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070B1 - 악기 스탠드 - Google Patents

악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070B1
KR100413070B1 KR10-2001-0007688A KR20010007688A KR100413070B1 KR 100413070 B1 KR100413070 B1 KR 100413070B1 KR 20010007688 A KR20010007688 A KR 20010007688A KR 100413070 B1 KR100413070 B1 KR 10041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support
fixing member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900A (ko
Inventor
페테르 빌퍼 한스
Original Assignee
페테르 빌퍼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1696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130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테르 빌퍼 한스 filed Critical 페테르 빌퍼 한스
Publication of KR2002001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와 같이 바디와 네크를 갖는 악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탠드는 약 8 내지 40cm의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악기의 바디에 대해 베드의 기능을 하는 프레임과 여기에 설치된 두 개의 받침부재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악기의 네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을 갖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이 고정부재의 고정면은 상기 두 개의 받침부재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악기 스탠드{Support Stand for Stringed Instrument}
본 발명은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와 같이 바디와 네크를 갖는 악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하게 진행하며 악기의 바디에 대해 베드의 기능을 하는 프레임과, 여기에 배치되는 두 개의 받침부재와, 이 프레임에 악기의 네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을 갖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제1청구항의 상위 개념에 따른 악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서문에 기술된 특징을 갖는 기타용 또는 베이스 기타용 악기 스탠드는 이미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잘 알려진 스탠드의 경우 바디를 받치는 받침부재는 네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의 유효한 고정면과 수직을 이룬다. 이런 기타 스탠드는 대부분 실용성이 떨어진다. 특히, 이런 종류의 멀티스탠드는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악기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종래 방식의 스탠드의 경우에는 스탠드에 악기를 거치할 때 사용자는 신경을 써서 악기를 정확한 위치에 놓아야 하는데, 이것은 신속하게 움직여야 하는 무대 뒤에서의 상황을 감안할 때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취급이 용이한 악기 스탠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제 1청구항의 특징에 따른 악기 스탠드를 통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사상은 유효한 고정면이 포함된 악기의 네크를 위한 고정부재를 갖추고, 이 고정부재의 유효한 고정면이 두 개의 악기의 바디를 받치는 받침부재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는 것에 있다. 이 경우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는 이격된 받침부재 상에서 그 정면이 받침부재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될 뿐아니라 고정부재의 고정면(bearing surface) 또는 고정선(bearing line)에 대해서도 수직으로 진행되도록 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타는 스탠드의 정면방향에서 착탈될 때 기타의 정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일어난다. 이와 반대로 종래 방식의 기타스탠드의 경우에는 기타의 정면으로 진행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멀티스탠드가 제작되었다. 이 새로운 형태의 멀티스탠드의 경우 받침부재는 여러 대의 악기가 서로 이격되게 거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특히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의 경우 악기가 일렬로 거치될 수 있어 공간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외관상으로도 세련되게 악기를 배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재들이 각각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한 개의 받침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여러 대의 기타가 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받침부재는 여러 개의 부분구간으로 분할될 수 있어 여러 대의 악기가 나란히 또는 엇갈리게 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의 고정면 또는 고정선이 받침부재를 평면상에서 볼 때 양측 받침부재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받침부재의 면이 거의 수평으로 진행하도록 스탠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술된 배치를 통해 악기가 고정부재에서 수직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거치'되고 중력으로 인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보장된다. 아울러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의 경우 이렇게 경사지게 거치됨으로써 외관상으로 심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받침부재는 끝부분에서 측면구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받침부재는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측면구간은 측면에서 스탠드를 어느 정도 차폐하고 스탠드에 거치된 악기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악기가 상단에서 받침부재상으로 거치될 뿐만 아니라 받침부재 사이 구역의 홈에 놓이게 되어 이를 통해 악기가 더욱 견고하게 거치된다.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은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를 사용할 경우 8 ~ 40cm, 바람직하게는 20 ~ 30cm이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프레임 또는 받침부재 구간에서 고정부재에 대해 외측 받침부재를 받침부재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hinge device)가 설치된다. 따라서 운반시 요구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동시에 제조회사나 판매회사의 보관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른 확정적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여러 대의 악기를 거치하기 위해 고정부재를 복수개의 분할구간으로 나누는 분할구가 고정부재에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악기의 간격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확정적인 실시예의 경우에는 거치위치에서 수직면에 대해 경사지게 진행하는 지지대가 프레임에 설치되는데, 이 지지대에는 한편으로는 고정부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리부재 또는 벽고정장치가 연결된다. 악기용 스탠드는 원칙적으로 바닥에 설치되는 스탠드로 설계되었다. 하지만 변형(modification)을 통해 벽에도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상황에 따라서 벽과의 적합한 간격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며, 견고하고, 제작이 용이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프레임 또는 받침부재 또는 고정부재가 단면이 원형인 관으로 형성된다.
악기를 보호하고 악기가 측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받침부재 및 고정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비교적 마찰계수가 큰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피복으로 코팅된다. 이외에도 측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은 상응하게 형성된 분할구를 통해 제한되거나 또는 방지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보강재로서 두 개의 받침부재를 통해 프레임이 보강된다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는 이중기능을 충족시킨다. 즉, 이것은 한편으로는 악기 바디를 위한 지지판의 기능을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스탠드의 프레임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베이스 기타가 거치되어 있는 악기 스탠드의 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베이스 기타가 거치되어 있지 않는 도 1에 따른 악기 스탠드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악기 스탠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악기 스탠드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악기 스탠드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악기 스탠드의 제 1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따른 악기 스탠드의 제 2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 따른 악기 스탠드의 제 3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바디 12 : 네크
13 : 프레임 14,15 : 받침부재
16,17 : 지지위치 18 : 고정부재
19,20 : 측면구간 21,22 : 회전장치
23,24,25 : 분할구 26,27 : 분할구간
28 : 지지대 29,30 : 다리부재
31,32 : 벽고정부재 33,34 : 합성수지피복
35 : 홈 36 : 링
A : 회전축
<실시예>
도 1은 악기 스탠드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악기 스탠드에 베이스 기타가 거치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악기 스탠드에는 다리부재(29,30)가 거의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28)를 포함하는 프레임(13)이 포함된다. U-자 형태의 지지대(28)는 회전장치(hinge device)(21,22)를 통해 각각 다리부재(29,30)와 결합된다.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받침부재(14,15)는 측면구간(19,20)을 통해 모서리가 라운딩되어 있는 사각의 링(36) 형태를 이룬다. 상기 링(36)은 측면구간(19,20)이 바람직하게는 나사를 통해 다리부재(29,30)에 고정됨으로써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재(14,15)가 프레임(13)에 안정하게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재가 이중기능 즉, 한편으로는 고정하고자 하는 악기를 지지하는 기능과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13)을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은 본 발명의 종속적 측면으로서 청구된다.
악기 스탠드에 올려진 악기를 보호하고 악기가 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링(36)은 발포된 합성수지 재질인 슈퍼론(superlon)으로 피복되어 있다.
각각 한 개의 바디(11)와 한 개의 네크(12)로 이루어진 한 개 또는 여러 대의 베이스 기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정면이 받침부재(14,15)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링(36)에 안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의 바디(11)가 올려지는 위치 즉, 받침부재(14,15)의 지지위치(16,17)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의 착탈은 기타의 정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를 자신의 정면에 대해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리부재(29,30)의 반대쪽 지지대 구간, 더욱 상세하게는 U-자 형태의 지지대 중앙 부분에 고정부재(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재(14,15)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며 거치하고자 하는 악기의 상단을 지지하는 고정면(bearing surface) 또는 고정선(bearing line)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는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의 네크가 상기 고정부재(18)에 거치된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8)에는 이외에도 고정부재(18)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며, 멀티스탠드에 있어서 여러 대의 악기를 거치하기 위한 분할대로서의 기능을 하는 분할구(subdivision device)(23,24,25)가 설치된다. 동시에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분할구는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의 또 다른 거치대로서 기타가 측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악기 스탠드를 상단에서 관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길게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재(14,15)와 여러 대의 악기를 고정하기 위한 공동 지지대로서의 측면구간(19,20)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특징적인 링(36)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링(36)은 프레임(13)을 위한 보강부재의 기능을 갖는다. 여러 대의 기타를 위한 분할구(23,24,25)를 갖는 상기한 고정부재(18)의 형태는 도 2를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분할구(23,24,25) 사이에는 각각 한 대의 악기가 삽입되는 분할구간(26,27)이 형성된다. 악기의 형태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한 개의 분할구간(26,27)에 여러 대의 악기를 거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에는 스탠드에 악기를 삽입하거나 꺼낼 때 서로 충돌하여 악기가 손상될 위험이 높아진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8)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는 분할구(23,24,25)는 상기 고정부재(18)를 각각의 분할구간(26,27)을 구획하는 기능을 하며, 거치된 기타가 스탠드에서 측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분할구(23,24,25)에는 악기를 보호하고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합성수지피복(34)이 코팅되어 있다.
도3에는 스탠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링(36)과 프레임은 파이프, 바람직하게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된다. 링(36)의 금속관에는 이미 설명한바 있는 합성수지피복(33)이 코팅되어 있다. 고정부재(18) 구간은 합성수지피복(34)으로 코팅되어 있는 U-자 형태의 지지대(28)의 내측 중앙부분에 해당한다.
지지대(28)를 링(36)이 고정되어 있는 다리부재(29,30)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이미 기술한 바 있는 회전장치(21,2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장치에는 다리부재(29,30)에 배열되며 보어홀(borehole)을 갖는 플랜지가 포함된다. 각각의 플랜지는 U-자형의 지지대(28)의 끝부분에 배열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보어홀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플랜지의 보어홀들은 서로 일직선상(alignment)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쌍으로 각각 볼트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 힌지형태로 결합된다.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보어홀 또는 볼트는 지지대(28)가 다리부재(29,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된다.
도 4에는 도 1에 따른 스탠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스탠드의 정면도로서 도 4를 통해 지지대(28)의 U-자 형태를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5에는 접은 상태의 스탠드가 도시되어 있다. 접은 상태에서 링(36)은 동시에 지지대(28)를 위한 지지판(bed)의 기능을 한다. 접힌 상태에서 U-자형태의 지지대(28)의 단부는 다리부재(29,30)에 의해 회전 위치가 제한된다. 이때 지지대(28)의 외측 끝부분과 다리부재(29,30) 사이의 기하학적 형태(geometry)는 접힌 상태에서 지지대(28)의 외측 다리가 링(36)의 면에 대해 90°이상, 바람직하게는 91°내지 96°를 갖도록 결정된다.
도 6에는 스탠드를 벽에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스탠드를 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벽고정부재(31,32)가 지지대(28)에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의 경우처럼 벽고정부재(31,32)를 통해 스탠드가 진열대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의 정면에 고정될 수 있기 위해서는 벽과의 간격이 충분히 유지되어야 한다.
도 7에는 두 번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외측으로 형성된 홈(35)이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받침부재(14,15)는 정확한 의미에서 평행하게 진행하지 않는다. 링(36)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35)을 통해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는 각각의 거치위치에 더 쉽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여러 대의 기타의 상대적 위치가 의도치 않게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8에서 받침부재(14,15)가 서로 직선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본 발명의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받침부재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예를 들어 원호 형태로 굴곡되게 진행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스탠드는 사분원(quarter circle) 형태로 공간의 모서리에 설치되기에 적합하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로서 완전한 원형의 스탠드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한 개의 링(36)을 갖는 여러 개의 스탠드가 연결되거나 또는 측면구간(19,20)이 없이 받침부재(14,15)가 일체형인 완전한 원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악기 스탠드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취급이 용이하다.

Claims (12)

  1.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와 같이 바디(11)와 네크(12)로 구성된 악기를 거치하기 위하여 악기의 바디(11)에 대해 베드의 기능을 하는 프레임(13), 이 프레임(13) 상에 설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받침부재(14,15), 및 상기 프레임(13) 상에 설치되고 악기의 네크(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을 갖는 고정부재(18)로 구성된 악기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8)는 그 고정면이 상기 두 개의 받침부재(14,15)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18)에는 여러 대의 악기를 거치하기 위해 고정부재(18)를 복수개의 분할구간(26,27)으로 나누는 분할구(23,24,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4,15)는 여러 대의 악기가 받침부재(14,15)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거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4,15)는 고정부재(18)에 인접한 내측 받침부재(14)와 고정부재(18)와 떨어진 외측 받침부재(1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8)는 이 받침부재(14,15)를 평면에서 도시할 때 양측 받침부재(14,15)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4,15)는 끝부분이 측면구간(19,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8)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받침부재(14,15)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악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4,15)는 서로 8 ~ 40cm, 바람직하게는 20 ~ 30cm 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에는 상기 외측 받침부재(15)를 받침부재(14,15)에 평행한 회전축(A)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재(18)를 향해 회전시키는 회전장치(hinge device)(21,2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 상에는 거치 위치에서 수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지지대(28)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28)에는 상기 고정부재(18), 다리부재(29,30) 및 벽고정부재(31,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 받침부재(14,15) 및 고정부재(18)는 그 단면이 원형인 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4,15) 및 고정부재(18)는 적어도 일부분에 마찰계수가 큰 발포성 재질로 된 합성수지피복(34)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받침부재(14,15)는 상기 프레임(13)을 보강하는 보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스탠드.
KR10-2001-0007688A 2000-08-30 2001-02-16 악기 스탠드 KR100413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18805.1 2000-08-30
EP00118805A EP1187093B1 (de) 2000-08-30 2000-08-30 Musikinstrumentenstä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900A KR20020017900A (ko) 2002-03-07
KR100413070B1 true KR100413070B1 (ko) 2003-12-31

Family

ID=816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688A KR100413070B1 (ko) 2000-08-30 2001-02-16 악기 스탠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6540182B1 (ko)
EP (1) EP1187093B1 (ko)
JP (1) JP3795760B2 (ko)
KR (1) KR100413070B1 (ko)
CN (1) CN1185618C (ko)
AT (1) ATE231641T1 (ko)
AU (1) AU777464B2 (ko)
BR (1) BR0100593A (ko)
CA (1) CA2349632C (ko)
CZ (1) CZ294287B6 (ko)
DE (2) DE20019004U1 (ko)
DK (1) DK1187093T3 (ko)
ES (1) ES2187416T3 (ko)
NZ (1) NZ512642A (ko)
PL (1) PL198820B1 (ko)
PT (1) PT1187093E (ko)
RU (1) RU2213378C2 (ko)
SI (1) SI1187093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5597B1 (en) 2004-10-07 2005-09-20 Timothy Allan Brown Combination instrument stand and chair
US7375269B2 (en) * 2005-01-18 2008-05-20 Perkins Michael T Bass guitar stand up adapter
US7717377B1 (en) 2006-09-18 2010-05-18 Christopher Louis Corrado Collapsible instrument stand
US7900881B2 (en) * 2007-05-21 2011-03-08 Campagna Anthony J Musical instrument support stand
CA2650360A1 (en) * 2008-01-18 2009-07-18 Wenger Corporation Convertible instrument rack
US8084675B1 (en) * 2009-03-13 2011-12-27 John Covert Multifunction guitar stand
US8403276B2 (en) * 2010-08-05 2013-03-26 Thomas David Michael Lewis Vertical support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DE102010052584B3 (de) * 2010-11-25 2012-04-05 König & Meyer GmbH & Co KG Musikinstrumentenständer
US8845017B1 (en) * 2010-11-30 2014-09-30 Paul Peter Lach Instrument stand with seat
KR101255985B1 (ko) * 2011-02-09 2013-04-17 강명재 기타 거치대
US8770535B1 (en) * 2013-02-07 2014-07-08 Tsung-Yao Yu Musical instrument stand
USD758769S1 (en) 2013-07-19 2016-06-14 Kim Maria Terpening Combined instrument and music stand
GB2542195A (en) * 2015-09-14 2017-03-15 Hepburn Andrew Musical instrument display stand
DE202016002708U1 (de) 2016-04-26 2016-05-18 Adam Hall Gmbh Musikinstrumentenständer
CN106935234A (zh) * 2017-03-24 2017-07-07 天津潜宇塑胶制品有限公司 用于支撑竖管萨克斯的支架装置
EP3511929B1 (de) * 2018-01-16 2020-11-04 Wilfer, Hans-Peter Musikinstrumentenständer, insbesondere mehrfach-gitarrenständer, mit stützteilen
CN109300455A (zh) * 2018-09-10 2019-02-01 广州市和必括乐器制造有限公司 一种便携式乐器支撑架
US10900606B2 (en) 2019-05-24 2021-01-26 JDL Gear LLC Mobile foldable instrument st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9369U (ko) * 1978-12-15 1980-06-20
JPS58168796U (ja) * 1982-05-07 1983-11-10 ロツコ−マン株式会社 楽器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4096A (en) * 1927-04-25 1930-08-26 Gerald J Hasterok Musical-instrument holder
US2591805A (en) * 1950-06-23 1952-04-08 Homer E Gossett Holder for implements
US2869201A (en) * 1954-05-24 1959-01-20 Harry O Wolff Attaching device
DE9005937U1 (ko) * 1990-05-25 1990-09-13 Muehlbauer, Alex, 3000 Hannover, De
US5271192A (en) * 1992-05-06 1993-12-21 Nothum Sr Alfred Gutter hanger and screen assembly
US5279452A (en) * 1992-05-21 1994-01-18 Nichol Huynh Drink holder
DE29504830U1 (de) * 1995-03-22 1995-09-07 Moisevici Sorin Dan Gitarrenhalterung
US5664756A (en) * 1996-09-26 1997-09-09 Liao; Yuan-Chi Article stand
US5852250A (en) * 1997-05-16 1998-12-22 Cha; Jennifer Portable instrument stand
US5897086A (en) * 1997-08-15 1999-04-27 Quick Strap,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training water heaters from tipping over due to earthquake or severe winds
US6036159A (en) * 1997-10-24 2000-03-14 Yu; Ming-Ti Musical instrument stand
JP2000009943A (ja) * 1998-06-17 2000-01-14 Fujitsu Ltd 光伝送装置
US5959225A (en) * 1998-07-08 1999-09-28 Hsu; Hsin-Hsuan Guitar rack structure
US6202969B1 (en) * 1998-11-03 2001-03-20 Patrick C. Orr Duct hanger device
US6179135B1 (en) * 1999-10-22 2001-01-30 Anthony A. Casillas Support assembly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9369U (ko) * 1978-12-15 1980-06-20
JPS58168796U (ja) * 1982-05-07 1983-11-10 ロツコ−マン株式会社 楽器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7093A1 (de) 2002-03-13
DE20019004U1 (de) 2001-05-10
JP3795760B2 (ja) 2006-07-12
US6588715B2 (en) 2003-07-08
EP1187093B1 (de) 2003-01-22
JP2002091432A (ja) 2002-03-27
DK1187093T3 (da) 2003-02-24
CZ20013118A3 (cs) 2002-04-17
CZ294287B6 (cs) 2004-11-10
CN1340800A (zh) 2002-03-20
US6540182B1 (en) 2003-04-01
CN1185618C (zh) 2005-01-19
CA2349632A1 (en) 2002-02-28
US20020134897A1 (en) 2002-09-26
NZ512642A (en) 2002-02-01
RU2213378C2 (ru) 2003-09-27
PL198820B1 (pl) 2008-07-31
PL349383A1 (en) 2002-03-11
ES2187416T3 (es) 2003-06-16
CA2349632C (en) 2003-04-15
BR0100593A (pt) 2002-08-06
DE50001142D1 (de) 2003-02-27
AU777464B2 (en) 2004-10-21
KR20020017900A (ko) 2002-03-07
PT1187093E (pt) 2003-06-30
SI1187093T1 (en) 2003-04-30
ATE231641T1 (de) 2003-02-15
AU5768801A (en)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070B1 (ko) 악기 스탠드
US5975318A (en) Display shelf assembly and bracket useful therein
US7494018B2 (en) Display brackets for a wrench
US7342162B2 (en) Musical instrument stand
US20030214202A1 (en) Cabinet for dis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659468B1 (en) Guitar stand system and method of use
US6323406B1 (en) Guitar stand
US4078753A (en) Bracket for displaying and storing musical instruments
US4986158A (en) Modular multiple musical instrument stand
JP2014083634A (ja) スリーブブラケットアッセンブリ
US5346168A (en) Guitar hanging fixture
US6967271B1 (en) Combination carrying case and instrument stand base
US20030015487A1 (en) Bottle rack
JP2002535724A (ja) 複数の楽器のホルダー
US20110219935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string musical instrument
EP1485906A1 (en) A support for a musical instrument
US11142272B1 (en) Cycle display fixture with cycle retention assembly
US20140014796A1 (en) Holder For Musical Instruments and/or Accessories
US6732870B2 (en) Storage system having at least one storage shelf which is infinitely adjustable relative to an upright member
JP2009271522A (ja) 楽器置き台
KR200242033Y1 (ko) 헤어브러시 진열대
JPH10307579A (ja) 譜面台
US9117425B1 (en) Portable stand for music instruments and method of using same
JPH08272304A (ja) 陳列棚用ポップ支持具
EP1462276A2 (en) Wheel suppor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