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50B1 -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50B1
KR101702350B1 KR1020150100111A KR20150100111A KR101702350B1 KR 101702350 B1 KR101702350 B1 KR 101702350B1 KR 1020150100111 A KR1020150100111 A KR 1020150100111A KR 20150100111 A KR20150100111 A KR 20150100111A KR 101702350 B1 KR101702350 B1 KR 10170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d door
holding
door
buffer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643A (ko
Inventor
이주현
송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피아
Priority to KR102015010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는 완충 부재 및 홀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 부재는 여닫이문의 손잡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벽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에 장착되며, 상기 여닫이문에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완충 바디 및 상기 완충 바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벽에 부딪치는 것을 완충하는 완충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 헤드를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벽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A BUFFER MEMBER FOR MOUNTING AND A PROTECTING DEVICE FOR SLAMMING A HINGED DO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방문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여닫이문이 벽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에 장착된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여 상기 여닫이문이 쾅하고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닫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현관의 보조 문, 다용도실 또는 잡다한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와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생활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개방 및 차단하는 여닫이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닫이문은 개방하였을 때 그 반대쪽의 벽면에 부딪혀서 손잡이 또는 모서리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최근에는 상기 여닫이문의 상기 벽면과 부딪히는 면에 완충 부재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보다 높게 돌출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완충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볼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여닫이문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여닫이문의 상단 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완충 부재와 같은 안전 장치가 장착된 여닫이문은 청소 또는 외부 환기와 같은 목적으로 창문을 개방할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쾅하고 닫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이를 방지하고자 개방된 여닫이문에 별도의 물건을 지지해 놓던지 아니면 바닥과 문틈 사이를 밀착시켜 끼우는 부재를 활용하고 있지만, 이 모든 동작은 사용자가 별도의 움직임을 통해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 문헌1)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7660호(공개일; 2002.11.23, 여닫이문용 안정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여닫이문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서 쾅하고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에 장착된 완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완충 부재를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여닫이문이 쾅하고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여닫이문의 손잡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벽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에 장착된 완충 부재는 완충 바디 및 완충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 바디는 상기 여닫이문에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완충 바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벽에 부딪치는 것을 완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 바디는 상기 유입되는 바람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주위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윈드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 바디는 상기 여닫이문과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의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완충 바디와 상기 여닫이문 사이에서 상기 캠을 따라 상기 완충 바디가 움직이도록 이들을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캠은 상기 완충 바디가 상기 여닫이문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가이드하는 평탄면 및 상기 평탄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원호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는 완충 부재 및 홀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 부재는 여닫이문의 손잡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벽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에 장착되며, 상기 여닫이문에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완충 바디 및 상기 완충 바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벽에 부딪치는 것을 완충하는 완충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 헤드를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벽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벽에 고정된 홀딩 바디, 각각의 사이에 상기 완충 헤드의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된 홀딩바들, 상기 홀딩바들과 상기 홀딩 바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이 상기 완충 헤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홀딩바들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며 상기 완충 헤드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될 때 이를 순간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딩바들은 그 사이 간격이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딩바들은 상기 좁아지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벽의 안쪽으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홀딩바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을 닫으려고 할 때 상기 홀딩바들로부터 상기 완충 헤드가 빠지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벽에 매립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여닫이문을 개방할 때 그 손잡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벽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에 장착된 완충 부재를 상기 벽에 고정된 홀딩 부재를 통해 상기 완충 부재의 단부에 결합된 완충 헤드를 탄성을 통해서 순간적으로 홀딩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지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동작으로 상기 여닫이문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서 쾅하고 닫히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홀딩 부재의 홀딩바들을 상기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좁아지게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완충 부재의 완충 바디를 상기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여닫이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바람이 더 강하게 유입될수록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홀딩바들의 더 좁은 위치로 움직이게 되어 더 강하게 홀딩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쾅 닫히는 여닫이문에 의해서 심리적으로 매우 놀라거나, 신체적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제거됨에 따라, 상기 여닫이문을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닫힘 방지 장치의 완충 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부재의 여닫이문과 결합되는 부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되는 부위에서 중심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닫힘 방지 장치의 홀딩 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딩 부재의 홀딩바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홀딩바들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홀딩바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닫힘 방지 장치의 완충 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100)는 완충 부재(200) 및 홀딩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 부재(200)는 여닫이문(10)의 손잡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여닫이문(10)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벽(2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200)는 상기 여닫이문(10)의 손잡이 뿐만 아니라, 이 여닫이문(1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여닫이문(10)의 상단 부위에서 상기 벽(20)과 맞닿는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200)는 상기 여닫이문(10)에 결합되는 완충 바디(210) 및 상기 완충 바디(210)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벽(20)에 부딪히는 것을 완충하는 완충 헤드(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 헤드(220)는 가격 대비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 바디(210)는 상기 여닫이문(10)에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한 상기 완충 바디(210)의 결합된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부재의 여닫이문과 결합되는 부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되는 부위에서 중심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완충 바디(210)는 상기 여닫이문(10)과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소정 각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의 캠(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완충 부재(200)는 상기 완충 바디(210)의 움직임을 가이드해 주기 위하여 상기 완충 바디(210)와 상기 여닫이문(10) 사이에서 이들을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움직임에 대한 중심축 역할을 위하여 상기 캠(212)의 중심홀(214)에 삽입된 연결축(232) 및 상기 완충 바디(210)가 상기 여닫이문(10)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축(232)의 양단부들 각각에서 상기 여닫이문(10)에 고정되는 연결대(23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234)들 각각은 상기 연결축(232)이 삽입된 완충 바디(2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삼각형 구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바디(210)의 캠(212)은 상기 외부로부터 바람이 불어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여닫이문(10)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바람이 불어오는 특수한 경우에만 상기 소정 각도로 움직이도록 그 중심에는 상기 완충 부재(200)가 세워지도록 하기 위한 평탄면(216) 및 상기 평탄면(216)의 좌우측 각각에 상기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원호면(2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바람이 멈출 경우, 상기 완충 바디(210)는 상기 캠(212)의 평탄면(216)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여닫이문(10)에 수직한 구조로 자연스럽게 세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 바디(210)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소정 각도의 움직임이 더 자연스럽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윈드 서포터(219)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윈드 서포터(219)는 상기 유입되는 바람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주위보다 소정의 차이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드 서포터(219)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완충 바디(210)의 가운데에 불룩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완충 바디(210)에 날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딩 부재(300)는 상기 여닫이문(10)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 부재(200)의 완충 헤드(220)를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완충 헤드(220)가 부딪히는 벽(20)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홀딩 부재(300)는 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벽(20)에 매립된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홀딩 부재(300)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닫힘 방지 장치의 홀딩 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딩 부재의 홀딩바들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홀딩 부재(300)는 홀딩 바디(310), 홀딩바(320)들, 가이드부(330) 및 탄성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홀딩 바디(310)는 상기 여닫이문(10)을 개방할 때 상기 여닫이문(10)과 부딪히는 벽(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홀딩 바디(310)는 상기 벽(20)의 재질에 따라 적합한 고정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딩 바디(310)는 상기 벽(20)이 시멘트 재질일 경우에는 앙카 피스 또는 콘크리트 못이 사용될 수 있고, 나무 재질일 경우에는 목재용 드릴 피스 또는 나무못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홀딩 바디(310)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기 벽(20)에 매립된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딩바(320)들은 사이에 상기 완충 헤드(22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두 개가 이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홀딩바(320)들 각각의 상기 완충 헤드(220)가 삽입될 때 접촉하게 되는 표면은 상기 완충 헤드(220)의 삽입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상기 홀딩바(320)들 각각은 원기둥의 환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바(320)들은 두 개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딩바(320)들은 그 사이 간격이 바람(W)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완충 헤드(220)는 상기 바람(W)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홀딩바(320)들의 더 좁아지는 위치로 가이드되어 상기 유입되는 바람(W)에 의해서 더 안정적으로 홀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 헤드(220)는 상기 완충 바디(210)가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여닫이문(10)에 결합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유입되는 바람(W)에 대하여 더 자연스럽게 상기 홀딩바(320)들의 더 좁아지는 부위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상기 홀딩바(320)들과 상기 홀딩 바디(31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상기 완충 헤드(220)가 상기 홀딩바(320)들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이 공간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질 수 있도록 이들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이에, 상기 가이드부(330)는 상기 홀딩바(320)들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홀딩 바디(310)에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홀딩바(320)들과 상기 홀딩 바디(310)를 플레이트 형태로 단순히 연결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지만, 상기 홀딩바(320)들의 외곽을 감싸거나 상기 홀딩바(320)들의 양 단들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미도시)들을 갖는 부채꼴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340)는 상기 가이드부(33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340)는 상기 완충 헤드(220)를 홀딩하기 위해 상기 홀딩바(320)들이 오므라지도록 하는 탄성을 상기 가이드부(330)를 통하여 상기 홀딩바(320)들에 제공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에, 상기 탄성부(340)는 상기 홀딩바(320)들 각각과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부(330) 사이에 고무줄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여닫이문(10)을 개방할 때 그 손잡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벽(20)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10)에 장착된 완충 부재(200)를 상기 벽(20)에 고정된 홀딩 부재(300)를 통해 상기 완충 부재(200)의 단부에 결합된 완충 헤드(220)를 상기 탄성부(340)를 통해 순간적으로 홀딩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지 상기 여닫이문(10)을 개방하는 동작으로 상기 여닫이문(10)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W)에 의해서 쾅하고 닫히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홀딩 부재(300)의 홀딩바(320)들을 상기 바람(W)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좁아지게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완충 부재(200)의 완충 바디(210)를 상기 바람(W)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여닫이문(1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바람(W)이 더 강하게 유입될수록 상기 완충 부재(200)는 상기 홀딩바(320)들의 더 좁은 위치로 움직이게 되어 더 강하게 홀딩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쾅 닫히는 여닫이문(10)에 의해서 심리적으로 매우 놀라거나, 신체적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제거됨에 따라, 상기 여닫이문(10)을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상기의 설명에서와는 반대로, 상기 여닫이문(10)을 닫으려고 할 때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홀딩바들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홀딩바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홀딩바(320)들은 이들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벽(20)의 안쪽으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면,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10)을 상기 벽(20)으로부터 닫으려고 할 때 상기 홀딩바(320)들의 경사진 구조를 통해서 상기 완충 헤드(220)가 상기 홀딩바(320)들의 상대적으로 사이 간격이 넓은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쉽고 자연스럽게 상기 여닫이문(10)을 닫을 수 있다.
특히,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바람(W)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완충 헤드(220)가 상기 완충 바디(210)의 소정 각도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홀딩바(320)들의 사이 간격이 좁은 위치로 이동되었을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홀딩바(320)들의 경사진 구조를 통해 더욱더 쉽고 자연스럽게 상기 여닫이문(10)을 닫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홀딩 부재(300)는 상기 홀딩바(320)들을 상기 벽(20)과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홀딩바(320)들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벽(20)의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별도의 제2 가이드부(350)를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도 7을 참조한 경사진 구조의 홀딩바(320)들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상기 완충 부재(200)와 상기 홀딩 부재(300)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100)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될 때에는 그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완충 헤드(220)를 더 강하게 홀딩하여 상기 여닫이문(10)의 자동 닫힘을 방지하면서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완충 헤드(220)가 홀딩된 힘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쉽고 자연스럽게 상기 여닫이문(10)을 닫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여닫이문 20 : 벽
100 :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200 : 완충 부재 210 : 완충 바디
212 : 캠 214 : 중심홀
216 : 평탄면 218 : 원호면
219 : 윈드 서포터 220 : 완충 헤드
230 : 연결부 232 : 연결축
234 : 연결대 300 : 홀딩 부재
310 : 홀딩 바디 320 : 홀딩바
330 : 가이드부 340 : 탄성부
350 : 제2 가이드부

Claims (10)

  1. 여닫이문의 손잡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벽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에 장착된 완충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에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완충 바디; 및
    상기 완충 바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벽에 부딪치는 것을 완충하는 완충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바디는 상기 여닫이문과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 바디와 상기 여닫이문 사이에서 상기 캠을 따라 상기 완충 바디가 움직이도록 이들을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바디는 상기 유입되는 바람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주위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윈드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완충 바디가 상기 여닫이문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가이드하는 평탄면; 및
    상기 평탄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원호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5. 여닫이문의 손잡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벽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닫이문에 장착되며, 상기 여닫이문에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완충 바디 및 상기 완충 바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벽에 부딪치는 것을 완충하는 완충 헤드를 포함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 헤드를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벽에 고정된 홀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바디는 상기 여닫이문과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원호 형상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 바디와 상기 여닫이문 사이에서 상기 캠을 따라 상기 완충 바디가 움직이도록 이들을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벽에 고정된 홀딩 바디;
    각각의 사이에 상기 완충 헤드의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된 홀딩바들;
    상기 홀딩바들과 상기 홀딩 바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이 상기 완충 헤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홀딩바들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며, 상기 완충 헤드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될 때 이를 순간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바들은 그 사이 간격이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홀딩바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문을 닫으려고 할 때 상기 홀딩바들로부터 상기 완충 헤드가 빠지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10. 삭제
KR1020150100111A 2015-07-14 2015-07-14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KR10170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11A KR101702350B1 (ko) 2015-07-14 2015-07-14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11A KR101702350B1 (ko) 2015-07-14 2015-07-14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643A KR20170008643A (ko) 2017-01-24
KR101702350B1 true KR101702350B1 (ko) 2017-02-03

Family

ID=5799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111A KR101702350B1 (ko) 2015-07-14 2015-07-14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8753A (ja) 2006-10-04 2008-04-17 Tatsuo Kiryu 係止具および係止具を利用したドアストッパー
JP2013060785A (ja) 2011-09-15 2013-04-04 Disco Abrasive Syst Ltd 開き戸用ストッ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749U (ko) * 1994-10-22 1996-05-17 윤병권 여닫이 문의 닫힘 완충장치
KR20020087660A (ko) 2001-05-15 2002-11-23 정용수 여닫이문용 안전장치
KR101691864B1 (ko) * 2015-04-07 2017-01-04 주식회사 엘피아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8753A (ja) 2006-10-04 2008-04-17 Tatsuo Kiryu 係止具および係止具を利用したドアストッパー
JP2013060785A (ja) 2011-09-15 2013-04-04 Disco Abrasive Syst Ltd 開き戸用ストッ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643A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7843T3 (es) Dispositivo para la amortiguación del movimiento relativo de piezas de dispositivo móviles, especialmente de puertas correderas
RU2687630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или возвр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ворок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ли для выдвижных ящиков
JP2007092425A (ja) ドア体における指挟み防止構造
KR102216704B1 (ko) 자바라식 출입문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RU2687625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или возвр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ворок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KR101702350B1 (ko) 여닫이문 장착용 완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KR101691864B1 (ko)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KR200449560Y1 (ko) 개폐성능이 향상된 폴딩 도어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JP2013072274A (ja) 引き違い扉の開閉装置
US20170362865A1 (en) Hinged door fixing apparatus for preventing hinged door from being automatically closed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20110011128U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KR200381599Y1 (ko) 미닫이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크리센트
JP5380642B2 (ja) シャッタ
KR10211676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갖는 장롱의 듀얼 댐핑 스토퍼
KR102184819B1 (ko) 미닫이용 완충장치
KR101584318B1 (ko)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101610950B1 (ko) 여닫이문 고정 장치
CN218541929U (zh) 一种阻尼器的助推反弹机构
KR101679846B1 (ko) 선택적 고정이 가능한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101998746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323676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롤스크린용 하단바와 하단바 캡 및 이를 이용한 롤스크린
KR101714352B1 (ko) 여닫이문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