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243B1 - 배터리장치및배터리장치용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장치및배터리장치용장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15243B1 KR100415243B1 KR1019950028683A KR19950028683A KR100415243B1 KR 100415243 B1 KR100415243 B1 KR 100415243B1 KR 1019950028683 A KR1019950028683 A KR 1019950028683A KR 19950028683 A KR19950028683 A KR 19950028683A KR 100415243 B1 KR100415243 B1 KR 100415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 battery
- surface portion
- identification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주장치에 잘못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터리장치는 배터리를 장전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그 최외주면의 측면에 장착표면부를 가진다. 장착표면부는 주장치의 셋팅표면부여야 한다. 케이스의 장착표면부는 접촉표면상에 개방된 개구단을 가지며 주장치상에 장착방향에 평행하는 개구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식별홈을 가진다. 접촉표면은 장착표면부에 대해 직각의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케이스의 장착표면상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으로서 배터리장치를 이용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그 내부로 충전지나 건전지가 삽입되는 배터리장치 및 그 위에 배터리 장치가 장착되는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테이프 플레이어, 비디오카메라 혹은 디스크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는 일반적으로 dc변환어댑터를 거쳐 공급되는 상용전원에 첨가해서 충전지나 건전지와 같은 dc전원이 전원으로서 이용되도록 고안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장착부는 장치의 케이스부내에 설치되며, 충전지나 건전지가 그 내부로 삽입된 배터리장치는 배터리장착부에 접속된다. 배터리장치에서 전지의 충전전원이 고갈되면, 재충전을 위해 배터리장치는 dc변환어댑터를 가지는 충전기에 제공된 배터리장착부의 위에 장착된다.
종래의 배터리장치(51)는 제 13도 및 제 15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배터리장치(51)는 대략 그 내부에 배터리수용부(housing unit)를 가지는 케이스(51A)와 배터리 수용부내에 수용된 충전지(도시되지 않음)와 충전지와 접속된 한 쌍의 단자(48A, 48B)로 구성된다.
케이스(51A)는 사실상 하나의 직사각형 장착표면부(51B) 및 배터리수용부내에 수용된 사실상 두 개의 관모양 충전지를 가진다. 장착표면부(51B)에는 장착표면부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접착표면상의 그 일단부에서 열리도록 하기 위해서 장착방향에 평행하도록 장착홈(40)이 형성된다.
장착홈(40)에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식별부재(41)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식별부재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 수용부내에 수용된 충전지가 충전되었는지 또는 아직 충전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충전식별부재(41)가 장착홈(40)을 따라 이동된다.
장착표면부(5IB)는 장착홈(40)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사실상 직사각형홈(43)을 가진다. 표면부의 중앙위치에 사실상 홈(43)에 일치하게 사실상 직사각형의 장착가이드홈(44)이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사실상 직사각형 장착홀딩홈(40)은 그 중심선이 장착가이드홈(44)과 일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배치된다.
케이스(51A)는 장착방향에 평행한 그 측면을 따라 서로에게 연속으로 사실상 L형의 제 1 및 제 2가이드홈(guide groove)(46A,46B)을 가진다. 케이스(51A)는 제1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제 3 및 제 4 가이드홈이 제 1 및 제 2 가이드홈과 대면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및 제 2가이드홈을 적재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제 3가이드홈(46C)과 제 4가이드홈(46D)을 가진다.
제 14도를 참고로 할 때,상기의 배터리장치가 장착된 주장치(52)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주장치(52)는 배터리장치(51)를 그 위에 장착하기 위해 셋팅표면부(52B)와 배터리장치(51)의 단자(48A,48B)와 접속된 접속단자(49A,49B)를 가지는 케이스(52A)를 포함한다.
케이스(52A)는 셋팅표면부(52B)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접촉표면(abutment surface)(52E)에 일체로써 접속되는 일단부를 가지는 사실상 직사각형의 구동 돌기(58)를 가진다. 셋팅표면부(52B)는 구동 돌기(actuation protrusion)(58)의 중심선에 일치하는 위치에 사실상 직사각형의 개구(53) 및 이 개구(53)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서 형성된 사실상 직사각형의 체결부(54)를 가진다. 체결부(54)는 연결부의 근접점에 대해서는 탄성의 유연성이 있으며 그 말단부에 체결돌기(54a)를 갖는다.
셋팅표면부(52B)에 사실상 타원형기둥의 형태로 장착가이드부(55)가 일체로 형성된다. 셋팅표면부(52B)는 장착가이드부(55)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사실상 직사각형 개구(56)를 가지며, 사실상 직사각형 장착홀딩부(57)는 개구(56)의 측면으로부터 일체로써 돌출된다. 장착홀딩부(57)는 연결부의 근접점에 대해 탄성적 유연성이 있으며 그 말단부에 일체로써 형성된 장착홀딩돌기(57A)를 가진다.
케이스(52A)는 가이드벽부가 셋팅표면부(52B)에 평행한 두측면상에 한쌍의 가이드벽부(52C,52D)를 가진다. 각 가이드벽부(52C)의 내부벽부상에 사실상 L형의 제 1 및 제 2가이드돌기(47A,47B)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47A,47B)가 있는 가이드벽부(52C)에 대향하는 케이스(52A)의 가이드벽부의 내부벽부상에는 제 1가이드돌기(47A) 및 제 2가이드돌기(47B)와 각각 대면하는 제 3가이드벽돌기(47C) 및 제 4가이드돌기(47D)가 일체로써 형성된다.
셋팅표면부(52B)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접촉표면(52E)의 양측의 측면단부상에 제 1 및 제 2의 접속단자(49A,49B)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제 1 및 제 2접속단자(49A,49B)는 dc변환기(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2접속단자(49A,49B)는 사실상 U형 단면을 가지는 보호부재(50)에의해 보호된다. 보호부재(50)는 장착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장착된다. 보호부재는 보호부재(22)로부터 떨어진 제 1접속단자(49A) 및 제 2 접속단자(49B)를 돌출시키기 위한 접촉표면(52E)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진 그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주장치(52)상에 배터리장치(51)를 장착하는 구동 및 배터리장치(51)상에 제공된 충전식별부재(41)의 구동 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우선, 주장치의 셋팅표면부(52B)의 가이드벽부(52C,52D)의 내부벽표면상에 형성된 제 1내지 제 4 가이드돌기(47A 내지 47D)는 배터리장치(51)내에 형성된 제 1내지 제 4 가이드홈(46A 내지 46D)에 맞물리게 된다.
배터리장치(51)가 장착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주장치(52)의 가이드벽부(52C,52D)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내지 제 4가이드돌기(47A 내지 47D)는 제 1내지 제 4 가이드홈(46A) 내지 (46A 내지 46D)의 단부가 접촉될 때까지 배터리장치(51)에 형성된 제 1내지 제 4가이드홈(46A 내지 46D)을 따라 이동된다. 배터리장치(51)는 이러한 방식으로 주장치(52)에 유지된다.
배터리장치(51)가 장착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주장치(52)의 셋팅표면부(52B)상에 형성된 장착가이드부(55)는 장착표면부(51B)에 형성된 장착 가이드홈(44)으로 삽입된다. 장착가이드부(55)가 장착가이드부(55)를 따라 이동된다. 배터리장치(51)는 장착가이드홈(44)의 일단부에 접촉되는 장착가이드부(55)에 의해 주장치(52)에 유지된다.
배터리장치(51)가 장착방향을 따라 더 이동될 때, 주장치(52)의장착표면부(52A)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장착홀딩부(57)가 장착표면부(51B)내에 형성된 장착홀딩가이드홈(40)내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터리장치(51)가 장착 및 홀딩홈(45)에 체결된 장착 및 홀딩돌기(57A)에 의해 유지된다.
배터리장치(51)가 주장치(52)의 장착방향을 따라 더 이동될 때, 주장치(52)의 셋팅표면부(52B)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구동 돌기(58)는 장착표면부(51B)의 장착홈(40)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충전식별부재(41)의 단부와 맞물려진다. 따라서, 배터리장치(51)가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때, 충전식별부재(41)가 발동돌기(58)에 의해 밀린다. 주장치(52)상에 장착된 배터리장치(51)가 장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꺼내질 때, 장착홀딩부(57)는 장착 및 홀딩돌기(57A)를 장착 및 홀딩홈(45)으로부터 해체하기 위해서 장착홀딩홈(45)의 일단부로부터 잔성적으로 비껴진다.
주장치(52)상에 제공되는 배터리장치(51)가 장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꺼내질 때, 주장치의 셋팅표먼부(52B)상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돌기(58)가 장착표면부(51B)의 장착홈(4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충전식별부재(41)내에 형성된 절단홈(41A)에 체결된다. 따라서, 배터리장치(51)가 장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때, 충전식별부재(41)가 체결돌기(58)에 의해 꺼내진다.
전자장치가 장시간동안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배터리장치가 가끔 2단의 배터리장치를 갖는 고성능 배터리장치로 고안되기도 한다. 그러한 배터리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충전지는 서로에게 나란한 상태로 수용된다.
지금까지는, 보통의 배터리장치 및 고성능 배터리장치 가 예를들어 전자장치용 장착표면부의 모양에 대해 공동의 구조를 가지도록 고안되어서, 보통의 배터리장치나 혹은 고성능 배터리장치 는 교체되어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전자장치는 고성능 배터리 장치없이 이용될 수 있다. 접속된 고성능 배터리장치를 가지는 전자장치는 장시간동안 이용될 수 있다. 부가해서, 어떤 전자장치는 편리하게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 연장된 시간동안 이용될 필요가 있다. 예를들면, 다소의 휴대용 비디오카메라는 계속적인 촬영을 보장하기 위해서 보통의 배터리장치가 접속될 수 없도록 고안된다.
즉, 만일 보통의 배터리장치가 연장촬영 동안 휴대용 비디오카메라에 제공된다면, 비디오카메라구동 이 정지되어서 촬영을 방해하게 되며 소모된 배터리장치가 빈번히 충전되고 교환되어야하는 번거로움이 불가피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전자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장치를 배터리장치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장치의 구동조건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서, 보통의 배터리장치와 고성능 배터리장치 를 서로에게서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제 13도 및 제 14도를 참고로 하여, 고성능 배터리장치와 보통 배터리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착장치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현재의 배터리 장착장치내의 보통배터리장치(51)는 제 13도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장착표면부의 장착방향에 평행한 측면상에 식별홈(53)을 가진다. 반면, 제 14도에서와 같이 주장치(52)는 가이드벽부(52C)의 내부벽표면상에 구동 부재(54)를 가진다.
본 발명의 장착장치는 푸쉬-풀스위치를 이용하며, 이것은 구동 부재(Operating member)(54)가 힘으로 이동될 때 켜지고 힘이 제거될 때 꺼지는 스위치이다. 그러한 푸쉬-풀스위치는 주장치(52)의 한 가이드벽부(52C)의 내부벽상에 제공된다.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장치(51)는 셋팅표면부(52B)상에 삽입될 때, 주장치(52)상에 제공된 구동 부재(54)는 배터리장치(51)의 측면에 의해 이동된다.
배터리장치(51)에 형성된 식별홈(53)의 위치로 이동될 때, 배터리장치(51)가 감지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감지광을 켜거나 감지음을 발하기 위해 구동부재(54)가 돌출된다.
상기설명의 스롯-인(slot-in) 유형의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에 있어서, 바닥박스형 장착부가 주장치에 제공되고, 배터리장치는 그 전체가 장착될 때까지 수용장치의 일 측면에 형성된 틈을 거쳐서 삽입되는 경우에, 구동 부재(54)는 배터리장치의 장착과정에서 온과 오프로 계속적으로 변화된다. 이와같이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는 구동 부재(54)의 순회는 구동 부재(54)의 빈번한 대체구동 및 그러한 반복에 의해 역효과가 발생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감지에 있어서 실패할 가능성이 증가되는 결과가 된다.
반면,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는 간단한 방법으로 주장치(52)상에 장착된 배터리장치(51)의 유형을 감지한다. 그것은 주장치가 배터리장치(51)의 장착을 방해하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은 아니다. 즉, 배터리장치(51)가 주장치(52)상에 완전히 장착된 후에 배터리장치의 유형이 식별된다. 그러나, 전자장치는 파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으며, 배터리장치(51)와 주장치(52)가 접속되도록 시도될때 초기에 배터리장치(51)의 유형을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설명의 장착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장치(51)를 감지하는 구동 부재(54)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은 주장치(52)의 가이드벽부(52C)상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장치는 감소된 크기 및 두께를 요구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용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장치상에 부적당한 배터리유형의 오장착(mistalenly loading)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장치의 유형을 명확하고도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었고 주장치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배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사하게 주장치에 손상을 입히지 않기 위해 주장치 상에 부적당한 배터리의 오장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유형의 명확하고 확실한 식별을 제공하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장치는 배터리수용부를 가지며 그 최외측상의 측면에 장착표면부를 가지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장착표면부는 주장치의 셋팅표면부에 접속된다. 배터리장치는 또한 수용에 있어서 배터리 수용부내에 수용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케이스의 장착표면부는 접촉표면상에 열린 개구단부를 가지며 주장치상에서 장착방향에 평행한 개구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식별홈을 가진다. 접촉표면은 장착표면부에 직각방향으로 케이스의 장착표면상에 형성된다.
배터리수용부는 각각 사실상 기둥형의 횡단면인 복수의 배터리를 나란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아치형의 단면을 가지는 연속적인 내부벽부에 의해 경계된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식별홈은 내부벽부의 두꺼운 부분의 장착표면부에 형성된다.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홈은 케이스의 최외측에 장착방향에 평행한 장착표면부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케이스의 두 측면부에 형성된다. 식별홈은 장착표면부의 중심선에 대해 엇갈린 위치에 장착되고, 가이드홈의 전단부는 식별홈의 단자단부보다 접촉표면에 더 가깝다.
케이스는 식별홈의 개구단부가 제공된 측면의 양쪽단부상에 단자를 가진다. 단자는 배터리수용부내에 수용된 배터리와 접속된다.
장착홈은 서로에게 평행하게 배치된 것들을 포함한다. 충전식별부재는 배터리가 충전된 상태거나 충전되지 않은 상태인가를 표시하기 위해 장착홈을 향하면서 이동 가능하다 장착된다.
상기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는 배터리수용부가 배치된 케이스를 가지는 배터리장치를 가진다. 배터리장치는 그 최외측상의 측면상에 장착표면부를 가진다. 장착표면부는 주장치의 셋팅표면부 및 수용에 있어서 배터리수용부내에 수용된 배터리에 접속된다. 케이스의 장착표면부는 접촉표면상에 열린 개구단부를 가지며 주장치상에 장착방향에 평행한 개구단부로부터 연장된 식별홈을 가진다. 접촉표면은 장착표면부에 직각방향으로 케이스의 장착표면상에 형성된다. 장착장치는 또한 그 상면에 배터리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그 최외측의 측면상에 셋팅표면부도 또한 포함하는 케이스를 가지는 주장치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또한 셋팅표면에 직각으로 셋팅표면부상에 형성된 접촉표면에 그일단부에 확보된 늑골형 식별돌기를 가진다. 식별돌기는 셋팅표면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주장치상의 식별돌기는 배터리장치에서 식별홈과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배터리장치는 장착방향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장착표면부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그 측면상에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홈을 가진다. 식별홈은 장착표면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엇갈린다. 가이드홈의 전단부는 식별홈의 단자단부보다 접촉표면에 더 가깝다.
배터리장치는 서로에게 평행한 식별홈과 장착홈을 가지며, 또한 배터리가 충전된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장착홈과 대면하는 이동 가능하다 장착된 충전식별부재를 가진다. 주장치는 배터리장치상에 제공된 충전식별부재를 안쪽으로 밀어 넣기 위해서 식별돌기의 근접단부에 구동부를 가진다. 충전식별부재는 주장치의 셋팅표면부와 면하는 절단홈을 가진다. 주장치는 구동부와 일직선으로 충전식별부재내에 형성된 절단홈과 맞물린 체결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설명의 배터리장치에 있어서, 식별홈이 장착표면부의 중심선에 대해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전단부가 식별홈의 단자단부보다 접촉표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므로, 주장치가 배터리장치의 가이드홈이 주장치에 접촉될 때 초기 장착위치에서 식별홈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에 있어서, 식별홈이 배터리장치의 장착표면부의 중심선에 대해 엇갈리게 되고, 가이드홈의 전단부가 식별홈의 단자단부보다 접촉표면에 더 가깝게 되므로, 식별돌기가 주장치의 셋팅표면부의 중심선에 대해 엇갈리게 되는 반면, 가이드돌기의 전단부는 식별돌기의 단지 단부보다 접촉표면에 더 가깝고, 식별돌기는 주장치상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배터리장치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접촉되는 초기 장착상태에서 식별홈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에 있어서, 적적한 배터리장치가 주장치상에 장착되면, 배터리는 배터리장치의 장착의 완결전에 배터리장치의 셋팅표면부에 끼워지게 되는 주장치의 식별돌기에 의해 경사지게 된다. 이처럼, 장착장치에 있어서 주장치상에 부적당한 배터리장치의 시도된 장착이 불합격될 수 있다.
제 1도 내지 제 2도 및 제 16도 내지 제 18도를 따라서 본 발명의 언급된 실시예들이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배터리장치(1)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배터리장치(51)의 구조와 비슷하며, 배터리수용부(1B)와 배터리수용부(1B)내에 수용된 복수의 재충전전지(11) 및 재충전전지(11)에 접속된 단자(12A,12B)를 갖는 케이스(1A)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A)는 제 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실상 사각형의 배터리수용부(1B)는 사실상 기둥형의 재충전전지를 그 내부에 나란히 홀딩하기 위한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아치형의 횡단면을 갖는 내부벽부에 의해 경계된다.
배터리수용부(1B)내에는 두 개의 사실상 기둥형의 재충전전지로 각각 구성된 두개의 줄이 나란히 두 개의 단에 배열되어 있다.
제 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착표면부(1C)상에는 배터리수용부(1B)의 내부벽부의 두껍게한 부분에 등록되어 장착표면부(1C)에 직각으로 연장시키는 접촉표면에 개방된 개구단을 갖는 식별홈(4)이 형성되어 있다.
제 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착홈(6)은 식별홈(4)과 평행하여 장착표면부(1C)에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홈(6)에는 충전식별부재(Chargingdiscrimination member)(7)가 이동 가능하다 설치되어 있다. 충전식별부재(7)는 장착표면부(1C)에 개방된 절단홈(7A)으로 형성된다. 절단홈은 보이진 않지만 주장치에 제공된 체결부재에 의해 배터리장치가 주장치의 밖으로 분해되어 이탈되도록 해주기 위해 체결된다.
장착표면부(1C)에는 식별홈(4)의 한쪽 끝에 접속하는 사실상 정방형의 홈(14)이 형성된다. 장착표면부(1C)에는 홈(14)의 중심선에 등록되어 장착표면부(1C)의 중간부에 사실상 직사각형의 장착가이드홈(15)이 형성된다.
장착표면부(1C)에는 상기 가이드홈(15)의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장착 및 홀딩홈(16)이 또한 형성된다.
장착방향과 평행하여 장착표면부(1C)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케이스(1A)의 측면부에는 제 1도 및 제 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착표면부(1C)의 한쪽끝에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사실상 L형의 제 1도 및 제 2가이드홈(9A,9B)이 서로 직렬로 형성된다. 케이스(1A)의 반대 측면부에는 각각 제 1 및 제 2가이드홈(9A,9B)에 등록되어 제 3 가이드홈(9C)과 제 4가이드홈(9D)이 서로 직렬로 형성된다.
장착표면부(1C)에 형성된 식별홈(4)은 장착표면부(1C)의 중심선에 대하여 어긋나며, 제 1가이드홈(9A)과 제 2가이드홈(9C)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부분을 갖도록 장축으로 형성된다. 다시말해서 제 1 및 제 3 가이드홈(9A,9C)의 전단은 장착표면부(1C)로 정상적으로 연장하는 접촉표면에 식별홈(4)의 후단보다 더 밀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설명된 배터리장치(1)의 언급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홈(4)이 장착표면부(1C)의 중심선의 한측에 어긋나고, 제 1 및 제 3가이드홈(9A,9C)의 전단이 식별홈(4)의 후단보다 장착표면부(1C)에 정상적으로 접촉표면에 밀접하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식별홈(4)은 배터리장치(1)의 제 1가이드홈 내지 제 4가이드홈(9A 내지 9D)이 주장치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시키는 초기장착상태에서 주장치에 의해 명확히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장치(2)에 배터리장치(1)의 잘못된 장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주장치(2)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제 5도 내지 제 12도와 제 15도 및 제 16도를 언급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의 설명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제 9도를 보면,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3)는 배터리장치(1)와 배터리장치가 장착된 주장치(2)로 구성된다. 배터리장치(1)는 제 1도 내지 제 4도를 참고로 상기 언급된 바와 비슷하다.
주장치(2)는 배터리장치(1)가 장착된 셋팅표면부(2B)를 가진 케이스(2A)와, 배터리장치(1)의 단자(12A,12B)에 각각 접촉되어 접속되는 접속단자(13A,13B)를 가진 장치의 본체를 갖는다.
케이스(2A)에는 제 6도 및 제 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쪽끝이 셋팅표면부(2B)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접촉표면(2E)에 단단히 고정된 사실상 L형의 식별돌기(discrimination protrusions)(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별돌기(5)는 그 근접단에 완전히 형성된 구동부(8)를 갖는다.
셋팅표면부(2B)는 사실상 직사각형의 체결부(engagement portion)(17)가 한쪽측면 끝에서 완전히 돌출된 사실상 직사각형의 개구(20)를 갖는다. 체결부(17)는 그 근전부에 대해 탕선으로 굴절되도록 구성되었으며, 그 근접단에 완전히 형성된체결돌기(engagement lug)(17A)를 갖는다.
세팅표면부(2B)위에는 체결부(17)의 연장선에 타원형의 횡단면의 기둥형태로 장착가이드(loading guide)(18)가 돌출된다. 세팅표면부(2b)내에는 장착가이드(18)와 일치하는 중심선을 갖는 사실상 직사각형의 개구(21)가 형성된다. 개구(21)의 측면으로부터는 사실상 직각형의 장착홀딩부(19)가 완전히 돌출된다. 장착홀딩부(loading holding portion)(19)는 받침점으로서 그 근접단에 대해 탄성으로 굴절되도록 구성되며, 장착 및 홀딩돌기(19A)가 완전히 형성된 말단부를 갖는다.
케이스(2A)는 셋팅표면부(2B)에 직각으로 장착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쌍의 가이드벽부(2C,2D)로 완전히 형성된다. 가이드벽부(2C)의 내부벽부상에는 L형의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10A,10B)가 서로 직렬로 형성된다.
내부가이드벽부(2C)로 제 1 및 제 2가이드돌기(10A,10B)를 진행시키는 반대쪽 가이드벽부(2D)의 내부벽부상에는 각각 제 1 및 제 2가이드돌기(10A,10B)에 접하는 제 3가이드돌기(10C) 및 제 4가이드돌기(10D)가 완전히 형성된다.
장착표면부(2B)는 장착표면부(2B)의 중심선에 대하여 어긋나는 식별돌기(5)를 가지며, 제 1가이드돌기(10A) 및 제 2가이드돌기(10C)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일부분을 갖도록 장축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3 가이드돌기(10A,10C)의 전단은 식별돌기(5)의 후단보다 접촉표면(2E)에 더 밀접하게 위치된다.
케이스(2A)의 접촉표면(2E)의 양단위에는 양전극으로서 제 1접속단자 (13A)가 형성되고 음전극으로써 제 2접속단자(13B)가 형성된다. 상기의 제1접속단자(13A)와 제 2접속단자(13B)는 보이진 않지만 dc변환기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2접속단자(13A,13B)는 사실상 U형의 횡단면을 가진 보호부재(22)에 의해 보호된다. 보호부재(22)는 장착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장착되고 보호부재(22)의 밖으로 제 1접속단자(13A)와 제 2접속단자(13B)를 돌출시키기 위해, 보이진 않지만 탄성부재의 탄성적인 변형에 의해 접촉표면(2E)을 향해 이동된다.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3)에 의해 배터리장치(1)의 장착구동 과, 배터리장치(1)내에 제공된 충전식별부재(7)의 이동구동 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주장치(2)의 가이드벽부(2C,2D)의 내부벽부에 형성된 제 1내지 제 4가이드돌기(10A 내지 10D)는 제 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착방향과 평행하여 연장하는 배터리장치(1)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가이드 홈(9A내지 9D)에 지탱되도록 시킨다.
배터리장치(1)가 제 8도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처럼 장착방향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주장치(2)의 가이드벽부(2C, 2D)에 형성된 제 1내지 제 4가이드돌기(10A 내지 10D)는 각각 배터리장치(1)의 제 1내지 제 4 가이드홈(9A 내지 9D)의 끝에 지탱되도록 시키는 가이드돌기들에 의해 주장치(2)에 유지된다.
배터리장치(1)가 장착방향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주장치(2)의 셋팅표면부(2B)에 완전히 형성된 장착가이드(18)는 장착표면부(1C)에 형성된 장착가이드홈(15)속으로 삽입되며, 그 결과, 장착가이드(18)는 장착가이드홈(15)을 따라 이동된다. 배터리장치(1)는 장착가이드홈(15)의 한쪽 끝에 지탱되도록 시키는 장착가이드(18)에 의해 주장치(2)에 유지된다.
게다가, 배터리장치(1)가 장착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주장치(2)의 셋팅표면부(2B)에 볼록하게 형성된 장착 및 홀딩부(19)는 장착표면부(1C)에 형성된 장착 및 홀딩홈(16)내에 탄성적으로 굴절되며, 그 결과 장착 및 홀딩돌기(19A)는 주장치(2)위에 배터리장치(1)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착 및 홀딩홈(16)에 체결된다.
또한, 배터리장치(1)가 장착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주장치(2)의 식별돌기(5)에 형성된 구동부(8)는 장착표면부(1C)의 장착홈(6)에 이동 가능하다 장착된 충전식별부(5)의 한쪽 끝에 지탱하도록 야기된다. 따라서 배터리장치(1)가 장착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충전식별부재(7)는 구동부(8)에 의해 내측으로 떠밀려진다. 그렇게 주장치(2)에 장착된 위치에서 배터리장치(1)가 장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장착 및 홀딩부(19)는 장착 및 홀딩홈(16)으로부터 장착 및 홀딩돌기(19A)를 해체하기 위해 장착 및 홀딩홈(16)의 한쪽 끝에 의해 탄성적으로 굴절된다.
또한, 그렇게 주장치(2)의 위치로 장착된 배터리장치(1)가 장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주장치(2)의 셋팅표면부(2B)의 체결부(17)의 한쪽으로써 볼록하게 형성된 체결돌기(17A)는 장착표면부(1C)의 장착홈(6)내에 이동 가능하다 장착된 충전식별부재(7)내에 장착된 절단홈(7A)내에 체결된다. 따라서, 배터리장치(1)가 장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충전식별부재(7)는 체결돌기(17A)에 의해 밖으로 잡아떨어지게 된다.
배터리장치(1)를 식별하는 주장치(2)에 의한 구동 은 제 9도 내지 제 12도에 언급함으로써 설명되었다. 배터리장치(1)가 주장치(2)에 장착되면, 식별돌기(5)는 제 9도 및 제 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식별홈(4)을 따라 삽입된다. 식별홈(4)으로의 식별돌기(5)의 삽입에 의해, 주장치(2)는 그 위에 장착된 배터리장치(1)를 식별하게 된다.
제 11도 및 제 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식별돌기(5)가 배터리장치(51)의 체결홈(40)의 중심선에 대하여 어긋나는 위치에서 주장치(2)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주장치(2)는 배터리장치(51)의 장착표면부(51B)에 접속되는 식별돌기(5)에 의해 배터리장치(51)를 식별하게 된다.
주장치(2)의 제 1내지 제 4가이드돌기(10A,10D)가 제 1 및 제 4가이드홈(46A,46D)에 지탱되도록 야기되는 초기장착상태에서, 배터리장치(51)는 장착표면부(5IB)에 대한 식별돌기(5)의 접촉에 의해 기울어진다.
따라서 주장치는 배터리장치의 기울기를 기초로 부적당한 배터리장치(51)의 장착을 인식하게 된다.
제 16도 내지 제 18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장치(1)와 전자장치 사이의 구동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특히,제 16도는 홈(30)에 삽입되도록 적합화된 배터리장치(1)의 사시도이다. 나타낸 바와같이, 식별돌기(5)는 부적당한 형태의 배터리장치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홈(30)내에 제공된다.
제 17도는 그러한 홈(30)이 제공된 전자장치를 위해서 본 사시도이다. 제 18도는 홈(30)에 배치된 배터리장치(1)의 윤곽을 종래의 배터리장치(51)(윤곽으로 나타냄)와 비교하여 나타낸다.
설명된 실시예의 앞서설명된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3)에 있어서, 식별홈(4)은 배터리장치(1)의 장착표면부(1C)의 중심선에 대해 어긋나게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9A,9C)의 전단은 식별홈(4)의 후단보다 장착표면부(1C)의정상적인 접촉표면에 더 밀접하게 되도록 위치되는 반면, 식별돌기(5)는 주장치(2)의 셋팅표면부(2B)의 중심선에 대하여 엇갈리는 위치에서 형성되고, 제 1 및 제 3가이드돌기(10A,10C)의 전단은 식별돌기(5)의 후단보다 접촉표면(W3)에 더 근접하게 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3)에 있어서, 식별돌기(5)는 주장치(2)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가이드돌기(10A,10B)가 배터리장치(1)형성된 제 1내지 제 4가이드홈(9A,9D)에 접촉되는 초기의 장착위치에서 식별홈(4)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3)에 있어 주장치(2)상에 배터리장치(51)의 장착의 완결전에 식별돌기(5)에 의해 배터리장치(51)를 명확하게 확실히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며,그렇게 함으로써 부적당한 배터리장치(51)의 장착의 거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3)에 있어, 배터리장치가 장착된 주장치는 배터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이다. 그렇지만 주 장치는 또한 충전기가 되는 대신에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의 케이스에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앞서 설명된 배터리장치에 있어 식별돌기가 장착표면부의 중심선에 대해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가이드홈의 전단이 식별홈의 후단보다 접촉표면에 더 밀접하게 되도록 위치되고, 게다가 식별홈이 배터리장치의 가이드홈이 주장치에 접촉되는 초기장착상태에서 주장치에 의해 명확하게 확실히 식별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장착 및 그 결과로서 생기는 주장치의 파괴를 완전히 방지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에 있어서, 식별홈은 배터리장치의 장착표면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어긋나는 상태로 형성되며, 제 1 및 제 2가이드홈의 전단은 식별홈이 후단보다 장착표면부에 정상적인 접촉표면에 더 밀접하게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반면에 식별돌기는 주장치의 셋팅표면부의 중심선에 대해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1 및 제 3가이드돌기의 전단은 식별돌기의 후단보다 접촉표면에 더 밀접하게 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배터리장치는 주장치의 위에 배터리장치가 초기 장착하는 상태에서 식별돌기에 의해 명확하게 확실히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부적당한 배터리장치의 장착 및 결과를 생기는 주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배터리장치의 장착표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에 나타난 배터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 3도는 제 1도에 나타난 배터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4도는 제 1도에 나타난 배터리장치의 장착표면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터리장치 및 주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6도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7도는 제 6도의 A-A선을 따라 취해지는 종단면도이다.
제 8도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주장치상에 배터리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 종단면도이다.
제 9도는 배터리장치 및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주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제 10도는 배터리장치 및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주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제 11도는 배터리장치 및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주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제 12도는 배터리장치 및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주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제 13도는 종래의 배터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4도는 종래의 배터리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5도는 종래의 배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제 16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장치의 홈 및 배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제 17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장치의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18도는 전자장치의 홈과 본 발명의 배터리장치 및 종래 배터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배터리장치 1A. 케이스
1S. 배터리Ⅰ부 1C. 장착표면부
2. 주장치 2B. 셋팅표면부
2C,2D. 가이드벽부 2E. 접촉표면
3. 장착장치 4. 식별홈
5. L-형 식별돌기 6. 장착홈
7. 충전식별부재 7A. 절단홈(cut-out groove)
8. 구동부 9A~9D. 가이드홈
10A∼10D. 가이드돌기 11. 재충전전지
12A,12B,13A,13B.단자 14. 정방형홈
15. 직사각형 장착가이드홈 16. 장착 및 홀딩홈
17. 직사각형 체결부 17A. 체결돌기
18. 장착가이드 19. 장착 및 홀딩부
19A. 장착 및 홀딩돌기 20,21. 개구
22. 보호부재 40. 장착홈
41. 충전식별부재 44. 장착가이드홈
46A~46D. 가이드홈 47A∼47D. 가이드돌기
48A, 48B. 단자 49A, 49B. 접속단자
51. 배터리장치 51A. 케이스
51B. 장착표면부 52. 주장치
52A. 케이스 52B. 셋팅표면부
52C,52D. 가이드벽부 52E. 접촉표면
55. 장착가이드부 56. 개구
57. 장착홀딩부 57A. 장착홀딩돌기
Claims (7)
-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수용부(1B)를 가지며, 측외주면상에 장착표면부(1C)를 가지는 케이스(1A)를 포함하며,상기 장착표면부(1C)는 주장치(2)의 셋팅표면부(2B)에 접속하도록 적용되며, 상기 수용부내의 상기 배터리수용부(1B)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며,상기 케이스(1A)의 장착표면부(1C)는 접촉표면 (2E)상에 개방된 개구단을 가지고 상기 개구단에서 주장치(2)의 배터리 장치의 장착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식별돌기(5)를 가지며, 상기 접촉표면(2E)은 장착표면부(1C)에 직각의 방향으로 케이스(1A)의 장착표면부(1C)상에 형성하고,적어도 한쌍의 가이드홈이 케이스(1A)의 측면부에서 장착방향과 평행하는 장착표면부(1C)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케이스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식별홈(4)은 장착표면부(1C)의 중심선에 대하여 어긋나는 위치에 위치되며, 주장치(2)의 배터리 장치의 장착방향에 관하여 가이드홈의 전단이 식별홈(4)의 후단보다 상기 접촉표면(2E)에 더 밀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 배터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배터리수용부(1B)는 각각 사실상 기둥형의 횡단면을 갖는 복수의 배터리를홀딩하기 위한 아치형의 횡단면을 갖는 연속적인 내부벽부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식별홈(4)은 내부벽부의 두껍게 된 부분의 장착표면부(1C)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 배터리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장착홈은 서로 평행하는 장착홈들을 이루고 충전식별부재(7)는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은 것인지 충전된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장착홈(6)을 마주보고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 배터리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케이스(1A)는 식별홈(4)의 개구단에 제공된 측면의 각단에 단자를 가지며,상기 단자는 배터리수용부(1B)내에 수용된 배터리에 접속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 배터리장치.
- 배터리 장치용 장착 장치에 있어서,내부에 배터리수용부(1B)를 가지며, 외주면상에 장착표면부(1C)를 가지는 케이스(1A)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표면부(1C)는 주장치(2)의 셋팅표면부(2B)와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수용부(1B)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며, 상기 장착표면부(1C)는 접촉표면(2E)위에 개방된 개구단을 가지며 상기 개구단으로부터 주장치(2)위의 배터리 장치의 장착방향과 평행하여 연장되는 식별돌기(5)를 가지며, 상기 접촉표면(2E)은 장착표면부(1C)에 직각의 방향으로 케이스(1A)의 장착표면부(1C)에 형성되게 되며,그 위에 배터리장치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그의 측외주면에 회전하는 셋팅표면부(2B)를 갖는 케이스(1A)를 가진 주장치(2)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A)는 또한 직각으로 셋팅표면부(2B)에 형성된 접촉표면(aboutment surface)(2E)의 한쪽끝이 단단히 고정된 늑골형(rib-shape)의 식별돌기(5)를 가지며, 상기 식별돌기(5)는 셋팅표면부(2B)에 완전히 형성되며,상기 주장치(2)상의 상기 식별돌기(5)는 배터리장치의 상기 식별홈(4)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배터리장치는 그 측면에 장착방향과 평행하여 연장하는 장착표면부(1C)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홈을 가지며, 식별홈(4)은 장착표면부(1C)의 중심선에 대하여 어긋나게 되며, 주장치의 배터리 장치의 장착 방향에 관하여 가이드홈의 전단은 식별홈(4)의 후단보다 접촉표면(2E)에 더 밀접하게 되며,상기 주장치(2)는 셋팅표면부(2B)에 직각으로 연장하기 위하여 셋팅표면부(2B)의 각 측면상에 적어도 한 개의 가이드벽부를 가지며, 가이드돌기는 가이드 벽부의 내부벽부상에 형성되며, 식별돌기(5)는 셋팅표면부(2B)의 중심선에 대하여 어긋나는 위치에 완전히 형성되며, 주장치(2)의 배터리 장치의 장착방향에 관하여 가이드 돌기의 전단은 식별돌기(5)의 후단보다 접촉표면(2E)에 더 밀접하게 되며,여기서, 주장치(2)에 제공된 가이드돌기가 배터리장치에 형성된 가이드홈속으로 삽입되는 초기의 장착상태에서, 식별돌기(5)는 주장치(2)내로 배터리장치를 장착시키는 동안 식별홈(4)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
- 제 5항에 있어서,배터리장치는 서로 평행하는 식별홈(4) 및 장착홈과 배터리가 충전된 것인지 안된 것인지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장착홈을 마주보고 이동하게 장착된 충전식별부재(7)를 가지며,주장치(2)는 배터리에 제공된 충전식별부재(7)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식별돌기(5)의 근접단에 구동부(8)(actuating port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충전식별부재(7)는 주장치(2)의 셋팅표면부(2B)에 접하는 절단홈(7A)을 가지며, 주장치(2)는 구동부(8)와 일렬로 충전식별부재(7)에 형성된 절단홈(7A)에 체결가능한 체결돌기(17A)를 포함하며, 여기서 체결돌기(17A)는 배터리 장치(1)의 장착표면부(1C)가 충전식별부재(7)를 적출 및 교체하기 위하여 주장치(2)의 셋팅표면부(2B)에서 분리될 때 절단홈(7A)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용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1021194A JP3627260B2 (ja) | 1994-09-02 | 1994-09-02 | バッテリ装置及びこのバッテリ装置の装着装置 |
JP94-210211 | 1994-09-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2674A KR960012674A (ko) | 1996-04-20 |
KR100415243B1 true KR100415243B1 (ko) | 2004-03-30 |
Family
ID=1658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8683A KR100415243B1 (ko) | 1994-09-02 | 1995-09-02 | 배터리장치및배터리장치용장착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5672441A (ko) |
EP (1) | EP0707350B1 (ko) |
JP (1) | JP3627260B2 (ko) |
KR (1) | KR100415243B1 (ko) |
CN (3) | CN1090386C (ko) |
ES (1) | ES2179863T3 (ko) |
HK (3) | HK1013174A1 (ko) |
MY (1) | MY11489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75646B2 (ja) * | 1995-12-06 | 2004-10-13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ツテリーパツク |
JPH11274758A (ja) * | 1998-03-19 | 1999-10-08 | Smk Corp | 小型電子機器の着脱装置 |
JP3667982B2 (ja) * | 1998-03-19 | 2005-07-06 | Smk株式会社 | 小型電子機器の着脱装置 |
USD432982S (en) * | 1999-02-01 | 2000-10-31 | Sony Corporation | Rechargeable battery |
JP4110656B2 (ja) * | 1999-02-17 | 2008-07-02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
JP4110657B2 (ja) | 1999-02-17 | 2008-07-02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
US6075341A (en) * | 1999-02-17 | 2000-06-13 | Black & Decker Inc. | Power pack charging system for a power tool |
USD426513S (en) * | 1999-03-12 | 2000-06-13 |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 Battery pack casing |
US6326767B1 (en) | 1999-03-30 | 2001-12-04 |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 Rechargeable battery pack charging system with redundant safety systems |
USD428384S (en) * | 1999-08-23 | 2000-07-18 | Sony Corporation | Rechargeable battery |
EP1128517A3 (en) * | 2000-02-24 | 2003-12-10 | Makita Corporation | Adapters for rechargeable battery packs |
US6326766B1 (en) | 2000-06-09 | 2001-12-04 |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 Rechargable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charger with safety mechanisms |
US6525511B2 (en) | 2000-08-11 | 2003-02-25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Adapter for a power tool battery |
KR100894793B1 (ko) * | 2001-07-24 | 2009-04-24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본체측 기기에 대한 장착 부품의 오장착 방지 방법, 이에이용되는 장착 부품 및 배터리 팩 |
AU2002320687B2 (en) * | 2001-07-25 | 2008-05-01 | Sony Corporation | Terminal structure and mounting part |
US6729413B2 (en) | 2001-08-24 | 2004-05-04 | Black & Decker Inc. |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ejector |
US8604752B2 (en) | 2003-10-14 | 2013-12-10 | Robert Bosch Gmbh | Portable battery charging and audio unit |
US7835534B2 (en) | 2003-10-14 | 2010-11-16 | Robert Bosch Gmbh | Battery charging jobsite lunchbox |
JP2005165545A (ja) * | 2003-12-01 | 2005-06-23 | Sony Corp | 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
JP4123517B2 (ja) | 2003-12-26 | 2008-07-23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装置 |
JP4123515B2 (ja) | 2003-12-26 | 2008-07-23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装置 |
JP4123516B2 (ja) | 2003-12-26 | 2008-07-23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装置 |
US20060251958A1 (en) * | 2005-05-05 | 2006-11-09 | Adan Ayala | Battery charge indicator |
JP4458024B2 (ja) * | 2005-11-17 | 2010-04-28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電動工具 |
JP5391525B2 (ja) * | 2007-03-30 | 2014-01-15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パック |
JP4600415B2 (ja) * | 2007-03-30 | 2010-12-15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パック |
EP3255963B1 (en) * | 2015-10-10 | 2019-05-29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
JP6191796B1 (ja) | 2017-02-10 | 2017-09-06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
US10615384B2 (en) | 2017-02-10 | 2020-04-07 | Sony Corporation | Battery and connection apparatus |
EP4016718A1 (en) * | 2017-02-10 | 2022-06-22 | Sony Group Corporation | Battery and connection apparatus |
JP6961985B2 (ja) * | 2017-02-10 | 2021-11-05 |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
JP6191795B1 (ja) | 2017-02-10 | 2017-09-06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
JP6555305B2 (ja) * | 2017-08-08 | 2019-08-07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59573A1 (en) * | 1992-03-06 | 1993-09-08 | Sony Corporation | Battery pack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820230D0 (en) * | 1988-08-25 | 1988-09-28 | Steeper Hugh Ltd | Battery & battery receptacle arrangement |
CA2096793C (en) * | 1992-05-29 | 2003-09-30 | Hidero Mitsui | Battery cartridge having a recess for detecting misuse and/or recessed terminals |
JP3289320B2 (ja) * | 1992-06-30 | 2002-06-04 | ソニー株式会社 | バッテリーパック |
JP3215231B2 (ja) * | 1993-07-26 | 2001-10-02 | 株式会社東芝 | 携帯型情報処理装置 |
-
1994
- 1994-09-02 JP JP21021194A patent/JP3627260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
- 1995-08-31 US US08/521,758 patent/US5672441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9-01 ES ES95401991T patent/ES2179863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9-01 EP EP95401991A patent/EP070735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9-02 KR KR1019950028683A patent/KR1004152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9-02 MY MYPI95002607A patent/MY114894A/en unknown
- 1995-09-02 CN CN95117112A patent/CN1090386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9-02 CN CNB991069552A patent/CN1169243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9-02 CN CNB200410069939XA patent/CN1276526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
- 1998-12-17 HK HK98113954A patent/HK1013174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
- 2000-06-01 HK HK00103342A patent/HK1025671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5-26 HK HK05104430A patent/HK1073533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59573A1 (en) * | 1992-03-06 | 1993-09-08 | Sony Corporation | Battery p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2674A (ko) | 1996-04-20 |
ES2179863T3 (es) | 2003-02-01 |
US5672441A (en) | 1997-09-30 |
EP0707350A1 (en) | 1996-04-17 |
CN1237801A (zh) | 1999-12-08 |
JPH0877991A (ja) | 1996-03-22 |
HK1013174A1 (en) | 1999-08-13 |
CN1128409A (zh) | 1996-08-07 |
HK1073533A1 (en) | 2005-10-07 |
CN1276526C (zh) | 2006-09-20 |
CN1090386C (zh) | 2002-09-04 |
CN1555104A (zh) | 2004-12-15 |
MY114894A (en) | 2003-02-28 |
EP0707350B1 (en) | 2002-06-05 |
JP3627260B2 (ja) | 2005-03-09 |
HK1025671A1 (en) | 2000-11-17 |
CN1169243C (zh) | 2004-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15243B1 (ko) | 배터리장치및배터리장치용장착장치 | |
EP0572327B1 (en) | Battery pack having recesses to detect proper attachment of the pack to a battery charger | |
US7354301B2 (en) | DC adapt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0438746B1 (ko) | 배터리팩 | |
AU709851B2 (en) | Battery device | |
US5476729A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removable battery pack assembly | |
US5804331A (en) | Battery device | |
EP0676819A2 (en) |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battery device as power source | |
IL126662A (en) | Keyed self-latching battery pack for a portable defibrillator | |
US4083011A (en) | Battery holder and connector for a radio receiver or the like | |
CN1278661A (zh) | 电池组件 | |
JPH05335036A (ja) | バッテリパック | |
US6228526B1 (en) | Battery pack having durable terminals | |
JP3086398B2 (ja) | 電池ホルダー | |
JPH08316651A (ja) | 電子機器 | |
JP4001144B2 (ja) | Dcアダプ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JP4736427B2 (ja) | バッテリー装置及び電子機器 | |
JPH08306350A (ja) | 電源収納室を具えた電気機器 | |
JPS63103630A (ja) | 充電式掃除機の電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