상승 엣지를 비교하여, 이들의 상승 타이밍이 같으면, 출력인 609-up 및 609-dwn을 모두 로우 레벨로 하고, 입력 전송 클럭(602)이 비교 클럭(620)보다도 빠르게 상승하는 경우는, 입력 전송 클럭(602)이 하이 레벨이고 비교 클럭(620)이 로우 레벨인 기간에서 609-dwn을 하이 레벨로 한다. 반대로, 입력 전송 클럭(602)이 비교 클럭(620)보다도 느리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입력 전송 클럭(602)이 로우 레벨이고 비교 클럭(620)이 하이 레벨인 기간에서 609-up를 하이 레벨로 한다.
따라서, 클럭 재생 회로(107)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입력 전송 클럭(602)에 대하여, 비교 신호(619)가 같은 주기 및 듀티에서 비교 신호(619)의 위상이 약간 지연되고 있는 경우, 엣지 비교 회로(607)에서는 입력 전송 클럭(602)의 상승에서 비교 신호(619)가 상승까지의 기간에서 위상 지연 신호(609-dwn)가 하이 레벨로 되고, 또한 입력 전송 클럭(602)의 하강에서 비교 신호(619)의 하강까지의 기간에서 위상 지연 신호(610-dwn)가 하이 레벨로 되고, 그 밖의 기간에서는 위상 진행 신호(609-up, 610-up), 위상 지연 신호(609-dwn, 610-dwn) 모두 로우 레벨로 된다. 즉, 결과적으로 상기 위상 진행 신호와 위상 지연 신호는 입력 전송 클럭(602)과 비교 신호(619)의 상승과 하강에서의 위상차 정보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위상 진행 신호(609-up, 610-up) 및 위상 지연 신호(609-dwn, 610-dwn)는 엣지 판별 회로(611)에 있어서, 상승 및 하강에서 별개로 생성한 위상차 정보 각각에 대한 논리합을 취함으로써 상승과 하강의 위상 진행 정보, 위상 지연 정보를 각각 하나의 정보로 한다. 또한, 후단의 차지 펌프 회로(613)에 적합한 신호 레벨로 하기 위해서, 위상 진행 신호로 위상차가 발생한 경우는 로우 레벨로 되도록 논리 변환을 행한다. 또한, 위상차 신호는 위상 진행과 위상 지연이 동시에 발생해서는 안되지만, 단지 논리합 연산만을 실시한 것에서는, 예를 들면 위상 진행 신호(609-up)와 위상 지연 신호(610-dwn)가 모두 하이 레벨로 되는 기간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위상 지연 신호에 대해서는 NOR 회로(901-2)로 논리합 연산을 실시한 후, 반전 회로(902)에서 하이 액티브로 한 위상 진행 신호에 의해서 NOR 회로(901-3)를 이용하여 마스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생성된 위상 진행 신호(612-up) 및 위상 지연 신호(612-dwn)는 차지 펌프 회로(613)에 입력된다. 차지 펌프 회로(61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진행 신호(612-up)는 소스 측을 고전위 레벨로 한 PMOS의 게이트에 입력되고, 위상 지연 신호(612-dwn)는 소스 측을 저전위 레벨로 한 NMOS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PMOS와 NMOS의 드레인 측은 접속하고, 그의 노드로부터 바이어스 전압(614)을 얻고 있다. 따라서, 위상 진행 신호(612-up)가 로우 레벨로 되면 고전위측으로부터 전류가 유입되어 바이어스 전압(614)의 전위가 상승하고, 위상 지연 신호(612-dwn)가 로우 레벨로 되면 저전위측으로 전류를 흘림으로써 바이어스 전압(614)의 전위가 저하된다. 또한, 612-up이 하이 레벨, 612-dwn이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어느 소스 측도 전류를 흘리지 않기 때문에, 바이어스 전압(614)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서 생성된 바이어스 전압(614)은 루프 필터(615)에 의해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후, VCO 회로(617)에 입력된다.
다음에, VCO 회로(617)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VCO 회로(61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전압과 발진 주파수의 사이에 선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바이어스 전압(614)이 VL과 VH의 범위에서는, 바이어스 전압이 V1에서 V2로 변화한 경우의 주파수 변화와 V2에서 V1으로 변화한 경우의 주파수 변화는 같게 된다.
상기한 VCO 회로(617)에 의해서 발생한 신호가 재생 전송 클럭(109)으로서 클럭 재생 회로로부터 출력됨과 함께, 엣지 비교 회로(607)로 피드백되고, 반전 회로(604)를 통해 엣지 비교 회로(608)에도 피드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의 결과, 클럭 재생 회로(107)의 입력에서의 입력 전송 클럭(602)으로서, 듀티 t0/T0%(T0는 입력 신호의 1 주기분의 기간, t0는 하이 레벨 기간)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 신호(619)는 입력 전송 클럭(602)의 상승에 대하여 trm 기간 빠르게 상승하고, 입력 전송 클럭(602)의 하강에 대하여 tfm 기간 느리게 하강한다. 이 때, trm과 tfm은 VCO 회로(617)의 특성으로부터 같게 됨으로써, trm=tfm=(T0-t0)/2로 되어, 비교 신호(619)는 듀티50%에서 입력 전송 클럭(602)에 대하여 전후로 동일 폭만큼 지연 시간이 변화된 신호로 되고, 이것을 반전한 재생 전송 클럭(109)도 마찬가지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래치 클럭(108) 및 재생 전송 클럭(109)에 기초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01)는 동작한다. 따라서, 본 래치 클럭 및 재생 전송 클럭을 이용한 경우의 데이터 취득 방법에 관해서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단의 데이터 드라이버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송 클럭(117) 및 표시 데이터(119)의 듀티가 50%이었던 경우에서도, 입출력 버퍼나 전송선의 임피던스에 의해서 자체 단에 입력되는 입력 전송 클럭(102) 및 입력 표시 데이터(103)는 듀티가 변화한다. 그러나, 입출 버퍼의 구동 능력 및 전송선의 임피던스가 어떠한 전송로에서도 같은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클럭이 상승에서 tdr초만큼 지연되고, 하강에서 tdf초만큼 지연되는 경우, 표시 데이터에 있어서도 상승에서는 tdr초만큼 지연되고, 상하강에서 tdf초만큼 지연하게 되어, 즉 1 주기 T0에 대하여 듀티는 50%이었던 것이 50+(Tdf-Tdr)/T0)%로 변화한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 입력 표시 데이터(103)는 래치 회로(114)에서 재생 전송 클럭(109)에 의해서 래치되는데, 가령 입력 전송 클럭(102)으로 래치한 경우, 셋업/홀드 시간 마진은 Tdr>Tdf인 경우, 도 10의 클럭 하강 엣지에서 셋업 시간의 마진은 Trsu 그대로이지만, 홀드 시간의 마진은 Trho'= Trho-(Tdr-Tdf)로 된다. 이에 대해, 하강 엣지에 있어서 셋업 시간의 마진은 Tfsu'=Tfsu-(Tdr-Tdf)로 된다. 상승시 및 하강시에서는 셋업/홀드 시간의 마진을 동시에 만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회로로서의 셋업 시간의 마진은 Tsu'=Tfsu-(Tdr-Tdf), 홀드 시간의 마진은 Tho'= Trho-(Tdr-Tdf)로 된다.
이에 대해, 제1 실시 형태를 적용한 경우의 재생 전송 클럭에서는, 듀티가 50%로 되고, 또한 상승/하강에서 입력 전송 클럭과 비교하여, 상승에서는 (Tdr-Tdf)/2초만큼 빠르게 상승하고, 하강에서는 (Tdr-Tdf)/2초만큼 느리게 하강하기 때문에, 상승에서의 셋업/홀드 시간의 마진은 각각 Trsu''=Trsu-(Tdr-Tdf)/2, Thsu''=Tfsu'+(Tdr-Tdf)/2=Tfsu-(Tdr-Tdf)/2, 하강에서의 셋업/홀드 시간의 마진은 Tfsu''=Tfsu'+(Tdr-Tdf)/2=Tfsu-(Tdr-Tdf)/2, Tfho''=Tfsu-(Tdr-Tdf)/2로 되고, 셋업/홀드 시간의 마진은 클럭의 상승/하강에서의 차가 없어져, 셋업/홀드 시간 모두에서 (Tdr-Tdf)/2초의 마진이 발생하여, 그만큼 고속 전송이 가능해진다.
다음은 제2 실시 형태로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른 구성의 클럭 재생 회로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 도 1, 도 11∼도 17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럭 재생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참조 부호 1401은 제1 지연 회로로서, 입력 전송 클럭(102)의 하이 레벨 폭의 1/2만큼 위상을 지연하여, 지연 전송 클럭(1)(1402)을 생성한다. 참조 부호 1403은 듀티 재생 회로로서, 지연 전송 클럭(1)(1402)의 상승과 동기하여, 듀티를 50%로 한 재생 전송 클럭(1)(1404)을 생성한다. 참조 부호 1405는 제2 지연 회로로서, 제1 지연 회로(1)(1401)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재생 전송 클럭(1)(1404)의 하이 레벨 폭의 1/2만큼 위상을 지연하여, 재생 전송 클럭(108)을 생성한다. 참조 부호 1406은 배타적 논리합 회로로서, 재생 전송 클럭(1)과 재생 전송 클럭(108)의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하는 것으로, 래치 클럭(109)을 생성한다.
도 12는 제1 지연 회로(14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 부호 1501-1 및 1501-2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연 회로로서, 이들 모두는 지연 제어 신호(1502)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지연시킨다. 여기서는, 지연 회로(1501-1)는 입력 전송 클럭(102)을 지연시킴으로써 지연 전송 클럭(1)(1402)을 생성하고, 지연 회로(1501-2)는 지연 전송 클럭(1)(1402)을 지연시킴으로써 지연 전송 클럭(2)(1503)을 생성한다. 참조 부호 1504는 반전 회로이고, 참조 부호 1505는 반전 회로(1504)에 의해서 생성된 입력 전송 클럭(102)의 반전 신호이다. 참조 부호 1506은 엣지 비교 회로로서, 지연 전송 클럭(2)(1503)과 반전 신호(1505)의 상승 엣지의 위상차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위상 진행 신호(1507-up), 위상 지연 신호(1507-dwn)로서 출력한다. 참조 부호 1508은 지연 회로이고, 참조 부호 1509는 반전 신호(1505)의 지연 신호이다. 참조 부호 1510은 업/다운 카운터로서, 지연 신호(1509)에 동기하여 위상 진행 신호(1507-up)가 유효한 경우에는 카운트 업을 수행하고, 위상 지연 신호(1507-dwn)가 유효한 경우에는 카운트 다운을 수행함으로써, 그 결과를 카운트 신호(1511)로서 생성한다. 참조 부호 1512는 디코더로서, n 비트로 이루어지는 카운트 신호(1511)를, 2n비트 중 1 비트만이 유효하게 되는 지연 제어 신호(1502)로 변환한다.
도 13은 지연 회로(15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연 회로(1501)는, 2n개로 이루어지는 지연 회로(1601-1∼1601-2n)를 가지며, 입력인 입력 전송 클럭(102)을 2n단계로 지연시켜 지연 신호(1602-1∼1602-2n)를 생성한다. 참조 부호 1603-1∼1603-2n은 스위칭 회로로서, 2n비트로 이루어지는 지연 제어 신호(1502)에 기초하여 많더라도 하나의 스위칭 회로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출력으로서 지연 전송 클럭(1)(1402)을 생성한다. 또한, 지연 회로(1501-1)와 지연 회로(1502-2)는 동등한 회로로 이루어진다.
도 14는 엣지 비교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참조 부호 1701-1 및 1701-2는 지연 회로이고, 참조 부호 1702-1 및 1702-2는 래치 회로이다. 도 14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서, 엣지 비교 회로(1506)는 지연 전송 클럭(2)(1503)에 대하여, 반전 신호(1505)가 지연 회로(1701-1)에서의 지연량보다도 위상이 앞서고 있는 경우에는, 1507-up은 하이 레벨로 되고, 반대로 반전 신호(1505)에 대하여 지연 전송 클럭(2)(1503)이 지연 회로(1701-2)에서의 지연량보다도 위상이 앞서고 있는 경우에는 1507-dwn이 하이 레벨로 된다.
도 15는 제1 지연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16은 듀티 재생 회로(14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 부호 1901-1 및 1901-2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연 회로로서, 이들은 모두 지연 제어 신호(1902)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지연시킨다. 여기서는, 지연 회로(1901-1)는 지연 전송 클럭(1)(1402)을 지연시킴으로써 클리어 신호(1903)를 생성하고, 지연 회로(1501-2)는 클리어 신호(1903)를 지연시킴으로써 지연 전송 클럭(3)(1904)을 생성한다. 참조 부호 1905는 엣지 비교 회로로서,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한 회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며, 지연 전송 클럭(3)(1904)과 지연 전송 클럭(1)(1402)의 위상차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위상 진행 신호(1906-up) 및 위상 지연 신호(1906-dwn)로서 출력한다. 참조 부호 1907은 지연 회로이고, 참조 부호 1908은 지연 회로(1907)에서 지연한 지연 전송 클럭(1)(1402)의 지연 신호이다.
참조 부호 1910은 업/다운 카운터로서, 지연 신호(1908)에 동기하여 위상 진행 신호(1906-up)가 유효한 경우에는 카운트 업을 수행하고, 위상 지연 신호(1906-dwn)가 유효한 경우에는 카운트 다운을 수행함으로써, 그 결과로서 카운트 신호(1911)를 생성한다. 참조 부호 1912는 디코더로서, n 비트로 이루어지는 카운트 신호(1911)를, 2n비트 중 1 비트만이 유효하게 되는 지연 제어 신호(1902)로 변환한다. 참조 부호 1913은 엣지 클리어 기능을 갖는 래치 회로로서, 지연 전송 클럭(1)(1402)에 동기하여 하이 레벨 전압을 래치함과 함께, 클리어 신호(1903)의 하강에서 비동기의 클리어 동작을 수행하여, 재생 전송 클럭(108)을 생성한다.
도 17은 듀티 재생 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의 도면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의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드라이버(101)에 대해서는 듀티가 변화된 입력 전송 클럭(102)이 입력된다. 데이터 드라이버(101)에 있어서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송 클럭(102)은 도 11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클럭 재생 회로(108)의 클럭 재생 회로(107)에 전송된다. 클럭 재생 회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2∼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입력 전송 클럭(102)은 지연 회로(1501-1)에 전송된다. 지연 회로(1501-1)는, 도 13에 도시한 구성으로서, 2n개의 지연 회로(1601-1∼1601-2n)를 이용함으로써, 입력 전송 클럭(102)을 2n단계로 지연시킨다. 상기 회로에 의해서 생성된 2n단계의 지연 신호(1602-1∼1602-2n)로부터 지연 제어 신호(1502)에 의해서 스위칭 회로(1603-1∼1603-2n) 중에서 단 하나의 스위칭 회로가 선택됨으로써, 지연 전송 클럭(1)(1402)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지연 전송 클럭(1)(1402)은 지연 회로(1501-2)에 입력된다. 여기서, 지연 회로(1501-2)는 지연 회로(150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로로서, 지연 제어 신호는 공통적이기 때문에 지연 회로(1501-1)의 지연 시간과 지연 회로(1501-2)의 지연 시간은 같게 된다. 이와 같이, 지연 회로(1501-2)를 통과함으로써 지연 전송 클럭(2)(1503)을 생성한다. 지연 전송 클럭(2)(1503)과 상기 반전 신호(1505)는 엣지 비교 회로(1506)에 입력된다. 엣지 비교 회로(1506)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서, 입력 신호끼리의 위상차가 지연 회로(1701-1)와 지연 회로(1701-2)에 의해서 결정되는 지연 시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즉, 디지털적으로 참조 부호 1503과 참조 부호 1505의 위상차가 주기의 배수로 된다고 간주하여, 위상 진행 신호(1507-up)와 위상 지연 신호(1507-dwn)는 모두 로우 레벨로 되어, 입력 전송 클럭(2)(1503)이 반전 신호(1505)에 대하여 지연 회로(1701-1)에 의한 지연 시간분보다도 앞서고 있으면, 1507-up은 하이 레벨로 되고, 반전 신호(1505)가 입력 전송 클럭(2)(1503)에 대하여 지연 회로(1701-2)에 의한 지연 시간분보다도 앞서고 있으면 1507-dwn은 하이 레벨로 된다. 또한, 이 회로는 실질적으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엣지 비교 회로(607) 및 엣지 비교 회로(608)와 동등한 의미를 갖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차의 폭에 관한 정보는 큰 의미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한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위상 진행 신호(1507-up)와 위상 지연 신호(1507-dwn)는 지연 신호(1509)와 같이 업/다운 카운터(1510)에 입력된다. 업/다운 카운터(1510)는 위상 진행 신호(1507-up)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카운트 업 동작을 수행하고, 위상 지연 신호(1507-dwn)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지연 신호(1509)에 기초하여 카운트 다운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5의 동작 타이밍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진행 신호(1507-up)가 하이 레벨일 때는, 카운트 신호(1511)는 3, 4, 5로 카운트 업 동작을 수행하고, 1507-up 및 1507-dwn이 모두 로우 레벨로 되면, 카운트 동작을 정지하여, 그 카운트 값을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생성된 n 비트의 카운트 신호(1511)는 디코더(1512)에서 2n비트로 디코드되어 지연 제어 신호(1502)를 생성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서, 입력 전송 클럭(102)의 상승에 대하여 지연 신호(3)(1503)의 상승 엣지가 어느 범위 내에 들어 감으로써 상승 엣지가 일치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지연 회로(1501-1)와 지연 회로(1501-2)는 동일한 회로이므로, 지연 회로(1501-1)에서 생성되는 지연 전송 클럭(1)(1402)의 상승 엣지는 입력 전송 클럭(102)의 하이 레벨 기간의 1/2만큼 어긋난 위치로 된다.
다음으로, 듀티 재생 회로(1403)의 동작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지연 전송 클럭(1)(1402)은 래치 회로(1913)와 마찬가지로 지연 회로(1901-1)에 전송된다. 지연 회로(1901-1)는 지연 회로(1501-1)와 마찬가지로 도 13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지연 제어 신호(1902)에 의해서 단 하나의 스위칭 회로가 선택됨으로써 리세트 신호(1903)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리세트 신호(1903)는 래치 회로(1913)의 클리어 신호로서 적용됨과 함께, 지연 회로(1901-2)에 입력된다.
여기서, 지연 회로(1901-1) 및 지연 회로(190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로로서, 지연 제어 신호가 공통이기 때문에, 지연 회로(1901-1)의 지연 시간과 지연 회로(1901-2)의 지연 시간은 같게 된다. 여기서, 지연 제어 신호(1902)의 생성 방법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지연 회로(1401)의 경우와 동일하다. 래치 회로(1913)는, 지연 전송 클럭(1)(1402)의 상승 엣지로 하이 레벨을 래치하여, 클리어 신호(1903)의 상승에서 로우 레벨로 클리어되기 때문에, 그 출력인 재생 전송 신호(108)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전송 신호(102)와 같은 주기이고, 또한 듀티가 50%인 신호로 된다. 또한, 지연 전송 클럭(1)(1402)은 입력 전송 클럭(102)에 대하여 하이 레벨 폭의 반주기분 위상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재생 전송 클럭(108)도 또한, 입력 전송 클럭(102)의 하이 레벨 폭의 반주기분 위상이 어긋나, 목적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재생 전송 클럭(108)은 더욱 제2 지연 회로(1405)에 입력한다. 제2 지연 회로(1405)는 제1 지연 회로(140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입력 신호의 하이 레벨의 1/2주기만큼 어긋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지연 회로(1405)의 입력 신호로 되는 재생 전송 클럭(1404)은 듀티가 50%이기 때문에, 재생 전송 클럭(108)은 재생 전송 클럭(1404)에 대하여 1/4주기만큼 위상이 어긋난 신호로 되어, 상기 두개의 신호를 배타적 논리합 회로(1406)에서 EXOR 연산함으로써 래치 클럭(109)을 생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전송 클럭(102)에 대하여 주기가 같고 듀티가 50%이며, 또한 입력 전송 클럭(102)의 듀티 차의 1/2 시간만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상승하고, 느리게 (또는 빠르게) 하강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효과를 갖는 재생 전송 클럭을 디지털 회로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특히 데이터 드라이버의 캐스케이드 접속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데이터 드라이버를 병렬로 접속한 방식에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송선이나 입출력 버퍼를 가짐으로써 데이터의 듀티가 변화될 우려가 있는 모든 장치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 드라이버에 전송 클럭 재생 회로를 마련함으로써, 자체 단의 드라이버에서 표시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함과 동시에, 다음 단의 드라이버에 전송 신호 및 표시 데이터의 듀티를 변경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데이터 드라이버를 접속할 수가 있다. 게다가, 표시 데이터의 셋업/홀드 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송 주파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들에 의해서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는 캐스케이드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대화면화 및 고정밀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3)

  1.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부를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계조 전압을 상기 화소부에 인가하는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계조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화소부를 선택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표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전송 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컨트롤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전송 클럭의 위상과 비교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소정 레벨의 위상 지연 신호 또는 소정 레벨의 위상 진행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회로,
    상기 위상 지연 신호의 레벨 또는 상기 위상 진행 신호의 레벨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는 차지 펌프 회로,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기초하여 래치 클럭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래치 클럭을 상기 비교 신호로 하여 상기 비교 회로에 피드백하는 VCD 회로,
    상기 래치 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상기 표시 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 및
    상기 래치 회로에서 래치된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상기 계조 전압을 상기 화소부에 인가하는 구동 회로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는 서로 캐스케이드 형태로 접속되는 표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럭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상기 전송 클럭의 상승에 대하여 t 기간 빠르게 상승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상기 전송 클럭의 하강에 대하여 t 기간 느리게 하강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럭은, 상기 표시 데이터와 동기한 전송 클럭의 주기를 T0, 로우 레벨 기간과 하이 레벨 기간의 차를 Tx라고 할 때, Tr 기간 빠르게 상승하고 또한 Tx-Tr 기간 느리게 하강하는 (단, Tx>0인 경우에는 Tx>Tr>0, Tx<0인 경우에는 0>Tr>Tx) 표시 장치.
  6.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부를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계조 전압을 상기 화소부에 인가하는 복수의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계조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화소부를 선택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표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전송 클럭 및 상기 표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컨트롤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전송 클럭을 지연하는 제1 지연 회로,
    지연된 상기 전송 클럭에 동기하여 소정의 듀티를 갖는 제1 재생 전송 클럭을 출력하는 듀티 재생 회로,
    상기 제1 재생 전송 클럭을 지연하여 제2 재생 전송 클럭을 출력하는 제2 지연 회로,
    상기 제1 재생 전송 클럭 및 상기 제2 재생 전송 클럭에 대하여 배타적 논리 연산을 행하는 래치 클럭을 출력하는 연산 회로,
    상기 래치 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입력된 상기 표시 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 및
    상기 래치 회로에서 래치된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응한 상기 계조 전압을 상기 화소부에 인가하는 구동 회로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전송 클럭의 소정의 듀티는 50%인 표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 회로는, 상기 전송 데이터가 소정 레벨인 폭의 절반만큼, 상기 전송 클럭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고,
    상기 제2 지연 회로는, 상기 제1 재생 전송 데이터가 소정 레벨인 폭의 절반만큼, 상기 제1 재생 전송 클럭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는 표시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럭은, 상기 전송 클럭과 주기가 동일하며 듀티가 50%로서, 상기 전송 클럭의 듀티의 절반의 시간만큼 빠르게 상승하거나 느리게 하강하는 표시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클럭은, 상기 전송 클럭과 주기가 동일하며 듀티가 50%로서, 상기 전송 클럭의 듀티의 절반의 시간만큼 느리게 상승하거나 빠르게 하강하는 표시 장치.
KR10-2001-0009504A 2000-07-06 2001-02-24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0418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0685A JP2002023710A (ja) 2000-07-06 2000-07-06 液晶表示装置
JP2000-210685 2000-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377A KR20020005377A (ko) 2002-01-17
KR100418535B1 true KR100418535B1 (ko) 2004-02-11

Family

ID=1870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504A KR100418535B1 (ko) 2000-07-06 2001-02-24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03468B2 (ko)
JP (1) JP2002023710A (ko)
KR (1) KR100418535B1 (ko)
TW (1) TW525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114B1 (ko) * 2001-12-20 200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디스플레이장치
JP3802492B2 (ja) 2003-01-29 2006-07-2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3779687B2 (ja) 2003-01-29 2006-05-31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駆動回路
KR100940572B1 (ko) * 2003-06-02 201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방법
US7148910B2 (en) * 2003-11-06 2006-12-12 Eastman Kodak Company High-speed pulse width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ear array spatial light modulators
WO2006134853A1 (ja) * 2005-06-13 2006-12-21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装置、並びに走査信号線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KR101252085B1 (ko) * 2005-12-30 2013-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8026559A (ja) * 2006-07-20 2008-02-07 Toshiba Corp 液晶ディスプレイドライバ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154190B1 (ko) 2014-05-08 2020-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칩으로 구성된 드라이버 집적 회로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1679A (ja) * 1991-03-29 1992-10-26 Oki Electric Ind Co Ltd Lcd駆動回路
JPH10260657A (ja) * 1997-03-19 1998-09-29 Hitachi Ltd 液晶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175027A (ja) * 1997-12-08 1999-07-02 Hitachi Ltd 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1249626A (ja) * 1998-03-04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9912A (en) * 1992-01-13 1995-03-21 Hitachi, Ltd. Hold-type latch circuit with increased margin in the feedback timing and a memory device using same for holding parity check error
JP2770631B2 (ja) * 1992-01-27 1998-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
JP3724654B2 (ja) * 1995-07-06 2005-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970051229A (ko) * 1995-12-22 1997-07-29 김광호 비동기 발생신호를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262611B1 (en) * 1999-06-24 2001-07-17 Nec Corporation High-speed data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JP2001110185A (ja) * 1999-10-07 2001-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ロック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1679A (ja) * 1991-03-29 1992-10-26 Oki Electric Ind Co Ltd Lcd駆動回路
JPH10260657A (ja) * 1997-03-19 1998-09-29 Hitachi Ltd 液晶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175027A (ja) * 1997-12-08 1999-07-02 Hitachi Ltd 液晶駆動回路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1249626A (ja) * 1998-03-04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5112B (en) 2003-03-21
JP2002023710A (ja) 2002-01-25
US6603468B2 (en) 2003-08-05
US20020003533A1 (en) 2002-01-10
KR20020005377A (ko) 200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5067B2 (ja) 液晶表示装置
US5841482A (en) Transition aligned video synchronization system
US4713621A (en) Phase synchronization circuit
KR100418535B1 (ko)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JP2000339984A (ja) シフトレジス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6970153B2 (en) Source driver circuit of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for reducing slew rate, and method thereof
KR100617667B1 (ko) 캐스케이드 접속된 복수의 드라이버 아이시를 갖는 표시장치 구동 회로
CN114420045B (zh) 一种驱动电路、驱动芯片、显示装置
US8013650B2 (en) Phase adjustment circuit
US6608514B1 (en) Clock signal generator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the same circuit
US4400615A (en) Programmable counter circuit
JP3773209B2 (ja) 高速データ・サンプリング・システム
US11676527B2 (en) Display driver adjusting output timings of driving voltages at output channels
US20040135759A1 (en) Horizontal shift clock pulse selecting circuit for driving a color LCD panel
JP2001331157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JP2000151372A (ja) 伝搬遅延方法及び装置、並びに位相同期回路
KR100193274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JP3054149B2 (ja) 液晶表示装置
JPH10271419A (ja) 液晶表示装置
JP3015014B2 (ja) 液晶表示装置
JP4432570B2 (ja) 水平レジスタ転送パルス生成回路及びこの回路を有する撮像装置
SU138704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KR100336753B1 (ko) 상태 클럭 발생기
JP3128551B2 (ja) 液晶表示装置
JPH10171416A (ja) 液晶表示素子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