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335B1 -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335B1
KR101418335B1 KR1020130139111A KR20130139111A KR101418335B1 KR 101418335 B1 KR101418335 B1 KR 101418335B1 KR 1020130139111 A KR1020130139111 A KR 1020130139111A KR 20130139111 A KR20130139111 A KR 20130139111A KR 101418335 B1 KR101418335 B1 KR 10141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xophone
main plate
plate
groov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케이뮤직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케이뮤직스포츠 filed Critical (주) 제이케이뮤직스포츠
Priority to KR102013013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관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색소폰을, 동시에 복수개씩 거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거치장치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 운반, 거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거치장치 자체가 배 또는 UFO 등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거치장치 자체 뿐만 아니라, 거치되는 색소폰과 어울리며 미려한 외관을 뽐낼 수 있는 장식품으로서의 역할 또한 가능토록 한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STAND FOR SAXOPHONE WITH SHIP FORM OR UFO FORM}
본 발명은 배 또는 색소폰 형상을 가지면서, 양측으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색소폰(알토, 테너 등)을 동시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거치의 기능 및 미려한 외관이 돋보이는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색소폰(Saxophone, Sax)은 클라리넷과 같이 하나의 리드가 들어있는 취구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이다. 몸통은 대개 황동으로 되어있다.
1840년대 초에 아돌프 삭스가 발명하였으며, 1846년 음역에 따라 나눈 일곱 종류의 색소폰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특허 등록하였다. 음역에 따라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색소폰이 있다. 이 가운데 기본음의 높이가 B♭인 소프라노 색소폰과 E♭인 소프라니노 색소폰은 군악대를 위해 고안된 것이다.
색소폰은 군악대의 연주뿐 아니라 대중 음악이나 재즈와 같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간혹 오케스트라에서도 사용된다. 알토 색소폰과 테너 색소폰은 운지법이 같으며, 관의 크기가 알토보다 굵고 긴 테너가 연주할 때 더 많은 숨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색소폰은 외부의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영향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서, 음악을 연주하지 않을 때 색소폰을 거치(据置)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없어 색소폰을 자기 의자에 기대어 두거나 손에 들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며, 의자에 기대거나 올려 두는 경우에는 색소폰이 넘어지거나 떨어지기 쉬워서 색소폰이 훼손될 우려가 있고 악기의 거치상태가 단정하지 못하며, 색소폰을 들고 휴식하는 경우에는 안락성이 부족하여 피곤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연주 도중 색소폰을 연주하지 잠시 아니할 경우에도 문제지만 더욱 큰 문제는, 이러한 색소폰를 별도로 거치하여 보관할 때 발생하게 된다.
즉,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장기보관 등을 하게 될 경우, 마땅한 거치장치가 없어 벽에 세워두거나, 별도의 케이스를 제작하여 보이지 않게 보관하는 경우에 허다하다.
또한, 악기점에서 색소폰을 거치하고 있는 거치대를 사용하게 될 경우, 고가이면서 훌륭한 외관의 색소폰과는 거치대의 질이나 형상이 맞지않아 이질감이 있었으며, 알토 색소폰, 테너 색소폰 등 관의 크기에 따라 거치대의 개수를 늘려야하고, 동일한 거치대를 가지고 각지 다른 관 크기를 가지는 색소폰의 거치 또한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부 구성품의 교체만으로, 관의 크기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색소폰을 복수개씩 동시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모든 구성요소들이 홈과 돌기 등과 같이 대응되며 끼워지는 조립식 형태를 가져,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배 또는 UFO 등 모든 이에게 친숙하거나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을 담은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색소폰 자체의 외관 뿐만 아니라, 거치대로써의 미려한 외관을 통해 거치되는 색소폰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도록 한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 1, 2설치공(11, 12)이 천공형성되는 베이스판(10); 상기 제 1설치공(11)에 대응체결되어 직립설치되되, 상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경사면(27)이 형성되는 메인판(20); 상기 베이스판(10)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메인판(20)의 일측에 끼움결합되는 하단 수평판(30); 상기 하단 수평판(30)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메인판(20)의 타측에서 끼움결합되는 상단 수평판(40); 상기 메인판(20)의 양측 경사면(27)에 직각으로 체결되어,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외주연을 경사지는 형태로 지지하는 제 1지지체(50); 상기 메인판(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상단 외주연을 지지하는 제 2지지체(60); 상기 제 2설치공(12)에 대응체결되며 메인판(20)의 전, 후단측에 설치되는 상, 하단 수평판(40, 30)의 외측을 지지하는 측판(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관 직경을 가지는 상이한 종류의 색소폰을 동시에 복수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품 중 일부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색소폰의 거치대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요소들의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운반, 설치, 운송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 및 UFO의 형상에 의해 거치대 자체만으로도 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색소폰이란 악기 자체의 훌륭한 외관을 돋보일 수 있어 멋진 장식품으로서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거치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판과 메인판의 체결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판에 하단 수평판, 상단 수평판의 체결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판에 제 1지지체, 측판의 체결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판에 제 2지지체의 체결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의 배모양 및 UFO 모양의 형상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경사홈 및 보조체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제 1, 2설치공(11, 12)이 천공형성되는 베이스판(10); 상기 제 1설치공(11)에 대응체결되어 직립설치되되, 상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경사면(27)이 형성되는 메인판(20); 상기 베이스판(10)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메인판(20)의 일측에 끼움결합되는 하단 수평판(30); 상기 하단 수평판(30)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메인판(20)의 타측에서 끼움결합되는 상단 수평판(40); 상기 메인판(2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7)에 직각으로 체결되어,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외주연을 경사지는 형태로 지지하는 제 1지지체(50); 상기 메인판(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상단 외주연을 지지하는 제 2지지체(60); 상기 제 2설치공(12)에 대응체결되며 메인판(20)의 전, 후단측에 설치되는 상, 하단 수평판(40, 30)의 외측을 지지하는 측판(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과 메인판(20) 상호간, 메인판(20)과 상, 하단 수평판(40, 30) 상호간, 메인판(20)과 제 2지지체(60) 상호간 및 메인판(20)과 측판(70) 상호간은 각각 상호간 대응체결되는 홈과 돌기 또는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상호간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판(20)은 상기 경사면(27)에 수직으로 파여져, 제 1지지체(50)의 하단 홈부(51)가 대응되며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경사홈(23); 상기 메인판(20)의 최상단에 'V'자 형태로 연장돌출되어, 복수개의 제 2지지체(60)가 'V'자 형태로 얹혀지며 결합되는 안착편(2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판(20)은 상기 경사면(27)에 형성된 경사홈(23)의 후단에서, 상호간 이격되어 수직으로 파여지는 다수의 보조 경사홈(28); 상기 다수 보조 경사홈(28)에 대응되어 끼워지되, 사용되는 색소폰의 길이에 따라 제 1, 2지지체(50, 60)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지지체(50)와 상호간 교체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보조체(29); 가 더 구비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판(20)은 하단 수평판(30)의 체결홈(31)이 대응되며 끼워질수 있도록, 일측에서 베이스판(10)과 수평으로 파여지는 제 1끼움홈(21); 상단 수평판(40)의 체결홈(41)이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타측에서 베이스판(10)과 수평으로 파여지는 제 2끼움홈(2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체(50)는 상기 메인판(20)의 경사면(27)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홈(23)에 대응체결되도록, 하단부에 파여져 형성되는 홈부(51);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상측에 파여지는 제 1라운딩부(5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체(60)는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일측에 파여지는 제 2라운딩부(61); 상기 제 2라운딩부(61)의 일면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부착되어,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을 제 2라운딩부(61)와 함께 지지하는 보강편(6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지지체(50, 60)는 거치되는 색소폰의 직경에 따라, 상기 색소폰 관 크기에 대응되는 원호크기의 라운딩부를 가지는 지지체로 각각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 또는 UFO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는 베이스판(10), 메인판(20), 하단 수평판(30), 제 1, 2지지체(50, 60), 측판(7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0)은 후술될 구성요소들을 조립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최하단에 배치되는 지지판이다.
이러한, 베이스판(10)은 일방향(좌, 우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타원형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1설치공(11)이 이격되며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설치공(11)의 상, 하측에는 복수개의 제 2설치공(12)이 각각 횡방향으로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 1설치공(11)은 후술될 메인판(20)이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설치공(12)에는 후술될 측판(70)이 직립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판(20)은 전술된 베이스판(10)의 제 1설치공(11)에 하단부의 홈이 대응되며 끼워져 직립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판(20)은 베이스판(10)에서 폭이 넓어지는 좌, 우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메인판(20)은 양측면이 경사지며 상부를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삼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양측에 경사면(27)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판(20)의 일측에서 베이스판(10)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메인판(20)의 중심부까지 홈이 파여져 제 1끼움홈(21)을 형성하고, 이러한 제 1끼움홈(21)의 상측이되 메인판(20)의 타측에서, 베이스판(10)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메인판(20)의 중심부까지 홈이 파여져 제 2끼움홈(22)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판(2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7)에는 수직으로 일정길이 파여지는 경사홈(23)을 형성하도록 하고, 좁아지는 최상단에는 'V'자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벌어지는 안착편(24)을 형성하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메인판(20)의 판재 형상을 제작시, 양측에 경사면(27)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정면바라봤을 시, 배형상이 될 수 있도록 양단부를 가공하거나, 또는 UFO 등과 같이 보일 수 있도록, 양단부를 상부로 둥글게 돌출되는 형태로 마무리하도록 한다.
상기 하단 수평판(30)은 전술된 메인판(20)에 베이스판(10)과 수평이 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하단 수평판(30)은 일측에서부터 내부 중심까지 체결홈(31)이 파여져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하단 수평판(30)은 체결홈(31)을 메인판(20)의 제 1끼움홈(21)에 대응시켜, 직립설치된 메인판(20)에 교차되도록 수평으로 밀어넣어 대응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상단 수평판(40)은 하단 수평판(30)과 같은 방식으로 메인판(20)에 수평으로 끼움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단 수평판(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단 수평판(40) 또한 일측에서부터 내부 중심까지 체결홈(41)이 파여져 있도록 한다.
상기 상단 수평판(40)은 하단 수평판(30)의 상단측에 수평을 이루며 이격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 수평판(40)의 체결홈(41)을 상기 메인판(20)의 제 2끼움홈(22)에 대응시키며 끼워 밀어넣어 결합시키는 것이다.
즉, 베이스판(10), 하단 수평판(30), 상단 수평판(40)은 모두 상호간 이격되며 수평을 이루는 형태를 이루며, 베이스판(10)의 중앙에는 메인판(20)이 수직으로 끼워지고, 이러한 메인판(20)에 하단 수평판(30)이 일측에서 수평으로 끼워지고, 상단 수평판(40)이 타측에서 수평으로 끼워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단 수평판(40)의 크기를 하단 수평판(3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상협하광의 메인판(20)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거치장치가 상부를 향할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며, 갑판위의 돗대가 있는 배(함선)와 비슷한 형상을 가지거나,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드는 UFO 형상을 상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지지체(50)는 전술된 메인판(2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7)에 파여져 형성되어 있는 경사홈(23)에 각각 끼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제 1지지체(50)는 하단부에 경사홈(23)에 대응되며 끼워지는 홈부(51)가 파여져 형성되어 있고, 상단측(일측)에는 라운딩으로 파여지며 제 1라운딩부(52)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색소폰의 외주연이 대응되며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지지체(60)는 상단측에 라운딩으로 파여지며 제 2라운딩부(61)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되, 제 1지지체(50)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51)가 파여져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복수개가 메인판(20) 최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편(24)에 'V'자 형태로 안착되어 걸쳐지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메인판(20)이 양측이 경사진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메인판(20)의 양측게 거치되는 색소폰 또한, 메인판(20)의 경사면(27)에 대응되어 제 1, 2색소폰 지지대체 지지되면서 경사진 형태로 눕혀져 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지지체(60)는 제 2라운딩부(61)가 형성된 일면에 보강편(62)을 더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보강편(62)은 제 2라운딩부(61)와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색소폰이 거치될시, 색소폰에서 연주자의 입에 물게되는 마우스피스(Mouthpiece, 또는 리드) 부분의 일단 절곡부분인 네크(Neck) 부분이 용이하게 걸쳐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네크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된 거치가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지지체(60)와 안착편(24), 상기 보강편(62)과 제 2지지체(60)는 각각 나사체결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호 접촉되면 면에 벨크로(Velcro) 등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등 착탈이 가능토록 할 수 있음이다.
또한, 전술된 메인판(20)의 양측 하단부가 각각 상부로 절곡되는 형태의 절곡부위(25)를 가지도록 하거나, 또는 소정의 단속홈(26)이 파여진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경사지며 거치되는 색소폰의 하단부가 미끄러져 밀려나가지 않고 상기 절곡부위(25) 또는 단속홈(26)에 대응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판(70)은 하단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판(10)의 제 2설치공(12)에 돌기가 대응되며 끼워져 직립설치됨으로써, 메인판(20)의 상, 하단(좌, 우측이 아닌, 상, 하단 측)측에 직립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복수개의 측판(70) 사이에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가 위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복수개의 측판(70)은 상, 하단 수평판(40, 30) 등을 외측(상, 하단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판(10)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측판(70)의 더욱 확실한 고정을 위해, 상기 하단 수평판(30)의 상, 하측 외주연에는 직립설치되는 측판(70)의 하단부가 대응되며 끼어지는 측판 끼움홈(32)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직립설치되는 측판(70)의 하단부는 베이스판(10)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하단 수평판(30)의 측판 끼움홈(32)에 폭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메인판(20)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홈(23)이 형성된 경사면 후단(하단) 부위에, 상호간 이격되며 파여지는 다수의 보조 경사홈(28)을 더 형성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보조 경사홈(28)은 전술된 경사홈(23)과 동일한 크기 및 깊이로 파여진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경사홈(23)에 다수의 보조체(29)가 대응되어 끼워지는데, 이러한 보조체(29)는 상면은 수평이며, 하단에는 보조 경사홈(28)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홈이 파여져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보조 경사홈(28) 및 보조 경사홈(28)에 끼워져 있는 보조체(29)는, 본 발명의 제 1, 2지지체(50, 60)에 안착되어 거치되는 색소폰의 종류에 따른 길이(알토, 테너 등)에 따라, 제 1, 2지지체(50, 60) 상호간이 벌어져 있는 만큼의 거리(이격간격)를 조절(가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2지지체(50, 60)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길게 벌어져야, 더욱 안정적으로 색소폰을 거치할 수 있다 판단할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보조 경사홈(28)에 끼워져 있는 보조체(29) 중 원하는 위치의 보조체(29)를 빼내어, 제 1지지체(50)가 위치되어 있는 자리에는 빼낸 보조체(29)를 장착하고, 빼낸 보조체(29)는 제 1지지체(50)에 끼워놓는 것이다. 즉, 제 1지지체(50)의 설치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 1, 2지지체(50, 60) 상호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다.
더불어, 메인판(20)은 양측에 경사면(27)을 각각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보조 경사홈(28) 및 보조체(29)는 메인판(2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7) 중 하나에, 또는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7) 모두에 형성되어질 수 있음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판(10), 메인판(20), 하단 수평판(30), 상단 수평판(40), 제 1, 2지지체(50, 60), 측판(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간 대응체결되는 홈과 돌기, 또는 돌기와 홈을 형성하며 상호간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또는 이러한 조립식 형태에 확실한 고정을 위해 나사체결시켜 상호간 조립 및 분해가 가능토록 할 수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홈과 돌기, 돌기와 홈 등 상호간 조립되어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상호간 자성으로 부착이 용이한 자성부재(ex: 자석 등)가 홈 또는 돌기에 각각 내설되어, 상호간의 조립 및 체결시 확실한 결합 및 고정이 가능토록 할 수 있음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ex: 베이스판(10), 하단 수평판(30), 상단 수평판(40)의 각 상면 등)에 조명을 설치하거나, 상기 구성요소 등에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거치되는 색소폰 및 거치장치를 야간 등에 더욱 돋보이게 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베이스판 11: 제 1설치공
12; 제 2설치공 20: 메인판
21: 제 1끼움홈 22: 제 2끼움홈
23: 경사홈 24: 안착면
25: 절곡부위 26: 단속홈
27: 경사면 28: 보조 경사홈
29: 보조체 30: 하단 수평판
31, 41: 체결홈 32: 측판 끼움공
40: 상단 수평판 50: 제 1지지체
51: 홈부 52: 제 1라운딩부
60: 제 2지지체 61: 제 2라운딩부
62: 원호편 70: 측판

Claims (9)

  1. 제 1, 2설치공(11, 12)이 천공형성되는 베이스판(10);
    상기 제 1설치공(11)에 대응체결되어 직립설치되되, 상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경사면(27)이 형성되는 메인판(20);
    상기 베이스판(10)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메인판(20)의 일측에 끼움결합되는 하단 수평판(30);
    상기 하단 수평판(30)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메인판(20)의 타측에서 끼움결합되는 상단 수평판(40);
    상기 메인판(20)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7)에 직각으로 체결되어,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외주연을 경사지는 형태로 지지하는 제 1지지체(50);
    상기 메인판(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상단 외주연을 지지하는 제 2지지체(60);
    상기 제 2설치공(12)에 대응체결되며 메인판(20)의 전, 후단측에 설치되는 상, 하단 수평판(40, 30)의 외측을 지지하는 측판(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판(10)과 메인판(20) 상호간, 메인판(20)과 상, 하단 수평판(40, 30) 상호간, 메인판(20)과 제 2지지체(60) 상호간 및 메인판(20)과 측판(70) 상호간은 각각 상호간 대응체결되는 홈과 돌기 또는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상호간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고,
    상기 메인판(20)은 경사면(27)에 수직으로 파여져, 제 1지지체(50)의 하단 홈부(51)가 대응되며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경사홈(23)과, 상기 메인판(20)의 최상단에 'V'자 형태로 연장돌출되어, 복수개의 제 2지지체(60)가 'V'자 형태로 얹혀지며 결합되는 안착편(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판(20)은 경사면(27)에 형성된 경사홈(23)의 후단에서, 상호간 이격되어 수직으로 파여지는 다수의 보조 경사홈(28)과, 상기 다수 보조 경사홈(28)에 대응되어 끼워지되, 사용되는 색소폰의 길이에 따라 제 1, 2지지체(50, 60)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지지체(50)와 상호간 교체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보조체(29)가 더 구비되어 설치되며,
    상기 메인판(20)은 하단 수평판(30)의 체결홈(31)이 대응되며 끼워질수 있도록, 일측에서 베이스판(10)과 수평으로 파여지는 제 1끼움홈(21)과, 상단 수평판(40)의 체결홈(41)이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타측에서 베이스판(10)과 수평으로 파여지는 제 2끼움홈(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지지체(50)는 메인판(20)의 경사면(27)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홈(23)에 대응체결되도록, 하단부에 파여져 형성되는 홈부(51)와,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상측에 파여지는 제 1라운딩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지지체(60)는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의 외주연과 대응되도록 일측에 파여지는 제 2라운딩부(61)와, 상기 제 2라운딩부(61)의 일면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부착되어, 알토 또는 테너 색소폰을 제 2라운딩부(61)와 함께 지지하는 보강편(62)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편(62)은 색소폰이 거치될시, 색소폰에서 연주자의 입에 물게되는 마우스피스(Mouthpiece)의 네크(Neck) 부분이 걸쳐져 지지되는 것으로, 네크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거치가 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2지지체(50, 60)는 거치되는 색소폰의 직경에 따라, 상기 색소폰 관 크기에 대응되는 원호크기의 라운딩부를 가지는 지지체로 각각 교체되고,
    상기 메인판(20)이 양측이 경사진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메인판(20)의 양측게 거치되는 색소폰은 메인판(20)의 경사면(27)에 대응되어 지지되면서 경사진 형태로 눕혀져 거치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판(20)은 양측 하단부가 각각 상부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져, 경사지며 거치되는 색소폰의 하단부가 미끄러져 밀려나가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배 또는 UFO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39111A 2013-11-15 2013-11-15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KR10141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111A KR101418335B1 (ko) 2013-11-15 2013-11-15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111A KR101418335B1 (ko) 2013-11-15 2013-11-15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335B1 true KR101418335B1 (ko) 2014-08-13

Family

ID=5174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111A KR101418335B1 (ko) 2013-11-15 2013-11-15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3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0459B1 (en) * 1999-12-01 2001-04-24 Clinton A. Runyon Saxophone stand
KR100953748B1 (ko) * 2009-07-17 2010-04-19 신용석 판형 블록 세트
US20120037782A1 (en) * 2008-11-11 2012-02-16 Marcovich Alejandro Fabian Portable, modular assembly of panels for the erection of furniture on situ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0459B1 (en) * 1999-12-01 2001-04-24 Clinton A. Runyon Saxophone stand
US20120037782A1 (en) * 2008-11-11 2012-02-16 Marcovich Alejandro Fabian Portable, modular assembly of panels for the erection of furniture on situ
KR100953748B1 (ko) * 2009-07-17 2010-04-19 신용석 판형 블록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584B2 (ja) 楽器のネック接合部
KR101369218B1 (ko) 어뎁터
US10410613B2 (en) Flute with enhanced flute-finger connection
US7667118B1 (en) Mouthpiece for a woodwind musical instrument
US20080156169A1 (en) Viola/Violin Shoulder Rest
US20060196338A1 (en) Stringed practice device and method
KR101418335B1 (ko) 배형상 또는 ufo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US8816178B2 (en) System of removing overtones and rings in a drum set
KR101431555B1 (ko) 비행기 형상의 색소폰 거치장치
JP2007500867A (ja) 人間工学に基づく弦楽器および人間工学に基づくラウンドバック・ギター
KR200460679Y1 (ko) 조립식 장구
US9142197B2 (en) Vibrato block
JP2004343691A (ja) 減衰要素
US9111511B2 (en) Guitar back plate
TWI640977B (zh) 音柱結構
US8878038B1 (en) Adjustable percussion mounting
AU732899B2 (en) Block percussion instrument
US20120279377A1 (en) Convertible transforming drum set
JP6462054B2 (ja) 折り畳み式ギター
US8969690B1 (en) Knee-rest for use with Indian classical violin
AU2017101286A4 (en) Acoustic Instrument
CN210200303U (zh) 一种乐器支架
CN106328101A (zh) 一种二弦胡
TWM529251U (zh) 樂器置放架之結構改良
KR200376529Y1 (ko) 현악기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