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949B1 - 플라이백 변성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변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949B1
KR0165949B1 KR1019960005153A KR19960005153A KR0165949B1 KR 0165949 B1 KR0165949 B1 KR 0165949B1 KR 1019960005153 A KR1019960005153 A KR 1019960005153A KR 19960005153 A KR19960005153 A KR 19960005153A KR 0165949 B1 KR0165949 B1 KR 016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focus pack
flyback transformer
component attach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515A (ko
Inventor
다다오 나가이
Original Assignee
무라따 야스따까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따 야스따까, 가부시끼가이샤 무라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무라따 야스따까
Publication of KR96003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with several winding chambers separated by flanges, e.g.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플라이백 변성기는 고압 보빈을 갖는다. 이 보빈에는 전자부품 부착단자와는 별도로 포커스 팩 접속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소망의 고압을 제공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중의 하나와 접속되어 있다. 소망의 전압으로 변화되면,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변화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중의 다른 하나와 간단히 접속되며, 이에 따라 포커스 팩 공급전압을 간단히 변화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이백 변성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변성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제3a도, 제3b도, 제3c도, 제3d도는 각각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플라이백 변성기의 단면도이다.
제5도는 종래예에 따른 플라이백 변성기 및 포커스 팩(focus pack)의 등가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고압 보빈 7 : 전자부품 부착단자
8 : 포커스 팩 접속단자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고압을 공급하는 플라이백 변성기(flyback tranformer)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이백 변성기(A)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압 보빈(50)과, 이 저압보빈(50)의 외주측에 배치된 고압 보빈(51)을 포함하고 있으며, 저압 일차권선(52)과 고압 이차권선(53)을 각 보빈(50, 51)에 권회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압 이차권선(53)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분할된 이차권선은, 정류다이오드(54)를 통하여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54)는, 이 정류 다이오드(54)를 고정, 접속하기 위하여 고압 보빈(51)위에 병렬로 형성된 전자 부품 부착단자(55)에 고정되어 접속되어 있다.
플라이백 변성기(A)으로부터의 고압 출력은 직접적으로 음극선관에 공급된다. 또한 이 고압은 이차권선(53) 중의 하나로부터 일단 포커스 팩(focus pack)(B)에 입력되고, 여기서 조정된 후, 포커스 전압으로 음극선관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플라이백 변성기(A)와 포커스 팩(B)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접속되어 있었다. 즉, 이차권선(53)에 있어서의 접속점 중의 하나로서, 포커프 팩 공급 전압을 발생시키는 접속점에 대응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55')를, 다른 전자부품 부착단자(55)보다 약간 길게 형성한다. 이 길이가 긴 전자부품 부착단자(55')와 대향하여, 포커스 팩(B)에 대하여 접속단자로서 기능하는 도전 고무(electrically conductive rubber; 60)를 부착한다. 그리고 포커스 팩(B)을 플라이백 변성기(A)에 장착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전자부품 부착단자(55')를 도전 고무(60)에 찔러 넣음으로써 플라이백 변성기(A)와 포커스 팩(B)을 접속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의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고전압에 대한 포커스 전압의 비(포커스 전압/고전압)가 각 음극선관의 제조회사마다 상이하며, 동일한 제조회사일지라고 음극선관의 크기나 기종마다 상이하다. 이와 같은 포커스 전압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플라이백 변성기(A)가 포커스 팩(B)에 공급하는 전압을 변동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의 플라이백 변성기(A)에서는, 포커스 팩 공급 전압을 도출하기 위한 단자로서 기능하는 길이가 긴 전자부품 부착단자(55')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에 따라서 고압 이차권선(53)에서 도출되는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포커스 전압의 변동에 대응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포커스 전압의 변도에 대응한 플라이백 변성기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① 포커스 팩(B)의 도전 고무에 찔러넣는 길이가 긴 전자부품 부착단자(55')의 위치는, 포커스 팩 공급 전압에 따라서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길이가 긴 전자부품 부착단자(55')를 갖는 다양한 고압 보빈(51)을 포커스 팩 공급 전압에 따라서 다양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 제조비용 및 재고부담이 증대된다.
② 길이가 긴 전자부품 부착단자(55')의 다양한 위치변동 가능성에 순응하기 위하여, 포커스 팩(B)측에 배치된 도전 고무(60)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포커스 팩(B)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포커스 팩(B)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형성되는 저항패턴의 저항값을 전압변동에 따라서 변동함으로써, 포커스 팩(B)의 출력 전압을 변동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플라이백 변성기(A)는 전압 변동에 순응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저항값이 상이한 저항패턴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복수개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포커스 팩(B)측의 제조비용 및 재고부담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일 없이, 포커스 팩 공급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는 플라이백 변성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압 보빈 위에, 전자부품 부착단자와는 별도로, 포커스 팩 접속단자를 갖는 플라이백 변성기를 제공한다.
소정의 전자부품 부착단자와 포커스 팩 접속단자를 접속하고, 포커스 팩 접속단자를 포커스 팩에 접속함으로써, 플라이백 변성기에서 포커스 팩으로 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포커스 팩 접속단자를 고압 보빈에 고정적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플라이백 변성기와 포크스 팩과의 접속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또 포커스 전압의 변도에 대해서는, 포커스 팩 접속단자에 접속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를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라이백 변성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이백 변성기(1)는, 저압보빈(2)과 저압 보빈(2)의 외주측에 배설된 고압 보빈(3)을 포함하며, 저압 일차권선(4) 및 고압 이차권선(5)을 각 보빈(2, 3)에 권회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압 이차권선(5)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분할된 이차권선은 정류 다이오드(6)를 통하여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6)는 고압보빈(3)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전자부품 부착단자(7)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전자부품 부착단자(7)는, 고압 이차권선(5)의 분할부를 각각 순차로 직렬로 접속하기 위하여, 보빈의 축방향에 있어서 보빈(3)의 양단에 고압 보빈(3)의 외주단면(circumferential end surface) 위에 배설됨으로써, 고압 이차권선(5)이 전자부품 부착단자(7)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보빈의 축 방향에 있어서 보빈의 양단에 설치된 전자부품 부착단자(7)는, 고압 보빈(3)의 반지름 방향(radial direction)을 따라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류 다이오드(6)는 그 리드(6a)를 고압 이차권선(5)의 양단에 위치하는 대응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7,7)에 각각 접속함으로써, 고압 이차권선(5)위에 떠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압 이차권선(5)의 분할부는 각각 그 권선 단부가 대응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7,7)에 납땜접속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6)를 통하여, 상기 분할부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고압 보빈(3)은 전자부품 부착단자(7)와는 별도로 포커스 팩 접속단자(8)를 갖고 있다. 포커스 팩 접속단자(8)는 고압 보빈(3)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빈(3)의 축방향에 있어서 다이오드(6)와 대향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7)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 포커스 팩 접속단자(8)는 전자부품 부착단자(7)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으며, 병렬로(고압보빈의 반지름 방향으로)배치된 전자부품 부착단자(7)의 중앙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설된 포커스 팩 접속단자(8)에는, 전자부품 부착단자(7)중에서 적절한 포커스 팩 공급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이차권선(5)의 분할부에 대응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7)에 점퍼(jumper; 9)가 접속된다. 점퍼(9)는 납땜에 의하여 접속한다. 용접이나 크림핑(crimping) 등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라이백 변성기(1)는 케이스(10)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1은, 플라이백 변성기(1)에 부착되는 코어이다.
플라이백 변성기(1)에 접속되는 포커스 팩(20)은, 저항패턴(도시 생략)을 갖는 인쇄회로기판(21)을 케이스(22)의 내주부에 끼워넣어 구성되어 있다. 플라이백 변성기(1)와 대향하는 인쇄회로기판(21)의 면(21a)에는, 플라이백 변성기(1)에 대하여 접속단자로서 기능하는 도전 고무(2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도전 고무(23)는 인쇄회로기판(21)위에 형성된 저항 패턴과 접속되어 있다. 이 도전 고무(23)는 포커스 팩 접속단자(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포커스 팩(20)은, 포커스 팩(20)을 케이스(10)의 개구에 끼워붙임으로써, 플라이백 변성기(1)에 부착되어 있다. 이때, 도전 고무(23)에는 전자부품 부착단자(7)보다 길이가 긴 포커스 팩 접속단자(8)가 꽂혀져 포커스 팩(20)을 플라이백 변성기(1)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포커스 팩(20)이 접속된 상태로 플라이백 변성기(1)에 전류가 공급되면, 포커스 팩(20)에는 포커스 팩 접속단자(8)을 통하여 소망의 고압이 플라이백 변성기(1)로부터 공급되게 된다.
이 플라이백 변성기(1)에서 출력되는 포커스 팩 공급전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점퍼선(9)에 의하여 포커스 팩 접속단자(9)를 다른 전자부품 부착단자(7)에 접속한다. 이 작업은 간단히 행해질 뿐만 아니라, 플라이백 변성기(1)의 기본적인 구조를 조금도 변형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포커스 팩 접속단자(8)는, 병렬로(고압보빈의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된 전자부품 부착단자(7)의 중앙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점퍼(9)는 비교적 짧은 것이어도 되고, 접속이 간단하며, 또한 접속위치를 변화시키더라도 절연 강도를 위한 필요한 거리가 확보되기 때문에, 단락(short-circuit)이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포커스 팩 공급전압이 변화하더라도, 포커스 팩(20)에 대한 플라이백 변성기(1)의 접속부(즉 포커스 팩 접속단자(8))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포커스 팩(20)에 있어서, 도전 고무(23)의 크기나 위치를 변경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커스 팩 접속단자(8)와 전자부품 부착단자(7)(고압 이차권선(5))는 점퍼(9)를 납땜함으로써 접속되어 있다. 이외에도, 제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압 이차권선(5)의 단부(5a)를 대응하는 전자부품 부착단자(7)에 납땜하여 접속하여도 되고, 또 그 단부(5a)의 선단을 포커스 팩 접속단자(8)에 접속하여도 된다.
또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압 이차권선(5)과는 다른 와이어(25)를 전자부품 부착단자(7)와 포크스 팩 접속단자(8) 주위에 권회한다. 그리고 와이어(25)와 전자부품 부착단자(7), 및 와이어(25)와 포커스 팩 접속단자(8)를 각각 납땜함으로써, 포커스 팩 접속단자(8)와 전자불품 부착단자(7)(고압 이차권선(5)를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제3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다이오드(6)의 리드(6a)를 포커스 팩 접속단자(8)까지 끌어내어 납땜함으로써, 포커스 팩 접속단자(8)와 전자부품 부착단자(7)(고압 이차권선(5))를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제3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또는 평면의(planar) 도전 고무 커넥터(26)의 양단을 포커스 팩 접속단자(8)와 전자부품 부착단자(7)에 찔러넣음으로써, 포커스 팩 접속단자(8)와 전자부품 부착단자(7)(고압 이차권선(5))를 접속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종류의 고압 보빈을 사용하여, 포커스 팩 공급전압의 변동에 대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 팩은, 플라이백 변성기에 접속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포커스 팩의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복수개의 전자부품 부착단자가 설치된 고압 보빈과,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고압 보빈에 권회되어 있는 고압 이차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고압 이차권선의 분할부가 상기 전자부품 부착단자에 부착된 전자 부품을 통하여 서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이백 변성기(flyback tranformer)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부착단자와는 별도로, 포커스 팩(focus-pack) 접속단자가 상기 고압 보빈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부착단자 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부착단자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상기 고압 이차권선의 단부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부착단자 중의 하나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상기 고압 이차권선외의 다른 권선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부착단자 중의 하나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상기 전자부품 중의 하나인 리드선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부착단자 중의 하나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평면의 도전 고무(electrically conductive rubber) 커넥터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부착단자 중의 하나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플라이백 변성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팩 접속단자는, 상기 플라이백 변성기 위에 부착될 때, 포커스 팩의 도전 고무 단자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보빈, 상기 고압 이차권선, 상기 포커스 팩 접속단자, 상기 복수개의 전자부품 부착단자 및 상기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포커스 팩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KR1019960005153A 1995-02-28 1996-02-28 플라이백 변성기 KR0165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5-39733 1995-02-28
JP7039733A JPH08236376A (ja) 1995-02-28 1995-02-28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515A KR960032515A (ko) 1996-09-17
KR0165949B1 true KR0165949B1 (ko) 1999-01-15

Family

ID=1256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153A KR0165949B1 (ko) 1995-02-28 1996-02-28 플라이백 변성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15378A (ko)
JP (1) JPH08236376A (ko)
KR (1) KR0165949B1 (ko)
GB (1) GB2298521B (ko)
MX (1) MX9600693A (ko)
MY (1) MY112032A (ko)
TW (1) TW4039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567B1 (ja) * 1999-09-29 2000-12-11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電源用回路ブロック
US20090096562A1 (en) * 2006-04-20 2009-04-16 Toshihiro Nakadai High-voltage transformer
WO2007129588A1 (ja) * 2006-05-08 2007-11-15 Panasonic Corporation 高電圧トラン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545Y2 (ja) * 1977-04-11 1983-03-10 電気音響株式会社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US4266269A (en) * 1978-03-23 1981-05-05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Fly-back transformer
CA1188819A (en) * 1981-06-30 1985-06-11 Sanyo Electric Co., Ltd. Flyback transformer
DE3800477A1 (de) * 1988-01-11 1989-07-20 Graetz Nokia Gmbh Hochspannungstransformator fuer fernsehgeraete
JPH07118404B2 (ja) * 1990-08-13 1995-1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20212U (ja) * 1991-04-15 1992-10-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TW287349B (ko) * 1993-12-28 1996-10-01 Hokuriku Elect I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36376A (ja) 1996-09-13
GB2298521A (en) 1996-09-04
GB2298521B (en) 2000-03-29
KR960032515A (ko) 1996-09-17
MY112032A (en) 2001-03-31
MX9600693A (es) 1997-02-28
TW403921B (en) 2000-09-01
GB9604203D0 (en) 1996-05-01
US5815378A (en) 199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354B1 (ko) 전자유도기 및 전자유도기의 제조 방법
EP1540674A1 (en) Transformer and transformer unit having the same
KR0165949B1 (ko) 플라이백 변성기
KR940003772B1 (ko) 저압방전램프의 작동을 위한 전자적인 접속장치의 배선부재의 배치
JP3344954B2 (ja) ボビンと別体の端末ホルダを用いるコイル部品
US6018285A (en) Wire-wound component to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2734923B2 (ja) 高圧トランス
KR0160571B1 (ko) 플라이백 트랜스 및 그 제조방법
KR0185031B1 (ko) 플라이백 변성기
KR200149069Y1 (ko) 변압기의 리이드 인출 구조
KR200169108Y1 (ko) 저항기
KR013755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고압 보빈
KR200161749Y1 (ko) 가스레인지 점화 코일용 보빈
JPH0751786Y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KR19980027843U (ko) 멀티핀(Multi Pin) 구조를 갖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KR930007241Y1 (ko) Fbt용 pcb의 출력단자부 구조
KR930004828Y1 (ko) 플라이백 트랜스의 포커스팩 입력과 애노드출력 결선장치
JP2005150330A (ja) トランス
JP2524051Y2 (ja) 直流用高圧電源
JPS60126808A (ja) 巻線接続方法
JP3024207B2 (ja) トランス
KR200328310Y1 (ko) 저압보빈 핀의 밀림 방지구조
JP3102146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H06178139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H0740536B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