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873B1 -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 Google Patents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873B1
KR100412873B1 KR10-2001-0054992A KR20010054992A KR100412873B1 KR 100412873 B1 KR100412873 B1 KR 100412873B1 KR 20010054992 A KR20010054992 A KR 20010054992A KR 100412873 B1 KR100412873 B1 KR 10041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sher axle
vehicle
caster ang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635A (ko
Inventor
오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8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4Cast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20Switches, e.g. mercury or ball type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조차륜에 캐스터각을 주어 차량의 전·후진에 따른 선회 시 선회반경을 추종하게 하여 차륜의 끌림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탱크(106)와 에어관로(108)상에 설치되어 푸셔 액슬의 업/다운 스위치(102)에 의해 조작되는 제1릴레이 밸브(110)를 통해 에어의 유입이 제어되는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과, 적재하중에 따라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으로 공급되는 에어압을 조절하는 컨트롤러(116)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에 의해 푸셔 액슬이 다운된 상태에서 푸셔 액슬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제2릴레이 밸브(112)를 통해 에어의 유입이 제어되는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 및 변속레버(200)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미등(202)의 전기라인을 통해 전원이 통전되어 상기 에어관로(108)를 흐르는 에어탱크(106)의 에어를 유입시켜 보조차륜의 캐스터각을 조정하는 조작수단(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Pusher axle system of vehicle having auxiliary wheel with caster angle }
본 발명은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차륜의 캐스터각을 조정해 전·후진 시 보조축을 하강시키지 않도록 된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셔 액슬 시스템은 대형 트럭 특히, 5차축을 갖는 차량의 차축 중 구동축과 보조축으로 후륜을 형성하면서 이중 보조축이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공차 시 업(Up)되는 반면 적차 시에는 다운(Down)되는 시스템을 말하는데 즉, 공차 시에는 푸셔 액슬을 업 시켜 보조차륜을 노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주행저항을 저감시키고, 적차시에는 푸셔 액슬을 다운시켜 보조차륜을 노면과 접촉하도록 해 적재하중을 지지한다.
이러한 푸셔 액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액슬의 업/다운조작하는 업/다운 스위치(102)와, 이 업/다운 스위치(102)의 전기신호에 따라 푸셔 액슬을 업/다운 시키는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 이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과 에어탱크(106) 사이의 에어관로(108)상 설치되어 업/다운 스위치(102)의 전기신호에 따라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으로 유입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제1릴레이 밸브(110),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에 의해 푸셔 액슬이 다운된 상태에서 푸셔 액슬의높이를 조정하는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 이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과 에어 탱크 사이의 에어관로(108) 상에 설치되어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으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제2릴레이 밸브(112) 및 적재하중에 따라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으로 공급되는 에어압을 조절하는 컨트롤러(1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푸셔 액슬 시스템은 업/다운 스위치(102)가 다운 위치로 조작되면, 제1릴레이 밸브(110)가 작동되어 리프트 에어스프링(104)으로 에어를 공급하면 푸셔 액슬이 다운되며, 이와 더블어 제2릴레이 밸브(112)도 작동되어 라이드 에어 스프링과 연결되는 에어라인을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 적재하중 변화량에 따라 운전자가 수동으로 컨트롤러(116)를 조작하면 제2릴레이 밸브(112)의 개폐량이 조절되어 라이드 에어스프링(114)으로 공급되는 에어량이 조절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푸셔 액슬 시스템은 업·다운되는 보조차륜에 차량의 직진성을 부여하는 캐스터각이 없어 주행 중 선회하는 경우 보조차륜이 차량의 선회반경을 따라 가지 못해 보조 차륜이 끌리는 문제가 있고 또한, 후진 시에는 보조차륜을 업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후진해야만 되어 화물이 적재된 경우 푸셔 액슬 시스템은 업 작용으로 인해 보조축이 하중을 분산시키지 못해 차량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조차륜에 캐스터각을 주어 차량의 전·후진에 따른 선회 시 선회반경을 추종하게 하여 차륜의 끌림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탱크와 에어관로상에 설치되어 푸셔 액슬의 업/다운 스위치에 의해 조작되는 제1릴레이 밸브를 통해 에어의 유입이 제어되는 리프트 에어 스프링과, 적재하중에 따라 라이드 에어 스프링으로 공급되는 에어압을 조절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리프트 에어 스프링에 의해 푸셔 액슬이 다운된 상태에서 푸셔 액슬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제2릴레이 밸브를 통해 에어의 유입이 제어되는 라이드 에어 스프링 및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미등의 전기라인을 통해 전원이 통전되어 상기 에어관로를 흐르는 에어탱크의 에어를 유입시켜 보조차륜의 캐스터각을 조정하는 조작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푸셔 액슬 시스템의 전진 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푸셔 액슬 시스템의 후진 시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업/다운 스위치 104 : 리프트 에어 스프링
106 : 에어탱크 108,311 : 에어관로
110 : 제1릴레이 밸브 114 : 라이드 에어 스프링
112 : 제2릴레이 밸브 116 : 컨트롤러
200 : 변속레버 201 : 전기라인
202 : 미등 300 : 조작수단
310 : 밸브 320 : 공압실린더
320a : 이동로드 330 : 전환부
331 : 전달링크 332 : 이동링크
333 : 작동링크 334 : 지지링크
335 : 연동링크 336 : 고정브라켓트
AU : 보조축 F : 차체프레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푸셔 액슬 시스템이 에어탱크(106)와 에어관로(108)상에 설치되어 푸셔액슬의 업/다운 스위치(102)에 의해 조작되는 제1릴레이 밸브(110)를 통해 에어의 유입이 제어되는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과, 적재하중에 따라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으로 공급되는 에어압을 조절하는 컨트롤러(116)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에 의해 푸셔 액슬이 다운된 상태에서 푸셔 액슬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제2릴레이 밸브(112)를 통해 에어의 유입이 제어되는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 및 변속레버(200)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미등(202)의 전기라인을 통해 전원이 통전되어 상기 에어관로(108)를 흐르는 에어탱크(106)의 에어를 유입시켜 보조차륜의 캐스터각을 조정하는 조작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작수단(300)은 변속레버(200)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미등(202)의 전기라인과 회로를 형성하면서 에어관로(108)사에 연결된 밸브(310)와, 이 밸브(310)를 통해 유입·배출되는 에어에 의해 이동되는 공압실린더(320) 및 이 실린더(320)의 작동에 따라 보조차륜의 캐스터각을 조절하는 전환부(3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환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20)의 이동로드(320a)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336)에 힌지 결합된 전달링크(331)와, 이 전달링크(331)의 힌지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의 하부로 위치된 보조축(AU)에 고정된 작동링크(333)와 결합된 이동링크(332) 및 상기 고정브라켓트(336)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작동링크(333)와 힌지 결합된 연동링크(335)에 고정된 지지링크(334)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경우와 같이 푸셔 액슬 시스템이 작동되는데 즉, 푸셔 액슬 시스템은 업/다운 스위치(102)가 다운 위치로 조작되면, 제1릴레이 밸브(110)가 작동되어 리프트 에어스프링(104)으로 에어를 공급하면 푸셔 액슬이 다운되며, 이와 더블어 제2릴레이 밸브(112)도 작동되어 라이드 에어 스프링과 연결되는 에어라인을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 적재하중 변화량에 따라 운전자가 수동으로 컨트롤러(116)를 조작하면 제2릴레이 밸브(112)의 개폐량이 조절되어 라이드 에어스프링(114)으로 공급되는 에어량이 조절되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에어관로(108)를 흐르는 에어탱크(106)의 에어를 유입시켜 보조차륜의 캐스터각을 조정하는 조작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설정 시 실린더(320)의 이동로드(320a)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전환부(330)를 구성하는 각 링크(331,332,333,334,335)들이 보조축(AU)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조축(AU)의 캐스터각을 +값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차량이 선회할 때 보조축(AU)에 구비된 보조차륜이 차량의 직진성을 유지하는 캐스터각을 유지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을 후진시키기 위해 변속레버(200)를 조작하게 되면, 이 변속레버(200)의 조작에 따라 전원이 통전되어 점등되는 미등(202)의 전기라인(201)에 연결된 밸브(310)에 전원이 통전되면서 에어관로(108)를 흐르는 에어를 실린더(320)쪽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320)로 에어가 유입되면 실린더(320)의이동로드(320a)가 인출되면서 전환부(330)를 조작하게 되는데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부(330)의 전달링크(331)가 인출되는 이동로드(320a)에 의해 고정브라켓트(336)의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이에 결합된 이동링크(332)를 당겨주게 된다.
이어, 상기 이동링크(332)가 전달링크(331)와 함께 당겨지게 되면 고정브라켓트(336)에 결합된 연동링크(335)를 매개로 보조축(AU)에 결합된 지지링크(334)가 이 결합된 작동링크(333)가 상기 이동링크(332)의 당겨짐에 따라 상승되면서 보조축(AU)을 변형시키게 되는데 즉, 상기 보조축(AU)이 에 작동링크(333)에 의해 들어 어느 정도 올려지면서 보조축(AU)의 캐스터각을 + 값에서 - 값으로 변화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축(AU)에 장착된 보조차륜은 도로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캐스터각이 + 값에서 - 값으로 변화되므로 후진 시에도 후진되는 차량과 함께 조향되므로 주행 안정성을 갖게 됨은 물론 차량의 후진 선회 반경을 추종하지 못해 보조차륜이 끌리는 현상이 없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후진 시 보조축을 하강시키지 않고 후진할 수 있도록 보조차륜에 캐스터각을 주어 차량의 전·후진에 따른 선회 시 선회반경을 추종하게 하여 차륜의 끌림을 방지함은 물론 보조차륜을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후진 할 수 있어 보조축을 통해 적재된 화물로 인한 차량의 과도한 하중 집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에어탱크(106)와 에어관로(108)상에 설치되어 푸셔 액슬의 업/다운 스위치(102)에 의해 조작되는 제1릴레이 밸브(110)를 통해 에어의 유입이 제어되는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과, 적재하중에 따라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으로 공급되는 에어압을 조절하는 컨트롤러(116)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리프트 에어 스프링(104)에 의해 푸셔 액슬이 다운된 상태에서 푸셔 액슬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제2릴레이 밸브(112)를 통해 에어의 유입이 제어되는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 및 변속레버(200)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미등(202)의 전기라인을 통해 전원이 통전되어 상기 에어관로(108)를 흐르는 에어탱크(106)의 에어를 유입시켜 보조차륜의 캐스터각을 조정하는 조작수단(300)으로 이루어진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300)은 변속레버(200)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미등(202)의 전기라인과 회로를 형성하면서 에어관로(108)사에 연결된 밸브(310)와, 이 밸브(310)를 통해 유입·배출되는 에어에 의해 이동되는 공압실린더(320) 및 이 실린더(320)의 작동에 따라 보조차륜의 캐스터각을 조절하는 전환부(3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330)는 실린더(320)의 이동로드(320a)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336)에 힌지 결합된 전달링크(331)와, 이 전달링크(331)의 힌지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라이드 에어 스프링(114)의 하부로 위치된 보조축(AU)에 고정된 작동링크(333)와 결합된 이동링크(332) 및 상기 고정브라켓트(336)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작동링크(333)와 힌지 결합된 연동링크(335)에 고정된 지지링크(3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KR10-2001-0054992A 2001-09-07 2001-09-07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KR100412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992A KR100412873B1 (ko) 2001-09-07 2001-09-07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992A KR100412873B1 (ko) 2001-09-07 2001-09-07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635A KR20030021635A (ko) 2003-03-15
KR100412873B1 true KR100412873B1 (ko) 2003-12-31

Family

ID=2772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992A KR100412873B1 (ko) 2001-09-07 2001-09-07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451B1 (ko) * 2001-12-12 2004-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캐스터각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635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5241B2 (en) Self-steering wheel assembly for vehicles
US5018756A (en) Control for self steering suspension assembly
KR100412873B1 (ko)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US20040084859A1 (en) Mobile viscous matter pump comprising a support construction and a pneumatic air-cushioned wheel axle
CN108189827A (zh) 组合式驻车阀和具有其的车辆
CN2686972Y (zh) 半挂汽车智能变桥节胎装置
KR101028260B1 (ko)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JPH09277949A (ja) 移動農機における旋回装置
WO2020202438A1 (ja) 電気式産業車両における油圧回路
JP3012044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の車高調整装置
KR20000073320A (ko)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JP4243842B2 (ja) セミトレーラ式除雪車
KR930007603B1 (ko) 에어 서스펜션(Air Suspension)차량의 차고 조절장치
JPH06191444A (ja) 空気ばね式キヤブ懸架装置
KR200168513Y1 (ko) 대형 트럭 후 3축의 푸셔 액슬 공압 제어 시스템 장치.
KR0132032Y1 (ko) 콘크리트 펌프카의 에어백제어장치
JPH0619363Y2 (ja) 車高調整装置
JP3919487B2 (ja) 車高調整装置
JPH053427Y2 (ko)
JP3511375B2 (ja) 車高調整装置
JPH048278Y2 (ko)
JPH08302616A (ja) 路面切削車両の制御装置
JPH0495553A (ja) 車両の補助輪装置
KR100369159B1 (ko) 스테빌라이저를 이용한 차체 상승 시스템
KR100251329B1 (ko) 리프팅 시스템용 마그네틱 밸브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