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943B1 - 벨트 연결구 - Google Patents

벨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943B1
KR100413943B1 KR10-2001-0059687A KR20010059687A KR100413943B1 KR 100413943 B1 KR100413943 B1 KR 100413943B1 KR 20010059687 A KR20010059687 A KR 20010059687A KR 100413943 B1 KR100413943 B1 KR 100413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ale member
detachable
female memb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808A (ko
Inventor
우에하라료이치로
이시다도모히사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44B11/258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followed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Landscapes

  • Buck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와의 착탈조작이 용이하고, 벨트의 인장시에도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으며 벨트의 이완시에도 간단히 이탈되지 않는 연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착탈가능한 암형부재(10)와 수형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암형부재(10)는 환형 본체(11)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일단부에 벨트연결부(12)를 가지며 타단부의 중앙에 수형부재(20)가 착탈되는 피착탈부를 가지며, 상기 수형부재(20)는 판형 본체(21)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일단부에 벨트연결부(23)를 가지며 그 중앙부에 상기 암형부재(10)의 피착탈부와 착탈되는 착탈부(22)를 가지며, 상기 암형부재(10)의 피착탈부는 벨트연결부(12)측이 개방되고 상기 타단부로부터 동일평면상에 연장설치된 U형의 협착탄성부(12)로 구성되고, 상기 수형부재(20)의 착탈부(22)는 판형 본체(21)이 중앙부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적어도 벨트연결부(23)측의 단면부분이 암형부재의 협착탄성부(13)의 협착면에 외접하는 외형을 갖는 돌출부(24)와, 상기 돌출부(24)의 상단에 배면이 상기 협착탄성부(13)의 표면결합면과 결합되는 C형의 결합플랜지(25)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플랜지(25)는 돌출부(24)로부터의 돌출량이 수형부재(20)의 벨트연결부(2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점증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벨트 연결구{BELT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벨트나 혁대 등의 벨트류의 단부에 부착되어 그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벨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연결구에 대한 다양한 착탈구조는 예를 들어 일본 실개소62-36814호, 실개평5-35699호, 실개평7-95호, 실개평7-3470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명세서에 따르면, 어떠한 착탈부재라도 그 착탈부는 판형부재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형 돌기의 선단에 상기 기둥형 돌기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반형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부는 암형부재의 피착탈부에 착탈된다. 상기 피착탈부는 암형 착탈부재의 본체로부터 연장설치되는 혀(舌) 형상의 부재(이하, "혀부재" 라 칭한다)에 형성되고, 상기 혀부재의 한쪽 단부에서 개방되는 긴 구멍의 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착탈부재의 기둥형 돌기의 측면을 미끄럼안내하는 동시에 그 표면의 피결합면에 상기 플랜지의 이면이 당접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의 결합조작은 벨트의 단부끼리를 끌어당겨, 수형부재의 돌출부를 암형부재의 긴 구멍의 개방삽입구로부터 삽입한 후 벨트의 단부끼리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결합시키고, 그 이탈조작은 벨트의 단부끼리를 기생시키도록 하여, 수형부재의 돌출부를 암형부재의 긴 구멍의 개방삽입구로부터 인출하여 결합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벨트 연결구의 착탈조작에서는 그 어떤 경우에도 수형부재와 암형부재를 벨트 연결방향을 따라 벨트 단부끼리를 잡아당기거나 또는 끌어당기는 상대적 변위조작을 의식적으로 실행해야만 하며 착탈조작이 번잡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의 결합시 벨트가 이완된 상태에서는 서로의 결합이 해제되기 쉽고, 벨트가 인장된 상태에서 벨트를 이완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용이하게 해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목적은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의 착탈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벨트의 인장시에도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고, 벨트의 이완시에도 간단하게 이탈되지 않는 벨트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항에 따른 발명은 서로 착탈가능한 암형부재와 수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암형부재는 환형 본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일단부에 벨트연결부를 가지며 타단부의 중앙에 수형부재가 착탈되는 피착탈부를 가지며, 상기 수형부재는 판형 본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일단부에 벨트연결부를 가지며 그 중앙부에 상기 암형부재의 피착탈부와 착탈되는 착탈부를 가지며, 상기 암형부재의 피착탈부는 벨트연결부측이 개방되고 상기 타단부로부터 동일평면상에 연장설치된 U형의 협착탄성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형부재의 착탈부는 판형 본체의 중앙부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적어도 벨트연결부측의 단면부분이 암형부재의 협착탄성부의 협착면에 외접하는 외형을 갖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 배면이 상기 협착탄성부의 표면결합면과 결합되는 C형의 결합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플랜지는 돌출부로부터의 돌출량이 수형부재의 벨트연결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점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형부재의 착탈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암형부재의 협착탄성부의 협착면에 외접하는 외형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플랜지의 돌출부로부터 돌출되는 양을 수형부재의 벨트연결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시키는 동시에, 암형부재와 수형부재의 결합시에는 상기 돌출부의 벨트연결부측의 단면부분이 상기 협착탄성부의 협착면에 삽입되는 동시에 결합플랜지가 상기 협착탄성부의 표면결합면에 결합하여 확실히 결합된다.
또한, 암형부재와 수형부재의 이탈시에는 수형부재의 반대쪽 벨트연결부측의 단부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는 듯이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플랜지의 돌출량이 적은 플랜지부분으로부터 돌출량이 많은 플랜지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협착탄성부의 결합면에 대한 결합이 벗어나도록 이동하고, 양부재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제2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협착탄성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협착탄성부가 벨트연결부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폭이 확대되는 상기 착탈부를 위한 안내공간과, 상기 안내공간에 이어서 원호형의 협착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협착탄성부의 구조에 의해 수형부재와의 착탈시 암형부재의 협착탄성부에 대해 수형부재의 착탈부가 원활하게 착탈동작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항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확실하고 용이하게 착탈을 시행할 수 있다.
제3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수형부재의 돌출부가 평면투시하였을 때 상기 벨트연결부의 반대측 단부를 향해 개방된 U형을 이루고, 그 벨트연결부에 접근하는 측의 단부가 상기 협착공간에 삽입되는 원호형 외면을 구비하며, 상기 벨트연결부와 이격되는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리부의 적어도 플랜지의 연결부분에 대한 돌출높이가 상기 플랜지의 상면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 사이의 칫수는 상기 협착탄성부의 안내공간과 협착공간과의 좌우 폭칫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돌출부는 간단한 원주가 아니라, 원통형 외면에 연속하여 다리부 외측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암형부재와 수형부재와의 착탈시 양 부재가 돌출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고, 협착탄성부에 대한 수형착탈부의 착탈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4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협착탄성부의 벨트연결부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각각의 탄성 다리부가 그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긴 구멍을 형성하므로써 탄성 다리부의 강도가 확보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을 쉽게 하여 암형부재와 수형부재와의 착탈조각을 용이하게 한다.
제5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제3항에서 탄성 다리부의 상면이 벨트연결부를 향하여 환형 본체의 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과, 상기 평면에 연속한 선단을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형부재의 반대쪽 벨트연결부측의 단부를 벨트연결부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수형부재를 암형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형부재의 결합플랜지는 암형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져서 움직이고, 돌출량이 가장 많은 벨트 고착봉측의 플랜지부분이 수형부재의 협착탄성부의 원호형 협착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량이 가장 적은 좌우 다리부의 플랜지부분으로부터 돌출량이 가장 많은 플랜지부분으로, 암형부재의 탄성 다리부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퍼면을 순차적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테이퍼면이 형성된 착탈구 영역의 안내공간은 결합플랜지의 최대 좌우폭 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플랜지는 돌출량이 적은 부분으로부터 돌출량이 많은 부분으로, 순차안내공간내로 이행하고, 암형부재와 수형부재와의 결합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형부재와 수형부재와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고, 암형부재와 수형부재를 의도적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간단히 수형부재의 한쪽 단부를 벨트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형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조작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제6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수형부재 또는 암형부재의 벨트연결부에 대한 일부의 두께를 상대측 부재의 전체 두께분만큼 착탈면 측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형부재 또는 암형부재의 어느 한쪽의 벨트연결부측 단부를 국부적으로 소정의 두께로 하므로써, 양 부재가 중합상태로 결합할 때전체적으로 단차가 발생되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연결구의 암형부재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암형부재의 배면도.
도3은 도2의 선Ⅲ-Ⅲ을 따른 단면도.
도4는 도2의 선Ⅳ-Ⅳ을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연결구의 수형부재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수형부재의 배면도.
도7은 도5의 수형부재의 종단면도.
도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형부재와 수형부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9는 암형부재와 수형부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암형부재의 배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수형부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암형부재 11: 본체
12: 벨트고착봉 20: 수형부재
22: 수형착탈부 23: 벨트고착봉
24: 돌출부 24e: 만곡면
25: 결합플랜지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연결구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암형부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은 암형부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암형부재의 배면도이며, 도3은 도2의 선Ⅲ-Ⅲ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4는 선Ⅳ-Ⅳ을 따른 단면도이다.
암형부재(10)는 전체가 장방형의 환형 본체(11)와, 그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에 벨트 삽입공간을 거쳐 횡단방향으로 가설된 벨트고착봉(12)과, 그 길이방향으로 다른쪽 단부측의 거의 절반에 형성된 협착탄성부(13)와, 상기 벨트고착봉(12)과 상기 협착탄성부(13)와의 사이에 형성된 좌우 프레임부(11a, 11b)로부터 대향방향으로 돌출된 좌우 돌기(14a, 14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환형 본체(11)의 벨트연결측 프레임부(11c)에 있어서, 그 이면의 폭방향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설주 형태의 돌기(1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형 본체(11)의 협착탄성부측 프레임부(11d)에 있어서, 그 폭방향 중앙부의 이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부재(20)의 후술하는 착탈부(24)의 일부가 밀착결합되는 반달형 오목함몰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고착봉(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거의 능 형태이며, 그 대향하는 능선부를 따라 단면이 문설주 형태의 돌기(12a)를 돌출시키고 있다.
상기 협착탄성부(13)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착탄성부측프레임부(11d)의 일부를 공유하여 좌우로부터 벨트고착봉(12)을 향하여 연장설치된 좌우 한쌍의 탄성 다리부(13a, 13b)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협착탄성부측 프레임부(11d)의 일부도 포함하며 전체가 대략 U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탄성 다리부(13a, 13b)의 대향면 사이에는 상기 벨트고착봉(12)측에 수형착탈부(22)의 안내공간(13c)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간(13c)에 연속하여 협착탄성부측 프레임부(11d)측에는 수형착탈부(22)의 협착공간(1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공간(13c)은 그 대향폭을 상기 벨트고착봉(12)측을 향하여 점증시키고, 그 개방단부에서의 공간을 수형착탈부(22)를 삽입하기에 충분한 넓이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협착공간(13d)에 연결되는 안내공간(13c)의 공간부분은 상기 수형착탈부(22)의 후술하는 돌출부(24)의 삽입측 단면인 원호면의 직경 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협착공간(13d)은 상기 안내공간(13c)과의 접촉부분을 제외하고 원통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직경은 상기 돌출부(2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탄성 다리부(13a, 13b)의 중앙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3e, 13f)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긴 구멍(13e, 13f)에 의해, 탄성 다리부(13a, 13b)의 이면은 벨트고착봉(12)측의 절반부가 상기 고착봉(12)을 향하여 높이방향으로의 두께를 점차 감소시킨 테이퍼면(13g)으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탄성 다리부(13a, 13b)의 긴 구멍(13e, 13f)를 거쳐 외측에 위치되는 탄성 다리부분(13a-1, 13b-1)의 반대측 고착봉(12)측의 두께는 환형 본체(11)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다리부(13a, 13b)의 긴 구멍(13e, 13f)을 거쳐 내측에 위치된 탄성 다리부분(13a-2, 13b-e)의 높이방향의 두께는 거의 전장에 걸쳐 동일한 두게로 되어 있지만, 그 두께는 상기 외측에 위치된 탄성 다리부분(13a-1, 13b-1)의 약 1/2로 되어 있고, 상기 탄성 다리부분(13a-2, 13b-2)의 상면은 협착탄성부측 프레임부(11d)에 형성된 반달형 오목함몰부(11d')의 저면과 일치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면(13g)은 내외에 위치된 탄성 다리부분(13a-1, 13b-1 및 13a-2, 13b-2)의 표면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등이 낮은 내측의 탄성 다리부분(13a-2, 13b-2)에 대한 테이퍼면(13g)은 벨트고착봉(12)측의 단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도5 내지 도7은 상기 암형부재(10)와 착탈되는 수형부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5는 수형부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그 배면도, 도7은 그 종단면도이다.
수형부재(20)는 장방형의 판형 본체(21)와, 상기 판형 본체(21)의 이면의 거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는 수형착탈부(22)로 구성되며, 상기 판형 본체(21)의 일단부에는 벨트 삽입공간을 거쳐 벨트고착봉(23)이 횡단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상기 판형 본체(21)의 폭방향 좌우측연의 중앙부에는 소요의 피치로 복수의 함몰부(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미끄럼정지를 위한 오목면 및 볼록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환형 본체(21)의 반대측 벨트고착봉(23)측의 단부 이면에는 손가락삽입 오목함몰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판형 본체(21)의 벨트고착봉(23)측 단부의 좌우 양단부를 상대측 암형부재(10)의 환형 본체(11)의 두께에 상당하는 두께분만큼 이면측에 돌출시키고 있다. 상기 벨트고착봉(23)은 그 단면이 3각형으로서, 그 한쪽 변의 능선부를 따라 단면이 문설주 형상의 돌기(23a)가 연장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형착탈부(22)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본체(21)의 중앙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U형태를 이루는 동시에, 측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테이퍼 계단부가 부착된 돌기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수형착탈부(22)는 상기 벨트고착봉(23)측의 단면부분이 암형부재(10)의 탄성 다리부(13a, 13b)의 내측 협착면에 외접하는 반원통부(24a)를 가지며, 상기 반원통부(24)로부터 반대측 벨트고착봉(23)측에 연속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다리부(24b, 24c)를 갖는 돌출부(24)와, 상기 돌출부(24)의 상단에 C형의 결합플랜지(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좌우 다리부(24b, 24c)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테이퍼 계단부(24d)를 거쳐 반대측 벨트고착봉(23)측이 낮게 되어 있어, 상기 결합플랜지(25)와 접촉하는 높은 부분의 상면은 상기 결합플랜지(25)의 상면과 일치되고 있다.
상기 결합플랜지(25)는 돌출부(24)의 반원통부(24a)의 축중심으로부터의 직경을 수형부재의 상기 벨트고착봉(23)에 외접하는 방향으로 점증하는 횡방향의 C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도6에 파선으로 도시한 반원통부(24a)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플랜지의 돌출량은 벨트고착봉(23)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도8 및 도9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의한 암형부재(10)와 수형부재(20)의 결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8은 결합상태를 이면측으로부터 투시한 평면도이고, 도9는 그 종단면도이다.
암형부재(10)와 수형부재(20)를 결합시킬 때, 암형부재(10)의 표면에 수형부재(20)의 이면을 대향시키므로써, 수형부재(20)의 수형착탈부(22)를 암형부재(10)의 탄성 다리부(13a, 13b)의 수형착탈부 삽입단부와 좌우 프레임부(11a, 11b)로부터 돌출된 좌우 돌기(14a, 14b)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수형부재(20)의 판형 본체(21)의 이면이 암형부재(10)의 환형 본체(11)의 표면에 당접할 때까지 삽입한다.
이어서, 암형부재(10) 및 수형부재(10)를 잡아당겨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시, 상기 착탈부(22)의 돌출부(24)가 암형부재(10)의 탄성 다리부(13a, 13b)의 안내공간(13c)을 안내하여, 상기 안내공간(13c)과 협착공간(13d)와의 사이의 협착부에서 좌우의 탄성다리부(13a, 13b)를 탄력적으로좌우로 넓혀, 상기 협착공간(13d)에 삽입한다. 이러한 이동시에는, 동시에 상기 결합플랜지(25)의 이면이 좌우의 내측 탄성 다리부분(13a-2, 13b-2)의 수형착탈부 삽입단부측의 테이퍼면(13g)에 의해 안내된 후, 그 상면을 습접안내하여 이동하고, 수형착탈부(22)의 돌출부(24)가 상기 협착공간(13d)에 삽입된 시점에서 결합플랜지의 돌출량이 가장 많은 선단부분이 암형부재(10)의 협착탄성부측 프레임부(11d)에 형성된 반달형의 오목함몰부(11d')에 삽입되는 동시에, 다른 플랜지부분은 내측 탄성 다리부분(13a-2, 13b-2)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결합된다.
암형부재(10)와 수형부재(20)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암형부재(10)와 수형부재(20)를 의식적으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으며, 간단히 수형부재(20)의 판형 본체(21)의 자유단 이면에 형성된 손가락삽입 오목함몰부(21b)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수형부재(20)의 벨트고착봉(23)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암형부재(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조작을 실행해도 좋다.
즉, 손가락삽입 오목함몰부(21b)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수형부재(20)를 암형부재(1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형착탈부(22)의 결합플랜지(25)는 암형부재(10)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되어, 돌출량이 가장 많은 플랜지부분이 암형부재(10)의 반달형 오목함몰부(11d')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돌출량이 가장 적은 좌우 다리부분(24b, 24c)측의 플랜지부분으로부터 돌출량이 가장 많은 벨트고착봉(23)측의 플랜지부분으로, 암형부재(10)의 외측 탄성 다리부분(13a-1, 13b-1)의 테이퍼면(13g)을 거쳐, 내측 탄성 다리부분(13a-2, 13b-2)의 테이퍼면(13g) 위를 순차적으로 안내하며 이동한다.
이러한 테이퍼면이 형성된 탄성 다리부(13a, 13b)의 출구부분의 안내공간(13c)은 결합플랜지(25)의 좌우폭 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플랜지(25)는 돌출량이 적은 부분으로부터 돌출량이 많은 부분으로, 순차안내공간(13c)내로 이행하여, 암형부재(10)와 수형부재(20)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형착탈부(22)의 돌출부(24)를 상단에 원반형 플랜지를 갖는 간단한 기둥형 돌기로 하지 않고, 반원통부(24a)와, 이에 연속하는 좌우 다리부(24b, 24c)로 구성하기 때문에, 암형부재(10)에 대한 수형부재(20)의 착탈조작시 암형부재(10)의 좌우 탄성 다리부(13a, 13b)와 수형부재(20)의 좌우 다리부(24b, 24c)가 삽입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간단히 원주형 돌출부인 경우에서처럼 암형부재(10)와 수형부재(20)와의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도10은 암형부재(10)의 배면도, 도11은 수형부재(20)의 측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암형부재(10)는 그 길이방향의 벨트고착봉(12)과는 반대측의 절반부에 형성된 협착탄성부(13)와 상기 벨트고착봉(12)와의 사이에서 좌우 프레임부(11a, 11b)로부터 대향방향으로 돌출된 좌우 돌기(14a, 14b)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형부재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은 좌우 돌기(14a, 14b)의 사이를 봉부재(14c)로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봉(14c)은 이면측으로부터 투시하였을 때 상기 좌우 돌기(14a, 14b)에 대해 계단부가 제공되고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봉(14c)에 의해, 암형부재(10)의 전체적인 강성이 점증하는 동시에 상대측 수형부재(20)와의 결합을 해제하기가 어렵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수형부재(20)에서 도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면에 도시된 좌우의 다리부(24b, 24c)의 테이퍼 계단부(24d)를 원활하게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만곡면(24e)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만곡면(24e)으로 구성하므로써, 플랜지(25)를 상대측 암형부재(10)의 프레임부(11d)에 할당하면서 결합시킬 때 좌우의 다리부(24b, 24c)가 프레임부(11d)를 따라 원활하게 하여 안내공간(13c)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6)

  1. 서로 착탈가능한 암형부재(10)와 수형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암형부재(10)는 환형 본체(11)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일단부에 벨트연결부(12)를 가지며 타단부의 중앙에 수형부재(20)가 착탈되는 피착탈부를 가지며, 상기 수형부재(20)는 판형 본체(21)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일단부에 벨트연결부(23)를 가지며 그 중앙부에 상기 암형부재(10)의 피착탈부와 착탈되는 착탈부(22)를 가지며,
    상기 암형부재(10)의 피착탈부는 벨트연결부(12)측이 개방되고 상기 타단부로부터 동일평면상에 연장설치된 U형의 협착탄성부(12)로 구성되고,
    상기 수형부재(20)의 착탈부(22)는 판형 본체(21)가 중앙부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적어도 벨트연결부(23)측의 단면부분이 암형부재의 협착탄성부(13)의 협착면에 외접하는 외형을 갖는 돌출부(24)와, 상기 돌출부(24)의 상단에 배면이 상기 협착탄성부(13)의 표면결합면과 결합되는 C형의 결합플랜지(25)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플랜지(25)는 돌출부(24)로부터의 돌출량이 수형부재(20)의 벨트연결부(2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점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탄성부(13)는 벨트연결부(12)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확대되는 착탈부(22)의 안내공간(13c)과, 상기 안내공간(123c)에 연속하여 원호형상의 협착공간(13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20)의 돌출부(24)는 평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상기 벨트연결부(23)의 반대측 단부를 향해 개방된 U형을 형성하고, 상기 벨트연결부(23)에 접근하는 측의 단부는 상기 협착공간(13d)에 삽입되는 원호형 외면을 구비하며, 상기 벨트연결부(23)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리부(24b, 24c)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24b, 24c)의 적어도 상기 플랜지(25)와의 연결부분에 대한 돌출높이가 상기 플랜지의 상면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탄성부(13)의 벨트연결부(12)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각각의 탄성 다리부(13a, 13b)는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3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구.
  5. 제3항에 있어서, 탄성 다리부(13a, 13b)의 상면이 벨트연결부를 향하여 환형 본체(11)의 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과, 상기 평면에 연속한 선단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13g)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재(20) 또는 암형부재(10)의 벨트연결부(12, 23)에 대한 일부의 두께는 거의 상대측 부재의 전체 두께분만큼 착탈면 측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연결구.
KR10-2001-0059687A 2000-09-26 2001-09-26 벨트 연결구 KR100413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1639 2000-09-26
JP2000291639A JP3778340B2 (ja) 2000-09-26 2000-09-26 ベルト連結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808A KR20020024808A (ko) 2002-04-01
KR100413943B1 true KR100413943B1 (ko) 2004-01-07

Family

ID=1877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687A KR100413943B1 (ko) 2000-09-26 2001-09-26 벨트 연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13207B2 (ko)
JP (1) JP3778340B2 (ko)
KR (1) KR100413943B1 (ko)
CN (1) CN1170492C (ko)
FR (1) FR2814344B1 (ko)
IT (1) ITTO20010914A1 (ko)
TW (1) TW552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4993B2 (ja) * 2001-10-25 2006-11-15 Ykk株式会社 ベルト連結具
TWM243013U (en) * 2003-09-17 2004-09-11 Ying-Jr Chen Buckle structure of neck girdle for pet
JP5057550B2 (ja) * 2005-08-19 2012-10-24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30172798A1 (en) * 2011-12-29 2013-07-04 Bio Cybernetics International, Inc. Orthotic device having releasably attached panel extension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6212428B2 (ja) * 2014-03-31 2017-10-11 株式会社ニフコ 連結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701U (ko) * 1977-06-16 1979-01-19
JPS59115908U (ja) * 1983-01-27 1984-08-04 モリト株式会社 バツクル
JPS6070306U (ja) * 1983-10-20 1985-05-18 土田 仁史 尾錠
US5443039A (en) * 1994-02-04 1995-08-22 The Hartz Mountain Corp. Releasable cat collar
US5485658A (en) * 1994-05-23 1996-01-23 Fildan; Gerhard Garment closure
EP0923887A2 (en) * 1997-12-22 1999-06-23 SAMA S.p.A. Magnetic closure with mutual interlock for bags, knapsacks, items of clothing and the lik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5710A (en) * 1916-05-22 1917-05-08 Edward F Herschede Clasp.
US1495118A (en) * 1922-08-24 1924-05-20 John R Starck Separable fastener
US2612139A (en) * 1947-07-19 1952-09-30 Collins William Joseph Cat collar
US3885811A (en) * 1972-11-06 1975-05-27 Takata Kojyo Co Selectively engageable three point vehicle safety belt
CA1311346C (en) * 1984-12-11 1992-12-15 Neville Green Fastening device
CH684870A5 (fr) * 1991-05-31 1995-01-31 Hubert Zwahlen S A Fermoir.
JP2002065316A (ja) * 2000-09-04 2002-03-05 Cloth Kogyo Kk 止め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701U (ko) * 1977-06-16 1979-01-19
JPS59115908U (ja) * 1983-01-27 1984-08-04 モリト株式会社 バツクル
JPS6070306U (ja) * 1983-10-20 1985-05-18 土田 仁史 尾錠
US5443039A (en) * 1994-02-04 1995-08-22 The Hartz Mountain Corp. Releasable cat collar
US5485658A (en) * 1994-05-23 1996-01-23 Fildan; Gerhard Garment closure
EP0923887A2 (en) * 1997-12-22 1999-06-23 SAMA S.p.A. Magnetic closure with mutual interlock for bags, knapsacks, items of clothing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78340B2 (ja) 2006-05-24
US6513207B2 (en) 2003-02-04
JP2002095502A (ja) 2002-04-02
FR2814344A1 (fr) 2002-03-29
CN1170492C (zh) 2004-10-13
US20020040516A1 (en) 2002-04-11
KR20020024808A (ko) 2002-04-01
FR2814344B1 (fr) 2005-02-11
ITTO20010914A0 (it) 2001-09-25
CN1347673A (zh) 2002-05-08
TW552118B (en) 2003-09-11
ITTO20010914A1 (it) 200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368B2 (en) Buckle
JP4769597B2 (ja) バックル
KR100413942B1 (ko) 버클
KR100614036B1 (ko) 삼각 버클 어셈블리
KR100490092B1 (ko) 버클
EP1591045B1 (en) Buckle and baby carrier using the same
US7534134B2 (en) Electrical connector retaining mechanism having slide clip member
TW200916011A (en) Buckle
JPH08332104A (ja) 紐止め具
KR20080070544A (ko) 버클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KR100413943B1 (ko) 벨트 연결구
ITTO990835A1 (it) Fibbia.
JP2000106916A (ja) バックル
EP1388301B1 (en) Buckle
KR100448317B1 (ko) 버클
JPH06154012A (ja) バックル
JP3405245B2 (ja) 電気接続箱
KR930000503Y1 (ko) 컨넥터(connector)
KR200353479Y1 (ko) 삼각 버클 어셈블리
JPH047770Y2 (ko)
JPH06229405A (ja) 板状体相互の連結装置
KR200205025Y1 (ko) 벨트 클립 고정 장치
KR960014736B1 (ko) 버클
JPH116545A (ja) ボールチェーン用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