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736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736B1
KR960014736B1 KR1019940030512A KR19940030512A KR960014736B1 KR 960014736 B1 KR960014736 B1 KR 960014736B1 KR 1019940030512 A KR1019940030512 A KR 1019940030512A KR 19940030512 A KR19940030512 A KR 19940030512A KR 960014736 B1 KR960014736 B1 KR 96001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hole
elastic piece
ma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736B1/ko

Link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버클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버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버클의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버클의 일부파단 평면도(상측도면) 및 측면도(하측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버클의 일부파단 평면도(상측도면) 및 측면도(하측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버클의 일부파단 평면도(상측도면) 및 측면도(하측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버클의 일부파단 평면도(상측도면) 및 측면도(하측도면).
제7도는 종래 버클의 사시도.
제8도는 종래 버클의 일부파단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버클 11 : 탄성편
12 : 조작부 13 : 리브
14 : 다리부 15 : 밸트권취부
20 : 암버클 21 : 오목부
22 : 측면트인구멍 23 : 구멍둘레면
24 : 전면트인구멍 25 : 가이드리브
26 : 밸트권취부 27 : 후면트인구멍
B : 벨트
본 발명은 벨트 등의 고정에 이용되는 암수로 이루어진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형상으로 된 암버클내에 끼워넣어지는 수버클의 탄성편의 일부를 상기 암버클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트인구멍으로 돌출시켜 상기 암버클과 상기 수버클을 걸어맞추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등을 감아붙이는 벨트권취부(101)의 일측에 1쌍의 탄성편(102,102)을 구비한 수버클(100)과, 이 수버클(10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02,102)을 수용하는 편평한 통형상의 암버클(200)로 구성된 버클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버클에 있어서는, 상기 수버클(10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02,102)의 선단측에는 일측 탄성편(102)이 타측 탄성편(102)과 반대향하는 측을 향하여 조작돌부(103,10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버클(200)의 두께 방향의 양측면에는 측면트인구멍(201,2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버클(100)은 상기 암버클(200)내로 상기 1쌍의 탄성편(102,102)을 내측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끼워넣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내측으로 휘어져서 끼워넣어진 상기 1쌍의 탄성편(102,102)의 상기 조작돌부(103)가 상기 암버클(200)의 상기 측면트인구멍(201)의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내측으로 휘어져 있는 탄성편(102)을 탄성복귀시켜서 상기 암버클(200)의 상기 측면트인구멍(102)의 구멍가장자리(201a)에 상기 조작돌부(103)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양 버클(100,200)을 걸어맞추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버클에서는, 상기 수버클(100)과 상기 암버클(200)이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버클(100)의 상기 조작돌부(103)에 형성된 상기 탄성편(102)의 기부(基部)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103a)과, 상기 암버클(200)의 상기 수버클(100)이 끼워넣어지는 측에 형성된 상기 측면트인구멍(201)의 구멍가장자리(201a)를 서로 걸어맞추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버클(200)에서 상기 수버클(100)을 빼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경우의 양 버클(100,200)의 걸어맞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로 걸어맞춰지는 상기 걸어맞춤면(103a)과 상기 구멍가장자리(201a)의 면적을 늘리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상기 걸어맞춤면(103a)과 상기 구멍가장자리(201a) 모두가 상기 수버클(100) 및 암버클(20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걸어맞춤면(103a)과 상기 구멍가장자리(201a)의 면적만을 증가시키려 한다면 버클의 두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구조를 구비한 종래의 버클에 있어서는, 버클을 박형(薄型)으로 하면서 상기 양버클(100,200)의 걸어맞춤력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상기 암버클(200)내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상기 수버클(100)이 강하게 잡아당겨진 경우, 상기 수버클(100)의 상기 탄성편(102,102)이 내측으로 휘어져 변형될 수 있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돌부(103)를 밀어넣는 조작과는 관계없이 내측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있어, 이 결과 상기 암버클(200)의 상기 측면트인구멍(201)의 구멍가장자리(201a)와 상기 수버클(100)의 조작돌부(103)의 걸어맞춤이 갑자기 해제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종래의 버클은 상기 버클을 구성하는 상기 수버클(100)과 상기 암버클(200)의 걸어맞춤이 크게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통형상으로 된 암버클과 이 암버클내로 탄성편을 끼워넣어서 이 암버클에 형성된 측면트인구멍에 상기 탄성편의 일부를 걸어맞추는 수버클로 이루어진 버클을 비교적 박형으로 구성하면서 상기 암버클과 수버클의 걸어맞춤력을 크게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클은, 선단측에 조작부(12)를 구비하는 탄성편(11)을 갖는 수버클(10)과; 둘레측에 오목부(21)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오목부(21)에 측면트인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부(20')를 갖는 암버클(20); 로 구성하여, 상기 수버클(10)의 탄성편(11)이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게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통형상부(20')로 끼워넣어지는 구조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상기 암버클(20)에 형성된 상기 측면트인구멍(22)에는, 상기 통형상부(20')내로 휘어지면서 끼워넣어지는 상기 수버클(10)에 형성된 탄성편(11)의 상기 조작부(12)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형상부(20')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폭이 넓은 구멍부(22b)와, 상기 통형상부(20')의 입구측에서 상기 탄성편(11)의 상기 조작부(12)를 구멍둘레면(23)에 걸어맞추는 폭이 좁은 구멍부(22a)를 갖는 구조로 하고, 또한,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탄성편(11)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12)에는, 상기 탄성편(11)의 기부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12a)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하고, 또한,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의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에서 폭이 좁은 구멍부(22a)측을 향하는 구멍둘레면(23)이 상기 탄성편(11)의 상기 조작부(12)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걸어맞춤(12a)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구동둘레면(23)이, 상기 조작부(12)를 암버클(20)내로 밀어넣음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12)의 상기 걸어맞춤면(12a)과 서로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조작부(12)가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의 폭이 넓은 구멍부(22b)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버클(10)을 상기 암버클(20)의 내측으로 끌어들이는 경사면(23b)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에서는,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이 상기 암버클(20)내로 끼워넣어지는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탄성편(11)의 선단측에 형성된 상기 조작부(12)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폭이 넓은 구멍부(22b)와, 상기 조작부(12)를 상기 통형상부(20')의 입구측에 있는 구멍둘레면(23)에 걸어맞추는 폭이 좁은 구멍부(22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수버클(10)은, 상기 조작부(12)가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의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에서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의 구멍둘레면(23)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암버클(20)과 서로 걸어맞춰진다.
또,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는 상기 조작부(12)를 걸어맞추는 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버클(10)은, 상기 조작부(12)의 상기 걸어맞춤면(12a)을 상기 통형상부(20')의 입구측에 있는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의 구멍둘레면(23)과,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에서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측을 향하는 구멍둘레면(23)에 접촉시킴으로써 걸어맞춰진다.
또,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에서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측을 향하는 구멍둘레면(23)은, 상기 수버클(10)의 조작부(12)를 밀어넣음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12)를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로 이동시켜 상기 수버클(10)을 상기 암버클(20)의 내측으로 끌어들이는 경사면(23b)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버클(10)의 조작부(12)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조작부(12)가 상기 측면트인구멍(22)에서 원활하게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수버클(10)이 상기 암버클(20)내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진 경우, 상기 조작부(12)는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에서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측으로 향하는 상기 경사면(23b)의 경사에 의하여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의 상기 통형상부(20')의 입구측에 형성된 구멍둘레면(23)에 상기 걸어맞춤면(12a)을 확실하게 걸어맞추도록 안내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을 구성하는 수버클(10)과 암버클(2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제2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을 구성하는 수버클(10)에 형성된 탄성편(11)과 암버클(10)에 형성된 측면트인구멍(22)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3도 내지 제6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을 구성하는 수버클(10)과 암버클(20)을 걸거나 벗기는 과정을 평면(상측도면) 및 측면(하측도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은 일측에 벨트(B)를 감아붙이는 벨트권취부(15)를 구비한 수버클(10)과, 상기 수버클(10)의 타측에 형성된 1쌍의 탄성편(11,11) 및 이 1쌍의 탄성편(11,11)사이에 위치하는 다리부(14)를 수용하는 편평한 통형상의 통형상부(20')를 구비한 암버클(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버클(10)에서의 상기 벨트(B)의 벨트권취부(15)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된 환형상의 틀부(15')내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벨트권취부(15)의 양측에 상기 벨트(B)의 관통구멍(15a,15a)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상기 벨트권취부(1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가장자리의 양측에는 상기 1쌍의 탄성편(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이와 같이 형성된 1쌍의 탄성편(11,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즉 상기 벨트권취부(1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측가장자리의 대략 중간위치에 상기 다리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탄성편(11,11) 및 상기 다리부(14)는 모두 상기 벨트권취부(15)의 폭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즉 상기 벨트권취부(1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측가장자리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버클(20)은 양단에 전, 후면트인구멍(24,27)을 구비한 편평한 통형상부(2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일측 전면트인구멍(24)을 통하여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 및 상기 다리부(10)를 이 통형상부(20')내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의 선단측에는 이 탄성편(11,11)보다 폭이 넓고 두께가 두꺼운 조작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작부(12,12)의 외측면(12b,12b)간의 치수는 상기 암버클(20)의 전면트인구멍(24) 근방의 내측면(20'a,20'a)간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버클(10)과 상기 암버클(2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버클(10)의 1쌍의 탄성편(11,11) 및 다리부(14)를 상기 암버클(20)의 전면트인구멍(24)을 통하여 상기 통형상부(20')내로 끼워넣으면,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은, 그 조작부(12,12)의 외측면(12b,12b)을 상기 암버클(20)의 전면트인구멍(24) 근방의 상기 내측면(20'a,20'a)에 미끄럼접촉시킴으로써,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끼워넣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12,12)의 외측면(12b,12b)은 그 선단측에서 상기 탄성편(11)의 기부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12,12)의 외측면(12b,12b)과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내측면(20'a,20'a)과의 미끄럼접촉 및 이에 따른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을 휘어지게 하면서 끼워넣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2)의 내측면(12c)에는 이 조작부(12)의 선단에서 상기 탄성편(11)으로 이어지는 긴 보강리브(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버클(20)의 좁은 폭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 측면, 즉 상기 암버클(2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의 대략 중간부분에는 상기 암버클(20) 내측으로 향한 1쌍의 오목부(2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1,21)에는 상기 암버클(20)의 내외로 연이어 통하는 측면트인구멍(2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트인구멍(22,22)은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전면트인구멍(24)측에서 상기 후면트인구멍(27)측으로 이어지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부를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탄성편(11)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12)의 두께(x)보다 구멍의 폭(y')을 넓게 한 구멍부(22b)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통형상부(20')내에 끼워넣어져서 내측으로 휘어진 상기 수버클(10)의 탄성편(11,11)은, 상기 암버클(20) 내측으로 더 끼워넣어져서 이 탄성편(11)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12)가 상기 측면트인구멍(22)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의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를 통하여 상기 조작부(12)의 외측면(12b)측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은, 상기 수버클(10)이 끼워넣어지는 측인 상기 암버클(20)의 전면트인구멍(24)측을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12,12)의 두께(x)보다 구멍의 폭(y)을 좁게 한 구멍부(22a)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의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를 통하여 상기 조작부(12)의 상기 외측면(12b)측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버클(10)이 상기 암버클(20)의 통형상부(20')내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진 경우,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의 상기 조작부(12)가 상기 측면트인구멍(22,22)의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22a)에 각각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조작부(12)의 기부측에는 상기 탄성편(11)의 기부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12)는 상기 탄성편(11)에 비하여 그 폭 및 두께를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면(12a)은 상기 조작부(12)의 상기 외측면(12b)과 상기 탄성편(11)사이, 즉 이 조작부(12)의 두께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걸어맞춤면부(12a')와, 이 걸어맞춤면부(12a')의 양측에서 이 걸어맞춤면부(12a')에 연속되어 상기 조작부(12)의 내측면(12c) 측을 향하는, 즉 상기 조작부(12)의 폭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1쌍의 걸어맞춤면부(12a",12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에 대하여 상기 조작부(12)는, 상기 구멍부(22a)의 구멍둘레면(23)에 상기 걸어맞춤면부(12a')와 상기 1쌍의 걸어맞춤면부(12a",12a")를 접촉시킴으로써 걸리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가 상기 암버클(20)의 내측으로 향한 오목부(2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의 상기 암버클(20)의 두께방향에 있는 구멍둘레면(23)을 상기 암버클(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23a)으로 함과 동시에, 이 경사면(23a)의 양측에서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로 이어지는 구멍둘레면(23)을 대체로 경사면(23a)측을 향하여 상기 암버클(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3b,23b)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조작부(12)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걸어맞춤면부(12a')도, 상기 경사면(23a)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걸어맞춤면부(12a') 및 상기 경사면(23b,23b)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걸어맞춤면부(12a",12a")를 상기 경사면(23a,23b,23b)의 상기 경사를 따라서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의 경사를 구비한 면으로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에서는, 상기 수버클(10)을 상기 암버클(20)내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긴 경우,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조작부(12)는, 이 조작부(12)의 두께측의 걸어맞춤면부(12a')가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의 구멍둘레면(23), 즉 경사면(23a)에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이 조작부(12)의 두께측의 걸어맞춤면부(12a')의 양측에서 이 걸어맞춤면부(12a')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면부(12a",12a")가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의 상기 경사면(23a)의 양측에서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구멍둘레면(23), 즉 경사면(23b,23b)에 각각 걸어맞춰짐으로써, 걸어맞춰지는 면의 면적이 비교적 넓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조작부(12)의 폭방향에 있는 1쌍의 걸어맞춤면부(12a",12a")는,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측에서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지는 상기 경사면(23b,23b)을 따른 경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수버클(10) 상기 암버클(20)내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진 경우, 상기 경사면(23b,23b)은 그 경사를 따라서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조작부(12)를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의 외측으로 향하여 더욱 돌출되게 안내한다. 이 결과, 상기 암버클(20)내에서 상기 수버클(10)을 빼내는 방향으로 강하게 잡아당길수록 상기 수버클(10)의 두께방향에 있는 상기 걸어맞춤면부(12a')와 상기 암버클(20)의 두께방향에 있는 상기 경사면(23a)의 걸어맞춤 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걸어맞춰져 있는 상기 수버클(10)과 상기 암버클(20)의 걸어맞춤은,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조작부(11,11)를 상기 암버클(20)의 내측을 밀어넣음으로써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1쌍의 조작부(11,11)를 밀어넣을 때에는,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구멍둘레면(23)의 상기 경사면(23b,23b)이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조작부(12)의 상기 걸어맞춤면부(12a",12a")와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조작부(12)를 상기 경사면(23b,23b)의 경사를 따라서 이 경사면(23b,23b)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측에서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측을 향하여 상기 조작부(12)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1)를 이 조작부(11)의 두께(x)보다도 구멍의 폭(y')을 넓게 한 구멍부(22b)에 용이하게 도달하게 할 수 있고, 이 폭이 넓은 구멍부(22b)에 상기 조작부(12)가 도달한 위치에서 상기 조작부(12)를 더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1쌍의 측면트인구멍(22,22)에서의 상기 1쌍의 조작부(11,11)가 돌출된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을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통형상부(20')내에서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에 형성된 상기 조작부(12,12)를 밀어넣는 조작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부(12,12)의 외측면(12b)의 일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이, 상기 암버클(20)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측면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형성된 상기 오목부(2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12,12)의 외측면(12b)을 손가락등으로 쥐는 것이 용이하므로 압압조작에 지장없이 밀어넣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있어서의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통형상부(20') 내측면에, 이 통형상부(20')에 수용되는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다리부(14)의 폭 치수만큼의 사이를 두고서 상기 전면트인구멍(24)측에서 상기 후면트인구멍(27)측을 향하여 대략 평행한 2조의 가이드리브(25,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2조의 가이드리브(25,25) 사이로 상기 다리부(14)가 수용되지 않으면,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을 상기 암버클(20)의 통형상부(20')내로 수용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버클(10)을 상기 암버클(20)의 통형상부(20')내로 끼워넣을 때, 이 통형상부(20')의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중 어느 한 측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잘못 끼워넣어져서 상기 탄성편(11)의 상기 조작부(12)가 상기 측면트인구멍(22)에 적절하게 걸리지 않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다리부(14)의 선단에는 상기 탄성편(11)의 조작부(12)측을 향하는 1쌍의 가이드리브(14a,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2조의 가이드리브(25,25) 사이로 상기 다리부(14)를 유도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 다리부(14)는, 예를 들면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통형상부(20')를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성형 일그러짐(distorsion)등으로 인하여, 이 암버클(20)의 상기 통형상부(20')의 중앙부가 약간 내측으로 팽창된 경우에 있어서도, 이 다리부(14)가 수용됨으로써, 이러한 일그러짐을 이 다리부(14)의 두께방향으로 교정하여,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통형상부(20')내로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1쌍의 탄성편(11,11)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상기 다리부(14)의 두께는 상기 탄성편(11) 및 상기 조작부(12)의 두께보다 큰 치수로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버클(20)의 상기 후면트인구멍(27)측에는,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통형상부(20')의 양측면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벨트권취부(26)가 상기 후면트인구멍(27)과의 사이에 상기 벨트(B)를 끼울 수 있는 틈을 두고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암버클(20)을 편평한 통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이것 보다도 두꺼운 사각형으로 된 통형상등으로 상기 암버클(20)을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암버클(20)의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버클을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탄성편(11)에 필요한 탄성변형특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버클(10)을 플라스틱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을 구성하는 상기 수버클(10)은 상기 암버클(20)내에 끼워넣어지는 탄성편(11)에 형성된 상기 조작부(12)의 걸어맞춤면(12a)을 상기 통형상부(20')의 입구측에 형성된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의 구멍둘레면(23)과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22b)에서 상기 폭이 좁은 구멍부(22a)측을 향하는 구멍둘레면(23) 쌍방에 접촉되게 하여 상기 암버클(20)에 걸어맞추기 때문에, 양 버클(10,20)이 걸어맞춰지는 부분의 면적을 양 버클(10,20)을 비교적 박형으로 구성하면서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버클(10)을 상기 암버클(20)내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진 경우, 상기 수버클(10)의 상기 조작부(12)가 상기 측면트인구멍(22)의 폭이 넓은 구멍부(22b)에서 폭이 좁은 구멍부(22a)측을 향하여 형성된 상기 경사면(23b)의 경사에 의하여 상기 통형상부(20')의 입구측의 구멍둘레면(23)에 상기 걸어맞춤면(12a)을 밀접하게 걸어맞추도록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수버클(10)을 상기 암버클(20)내에서 빼내려고 하는 힘이 강하게 가해진 경우에도, 양 버클(10,20)의 걸어맞춤상태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버클은 비교적 박형으로 구성하면서도 높은 걸어 맞춤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등산, 건설작업등과 같은 높은 곳에서 활동할 때에 이용되는 안전을 요하는 벨트 등의 버클로서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Claims (1)

  1. 선단측에 조작부를 구비하는 탄성편을 갖는 수버클과; 둘레측에 오목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 오목부에 측면트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통형상부를 갖는 암버클; 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버클의 탄성편이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게 상기 암버클의 상기 통형 상부에 끼워넣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암버클에 형성된 상기 측면트인구멍에는, 상기 통형상부내로 휘어지면서 끼워넣어지는 상기 수버클에 형성된 탄성편의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형상부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폭이 넓은 구멍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입구측에서 상기 탄성편의 상기 조작부를 구멍둘레면에 걸어맞추는 폭이 좁은 구멍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버클의 상기 탄성편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탄성편의 기부측을 향하는 걸어맞춤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트인구멍의 상기 폭이 넓은 구멍부에서 폭이 좁은 구멍부측을 향하는 구멍둘레면이 상기 탄성편의 상기 조작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걸어맞춤면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상기 구멍둘레면이, 상기 조작부를 암버클내로 밀어넣음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의 상기 걸어맞춤면과 서로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조작부가 상기 측면트인구멍의 폭이 넓은 구멍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버클을 상기 암버클의 내측으로 끌어들리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19940030512A 1994-03-15 1994-11-19 버클 KR960014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894894A JP3210798B2 (ja) 1994-03-15 1994-03-15 バックル
JP94-68948 1994-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736B1 true KR960014736B1 (ko) 1996-10-19

Family

ID=1338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512A KR960014736B1 (ko) 1994-03-15 1994-11-19 버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10798B2 (ko)
KR (1) KR960014736B1 (ko)
TW (1) TW297223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97223U (en) 1997-02-01
JP3210798B2 (ja) 2001-09-17
JPH07250704A (ja) 1995-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1694A (en) Buckle having external finger grip
KR870004028Y1 (ko) 버클
KR101421912B1 (ko) 버클
KR950004760Y1 (ko) 버클
US4181832A (en) Buckle apparatus for safety belt
US7979966B2 (en) Buckle
KR20080070544A (ko) 버클
US6170133B1 (en) Buckle
US10588383B2 (en) Buckle
US6061883A (en) Buckle
JPH0431684B2 (ko)
KR19980087244A (ko) 유지 스트랩을 구비한 측방 해제식 버클
JP3982955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CN110482004B (zh) 绳带紧固器
EP0348857B1 (en) Buckle
JP3892363B2 (ja) バックル
KR960014736B1 (ko) 버클
JP3130203B2 (ja) バックル
JPH04221502A (ja) ベルト連結用のバックル
JP4149038B2 (ja) バックル
KR200294282Y1 (ko) 연결구
CN216438655U (zh) 扣具
KR0158914B1 (ko) 결합구
JP7315956B2 (ja) 高所作業用安全帯のバックル
JPH09173107A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