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282Y1 - 연결구 - Google Patents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282Y1
KR200294282Y1 KR2020020022598U KR20020022598U KR200294282Y1 KR 200294282 Y1 KR200294282 Y1 KR 200294282Y1 KR 2020020022598 U KR2020020022598 U KR 2020020022598U KR 20020022598 U KR20020022598 U KR 20020022598U KR 200294282 Y1 KR200294282 Y1 KR 200294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ok
housing
protrus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복
Original Assignee
이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복 filed Critical 이유복
Priority to KR2020020022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28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걸이나 악세사리에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에 따른 연결구(10)는 하우징(12)의 돌기가이드홀(20)을 직선으로 왕복하는 누름돌기(30)와 걸림돌기(32)를 갖춘 탄력성이 있는 가이드몸체(14)로 이루어져 누름돌기(30)를 누르면 갈고리(24)가 개방되고, 갈고리(24) 상부를 누르면 갈고리(24)가 폐쇄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구는 목걸이의 연결구 또는 각종 악세사리의 연결구로 사용시, 간단히 개폐가 가능하고, 개폐시 큰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hand)에 부상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연결구{COUPLER}
본 고안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목걸이나 악세사리에 사용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사용되는 목걸이나 악세사리용 연결구는 한손으로 연결구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악세사리를 연결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종래 목걸이의 연결구는 목(neck)에 걸거나, 또는 분리시에 두손을 모두 이용하여야 하고, 이를 통해 분리시키면서, 신경을 써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일반 핸드폰이나 열쇠고리용 연결구는 새로운 악세사리로 교체하기 위해 악세사리를 분리하거나 새로 끼우게 될때 억지로 다루게 됨으로써, 자칫 잘못하면 손에 부상을 당할 염려가 있고, 연결구 및 교체하고자 하는 악세사리가 망가지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한 목걸이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악세사리로 교체시에 사용자가 손(hand)에 부상 위험이 없는 안전하고 편리한 악세사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체인(chain)을 연결시에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체인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체결 전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연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체결 후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연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를 목걸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결구 12 ... 하우징
14 ... 가이드몸체 16 ... 탄성부재
17, 18 ... 갈고리가이드홀 20 ... 돌기가이드홀
22 ... 관통홀 24 ... 갈고리
26 ... 걸림턱 28 ... 절곡부
30 ... 누름돌기 32 ... 걸림돌기
100 ... 목걸이 102 ... 목걸이줄
104 ... 일단부고리 106 ... 타단부고리
본 고안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부에 갈고리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중앙일측에 돌기가이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갈고리가이드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갈고리가 형성되고, 그 하우징 내부에 상기 갈고리가 연장되어 걸림턱이 형성되고, 그 걸림턱 하부의 절곡부에 연장되어 상기 돌기가이드홀을 따라 직선운동하며 외부로 돌출되는 누름돌기와 걸림돌기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저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몸체의 걸림턱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몸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체결 전의 사시도이고, 도2b는 도2a에 따른 연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체결 후의 사시도이고, 도3b는 도3a에 따른연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를 목걸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따르면, 연결구(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2)과, 그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직선운동이 가능한 가이드몸체(14)와, 그 가이드몸체(14)가 직선운동시 복원력을 증대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16)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2)은 상측부에 갈고리가이드홀(17, 18)이 형성되고 중앙일측에 돌기가이드홀(20)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하우징(12)은 좌측하우징(12L)과 그에 대응하는 우측하우징(12R)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연결구(10)의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좌측하우징(12L)의 상부면 가장자리 테두리에는 갈고리가이드홈(17L, 18L)이 형성되고, 좌측하우징(12L)의 중앙부 테두리에는 돌기가이드홈(20L)이 형성되고, 그 좌측하우징(12L)의 하단부에는 인형 등의 악세사리를 매달수 있는 관통홀(22L)이 형성되는 고정구(23L)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좌측하우징(12L)에 마주보며 대응하도록, 우측하우징(12R)의 상부면에는 갈고리가이드홈(17R, 18R)이 형성되고, 우측하우징(12)의 중앙부 테두리에는 돌기가이드홈(20R)이 형성되고, 그 우측하우징(12)의 하단부에는 관통홀(22R)이 형성되는 고정구(23R)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좌측하우징(12L)과 우측하우징(12R)은 서로 마주하며 결합하여, 하우징(12)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좌측하우징(12L)의 갈고리가이드홈(17L, 18L)과우측하우징(12)의 갈고리가이드홈(17R, 18R)이 결합하여 갈고리가이드홀(17, 18)이 형성되고, 좌측하우징(12L)의 돌기가이드홈(17L, 18L)과 우측하우징(12)의 돌기가이드홈(17R, 18R)이 결합되어 돌기가이드홀(17, 18)을 형성하고, 관통홀(22L)과 관통홀(22R)이 결합되어 관통홀(22)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우징(12)의 내외부에 직선운동하는 가이드몸체(14)는 일단에 갈고리(24)가 형성되어 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몸체(14)의 중앙 일측에는 걸림턱(2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몸체(14)의 저면에서 상부로 스프링(spring) 등의 탄성부재(16)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가이드몸체(14)의 걸림턱(26)에 연장되게 "U"자 형상의 절곡부(28)가 형성되고 그 절곡부(28)에 연장되어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누름돌기(30)가 형성되고,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걸림돌기(32)가 형성된다. 이때, 누름돌기(30)는 손(34)으로 누를때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걸림돌기(32)에 비해 더 크게 형성한다.
가이드몸체(14)는 그 재질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뛰어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2 내지 도4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10)를 목걸이(100)에 적용시에 연결구(10)의 체결 전·후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연결구(10)의 관통홀(22)에는 목걸이줄(102)의 일단에 형성되는고정고리(104)가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고, 목걸이줄(102)의 타단에 형성되는 끼움고리(106)가 연결구(10)의 갈고리(24)에 끼워지거나 분리된다.
먼저 도2a, 도2b 및 도4에 따르면, 가이드몸체(14)의 갈고리(24)가 하우징(12)의 갈고리가이드홀(17)에서 분리되어 갈고리(24)와 갈고리가이드홀(17)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 목걸이줄(102)의 끼움고리(106)가 끼워지거나, 분리가 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이같은 상태는 가이드몸체(14)의 누름돌기(30)가 탄성부재(16)의 탄성력으로 하우징(12)의 돌기가이드홀(20)의 상부면에 걸리게 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갈고리(24)가 개방된 상태에서 손으로 갈고리(24)의 상측부를 누르게 되면,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14)가 하우징(12)의 내부 하측으로 밀려내려가게 되어 "U"자 형상의 절곡부(28)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32)의 외향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돌기가이드홀(20)의 상부면에 걸리게 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되면, 목걸이(100)의 끼움고리(104)는 갈고리(24)에 끼워지지 못하고, 목걸이(100)가 착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가 되지 않게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다시 손(34)으로 누름돌기(30)를 누르게 되면, 걸림돌기(32)가 돌기가이드홀(20)을 이탈함과 동시에 탄성부재(16)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몸체(14)가 하우징(12) 내부에서 상측으로 직선이동하고, 누름돌기(30)가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가이드홀(20)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더이상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측으로의 직선운동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연결구(10)는 목걸이(100)의 연결구(10) 이외에도 휴대폰이나 가방 등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악세사리의 연결구로 사용함도 바람직하다.
또한, 체인(chain)의 연결구로 사용함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10)는 하우징(12)의 돌기가이드홀(20)을 직선으로 왕복하는 누름돌기(30)와 걸림돌기(32)를 갖춘 탄력성이 있는 가이드몸체(14)로 이루어져 누름돌기(30)를 눌르면 갈고리(24)가 개방되어 간단히 악세사리를 체결하고, 갈고리(24) 상부를 눌러 갈고리(24)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서, 새로운 악세사리로 교체시에 사용자가 손(hand)에 부상 위험이 없어 안전하고, 악세사리의 교체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이와같이 간결하게 작동이 가능하여, 목걸이나 휴대폰 및 열쇠고리 등의 악세사리의 연결구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연결구(10)는 물론 악세사리의 고장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측부에 갈고리가이드홀(17, 18)이 형성되고 중앙일측에 돌기가이드홀(20)이 형성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갈고리가이드홀(17, 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악세사리를 걸수 있는 갈고리(24)가 형성되고, 그 하우징(12) 내부에 상기 갈고리(24)로 부터 연장되어 걸림턱(26)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이드홀(20)을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걸림턱(26)의 하부 절곡부(28)에 연장되어 상기 돌기가이드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누름돌기(30)와 걸림돌기(32)가 나란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몸체(14); 및
    상기 하우징(12)의 내측 저면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몸체(14)의 걸림턱(26)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몸체(14)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14)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14)의 하부에는 목걸이의 일단 또는 열쇠고리 등이 고정되는 관통홀(22)이 형성되는 고정구(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KR2020020022598U 2002-07-29 2002-07-29 연결구 KR200294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598U KR200294282Y1 (ko) 2002-07-29 2002-07-29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598U KR200294282Y1 (ko) 2002-07-29 2002-07-29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282Y1 true KR200294282Y1 (ko) 2002-11-04

Family

ID=7307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598U KR200294282Y1 (ko) 2002-07-29 2002-07-29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2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39Y1 (ko) 2012-09-24 2013-02-20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도어개방 조절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39Y1 (ko) 2012-09-24 2013-02-20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도어개방 조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149B1 (ko) 버클
US9113680B2 (en) Buckle
KR950004760Y1 (ko) 버클
US6553637B1 (en) Movable buckle structure
US7415750B2 (en) Cord stopper
KR19980087244A (ko) 유지 스트랩을 구비한 측방 해제식 버클
KR20080070544A (ko) 버클
KR200294282Y1 (ko) 연결구
US4945614A (en) Buckle assembly
JP3892363B2 (ja) バックル
US7181813B2 (en) Low-profile heavy-duty buckle
KR0122491B1 (ko) 벨트클립의 이중잠금장치
KR101825925B1 (ko) 케이스의 잠금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케이스
JP2005291381A (ja) 連結具
JP2001137036A (ja) ストラップ
KR102197754B1 (ko) 2단 잠금 구조를 갖는 팔찌용 체결구
CN116056603A (zh) 用于首饰的紧固装置
JP4641098B2 (ja) 中留のカバー部材構造
KR960014736B1 (ko) 버클
KR0158914B1 (ko) 결합구
JPH11207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KR0130438B1 (ko) 록크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형 스위치
KR100329088B1 (ko) 버클
KR0120838B1 (ko) 버클
EP1219200A1 (en) Magnetic button with both opposite magn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