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566B1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566B1
KR100415566B1 KR10-2001-0045508A KR20010045508A KR100415566B1 KR 100415566 B1 KR100415566 B1 KR 100415566B1 KR 20010045508 A KR20010045508 A KR 20010045508A KR 100415566 B1 KR100415566 B1 KR 10041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ltage
coil
pressur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865A (ko
Inventor
김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5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전압이 인가되는 제2 측의 최종단자와 DC전압이 인가되는 제1측의 최종단자를 고압코일로 연결하고 상기 제2측의 최종단자에서 고압코일을 출력부로 연결함으로써 애노드 캐이블을 통해 AC전압을 출력할 수 잇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고압보빈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측의 최종단자의 상단에 계지돌기를 마련하여 그 단자에 연결된 고압코일과 다른 리드선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쇼트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HIGH VOLTAGE BOBBIN STRUCTURE OF FLYBACK TRANSFORMER}
본 발명은 분리형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FBT)의 고압보빈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코일로 마지막 단자와 고압보빈 출력부를 연결하는 분리형 FBT의 고압보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또는 모니터의 CRT에 사용되는 FBT는 저압보빈, 고압보빈 및 애노드부로 구성되며, 저압보빈측으로부터 발생되는 펄스 전압을 고압코일(2차 코일)이 권선된 고압보빈으로 승압시켜 고압을 발생시키고, 음극 선관(CRT)의 애노드(Andoe)부에 고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화면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분리형 FBT의 고압보빈을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분리형 FBT의 고압보빈(20)을 나타낸다. 상기 고압보빈은 원통상인 고압보빈 본체(3), 고압코일(9), 저항(7) 및 복수개의 다이오드(8), 이를 단자에 연결하는 리드선(11)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측의 단자(5)로부터 상기 원통상인 본체를 권선하여 제2 측의 단자(6)로 각각 연결하면서 보빈본체(3)를 권선하는 한편, 대향하는 양 단자(5,6)에 저항(7) 또는 다이오드(8)가 구비된 리드선(11)을 솔더링하여 연결한다. 상기 리드선(11)은 일반적으로 구리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각 단자(5,6)에 납땜할 때에 상기 단자(5,6)에 연결된 고압코일(9)과 함께 솔더링한다.
또한, 상기 구성된 고압보빈에 의해 상승된 출력전압은 출력부(15)에 마련된 애노드케이블(30)과 연결시킴으로써 원하는 고압을 애노드부(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압보빈의 제1 측 단자(5)에는 직류전압이 인가되고 제2 측 단자(6)에는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저항이 연결된 최종단자에는 직류전압이 인가되므로, 출력부(15)에서 교류전압을 출력시키기 위해 저항 또는 다이오드가연결되는 단자 외에 별도로 제1 및 제2 측 각각에 단자(12,14)를 추가적으로 마련하여야 했다.
그 결과, 단자수의 추가에 따른 고압보빈의 부피가 증가하고, 고가의 구리선을 추가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요구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AC전압 출력하기 위한 다른 고압보빈구조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AC전압이 인가되는 제2 측의 단자와 AC전압이 인가되는 제1측의 단자를 고압코일로 연결하고, 그 고압코일을 출력부에 연결함으로써 애노드 캐이블을 통해 AC전압을 출력할 수 잇는 FBT의 고압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고압보빈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2: 제1측 단자부
32: 제2측 단자부
37: 고압코일
42: 제2측 최종단자
44: 계지돌기
본 발명은 고압보빈의 대향하는 제1측 및 제2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 단자에는 DC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측 단자에는 AC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측의 끝단에 형성된 출력부에 애노드캐이블이 연결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와 상기 제2 측의 최종단자를 고압코일로 연결하고, 상기 출력부와 상기 제2 측의 최종단자를 연결하는 상기 고압코일은 상기 고압보빈의 본체에 적어도 1회 권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측의 최종단자 상단에 계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측의 최종단자에 연결되는 고압코일은 상기 계지돌기 하부에 권선되어 상기 최종단자의 핀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고압보빈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고압보빈의 제1측 및 제2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단자(2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단자에는 핀(24,34)이 구비되어 있다. 저항(28) 또는 다이오드(29)가 연결된 리드선(26)은 대향하는 각 핀(24,34)에 순차적으로 솔더링된다. 이 때, 상기 리드선에 의해 연결된 단자(22,32)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고압코일로 각 단자를 연결하면서 고압보빈 본체에 권선한다. 즉, 상기 단자(22,32)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리드선(26)으로 연결된 한쌍의 단자 중 제1측 단자로부터 다른 쌍의 단자 중 제2측의 단자로 고압코일을 연결한다. 상기 고압코일은 각 단자(22,32)를 연결하면서 고압보빈 본체를 권선하여 고압코일부(31)를 형성한다.
도2와 같이 형성된 고압보빈은 제1측은 DC전압이 인가되고 제2측은 AC전압이인가되어 출력부(38)를 통해 소정의 고압전압을 출력한다. 이 때, 최종 단자인 저항에 연결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그 단자가 제1측에 형성되어 있어 DC전압으로 출력되므로, 제2측에 추가적인 단자(40)를 형성하여 추가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출력부(38)와 연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AC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최종 저항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 외측에 추가적으로 단자를 제1측과 제2측에 각각 형성하여 구리로 이루어진 리드선을 연결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결국 리드선을 연결하기 위해 추가되는 단자는 저항이나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단자와 같은 핀을 형성하여야 하고, 이런 공정은 다른 저항이나 다이오드를 포함한 리드선 공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결국, 제1측에 핀이 형성된 단자와 별도의 리드선이 요구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고압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마지막 저항이 연결된 제1측의 단자와 제2측에 별도로 마련된 단자(40)를 연결하고 다시 상기 고압코일을 연장하여 출력부측의 단자와 연결하는 고압코일(37)을 제공함으로써 AC전압 출력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압보빈 구조에서는, 제2측에 하나의 단자만을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제1측에 별도의 단자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고압보빈보다 전체 고압보빈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권선에 사용된 코일을 그대로 사용하여 출력부와 연결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력부와 상기 제2 측의 최종단자를 권선코일을 형성하는 고압코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1측의 단자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지 않고, 리드선에 비해 저렴한 고압코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도2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최종단자와 출력부를 연결하기 위한 고압코일은 직접 단자를 걸쳐 출력부로 연결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고압코일을 고압보빈 몸체에 적어도 1회 권선하여 출력부로 연결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도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단자(40)과 같이, 상기 제2측의 최종단자(42) 상단에 계지돌기(44)를 구비하고, 상기 제2측의 최종단자(42)에 연결되는 고압코일은 상기 계지돌기(44) 하부에 권선하여 상기 최종단자의 핀(46)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지돌기(44)가 마련된 최종단자(42)에 고압코일을 권선하여 상기 핀(46)에 연결하면, 최종단자의 계지돌기(44)에 의해 상기 고압코일이 다소 아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다른 단자에 연결된 리드선과 쇼트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보빈 구조는 AC전압이 인가되는 제2 측의 단자와 AC전압이 인가되는 제1측의 단자를 고압코일로 연결하고 그 고압코일을 출력부에 연결함으로써 애노드 캐이블을 통해 AC전압을 출력할 수 잇는 FBT의 고압보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고압보빈은 고가의 리드선을 이용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단자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저렴한 제조비용과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이 아닌 첨부된 청구범위로 한정되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개량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3)

  1. 고압보빈의 대향하는 제1측 및 제2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 단자에는 DC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측 단자에는 AC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측의 끝단에 형성된 출력부에 애노드캐이블이 연결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와 상기 제2측의 최종단자를 고압코일로 연결하고, 상기 고압코일은 상기 고압보빈의 본체에 적어도 1회 권선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의 최종단자 상단에 계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측의 최종단자에 연결되는 고압코일은 상기 계지돌기 하부에 권선되어 상기 최종단자의 핀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KR10-2001-0045508A 2001-07-27 2001-07-27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KR10041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508A KR100415566B1 (ko) 2001-07-27 2001-07-27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508A KR100415566B1 (ko) 2001-07-27 2001-07-27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865A KR20030010865A (ko) 2003-02-06
KR100415566B1 true KR100415566B1 (ko) 2004-01-24

Family

ID=2771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508A KR100415566B1 (ko) 2001-07-27 2001-07-27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5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6329U (ko) * 1995-12-30 1997-07-31 고압발생기의 고압보빈 회로
KR970064055U (ko) * 1996-05-28 1997-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애노드 와이어 고정용 고정돌기의 설치구조
KR19980010523U (ko) * 1996-08-08 1998-05-15 서두칠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고압 보빈
KR19980054946U (ko) * 1996-12-31 1998-10-07 서두칠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0160571B1 (ko) * 1994-03-09 1998-12-15 무라타 야스타카 플라이백 트랜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193782Y1 (ko) * 2000-03-14 2000-08-16 엘지전자주식회사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저압보빈 핀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571B1 (ko) * 1994-03-09 1998-12-15 무라타 야스타카 플라이백 트랜스 및 그 제조방법
KR970046329U (ko) * 1995-12-30 1997-07-31 고압발생기의 고압보빈 회로
KR970064055U (ko) * 1996-05-28 1997-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애노드 와이어 고정용 고정돌기의 설치구조
KR0133218Y1 (ko) * 1996-05-28 1999-01-15 이형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애노드 와이어 고정용 고정돌기의 설치구조
KR19980010523U (ko) * 1996-08-08 1998-05-15 서두칠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고압 보빈
KR19980054946U (ko) * 1996-12-31 1998-10-07 서두칠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200193782Y1 (ko) * 2000-03-14 2000-08-16 엘지전자주식회사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저압보빈 핀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865A (ko)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802B1 (ko) 변압기
KR100415566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구조
US20030020582A1 (en) Flyback transformer
JP3298917B2 (ja) 分割巻き用ボビン及びトランス
CN1116795A (zh) 阴极射线管的聚焦供电
KR100449625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0165949B1 (ko) 플라이백 변성기
KR2001761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보빈과 포커스 팩의 전기적 접속 구조
KR930004828Y1 (ko) 플라이백 트랜스의 포커스팩 입력과 애노드출력 결선장치
KR0160571B1 (ko) 플라이백 트랜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457378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abl저항 결합구조
KR100213388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 케이블 및 포커스 입력단자 결합장치
KR200154331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보빈과 포커스 팩의 전기적 접속 구조
KR200145772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JPS5936889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JPH0751786Y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KR100489835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권선 방법
JP3024207B2 (ja) トランス
KR20010070179A (ko) 인버터트랜스 및 그것을 사용한 방전등 점등회로
KR011995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고압 보빈의 abl 저항과 인덕터 연결핀 구조
KR20023441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터미널 단자부
JPH0341707A (ja) パルス変圧器
JPH0922827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内蔵用の巻回型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2524051Y2 (ja) 直流用高圧電源
JPS61224405A (ja) 高電圧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