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774B1 - 오일 분리기 - Google Patents

오일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774B1
KR100414774B1 KR10-2002-0012954A KR20020012954A KR100414774B1 KR 100414774 B1 KR100414774 B1 KR 100414774B1 KR 20020012954 A KR20020012954 A KR 20020012954A KR 100414774 B1 KR100414774 B1 KR 10041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oil
oil separator
case bod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545A (ko
Inventor
다나카지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7007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08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700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66621A/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8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fil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19Crankcase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거된 오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 분리기와, 압력 손실의 증가 없이 오일 미스트의 향상된 분리 효율을 갖는 오일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미스트 상태의 오일을 함유하는 가스성 유체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 그 상측부에 개구부를 포함하는 중공형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구를 덮기 위한 리드와, 케이스 본체내의 여과기를 포함하며, 케이스 본체내로의 가스성 유체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는 케이스 본체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가스성 유체의 유출 유동을 위한 출구는 리드에 형성되며, 분리된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오일 분리기{OIL SEPARATOR}
본 발명은 블로바이 가스와 같은 가스성 유체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스 열 펌프식 공기 조절 장치용 가스 엔진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오일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열 펌프가 냉각 및 가열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공기 조절 장치는 실내 열교환기,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 밸브 등을 포함하는 냉매 회로를 구비한다. 냉매는 냉매 회로내에서 순환하며,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내의 공기와 열을 교환하여 공기 조절된 챔버를 가열 및 냉각시킨다. 또한, 챔버를 가열하기 위해서, 실외 열교환기 뿐만 아니라 냉매를 직접 가열하기 위한 냉매 가열 장치가 냉매 회로내에 종종 제공된다.
최근에, 보통의 모터를 대신해 냉매 회로내에 제공된 압축기용 동력원으로서 가스 엔진을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가 제안되었다. 가스 엔진을 이용하는 공기 조절 장치는 가스 열 펌프식 공기 조절 장치로 불린다(하기에 "GHP"라고 함). GHP는 연료로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상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절 장치(하기에 "EHP"라고 함)와 비교하여 그 가동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GHP에서 가열 작동 동안 가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배기 가스 열이 냉매용 열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가열 능력은 향상될 수 있으며, 에너지 이용 효율도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가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 열이GHP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GHP는 전술한 냉매 가열 장치와 같은 특정한 장치를 필요치 않는다.
또한 GHP는 가열 작동 동안에 실외 열교환기의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엔진 배기 열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HP는 가열 작동을 중지하고 일시적인 냉각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의 서리를 제거한다. 즉, EHP의 서리 제거 동안에, 냉각된 공기는 챔버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챔버내에 있는 사람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대조적으로, GHP는 배기 열을 이용할 수 있으며, EHP에 의해 야기되는 위와 같은 문제없이 지속적으로 가열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GHP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다음의 문제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GHP는 압축기용 구동원으로서 가스 엔진을 사용한다. 가스 엔진에서, 블로바이 가스에 함유된 오일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블로바이 가스는 피스톤 링과 실린더 사이의 갭을 통해 연소실로부터 크랭크 케이스내로 누출된 가스이다. 일반적으로, 블로바이 가스는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엔진 흡기 시스템내로 리턴된 다음에 연소실로 다시 보내진다.
블로바이 가스는 미스트 상태의 윤활유(이하 "오일 미스트"라 칭함")를 함유하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위한 라인(이하 "블로바이 가스 라인"이라 칭함)상의 적절한 위치에는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와 같은 오일 미스트를 퇴적 및 제거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가 제공된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는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로 사용된 종래의 오일 분리기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140)는 오일 분리기를 표시하고,참조부호(141)는 케이스 본체를 표시하며, 참조부호(142)는 리드를 표시하고, 참조부호(143)는 여과기를 표시하며, 참조부호(144)는 가스성 유체 입구를 표시하고, 참조부호(145)는 가스성 유체 출구를 표시하며, 참조부호(146)는 여과기(143)에 의해 퇴적된 오일 미스트용 유출 출구를 표시한다. 또한, 케이스 본체(141) 및 리드(142)는 오일 분리기(140)의 케이싱을 포함한다.
오일 분리기(140)에서, 가스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 연결된 입구(144)를 통해 유동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여과기(143)를 통과하여 가스 엔진의 흡기 시스템에 의해 출구(145)를 통해 흡인된다. 블로바이 가스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는 여과기(143)를 통과함에 따라서 분리 및 제거되고, 케이스 본체(141)의 바닥으로 떨어지며, 그 후에 유출 출구(146)를 통해 가스 엔진의 오일 팬으로 리턴된다. 오일 분리기(140)에서, 오일 미스트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블로바이 가스가 통과하는 여과기(143)의 높이를 가능한 증가시킨다. 오일 분리기(140)의 일정 작동 시간 후에 여과기(143)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여과기(143)를 교환하기 위해서, 리드(142)는 케이스 본체(141)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여과기(143)의 교환을 쉽게 하기 위해서, 리드(142)는 최대 영역을 갖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는 케이스 본체(141)의 측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리드(142)가 케이스 본체(141)의 측면에 형성된다면, 케이스 본체(141)의 바닥으로 떨어진 오일이 케이스 본체(141)와 리드(142) 사이의 갭으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블로바이 가스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는 오일 분리기(140)내에서 분리 및 제거되며, 유출 출구(146)가 구비된 케이스 본체(141)의 바닥에서의 압력은 케이스 본체(141)의 외측에서의 대기압보다 크다. 즉, 유출 출구(146)가 제공된 케이스 본체(141)의 바닥에서의 압력은 정압이다. 따라서,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모든 갭에서 압력 차이로 인해 오일이 누출될 수 있다.
오일 누출은 케이스 본체(141)와 리드(142) 사이의 시일을 향상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시일을 획득하기 위해서, 접촉부의 구조는 복잡해져야 하며, 따라서 오일 분리기의 제조 비용이 증가 될 것이다. 또한, 케이스 본체(141) 및 리드(142)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진다면 그 성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오일 분리기(140)에서, 여과기(143)는 저급한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부직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기(143)와 케이스 본체(141)의 내측벽 사이에 갭(S)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갭(S)이 발생되면,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여과기(143)를 통과하지 않고 갭(S)을 통과하여, 출구(145)를 통해 유출된다. 갭(S)은 오일 분리기(140)내에서의 오일 미스트의 분리 효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블로바이 가스가 여과기(143)를 확실히 통과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종래 오일 분리기(140)에서, 오일 미스트의 분리는 여과기(143)에 의해서만 수행되기 때문에, 충분한 분리 효율이 획득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여과기(143)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여과기(143)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상당한 압력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분리 효율은 여과기(143)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향상될 수 없다. 전술한 관점에서, 블로바이 가스내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가 압력 손실의 증가 없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오일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블로바이 가스와 같은 가스성 유체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제거하는 오일 분리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거된 오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 분리기와, 압력 손실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가스성 유체내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의 향상된 분리 효율을 갖는 오일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미스트 상태의 오일을 함유하는 가스성 유체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를 제공하며, 상기 오일 분리기는 그 상부에서의 개구를 포함하는 중공형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구를 덮는 리드와, 케이스 본체 내의 여과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내로의 가스성 유체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는 케이스 본체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가스성 유체의 유출 유동을 위한 출구는 상기 리드에 형성되며, 분리된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에 형성된다.
오일 분리기에서, 케이스 본체의 위에 형성된 개구는 리드로 덮이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 및 리드는 케이스 본체의 바닥, 즉 분리된 오일이 하강하는 부분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와 리드 사이의 접촉 부분에서 오일이 누출되지 않고 오일 분리기로부터 오일을 확실하게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기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분리기는 입구로부터 출구로 유동하는 가스성 유체를 여과기의 중심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안내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분리기에서, 가스성 유체는 안내부에 의해 여과기의 중심으로 유입되며, 여과기를 통과하지 않는 가스성 유체의 양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여과기와 케이스 본체의 내측벽 사이에 갭이 있다면, 오일 미스트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오일 분리기에서, 안내부는 케이스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리드의 바닥면에 제공된 원통형 부재이거나 또는 케이스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입구 위의 케이스 본체의 내측벽에 제공된 판상 링 부재이다.
또한, 오일 분리기에서, 케이스 본체는 여과기가 위치된 대형 상부 부분과, 입구 및 유출 출구가 제공된 소형 하부 부분을 포함하며, 입구로부터 출구로의 가스성 유체 유동이 대형 상부 부분과 소형 하부 부분 사이의 연결부에서 여과기의 중심내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분리기에서, 대형 상부 부분 및 소형 하부 부분은 가스성 유체를 여과기의 중심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안내부로서 기능하며, 여과기와 케이스 본체 사이에 갭이 있다면, 오일 미스트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오일 분리기에서, 가스성 액체 입구 및 분리된 오일을 위한 유출 출구는 정압 영역에 형성되며, 가스성 액체 출구는 부압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성 유체는 내연 기관용 블로바이 가스이며, 정압 영역은 내연 기관의 크랭크 케이스에 연결되고, 부압 영역은 내연 기관의 흡기 시스템에 연결된다. 따라서, 오일 분리기에서, 케이스 본체와 리드 사이의 접촉부가 부압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부에서의 압력은 케이스 본체의 외부측 압력, 즉 대기압 보다 낮으며, 오일이 오일 분리기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이 작아진다.
또한, 오일 분리기가 내연 기관의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가스성 유체 출구는 흡기 시스템에 연결되기 때문에, 부압 영역을 쉽게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미스트 상태의 오일을 함유하는 가스성 유체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다른 오일 분리기를 제공하며, 상기 오일 분리기는 케이싱 내에 유입된 가스성 유체의 순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순환 유동 형성부와, 가스성 유체의 순환 유동이 통과하는 여과기 부분을 포함한다.
오일 분리기에서, 오일 미스트는 순환 유동 형성부로 인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그리고 여과기를 통과함으로써 분리된다. 즉, 오일 미스트는 순환 유동 형성부 및 여과기에 의해 제공된 효과로 인해 가스성 유체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압력 손실을 증가되지 않고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오일 분리기에서, 가스성 유체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는 케이싱의 하부측에 제공되고, 가스성 유체의 유출 유동을 위한 출구는 케이싱의 상면에 제공되며, 분리된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는 케이싱의 바닥에 형성되고, 순환 유동 형성부는 케이싱의 하부 부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분리기에서, 가스성 유체가 순환 유동 형성부를 통과함으로써 가스성액체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의 양이 원심력으로 인해 감소되며, 오일 미스트의 소량만을 함유하는 가스성 유체가 여과기를 통과한다. 또한, 원심력에 의해 제거된 오일은 여과기 위치부를 통과하지 않고 유출 출구를 통해 케이싱에서 유출된다. 따라서, 여과기의 작동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과기에 의해 분리 및 제거된 오일은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 하강하여 유출 출구를 통해 케이싱으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입구의 개구의 위치 및 방향이 조절되어 가스성 유체가 케이싱의 내측벽을 따라 케이싱내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가스성 유체가 순환유동을 형성하기 쉽다.
또한, 순환 유동 형성부에서 가스성 유체의 순환 유동의 형성을 보조하기 위한 안내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순환 유동의 형성을 쉽게한다. 또한, 가스 유체 출구는 케이싱의 상면의 중심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가스 유체의 순환 유동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가스성 유체는 내연 기관의 블로바이 가스이고, 입구는 내연 기관의 크랭크 케이스에 연결되며, 출구는 내연 기관의 흡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서, 정압인 크랭크 케이스에 의해 압출된 가스성 유체는 부압인 흡기 시스템내로 오일 분리기를 통해 흡기되기 때문에, 오일 분리기내의 가스성 유체의 부드러운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상측에서 본 도 1에 도시된 오일 분리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a는 상측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b는 전방측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b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를 포함하는 GHP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GHP내의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의 유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오일 분리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a는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 유닛 2 : 냉매 배관
10 : 실외 유닛 12 : 열교환실
14 : 가스 엔진 14a : 오일 팬
14b : 크랭크 샤프트 14c : 피스톤
14d : 피스톤 링 14e : 실린더
14f : 크랭크 케이스 14g : 연소실
14h : 실린더 헤드 커버 14i : 흡기 매니폴드
15 : 압축기 16 : 제어기
40 :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 41 : 중공형 케이스 본체
41L : 순환 유동 형성부 41M : 여과기 부분
42 : 리드 43 : 여과기
44 : 입구 45 : 출구
46 : 유출 출구 47 : 고정 부재
48 : 0-링 50 : 판상 링 부재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오일 분리기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GHP가 설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GHP는 실내 유닛(1) 및 실외 유닛(10)을 주로 포함한다.
실내 유닛(1)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냉각 작동 동안에, 실내 열교환기는 저온 및 저압의 액상 냉매를 증발시키며, 이에 의해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흡인, 즉 실내 공기를 냉각한다. 저온 및 저압의 액상 냉매는 하기에 설명된 실외 유닛(10)으로부터 냉매 배관(2)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로 공급된다.
가열 작동 동안에, 실내 열교환기는 고온 및 고압의 가스성 냉매를 응축 및 액화시키며, 이에 의해 실내 공기로 열을 배출하여, 즉 실내 공기를 따듯하게 한다. 고온 및 고압의 가스성 냉매는 하기에 설명된 실외 유닛(10)으로부터 냉매 배관(2)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로 공급된다.
또한, 실내 공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내 팬에 의해 흡인되고,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함으로써 냉매와 열을 교환한다. 그 후에, 실내 공기는 공기 조절된 챔버로 송풍된다.
실외 유닛(10)은 압축기, 외부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4방 밸브를 구비하는 냉매 회로와, 압축기, 구동용 가스 엔진, 전기 모터 및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가스 엔진부를 포함한다.
실외 유닛(10)의 내측은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격벽에 의해서 상측부 및 하측부로 나눠진다. 실외 유닛(10)의 하측부는 가스 엔진(14), 압축기(15) 및 제어기(16)를 주로 포함하는 기계실(11)이다. 실외 유닛(10)의 상측부는 실외 열교환기(30) 및 실외 팬(31)을 주로 포함하는 열교환실(12)이다. 또한, 환기구가 격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기계실(11)은 열교환실(12)에 연결된다.
도 10은 가스 엔진(14)내에서의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도시한다. 가스 엔진(14)은 오일 팬(14a)과, 크랭크 샤프트(14b)와, 피스톤(14c)과, 피스톤 링(14d)과, 실린더(14e)와, 크랭크 케이스(14f)와, 연소실(14g)와, 실린더 헤드 커버(14h)와, 흡기 매니폴드(14i)를 포함한다. 블로바이 가스는 피스톤 링(14d)과 실린더(14e) 사이의 갭을 통과함으로써 연소실(14g)로부터 크랭크 케이스(14f)로 누출되는 가스이며, 가연성 연료, 미스트 상태의 윤활유 및 배기 가스 등을 함유한다.
도 10에 파단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 케이스(14f)내로 하강하는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통로(BG1)를 통과하여 실린더 헤드 커버(14h)내로 유입된다. 실린더 헤드 커버(14h)는 유출 통로(BG2)를 통해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블로바이 가스는 실린더 헤드 커버(14h)로부터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내로 유입된다. 또한, 2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오일 리턴 호스(BG3)를 통과하여 오일 팬(14a)내로 리턴한다. 그런 후, 오일은 오일 팬(14a)내의 윤활유와 혼합되어 재사용된다.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미스트가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에 의해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는 블로바이 가스 리턴 통로(BG4)를 통과하며, 그 후 흡기 매니폴드(14i)와 같은 엔진 흡기 시스템부내로 흡인된다. 흡기 매니폴드(14i)내로 흡기된 블로바이 가스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새로운 공기와 혼합되며, 연소실(14g)내로 리턴되어 연료 가스와 더불어 연소된다.
오일 분리기로서 사용되는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는 다음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는 그 상부에 개구와, 케이스 본체(41)에 형성된 개구를 덮기 위한 리드(42) 및 부직포로 만들어지고 케이스 본체(41)내에 놓여진 여과기(43)를 포함하는 중공형 케이스 본체(41)를 구비한다. 도 4에서 참조부호(44)는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를 표시하며, 참조부호(45)는 오일 미스트가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출 유동을 위한 출구를 표시하고, 참조부호(46)는 분리된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를 표시한다.
케이스 본체(41)는 중공형 직사각형 형상이며,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케이스 본체(41)의 상부에는 개구가 구비된다. 개구 주위로 플랜지(41a)가 제공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42)는 플랜지(41a)와 대체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판상 부재이다. 케이스 본체(41) 및 리드(42)는 고정 부재(47)를 함께 사용하여 리드(42)로 개구를 덮어 그것들을 볼트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고정 부재(47)로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이 리드(42)를 제거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인 0-링(48)이 플랜지(41)내에 제공된다.
케이스 본체(41)는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44)와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 및 제거된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46)를 포함한다. 블로바이 가스 입구(44)는 케이스 본체(41)의 하부측에 제공되며, 배관을 통해 가스 엔진(14)의 크랭크 케이스(14f)에 연결된다. 유출 출구(46)는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하강된 오일을 퇴적시키고 배관을 통해 오일 팬(14a)에 연결되도록 케이스 본체(41)의 바닥에 제공된다. 블로바이 가스 입구(44) 및 유출 출구(46)는 여과기(43)의 아래에 형성된 정압 영역(P1)에 제공된다. 정압 영역(P1)이 크랭크 케이스(14f)에 연결되기 때문에, 정압 영역(P1)내의 압력은 케이스 본체(41)의 외측 압력, 즉 대기압 보다 크다.
리드(42)는, 케이스 본체(41)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분리시킨 블로바이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45)가 제공된다. 출구(45)는 배관을 통해 흡기 매니폴드(14i)와 같은 가스 엔진(14)의 흡기 시스템에 연결되기 때문에,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 영역(P2)내에 형성된다.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에서, 여과기(43)를 통과함에 따라서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 및 제거된 오일이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케이스 본체(41)의 바닥쪽으로 하강한다. 그런 후, 오일은 유출 출구(46)를 통과하여 오일 팬(14a)내로 리턴된다.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에서, 케이스 본체(41) 및 리드(42)는 분리된 오일이 하강되는 케이스 본체(41)의 바닥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리 및 제거된 오일이 케이스 본체(41)와 리드(42) 사이의 접촉부에서 누출되는 문제는 해결 가능하다.
또한, 오일 분리기(40)에서, 케이스 본체(41)와 리드(42) 사이의 접촉부가 여과기(43) 위의 부압 영역(P2)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오일이 오일 분리기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이 작아진다.
(제 2 실시예)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의 제 2 실시예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를 포함하는 부재에 추가하여, 제 2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는 가스성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안내 부재, 즉 여과기(43)의 중심내로 블로바이 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한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안내 부재로서는 판상 링 부재(50)가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과 일체화 되도록 제공된다. 판상 링 부재(50)는 도넛 형태이며, 그 중심에 블로바이 가스용 통로를 포함한다. 판상 링 부재(50)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44)의 약간 위에 제공된다. 또한, 판상 링 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기(43)용 지지 부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에서, 판상 링 부재(50)가 제공되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는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을 따라 유동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입구(44)로부터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내로 유입된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상기 블로바이 가스가 여과기(43)의 중심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승한다. 이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 전부 또는 대부분은 여과기(43)를 통과할 수 있고 출구(45)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에서,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확실하게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과 여과기(43) 사이에 갭(S)이 있다면,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이 판상 링 부재(50)에 의해서 여과기(43)의 중심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가 갭(S)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며,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에 대해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로부터 유출되는 블로바이 가스의 비율은 약간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의 오일 분리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판상 링 부재(50)의 중심에 형성된 홀의 크기가 너무 크다면, 대량의 블로바이 가스가 갭(S)을 통과한다. 대조적으로, 상기 홀의 크기가 너무 작다면, 분리 효율은 향상될 수 있으나, 압력 손실이 증가한다. 따라서, 판상 링 부재(50)의 중심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조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의 제 3 실시예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3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B)는 도 4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의 변형 실시예이다. 특히, 블로바이 가스를여과기(43)의 중심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안내 부재로서, 대형 상부 부분(41A)과 소형 하부 부분(41B)을 연결하는 연결부(51)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 케이스 본체(41)는 대형 상부 부분(41A) 및 소형 하부 부분(41B)을 포함한다. 이들은 연결부(51)에 의해 연결된다. 즉, 연결부(51)는 대형 상부 부분(41A)과 소형 하부 부분(41B) 사이에서 케이스 본체(41)의 내측으로 대체로 수평하게 돌출된 판상 부재이다. 판상 부재는 제 2 실시예의 판상 링 부재(50)로서 작용한다. 또한, 연결부(51)는 제 2 실시예의 판상 링 부재(50)와 유사한 여과기(4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서도 사용된다.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B)에서, 케이스 본체(41)는 연결부(51)를 포함하기 때문에, 입구(44)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상승됨에 따라서 여과기(43)의 중심내로 유입된다. 즉,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과 여과기(43) 사이의 갭(S)이 연결부(51)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의 전부 또는 대부분은 여과기(43)를 통과하여 출구(45)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B)에서,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확실히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다.
즉, 케이스 본체(14)의 내측벽과 여과기(43) 사이에 갭(S)이 있다면,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이 연결부(51)에 의해 여과기(43)의 중심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가 갭(S)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오일 미스트를 포함하며,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B)내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에 대해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B)에서 유출되는 블로바이가스의 비율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B)의 오일 분리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51)의 중심에 형성된 홀의 사이즈, 즉 소형 하부 부분(41B)의 사이즈가 너무 크다면, 대량의 블로바이 가스가 갭(S)을 통해 누출된다. 대조적으로 홀의 사이즈가 너무 작다면, 분리 효율은 향상될 수 있지만 압력 손실이 증가된다. 따라서, 연결부(51)의 중심에 형성된 홀의 사이즈는 조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실시예)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의 제 4 실시예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C)는 도 4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A)의 변형 실시예이다. 특히, 여과기(43)의 중심으로 블로바이 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한 안내 부재로서, 케이스 본체(4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리드(42)의 바닥면에 제공된 원통형 부재(52)가 사용된다. 원통형 부재(52)는 케이스 본체(41)와 유사하며 그보다 작은 단면 형상을 가지며, 여과기(43)와 접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52)는 원통형 부재(52)의 바닥면이 여과기(43)의 상면에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C)에서, 원통형 부재(52)가 제공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과 여과기(43) 사이의 갭(S)을 통과하는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출구(45)에 연결된 부압 영역(P2)에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입구(44)를 통해 유동하는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부압 영역이 상승함에 따라서, 부압 영역(P2)에 접촉하는 여과기(43)의 중심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블로바이 가스의 전부 또는 대부분은 여과기(43)를 통과하고 출구(45)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C)에서,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확실하게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과 여과기(43) 사이에 갭(S)이 있다면,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이 원통형 부재(52)에 의해 여과기(43)의 중심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블로바이 가스가 갭(S)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며,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C)내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에 대해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C)로부터 유출되는 블로바이 가스의 비율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C)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 즉 본 발명의 오일 분리기에서, 여과기(43)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리드(42)가 케이스 본체(41)의 위에 제공되기 때문에, 여과기(43)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 및 제거된 오일이 케이스 본체(41)와 리드(42) 사이의 접촉부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41)와 리드(42) 사이의 접촉부를 위한 시일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상기 시일은 저비용으로 쉽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오일 분리기가 블로바이 가스와 같은 가스성 유체용으로 사용된다면, 입구(44)는 정압 영역(P1)에 제공되고 출구(45)는 부압 영역(P2)에 제공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41)와 리드(42) 사이의 접촉 부분은 부압 영역(P2)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오일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상 링 부재(50), 연결부(51) 또는 원통형 부재(52)와 같은 안내 부재가 제공된다면,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가 여과기(43)를 통과하여 출구(45)로부터 유출되지 않고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과 여과기(43) 사이의 갭(S)을 통과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블로바이 가스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여과기(43)를 통과하여 출구(45)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에 있어서,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보다 확실하게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서, 오일 분리기의 오일 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과 여과기(43) 사이에 갭(S)이 있다면, 갭(S)을 통과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양이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위의 사실로 인해 오일 분리 효율 감소의 악화는 방지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오일 분리기는 GHP를 포함하는 가스 엔진(14)의 블로바이 가스용으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오일 분리기는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오일 분리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적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오일 분리기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는 압력이 대기압 보다 작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의 오일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제 2 , 제 3 및 제 4 실시예에서의 오일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는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구조가 함께 사용된다면, 오일 분리기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예)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의 제 5 실시예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D)는 중공형 케이스 본체(41)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본체(41)는 그 상부의 개구와, 케이스 본체(41)내에 형성된 개구를 덮기 위한 리드(42)와, 부직포로 만들어지고 케이스 본체(41)내에 놓여지는 여과기(43)를 포함한다. 또한,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의 케이싱은 케이스 본체(41) 및 리드(42)를 포함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 참조부호(44)는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를 표시하며, 참조부호(45)는 오일 미스트가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출 유동을 위한 출구를 표시하며, 참조부호(46)는 분리된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를 표시한다.
케이스 본체(41)는 중공형 직사각형이며,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케이스 본체(41)의 상부에는 개구가 제공된다. 개구 주위로 플랜지(41a)가 구비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42)는 플랜지(41a)와 대체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평판 부재이다. 케이스 본체(41)와 리드(42)는 리드(42)로 개구를 덮고 고정 부재(47)를 사용하여 이들을 서로 볼트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고정 부재(47)로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이 리드(42)를 제거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인 0-링(48)이 플랜지(41a)내에 제공된다.
케이스 본체(41)는 오일 미스트를 함유하는 블로바이 가스의 케이싱내로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44)와,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되고 제거된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46)를 포함하며, 이들 입구 및 출구는 여과기(43) 아래의 순환 유동 형성부(41L)에 제공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41)에서, 여과기(43)를 위치시키기 위한 여과기 부분(41M)이 순환 유동 형성부(41L) 위에 제공된다.
블로바이 가스 입구(44)는 케이스 본체(41)의 하부측에 제공되며, 배관을 통해 가스 엔진(14)의 크랭크 케이스(14f)에 연결된다. 특히,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44)는 케이스 본체(41)의 단측(short side)에 제공되어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장측(long side)에 접하며, 입구(44)의 중심은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단측의 중심과 조우하지 않는다. 이러한 위치로 인하여, 입구(44)를 통해 유동하는 블로바이 가스는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장측을 따라 케이싱내로 유입된다. 또한, 그 자체의 중량으로 하강하여 배출된 오일이 퇴적되도록 유출 출구(46)는 케이스 본체(41)의 바닥에 제공되며, 배관을 통해 오일 팬(14a)에 연결된다.
블로바이 가스 입구(44)와 유출 출구(46)가 제공되는 순환 유동 형성부(41L)가 크랭크 케이스(14f)에 연결되기 때문에,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압력은 케이싱의 외측 압력보다, 즉 대기압 보다 크다. 즉, 순환 유동 형성부(41L)는 정압 영역에 제공된다.
리드에서, 케이싱으로부터 오일이 분리 및 제거된 블로바이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블로바이 가스 출구(45)가 제공된다. 블로바이 가스 출구(45)는 배관을 통해 흡기 매니폴드(14i)와 같은 가스 엔진(14)의 흡기 시스템에 연결되기 때문에, 대기압 보다 압력이 낮은 부압 영역(P2)에 형성된다.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D)에서, 순환 유동 형성부(41L)는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순환시키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분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로바이 가스에 함유된 가스의 중량 보다 큰 중량을 갖는 오일 미스트는 외부쪽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본체(41)의 내측벽에 부착된다. 그런 후, 오일 미스트는 그 자체 중량으로 인해 케이싱의 바닥으로 하강한다. 대조적으로, 오일 미스트의 중량보다 작은 중량을 갖는 블로바이 가스에 함유 된 가스는 오일 미스트로부터 분리되며, 상승됨에 따라서 여과기(43)의 중심에 인접하여 순환한다. 결과적으로, 가스는 여과기(43)를 통과하며, 부압 영역에 제공된 블로바이 가스 출구(45)를 통해 유출되며, 흡기 매니폴드(14i)내로 유입된다. 순환 유동 형성부(41L)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오일 미스트는 여과기(43)에 흡인됨으로써 분리 및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D)에서, 순환 유동 형성부(41L)와 여과기 부분(41M)이 함께 제공된다. 따라서, 오일 미스트는 순환 유동 형성부(41L) 및 여과기(43)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로 인하여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D)의 압력 손실은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D)의 오일 미스트 분리 효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오일 미스트 분리 효율을 갖기 위하여 여과기의 두께가 증가되는 종래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의 압력 손실보다 현저하게 작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은 입구(44)의 제공에 의해서만 순환되어 입구(44)의 중심은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단측의 중심과 조우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바이 가스의 순환 유동의 형성을 보조하기 위해서, 기다란 단면을 갖는 분리 부재(50)를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부근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분리 부재(50)가 제공된다면, 입구(44)를 통해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는 분리 부재(50)를 따라 쉽게 순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부재(50) 외에도, 평면 안내부 또는 만곡 안내부가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모서리와 같은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순환 유동 형성부의 모서리를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보다 부드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순환시키기 위해서,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단면은 타원형이 바람직하며, 원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0D)를 위치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고려할 때, 순환 유동 형성부(41L)의 단면은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만곡된 직사각형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블로바이 가스 출구(45)는 도 8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42)의 중심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블로바이 가스의 부드러운 유동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블로바이 가스의 유동을 여과기(43)의 중심을 통과하여 블로바이 가스 출구(44)를 통해 유출되기 때문에, 오일 미스트는 여과기(43)에 의해서 확실하게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로바이 가스 여과기(4D)는 GHP를 포함하는 가스 엔진(14)의 블로바이 가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GHP를 포함하는 가스 엔진용 오일 분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출구가 부압 영역에 제공되지 않는 오일 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의 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4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로바이 가스와 같은 가스성 유체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제거하는 오일 분리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리기는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거된 오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력 손실 없이 가스성 유체내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의 향상된 분리 효율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미스트 상태의 오일을 함유하는 가스성 유체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에 있어서,
    그 상부에서의 개구를 포함하는 중공형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덮는 리드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의 여과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본체내로의 상기 가스성 유체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성 유체의 유출 유동을 위한 출구는 상기 리드에 형성되며, 분리된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는
    오일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분리기는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 유동하는 가스성 유체를 상기 여과기의 중심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오일 분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드의 바닥면에 제공된 원통형 부재인
    오일 분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입구 위의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벽에 제공된 판상 링 부재인
    오일 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여과기가 위치된 대형 상부 부분과, 상기 입구 및 상기 유출 출구가 제공된 소형 하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로의 상기 가스성 유체의 액체는 상기 대형 상부 부분과 상기 소형 하부 부분 사이의 연결부에서 상기 여과기의 중심내로 유입되는
    오일 분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및 상기 유출 출구는 정압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출구는 부압 영역에 형성되는
    오일 분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성 유체는 내연 기관용 블로바이 가스이며, 상기 정압 영역은 내연 기관의 크랭크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부압 영역은 상기 내연 기관의 흡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오일 분리기.
  8. 미스트 상태의 오일을 함유하는 가스성 유체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기에 있어서,
    케이싱 내에 유입된 상기 가스성 유체의 순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순환 유동 형성부와,
    상기 가스성 유체의 상기 순환 유동이 통과하는 여과기 부분을 포함하는
    오일 분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성 유체의 유입 유동을 위한 입구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가스성 유체의 유출 유동을 위한 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제공되며, 분리된 상기 오일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 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순환 유동 형성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 부분에 제공되는
    오일 분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개구의 위치 및 방향이 조절되어 상기 가스성 유체가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케이싱내로 유입되는
    오일 분리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분리기는 상기 순환 유동 형성부에서 상기 가스성 유체의 상기 순환 유동의 형성을 보조하기 위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오일 분리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상기 케이싱의 상면의 중심에 제공되는
    오일 분리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성 유체는 내연 기관의 블로바이 가스이며, 상기 입구는 상기 내연 기관의 크랭크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출구는 상기 내연 기관의 흡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오일 분리기.
KR10-2002-0012954A 2001-03-13 2002-03-11 오일 분리기 KR100414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0088 2001-03-13
JPJP-P-2001-00070076 2001-03-13
JP2001070076A JP3470805B2 (ja) 2001-03-13 2001-03-13 オイルセパレータ構造
JP2001070088A JP2002266621A (ja) 2001-03-13 2001-03-13 オイルセパレータ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545A KR20020081545A (ko) 2002-10-28
KR100414774B1 true KR100414774B1 (ko) 2004-01-13

Family

ID=2661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954A KR100414774B1 (ko) 2001-03-13 2002-03-11 오일 분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5095B2 (ko)
EP (1) EP1241327A1 (ko)
KR (1) KR100414774B1 (ko)
CN (2) CN1240934C (ko)
AU (1) AU23218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9408A1 (de) * 2002-08-28 2004-03-1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Abscheidung von Flüssigkeit aus einem Gasstrom
JP4112410B2 (ja) * 2003-03-26 2008-07-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異物捕獲フィルタ
SG114657A1 (en) * 2003-05-23 2005-09-28 Fulta Electric Machinery Co Oil mist removal device
US7285149B2 (en) * 2003-10-31 2007-10-23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Oil separator for vehicle air system
FR2867564B1 (fr) * 2004-03-11 2006-06-23 Total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mesure en temps reel de la consommation d'huile du systeme de separation d'huile moteur
BE1016301A3 (nl) * 2004-11-08 2006-07-04 Atlas Copco Airpower Nv Inrichting voor het afscheiden van olie uit een ontluchting van een oliereservoir.
JP2006152890A (ja) * 2004-11-29 2006-06-15 Toyota Industries Corp オイル分離構造及び内燃機関
CN101351626B (zh) * 2005-10-28 2012-05-23 唐纳森公司 悬浮颗粒分离器和使用方法
CN100414077C (zh) * 2006-03-07 2008-08-27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油气分离装置
ATE444441T1 (de) * 2006-08-01 2009-10-15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Ölabscheider für gasbetriebene brennkraftmaschinen
DE102006041213B4 (de) * 2006-09-02 2017-06-29 Mahle International Gmbh Einrichtung zur Kurbelraumentlüftung
US8256405B2 (en) * 2008-06-13 2012-09-04 Kohler Co. Breather assembly with standpip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505520B2 (en) * 2011-08-17 2013-08-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assembly including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with oil surge protection
CN102434309B (zh) * 2011-09-29 2014-08-06 西安航空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斯特林发动机工质回收系统
RU2482294C2 (ru) * 2011-11-10 2013-05-20 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Кузьм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онденсации паров в картере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US10082057B2 (en) 2012-02-27 2018-09-25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Oil separator
US10087798B2 (en) * 2012-02-27 2018-10-02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Oil separator
WO2013129497A1 (ja) 2012-02-27 2013-09-06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 株式会社 オイルセパレータ
WO2013168758A1 (ja) 2012-05-10 2013-11-14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 株式会社 オイルセパレータ
CN107224786B (zh) 2012-07-02 2019-12-20 纳博特斯克汽车零部件有限公司 油分离器和具有空气干燥器和油分离器的系统
CN103861373A (zh) * 2012-12-13 2014-06-18 南通中船机械制造有限公司 粗水滤器
KR101511220B1 (ko) * 2013-11-29 2015-04-10 심서운 엔진 크리닝 바이패스 장치
JP6826009B2 (ja) * 2017-08-08 2021-02-03 株式会社ニフコ オイルセパレータ
CN109578109B (zh) * 2017-09-29 2021-05-1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油气分离器、旋风分离组件及其控制方法
JP6725604B2 (ja) * 2018-08-24 2020-07-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イルセパレータユニット
CN112648043B (zh) * 2019-10-10 2022-03-22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发动机和油气分离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3677A (en) * 1967-02-06 1969-12-16 Herbert Pinto Air cleaning device
US3593813A (en) * 1968-05-24 1971-07-20 Ishada Koki Seisakusyo Kk Automatic weighing apparatus
US4269607A (en) * 1977-11-07 1981-05-26 Walker Robert A Air-oil separator and method of separation
US4272371A (en) * 1980-02-21 1981-06-09 Fram-Israelson Enterprises Lubricating oil filter-refi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6010813U (ja) * 1983-06-30 1985-01-25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ブロ−バイガスの燃焼室還元装置
US4941900A (en) * 1988-07-19 1990-07-17 Pal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as-liquid separation and filtration
JPH0332113A (ja) 1989-06-28 1991-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5168721A (en) * 1991-03-28 1992-12-08 K-Whit Tools, Inc. Refrigerant recovery device
US5586996A (en) * 1994-05-12 1996-12-24 Manookian, Jr.; Arman K. Vapor separating device
US5853439A (en) * 1997-06-27 1998-12-29 Donaldson Company, Inc. Aerosol separator and method
US6048376A (en) * 1998-08-03 2000-04-11 Ingersoll-Rand Company Combination baffle and filter element system for removing oil from an oil/gas mixture
US6500243B2 (en) * 2001-02-02 2002-12-31 Ingersoll-Rand Company Compressor system including a separator tank with a separator element position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29586A1 (en) 2002-09-19
KR20020081545A (ko) 2002-10-28
CN1672763A (zh) 2005-09-28
US6635095B2 (en) 2003-10-21
CN1240934C (zh) 2006-02-08
CN1382899A (zh) 2002-12-04
AU2321802A (en) 2002-09-19
EP1241327A1 (en)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774B1 (ko) 오일 분리기
JP5774455B2 (ja) 無給油式圧縮機
CN111895518A (zh) 一体式空调机
US6488003B2 (en) Oil coo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2069160B1 (ko) 가스 히트펌프 시스템의 실외기
JP3470805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構造
JPH089412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3345627B2 (ja)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2266621A (ja) オイルセパレータ構造
JP3425635B2 (ja)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US7066133B2 (en) Cover plate for a crank case
JPH11247715A (ja) ガスエンジン装置、室外機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H11270923A (ja) 室外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3656141B2 (ja)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H10238825A (ja) 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ユニット
JP3754163B2 (ja) 水冷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における水ポンプ収納構造
JP3653365B2 (ja) 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ユニット
JPH08270981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CN101595352B (zh) 发动机驱动式热泵
JPH0821241A (ja)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CN105840520B (zh) 供油调节装置、压缩机、涡旋压缩机及空调系统
JP2002243305A (ja)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装置
JPS63212794A (ja) 回転式圧縮機
CN112556221A (zh) 蒸发冷却式直膨机组及其控制方法
CN114001030A (zh) 一种喷油螺杆真空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