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260B1 -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260B1
KR101028260B1 KR1020040071195A KR20040071195A KR101028260B1 KR 101028260 B1 KR101028260 B1 KR 101028260B1 KR 1020040071195 A KR1020040071195 A KR 1020040071195A KR 20040071195 A KR20040071195 A KR 20040071195A KR 101028260 B1 KR101028260 B1 KR 101028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nk
tag axle
caster
ai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390A (ko
Inventor
이경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2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40Variable track or wheelbase vehicles
    • B60G2300/402Extra load carrying wheels, e.g. tag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그 액슬을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와 상기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태그 액슬을 지지하는 공기스프링, 상기 태그 액슬의 캐스터 값을 "+" 혹은 "-" 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링크기구와 공기스프링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이 제어장치를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된 전환레버를 구비하여, 차량이 전진 주행시에는 "+"의 캐스터 값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후진시에는 "-"의 캐스터 값을 갖도록 하여, 후진시에 태그 액슬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태그 액슬의 상승으로 인한 차체나 태그 액슬 그 자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진 주행시에나 선회시 뿐만 아니라 후진시에도 항상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Caster-adjusting device of tag ax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상용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액슬 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액슬 조절장치에 의해 태그 액슬이 +값을 갖도록 조절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액슬 조절장치로 태그 액슬이 -값을 갖도록 조절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전환레버 11-미등
12,13-방향전환밸브 14-공기탱크
15-공기실린더 16-공기스프링
17-태그 액슬 18-차체 프레임
19-제1링크 20-브라켓
21-제2링크 22-지지링크
23-마운팅 링크 24-제3링크
본 발명은 대형 상용차량의 태그 액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용차량이 전진주행시에나 선회시에는 +값의 캐스터를 갖도록 태그 액슬을 조절하는 반면에 후진시에는 -값의 캐스터를 갖도록 태그 액슬을 조절하는 태그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상용차량에는 화물이 적재되어 구동 휠에 법규 이상의 축하중이 가해져 운행 중에 전복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경우에 태그 휠이 장착된 태그 액슬을 하강시켜 상기 태그 휠을 지면과 접지되게 함으로써, 구동 휠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또한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공차 상태나 혹은 소정치 미만의 화물이 적재된 경우에는 상기 태그 휠로 인해 구동 휠의 구름 저항과 구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태그 휠을 들어올려 구동 휠로 축하중이 집중되게 한다.
도 1에는 상기와 같은 태그 액슬(1)이 구동 액슬(2)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용차량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태그 액슬의 승강장치는 운전석과 인접하게 설치된 조작레버나 혹은 조작스위치의 조작으로 공기 스프링을 이용하여 태그 액슬을 승강시키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태그 액슬의 승강장치를 구비한 상용차량에서는 태그 액슬의 하강시에 전진 주행에 적합하도록 캐스터 값이 "+"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진시에는 태그 액슬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승시켜야 하는 결점이 있었고, 상기와 같이 태그 액슬이 상승되면 태그 액슬로 인해 차체가 손상되거나 태그 액슬 그 자체가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이 전진 주행시에는 "+"의 캐스터 값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후진시에는 "-"의 캐스터 값을 갖도록 하여, 후진시에 태그 액슬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태그 액슬의 상승으로 인한 차체나 태그 액슬 그 자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진 주행시에나 선회시 뿐만 아니라 후진시에도 항상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태그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그 액슬을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와 상기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태그 액슬을 지지하는 공기스프링, 상기 태그 액슬의 캐스터 값을 "+" 혹은 "-" 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링크기구와 공기스프링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이 제어장치를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된 전환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링크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전환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링크기구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태그 액슬의 캐스터 값을 조절하는 공기실린더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환레버가 전진 주행모드로 조작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실린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반면에 상기 공기스프링은 신장되도록 공기스프링에 압축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반면에, 후진 주행모드로 조작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실린로 압축공 기가 공급되어 공기실린더가 신장되게 하는 반면에 상기 공기스프링은 수축되도록 공기스프링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향전환밸브가 상기 제어장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밸브가 상기 공기실린더와 공기탱크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전환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공기실린더로의 압축공기의 공급과 배출을 절환시키는 제1방향전환밸브와, 상기 공기스프링와 상기 공기탱크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전환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공기스프링내의 압축공기의 배출과 상기 공기탱크에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절환시키는 제2방향전환밸브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가 상기 공기실린더의 피스톤에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면서 타단은 차체에 장착된 브라켓에 힌지로 연결된 제1링크와, 이 제1링크의 길이방향으로 따른 소정 부위에 일단이 힌지로 연결된 제2링크, 이 제2링크의 타단에 고정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공기스프링이 장착된 지지링크, 이 지지링크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태그 액슬이 장착된 마운팅 링크, 이 마운팅 링크의 자유단과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힌지로 연결된 제3링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액슬 조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인 바, 즉 전진 주행모드와 후진 주행모드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운전자와 인접한 부위에 전환레버(1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전환레버(10)는 밧데리 전원 과 스위치 역할을 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환레버(10)가 전진 주행모드로 조작될 경우에는 전환레버(10)를 통해 밧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지만, 후진 주행모드로 조작될 경우에는 상기 전환레버(10)를 통해 밧데리 전원이 공급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레버(10)가 후진 주행모드로 전환될 경우에 전환레버(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미등(11)이 전환레버(10)를 통해 밧데리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환레버(10)가 후진 주행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미등(11)이 점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등(11)과 연결된 후진전원라인에는 2개의 제1,2방향전환밸브(12,13)가 각각 병렬 혹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환레버(10)가 후진 주행모드로 조작되면, 밧데리 전원이 상기 후진전원라인을 통해 상기 제1,2방향전환밸브(12,13)로 각각 공급되어, 제1,2방향전환밸브(12,13)가 후진 주행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상기 제1,2방향전환밸브(12,13)에 전원이 각각 공급되면 각 밸브에서는 자력을 발생시켜 밸브의 스풀을 끌어당겨 유로의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 데, 제1방향전환밸브(12)의 입구포트에는 소정압력의 압축공기가 저장된 공기탱크(14)가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출구포트에는 공기실린더(15)가 연결되어, 제1방향전환밸브(12)에 전원이 공급되어 후진 주행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공기실린더(15)의 피스톤(15a)이 신장되게 되는 반면에, 제1방향전환밸브(12)에 공급된 전원이 차단되면 제1방향전환밸브의 자체에 설치된 복원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유로가 전진주행모드로 전 환되면서 상기 피스톤(15a)이 수축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13)의 입구포트에도 상기 공기탱크(14)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기탱크(14)가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출구포트에는 공기스프링(16)이 연결되어, 제2방향전환밸브(13)에 전원이 공급되어 후진 주행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공기스프링(16)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반면에, 제2방향전환밸브(12)에 공급된 전원이 차단되면 제2방향전환밸브의 자체에 설치된 복원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유로가 전진주행모드로 전환되면서 공기탱크(14)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공기스프링(16)이 신장되게 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공기실린더(15)에 의해 태그 액슬(17)의 캐스터 값이 조절되도록 태그 액슬(17)과 공기실린더(15)와의 연결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차체 프레임(18)에 상기 공기실린더(15)가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공기실린더(15)의 피스톤(15a) 선단부에는 제1링크(19)의 일단이 힌지로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1링크(19)의 타단은 차체 프레임(18)에 고정되게 장착된 브라켓(20)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19)의 길이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부위에는 제2링크(21)의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이 제2링크(21)의 타단은 지지링크(22)가 고정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지지링크(22)에 상기 공기스프링(16)의 일측이 장착되면서 상기 공기스프링(16)의 타측은 상기 차체 프레임(1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링크(22)에는 마운팅 링크(23)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이 마운팅 링크(23)에 상기 태그 액슬(17)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마운팅 링크(23)의 자유단부는 제3링크(24)의 일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링크(24)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20)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전환레버(10)를 전진 주행모드로 조작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실린더(15)의 피스톤(15a)의 수축되는 반면에 상기 공기스프링(16)은 신장되고, 상기 피스톤(15a)의 선단부에 연결된 제1링크(1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링크(21)와 지지링크(22)는 하강하여 상기 공기스프링(16)의 신장운동을 조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링크(22)와 일체로 연결된 마운팅 링크(23)도 하강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마운팅 링크(23)에 장착된 태그 액슬(17)은 그 중심선이 수직선에 대해 차체의 후방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태그 액슬의 캐스터가 "+"의 값을 가지게 되어, 차량이 전진 주행과 선회시에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상기 전환레버(10)를 후진 주행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실린더(15)의 피스톤(15a)이 신장됨과 더불어 상기 공기스프링(16)은 수축되게 되고, 상기 피스톤(15a)의 신장운동으로 상기 제1링크(1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링크(21)를 당겨주게 되고, 제2링크(21)에 연결된 지지링크(22)는 약간 상승하면서 상기 공기스프링(16)의 수축운동을 조장하게 되며, 상기 마운팅 링크(23)도 약간 상승함에 따라 마운팅 링크(23)에 장착된 태그 액슬(17)의 캐스터 값이 "-"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후진 주행시에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태그 액슬을 후진 주행을 위해 억지로 차체쪽으로 상승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태그 액슬과 차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에 의하면, 차량이 전진 주행시에는 태그 액슬의 캐스터가 "+" 값을 가지는 반면에 후진 주행시에는 "-"값을 가지게 되어, 전진 주행시와 선회시 및 후진 주행시에 모두다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차량의 후진 주행을 위해 태그 휠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태그 액슬을 억지로 상승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태그 액슬의 상승으로 인한 태그 액슬과 차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태그 액슬을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와 상기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태그 액슬을 지지하는 공기스프링과, 상기 태그 액슬의 캐스터 값을 "+" 혹은 "-" 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링크기구와 상기 공기스프링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를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된 전환레버를 구비하여 구성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링크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전환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링크기구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태그 액슬의 캐스터 값을 조절하는 공기실린더를 갖추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공기실린더의 피스톤에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면서 타단은 차체에 장착된 브라켓에 힌지로 연결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길이방향으로 따른 소정 부위에 일단이 힌지로 연결된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고정되게 연결되면서 상기 공기스프링이 장착된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태그 액슬이 장착된 마운팅 링크와, 상기 마운팅 링크의 자유단과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힌지로 연결된 제3링크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가 전진 주행모드로 조작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실린더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반면에 상기 공기스프링은 신장되도록 공기스프링에 압축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반면에, 후진 주행모드로 조작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실린더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공기실린더가 신장되게 하는 반면에 상기 공기스프링은 수축되도록 공기스프링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향전환밸브가 상기 제어장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밸브가 상기 공기실린더와 공기탱크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전환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공기실린더로의 압축공기의 공급과 배출을 절환시키는 제1방향전환밸브와, 상기 공기스프링와 상기 공기탱크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전환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공기스프링내의 압축공기의 배출과 상기 공기탱크에서의 압축공기의 공급을 절환시키는 제2방향전환밸브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5. 삭제
KR1020040071195A 2004-09-07 2004-09-07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KR101028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195A KR101028260B1 (ko) 2004-09-07 2004-09-07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195A KR101028260B1 (ko) 2004-09-07 2004-09-07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390A KR20060022390A (ko) 2006-03-10
KR101028260B1 true KR101028260B1 (ko) 2011-04-11

Family

ID=3712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195A KR101028260B1 (ko) 2004-09-07 2004-09-07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35B1 (ko) * 2013-03-21 2014-04-07 삼우중공업(주) 푸셔액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2690A1 (de) * 2013-11-18 2015-05-21 Bpw Bergische Achsen Kg Achslift für eine Fahrzeugach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3670A (en) 1987-02-06 1988-09-27 Raidel Ii John E Suspension system with wishbone stabilization assembly
US4802690A (en) 1986-11-12 1989-02-07 Raidel John E Suspension assembly for steer axle with single air spring mounted directly over the axle
JP2002283825A (ja) 2001-03-26 2002-10-03 Hino Motors Ltd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797560B1 (ko) * 2004-09-03 2008-01-24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690A (en) 1986-11-12 1989-02-07 Raidel John E Suspension assembly for steer axle with single air spring mounted directly over the axle
US4773670A (en) 1987-02-06 1988-09-27 Raidel Ii John E Suspension system with wishbone stabilization assembly
JP2002283825A (ja) 2001-03-26 2002-10-03 Hino Motors Ltd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797560B1 (ko) * 2004-09-03 2008-01-24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35B1 (ko) * 2013-03-21 2014-04-07 삼우중공업(주) 푸셔액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390A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8756A (en) Control for self steering suspension assembly
EP0950602B1 (en) Self-steering, caster adjustable suspension system
US20150367704A1 (en) Pneumatic control system for a heavy-duty vehicle
US20040084859A1 (en) Mobile viscous matter pump comprising a support construction and a pneumatic air-cushioned wheel axle
KR101028260B1 (ko) 태크 액슬의 캐스터 조절장치
JP4251419B2 (ja) ダンプトラックのボディ操作装置
US7303201B2 (en) Air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0412873B1 (ko) 캐스터각을 갖는 차륜을 구비한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
JP2017155906A (ja) 産業車両
JP3012044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の車高調整装置
US4213625A (en) Pneumatically suspended bus
JP3137224U (ja) ダンプカーにおける荷台とリアバンパとの干渉回避装置
KR100360645B1 (ko) 리프트 액슬 파손방지 장치
US20020139595A1 (en) Selectively bypassing skid steering function
KR970006523B1 (ko) 지게차의 자동 틸팅장치
KR20025643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레일러의 차축 리프팅 장치
KR0138514Y1 (ko) 에어스프링 장착 차량의 높낮이 조절장치
JP3688387B2 (ja) 高所作業車
KR200237910Y1 (ko) 보조타이어 승강장치
KR200256431Y1 (ko) 트레일러의 차축 리프팅 장치
KR100213504B1 (ko) 태크 액슬 이동장치
JPH0714410Y2 (ja) ロータリ除雪車の除雪装置
CA2304897C (en) Axle booster
JP3511375B2 (ja) 車高調整装置
JP3730023B2 (ja) トラック荷台の煽り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