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939B1 - 내연기관재시동시의연료분사부가량의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재시동시의연료분사부가량의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939B1
KR100413939B1 KR1019970706681A KR19970706681A KR100413939B1 KR 100413939 B1 KR100413939 B1 KR 100413939B1 KR 1019970706681 A KR1019970706681 A KR 1019970706681A KR 19970706681 A KR19970706681 A KR 19970706681A KR 100413939 B1 KR100413939 B1 KR 10041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time
restarting
amount
injec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277A (ko
Inventor
헬무트 덴즈
만프레트 피츠
클라우스 뵈트체르
알프레트 클로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8070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 F02D41/123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the fuel injection being cut-off
    • F02D41/12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the fuel injection being cut-off transitional corrections at the end of the cut-off peri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02D41/0087Selective cylinder activation, i.e. partial cylind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7Taking into account fuel evaporation or wall w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유리한 배기가스 및 연비를 얻기 위하여, 재시동시의 연료분사 부가량(tewe)을 검출할 때 엔진 브레이크 차단 후의 재시동 시점에서 발생하고 있는, 배기가스관 내의 실제의 벽막량(WFM1S)을 고려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 재시동시의 연료분사 부가량의 검출 방법
그때, 연료공급의 재시동시의 초기값은 각 실린더의 정지된 연료분사의 횟수에 의존한다. 재시동 후, 연료분사 부가량을 재차 "0"으로 저감 제어하고, 그때 각 실린더의 연료분사의 정지후에 각 실린더에서 행해진 연료분사의 횟수에 의존해서 제어된다. 재시동의 시점에서 필요한 연료분사 부가량은 소정의 시정수로 증가 제어되는 소정의 고정 연료 분사값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 4328835호에 기재된 실린더 개별의 연료분사 정지장치 [예를 들어, 구동 슬립 제어장치(ASR), 엔진 브레이크 구동시, 회전수 또는 속도제한시에서의 스위치 오프]의 재시동후, 실린더마다 선택적으로 연료분사 부가량을 결정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내연기관 재시동시의 연료 분사 부가량의 검출방법의 블록 접속도.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해서 배기가스 값 및 연비를 개선한 내연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정지된 실린더의 재시동시의 연료분사 부가량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 1항의 방법에서, 연료분사 부가량은 재시동의 시점에서 특성 곡선으로부터 판독되는 부하 의존의 벽막량(load-dependent wall-film quantity)을보정 팩터(factor)와 곱셈함으로써 구해진다. 이 보정 팩터는 엔진 브레이크 차단 시간 중, 재시동하기까지 제 1 시정수로 증가 제어된다. 재시동후, 미리 산출된 연료분사 부가량은 제 2 시정수로 재차 저감 제어된다.
재시동시의 연료분사 부가량을 벽막량의 실제값으로부터 도출함으로써 배기 가스 및 연비가 개선된다.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도면에는 내연기관의 재시동시의 연료분사 부가량의 검출방법의 블록 접속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슬립 제어(ASR)시, 엔진 브레이크 구동상태에서 회전수 또는 속도 제한시에는 통상적으로 실린더 선택 연료분사 정지가 행해진다. 과도하게 낮은 회전수 한계값을 밑돌았을 경우, 또는 스로틀밸브가 개방된 경우, 엔진 브레이크 차단 상태로부터, 즉, 실린더 개별의 연료분사 정지 상태로부터 실린더 선택 재시동 상태로 이행한다. 재시동해야 할 실린더의 순서와 그 갯수는 소정의 정지 패턴을 거쳐서 행할 수 있다. 스로틀밸브 각도 또는 회전수의 변화가 작은 경우, 단계적인(매끄러운) 재시동이 행해지며 스로틀밸브 각도 또는 회전수가 큰 경우에는 도약적인(거친) 재시동이 행해진다. 개별 실린더에 대해서 여러가지 상이한 길이로 할 수 있는 정지기간 동안 공기 흡입관내에서 제거된 벽막을 재차 형성하기위해서는 재시동시에 실린더 선택의 연료부가량이 필요하다.
도면에는 재시동시에 필요한 실린더에 대한 연료분사 부가량을 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 접속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1)은 공기 흡입관내의 부하에 의존하는 벽막량의 특성 곡선을 가지고 있다. 이 특성 곡선으로부터 부하신호(t1)에 의존해서 그때마다 벽막량의 실제값이 판독된다. 접속점(2)에서는 특성 곡선(1)으로부터 구해진 벽막량 WF(k)(ki는 시간지표)에 대해서 무부하 운전시의 최소 벽막을 송출하는 값(WFOFF)이 부가 가산된다. 이 값(WOFF)은 회전수(n)에 의존하는 특성 곡선(3) 또는 회전수와 엔진 온도에 의존하는 특성영역으로부터 구해진다. 그러나 이 최소 벽막량(WOFF)은 특성영역(1)내에서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블록(4)내의 샘플-앤드-홀드-회로는 벽막량 WFM1=WF(k)+WOFF의 재시동 신호(B-WE)의 발생시에 블록(4)에 인가되는 값을 검출한다. 이 샘플링된 벽막값(WFM1S)은 다른 접속점(5)에 공급되며 이 접속점에서 이 값은 보정 팩터(fwe)에 곱셈된다. 이 보정 팩터(fwe)는 블록(6)내에서 형성된다. 엔진 브레이크 차단신호(B-SA)가 생기면 스위치(7)를 거쳐서 시정수(ZFSA)가 보정 팩터(fwe)를 형성하는 블록(6)에 통하도록 접속된다. 보정 팩터(fwe)는 그때 시정수(ZFSA)로 최소값 0으로부터 최대값 1로 증가 제어된다. 재시동 신호(B-WE)가 생기면 즉시 샘플링된 벽막량(WFM1S)의 값이 보정 팩터(fwe)의 블록(6)에서의 보정 팩터가 재시동의 시점까지 증가 제어되는 값과 곱셈된다. 그때, 이 보정 팩터(fwe)와 샘플링된 부하 의존의 벽막량(WFM1S)의 값과의 축적값은 연료분사 부가량(tewe)에 상응한다.
재시동후 마찬가지로 구해진 연료분사 부가량(tewe)이 시정수(ZFWE)로 재차 저감 제어된다. 즉, 재시동 신호(B-WE)가 인가되면 즉시, 스위치(7)는 이 시정수(ZFWE)로 전환되고 블록(5)내에서 형성된 팩터(fwe)는 시정수(ZFWE)로 저감제어된다. 이 저감제어된 팩터(fwe)를 재시동의 시점에서 샘플링된 벽막량(WFM1S)에 곱셈함으로써 연료분사부가량(tewe)의 저감 제어가 행해진다.
양 시정수(ZFSA)와 (ZFWE)는 부하 또는 회전수 또는 다른 적절한 엔진량에 의존해서 설정된다.
연료분사 부가량(tewe)은 재시동의 시점에서 각 실린더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산출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단계적인 재시동시에 필요하다. 그 까닭은, 그때 개별 실린더는 다른 부하의 경우에는 지연되므로, 그와 같이 부가 접속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실린더마다 이 여러가지 상이한 부하에 따라서 변화되는 벽막량도 생긴다.
실린더 개별의 연료분사 부가량의 신호(tewe)는 접속점에서 부하신호(t1)로부터 도출된 실린더 개별의 기준연료 분사량의 신호(te)에 중첩된다. 또한, 접속점(9)에서의 기준 연료분사량에 대한 신호(te)에는 실린더 개별의 연료분사 밸브의 배터리 전압에 의존하는 가속지연을 고려하는 보정신호(TVUB)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다른 접속점(10)에서는 기준 연료분사량에 대한 신호(te)에 보정 신호(teukg)를 중첩하면 좋으며, 이 신호는 글로벌로(실린더 선택적이 아닌) 상승 또는 하강부하에서의 벽막보상(이행 보상)을 고려한다. 이 글로벌한 이행 보상신호(teukg)는 3개의 성분, 즉, K성분, L성분과 W성분으로 합성된다. 접속점(11)에서 상호 중첩된 K 및 L성분은 부하의존의 벽막량(WF)(k)의 시간변화로부터 도출된다. 그때, 벽막량의 단시간의 변화는 K성분으로서 제 1 메모리(12)내에 축적되고 장시간의 변화는 L성분으로서 제 2 메모리(13)내에 축적된다. 양성분의 분할은 회전수 및 부하변화의 방향에 의존한다. 벽막량의 변화는 지연소자(14)를 사용하여 구해지며 이 지연소자는 1시간 단위만큼 지연된 벽막량의 값 WF(K-1)을 접속점(15)에 형성한다. 접속점(15)은 K번째와 (K-1)번째의 벽막량의 값과의 사이의 차를 형성하고 그 차로부터 벽막량의 변화가 형성된다. 이행보상신호(teukg)의 W성분은 제 3 메모리(16)내에서 형성되며 이 메모리는 스로틀 밸브 위치와 회전수에 의존하는 부부하신호 (tlw)(예를 들면 10ms 사이클)의 변화를 축적한다.
이 W 성분은 접속점(17)에서 K번째와 L번째의 성분에 가산된다.
이행 보상신호(teukg)는 기술의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도 구할 수 있다.
보상신호(teukg), (tewe)와 (TVUB)와 가해진 기준 연료분사 부가량의 신호(te)는, 결국, 실린더 개별의 연료분사량의 소망의 신호(ti)를 형성한다.
연료분사 부가량(ti)을 제어하는 동안 엔진브레이크 차단이 생기면, 저감제어과정이 차단되어서 신호(ti)는 엔진브레이크 차단신호(B-SA)에 의해서 제어된 스위치(18)를 거쳐서 "0"으로 세트된다.

Claims (4)

  1. 내연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정지된 실린더 재시동시 연료분사 부가량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연료분사 부가량(tewe)을 재시동 시점에서 부하의존의 벽막량(WFM1)과 보정 팩터(fwe)와의 곱셈으로 구하고, 해당 보정 팩터(fwe)를 엔진 브레이크 차단시간 동안 재시동하기까지 제 1 시정수(ZFSA)로 증가 제어하고, 이어서, 상기 보정 팩터(fwe)를 제 2 시정수(ZFWE)로 재차 저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부가량의 검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시정수(ZFSA,ZFWE)는 부하 또는 회전수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부가량의 검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분사 부가량(tewe)의 저감 제어과정 동안, 엔진 브레이크 차단상태(B-SA)의 발생시에 상기 저감 제어과정을 차단해서 연료분사 부가량(tewe)을 값 "0"에 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부가량의 검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시정수(ZFSA, ZFWE)는 부하 및 회전수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부가량의 검출 방법.
KR1019970706681A 1996-02-06 1996-12-18 내연기관재시동시의연료분사부가량의검출방법 KR100413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4136.8 1996-02-06
DE19604136A DE19604136A1 (de) 1996-02-06 1996-02-06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Einspritzmehrmenge beim Wiedereinsetzen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277A KR19980703277A (ko) 1998-10-15
KR100413939B1 true KR100413939B1 (ko) 2004-03-30

Family

ID=778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681A KR100413939B1 (ko) 1996-02-06 1996-12-18 내연기관재시동시의연료분사부가량의검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39409A (ko)
EP (1) EP0819210B1 (ko)
JP (1) JPH11504099A (ko)
KR (1) KR100413939B1 (ko)
DE (2) DE19604136A1 (ko)
WO (1) WO1997029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4297B1 (en) * 2001-05-31 2002-11-05 Lai Ming De Fuel breaking/saving device for cars during coasting
DE10147622A1 (de) * 2001-09-27 2003-04-10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nach einem Schubbetrieb
US6736108B2 (en) * 2002-05-16 2004-05-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and spark compensation for reactivating cylinders in a variable displacement engine
US7328686B2 (en) * 2003-09-23 2008-0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cylinde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US7111593B2 (en) * 2004-01-29 2006-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control to compensate for fueling dynamics
JP4334367B2 (ja) * 2004-02-09 2009-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噴射制御装置
US7085647B1 (en) 2005-03-21 2006-08-0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irflow-based output torque estimation for multi-displacement engine
US7021273B1 (en) 2005-03-23 2006-04-04 Daimlerchrysler Corporation Transition control for multiple displacement engine
US7044107B1 (en) 2005-03-23 2006-05-1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ethod for enabling multiple-displacement engine transition to different displacement
US7013866B1 (en) 2005-03-23 2006-03-2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irflow control for multiple-displacement engine during engine displacement transitions
DE102005031720B4 (de) 2005-07-07 2020-06-18 Daimler Ag Verfahren zur Dosierung eines Reduktionsmittels
EP1944490A1 (en) * 2007-01-10 2008-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uel control method
JP4497191B2 (ja) 2007-11-06 2010-07-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637222B2 (ja) * 2011-01-20 2014-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10746108B2 (en) * 2014-10-20 2020-08-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 for reactivating engine cylinders
JP6120019B2 (ja) 2015-02-19 2017-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10223A5 (ko) * 1972-12-11 1974-07-05 Sopromi Soc Proc Modern Inject
JPS57124033A (en) * 1981-01-26 1982-08-02 Nissan Motor Co Ltd Fuel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33125B2 (ja) * 1987-01-30 1996-03-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S63314339A (ja) * 1987-06-17 1988-12-22 Hitachi Ltd 空燃比制御装置
JPH01142545U (ko) * 1988-03-25 1989-09-29
DE4328835C2 (de) * 1993-08-27 2002-09-05 Bosch Gmbh Robert Zylinderselektives Einspritzsystem
DE59503364D1 (de) * 1994-06-24 1998-10-01 Siemens Ag Verfahren zum steuern der kraftstoffzufuhr für eine mit selektiver zylinderabschaltung betreibbare brennkraftmaschine
JPH08177556A (ja) * 1994-10-24 1996-07-09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の燃料供給量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04136A1 (de) 1997-08-07
DE59604780D1 (de) 2000-04-27
EP0819210A1 (de) 1998-01-21
KR19980703277A (ko) 1998-10-15
EP0819210B1 (de) 2000-03-22
US5839409A (en) 1998-11-24
WO1997029276A1 (de) 1997-08-14
JPH11504099A (ja)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939B1 (ko) 내연기관재시동시의연료분사부가량의검출방법
US5595161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uel injec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522367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a future load signal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JPH07111143B2 (ja) ディーゼル式内燃機関の過給圧制御装置
KR970059478A (ko)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제어 장치
KR100462251B1 (ko) 내연기관의 회전수 제어장치
US62314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gine idle revolution number
US5590633A (en)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for engine
JPH11173185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EP01616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30002380B1 (ko) 내연기관의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4506646A (en) Electronic controlled fuel injection system and injection timing control method therefor
US487211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fuel ratio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77098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JP200627490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3802575B2 (ja) 内燃機関の燃料計量用電子制御システム
KR100337828B1 (ko) 스로틀 위치센서에 의한 공연비 제어방법
JP2002089338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222852B1 (ko) 연료 분사 제어 방법
JP3187534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補正方法
KR100290363B1 (ko) 비동기 분사량의 이원화 보정방법
JP3116426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H01106934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609442B2 (ja) 電磁弁制御される燃料調量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と装置
JPH0828318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