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39Y1 - 도어개방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도어개방 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439Y1
KR200465439Y1 KR2020120008564U KR20120008564U KR200465439Y1 KR 200465439 Y1 KR200465439 Y1 KR 200465439Y1 KR 2020120008564 U KR2020120008564 U KR 2020120008564U KR 20120008564 U KR20120008564 U KR 20120008564U KR 200465439 Y1 KR200465439 Y1 KR 200465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mpression coil
bracket
chai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Priority to KR2020120008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mprising a flexible member, e.g.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개방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도어개방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는 제2 브라켓(30)의 고리부(32)에 체인부(22)의 링체(22a)를 걸어 도어(1)가 열리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32)에 걸리는 체인부(22)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어(1)가 열리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개방 조절기구{door open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도어의 개방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도어개방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는 도어프레임에 힌지결합된 미닫이도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밀어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도어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 도어가 열리는 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도어가 과도하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큰 각도로 열려 벽면에 부딪힘에 따라 큰 소음이 발생되거나 도어 또는 벽면이 손상되며, 힌지부분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0271100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스토퍼를 고정하여 도어가 열리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토퍼는 도어를 열 때 도어가 스토퍼에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스토퍼가 바닥면에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도어가 열리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도어에 공개특허 10-2010-0130761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도어클로저를 구비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도어클로저는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만 도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도어가 열리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도어를 얼 때 힘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도어개방 조절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완충작용을 통해 도어의 힌지 및 벽면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도어개방 조절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 브라켓(10)과, 복수개의 링체(22a)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 체인부(22)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1 브라켓(10)에 연결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브라켓(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0,30)은 도어(1)와 도어프레임(2)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라켓(30)은 상기 도어(1) 또는 도어프레임(2)에 고정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가 결합되는 고리부(32)를 포함하여, 상기 고리부(32)에 체인부(22)의 링체(22a)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 조절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20)는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체인부(22)가 연결된 완충부(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21)는 압축코일스프링(21a)과, 금속와이어를 U자형으로 벤딩하여 구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내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는 선단부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내부공간을 통해 압축코일스프링(21a)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벤딩되어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단부에 걸리는 고리부(21d)가 형성되며, 상기 체인부(22)는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부재(21c)의 선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 조절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는 길이방향에 비해 폭이 좁은 장원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링체(22a)의 폭에 비해 길이가 긴 걸림부재(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 조절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단은 상기 도어프레임(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체인부(22)의 중간부에 연결된 탄성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 조절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는 제2 브라켓(30)의 고리부(32)에 체인부(22)의 링체(22a)를 걸어 도어(1)가 열리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32)에 걸리는 체인부(22)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어(1)가 열리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의 완충작용을 통해 도어의 힌지 및 벽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의 완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의 완충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의 완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의 완충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의 제2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의 제2 브라켓에 링체를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가 설치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가 설치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에 힌지결합되어 외측으로 회동되어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방 조절기구는 상기 도어프레임(2)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10)과, 일단이 상기 제1 브라켓(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도어(1)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20)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브라켓(30)과, 일단은 상기 도어프레임(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체인부(22)의 중간부에 연결된 탄성부재(4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브라켓(10)은 강도가 높은 금속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0)가 결합되는 결합공(11)과 나사가 결합되는 관통공(12)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2)에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도어프레임(2)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제1 브라켓(10)의 결합공(11)에 연결되는 완충부(21)와, 상기 완충부(21)의 타단에 연결되는 체인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21)는 상기 완충부(21)는 압축코일스프링(21a)과, 금속와이어를 U자형으로 벤딩하여 구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내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는 단부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내부공간을 통해 압축코일스프링(21a)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벤딩되어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단부에 걸리는 고리부(21d)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90°각도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는 선단부, 즉 U자형으로 벤딩된 부위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단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충분히 길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재(21b)는 선단부가 상기 제1 브라켓(10)의 결합공(11)에 연결된다.
상기 체인부(22)는 다수개의 링체(22a)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21c)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부(22)를 잡아당기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재(21b)는 상기 제1 브라켓(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재(21c)가 체인에 의해 당겨지며, 이때,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이 압축되면서 완충기능을 한다.
상기 제2 브라켓(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에 고정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가 결합되는 고리부(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1)는 나사가 결합되는 관통공(31a)이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a)에 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도어(1)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리부(32)는 상기 고정부(31)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는 길이방향에 비해 폭이 좁은 장원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32)의 단부에는 상기 링체(22a)의 폭에 비해 길이가 긴 걸림부재(33)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체(22a)를 걸림부재(33)와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링체(22a)를 고리부(32)에 끼우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2a)를 회전시키면 상기 링체(22a)가 걸림부재(33)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인장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양단이 상기 도어프레임(2)과 체인부(2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를 닫았을 때 연결부재(20)의 중간부를 측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연결부재(20)가 하측으로 늘어져 도어(1)를 열거나 닫을 때 연결부재(20)가 도어(1)에 부딪혀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완충부(21)의 압축코일스프링(21a)에 비해 탄성이 매우 작아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를 열었을 때 연결부재(20)가 탄성부재(40)에 의해 당겨져 도어(1)가 열리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의 체인부(22)를 상기 제2 브라켓(30)의 고리에 건 상태에서 도어(1)를 열면, 상기 연결부재(20)에 의해 도어(1)가 열리는 정도가 제한되어 도어(1)가 과도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열린 도어(1)가 벽면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되거나 도어(1) 또는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체인부(22)의 끝부분에 위치된 링체(22a)를 상기 고리부(32)에 걸거나 체인부(22)의 중간부에 위치된 링체(22a)를 고리부(32)에 거는 등과 같이, 상기 제2 브라켓(30)에 체인부(22)를 걸 때 체인부(22)가 걸리는 위치를 조절하면, 도어(1)가 열리는 정도가 조절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도로만 도어(1)가 열리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에는 완충부(21)가 더 구비되어 도어(1)를 열 때 상기 연결부재(20)가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도어(1)를 열 때 상기 연결부재(20)가 당겨지면서 소음이 발생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0,30)의 고정부(31)위에 하중이 가해져 제1 및 제2 브라켓(10,30)이 도어(1) 또는 도어프레임(2)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완충부(21)는 압축코일스프링(21a)과, 금속와이어를 U자형으로 벤딩하여 구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내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는 선단부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내부공간을 통해 압축코일스프링(21a)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벤딩되어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단부에 걸리는 고리부(21d)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가 상호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이 압축되면서 완충기능을 한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저렴할 뿐 아니라, 작동신뢰성과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는 길이방향에 비해 폭이 좁은 장원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링체(22a)의 폭에 비해 길이가 긴 걸림부재(3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를 상기 고리부(32)에 걸면 링체(22a)가 걸림부재(33)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중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체인부(22)가 고리부(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부(22)의 중간부에는 일단이 상기 도어프레임(2)에 고정된 탄성부재(40)가 구비되므로, 도어(1)를 닫았을 때 연결부재(20)의 중간부를 측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연결부재(20)가 하측으로 늘어져 도어(1)를 열거나 닫을 때 연결부재(20)가 도어(1)에 부딪혀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브라켓(10)은 상기 도어프레임(2)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라켓(30)은 도어(1)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0,30)의 위치는 상호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21)는 일단이 상기 제1 브라켓(10)에 연결되고, 상기 체인부(22)는 상기 완충부(21)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체인부(22)는 상기 완충부(21)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10. 제1 브라켓 20. 연결부재
30. 제2 브라켓 40. 탄성부재

Claims (4)

  1. 제1 브라켓(10)과,
    복수개의 링체(22a)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 체인부(22)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1 브라켓(10)에 연결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브라켓(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0,30)은 도어(1)와 도어프레임(2)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라켓(30)은
    상기 도어(1) 또는 도어프레임(2)에 고정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가 결합되는 고리부(32)를 포함하여, 상기 고리부(32)에 체인부(22)의 링체(22a)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는 일단 또는 양단에 상기 체인부(22)가 연결된 완충부(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21)는
    압축코일스프링(21a)과,
    금속와이어를 U자형으로 벤딩하여 구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내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는 선단부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내부공간을 통해 압축코일스프링(21a)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1a)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21b,21c)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벤딩되어 압축코일스프링(21a)의 단부에 걸리는 고리부(21d)가 형성되며,
    상기 체인부(22)는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부재(21c)의 선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 조절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22)의 링체(22a)는 길이방향에 비해 폭이 좁은 장원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링체(22a)의 폭에 비해 길이가 긴 걸림부재(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 조절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도어프레임(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체인부(22)의 중간부에 연결된 탄성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 조절기구.
KR2020120008564U 2012-09-24 2012-09-24 도어개방 조절기구 KR200465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564U KR200465439Y1 (ko) 2012-09-24 2012-09-24 도어개방 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564U KR200465439Y1 (ko) 2012-09-24 2012-09-24 도어개방 조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439Y1 true KR200465439Y1 (ko) 2013-02-20

Family

ID=5136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564U KR200465439Y1 (ko) 2012-09-24 2012-09-24 도어개방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3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786A (ko) * 1991-06-18 1993-01-15 모또히로 고딴다 도어 체인 장치
KR200259227Y1 (ko) * 2001-09-06 2002-01-05 황세주 하의 걸이 겸용 옷걸이
KR200294282Y1 (ko) 2002-07-29 2002-11-04 이유복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786A (ko) * 1991-06-18 1993-01-15 모또히로 고딴다 도어 체인 장치
KR200259227Y1 (ko) * 2001-09-06 2002-01-05 황세주 하의 걸이 겸용 옷걸이
KR200294282Y1 (ko) 2002-07-29 2002-11-04 이유복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262B1 (en) Damping device for hinge assembly
AU2015261478B2 (en) Hinge
US20100127606A1 (en) Slow open slow close appliance hinge assembly
US10041283B2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AU2013339447B2 (en) Slide guide frame section for screen devices
EP1640537B1 (en) Device for stopping with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sliding doors and shutters
JP2017535701A (ja) 引き出しのための、または、スライディングドアの戸のための減衰または戻り装置
EP2746509B1 (en) Damping device for hinge assembly
KR200465439Y1 (ko) 도어개방 조절기구
TWI599332B (zh) 用於可活動傢俱件的回歸機構
TWI517810B (zh) 具有阻尼機構的自閉合滑軌總成
US9556660B2 (en) Damped hinge assemblies
KR100841801B1 (ko) 슬라이딩도어용 완충장치
KR101784983B1 (ko)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의 제조방법
KR100833322B1 (ko)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TW201504082A (zh) 遮陽簾裝置
JP2011084903A (ja) シャッタ
KR20150045415A (ko)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JP2020037364A (ja) キャスター及び門扉
TWM378270U (en) Semi-automatic door closing damping device
JP6761830B2 (ja) 緩衝装置
KR101702350B1 (ko)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KR200406154Y1 (ko) 슬라이딩 도어와 셔터들을 충격 흡수 및 안정화와 함께정지시키는 장치
KR101035517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작동구조
JP3195038U (ja) ドア/窓固定装置および当該固定装置を備えたドアおよび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