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844B1 - 상용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상용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844B1
KR100412844B1 KR10-2001-0048670A KR20010048670A KR100412844B1 KR 100412844 B1 KR100412844 B1 KR 100412844B1 KR 20010048670 A KR20010048670 A KR 20010048670A KR 100412844 B1 KR100412844 B1 KR 10041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axle
spring
commercial vehicle
low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797A (ko
Inventor
서윤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8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2Spring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가장치의 구성에서 판스프링과 차축 사이를 지지하는 로워 브라켓의 전장을 연장시켜 적재하중에 따라 판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값이 변화될 수 있게 하여, 적재화물이 없는 공차시에는 승차감에 주안점을 두고, 적재화물이 있는 적차시에는 스프링의 강성에 주안점을 둠으로써, 승차감과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이드 프레임(10)상에 설치된 전방측 마운팅 브라켓(14)과 후방측 마운팅 브라켓(16) 사이에 설치된 판스프링(12)과, 이 판스프링(12)과 U-볼트(20)를 매개로 체결되는 차축(22) 및, 상기 판스프링(12)과 차축(22) 사이에서 스테빌라이져 바아(24)의 일측 단부를 장착하도록 개재되는 로워 브라켓(38)을 포함하는 상용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워 브라켓(38)은 판스프링(12)과 차축(22) 사이로 배치되는 중앙부(38a)와, 이 중앙부(38a)로부터 상기 판스프링(12)의 전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연장부(38b)를 갖추고서, 적차에 따른 상기 판스프링(12)의 변형시 상기 연장부(38b)가 판스프링(12)의 중앙부위를 지점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용차의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for truck}
본 발명은 상용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스프링과 차축 사이에 설치되는 로워 브라켓의 형상을 변경시켜 이를 통해 판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값을 가변시켜 적재화물의 유무에 따른 승차감 내지 스프링 강성의 향상에 따른 내구력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적재된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장치로서, 이는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과,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져 바아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상기 섀시 스프링은 승용차의 경우에는 대부분 코일스프링이지만, 중형 이상의 상용차에서는 주로 판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중형 이상의 대형 상용차의 경우에 있어, 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0)상에서 차체를 따라 판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판스프링(12)은 전/후방부위가 각각 상기 사이드 프레임(10)상에 전방측 마운팅 브라켓(14)과 후방측 마운팅 브라켓(16)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12)의 후방측 부위는 사이드 프레임(10)의 후방측 마운팅 브라켓(16)상에섀클(18)을 매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2)의 중앙에는 U-볼트(22)를 매개로 차축(20)이 고정되고, 이 차축(20)에는 차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주행중 롤링을 저감시키는 스테빌라이져 바아(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축(2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는 쇽 업소버(26)가 설치되어 판스프링(12)과 함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쇠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2)의 저면부위와 차축(22)의 상면부 사이를 U-볼트(20)를 매개로 연결하는 부위에는 로워 브라켓(28)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로워 브라켓(28)은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아(24)의 일측 단부를 장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아(24)의 중앙부위는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10)상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로드(30)의 선단에 구비된 클램프(30a)를 매개로 지지되는 바, 이 클램프(30a)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아(24)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접촉을 완충시키기 위한 고무류의 부시(30b)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축(22)의 상부에는 사이드 프레임(10)과의 사이로 범퍼 스토퍼(3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범퍼 스토퍼(32)는 차축이 범프시 사이드 프레임(10)과 판스프링(12)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의 배제는 물론 범프되는 양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2a는 상기 범퍼 스토퍼(32)를 차축(22)상에 판스프링(12)과 함께 U-볼트(20)를 매개로 설치하도록 하는 마운팅용 브라켓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용차의 현가장치는 주행중 노면이 요철진 부위나 함몰된 부위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 판스프링(12)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의 하중을 모두 지탱하고, 이때 상기 판스프링(12)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쇽 업소버(26)의 감쇠력에 의해 감쇄되어 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상용차용 현가장치에서는 상기 판스프링(12)이 일정한 스프링 상수값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져 차체의 상부하중(sprung mass)에 의해 변위되어지므로, 즉 상기 판스프링(12)의 스프링 상수값은 적재화물이 없는 공차시나 적재화물이 있는 적차시에 구분없이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스프링 상수값의 결정시 하기와 같은 제약이 있다.
예컨대, 상기 판스프링(12)에 대한 스프링 상수값을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적재화물이 없는 공차시에 승차감이 불량하고, 상기 판스프링(12)에 대한 스프링 상수값을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적재화물이 있는 적차시에 스프링의 내구에 문제가 발생함과 더불어 범프시 사이드 프레임(10)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에 제약이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범퍼 스토퍼(32)가 주행중 현가장치의 범프시 사이드 프레임(10)과 접촉하면서 제2의 스프링 역할을 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상기 범퍼 스토퍼(32)가 사이드 프레임(10)상에 접촉하는 시점부터는 승차감을 크게 저하됨에 따라 기인되는 현상이다.
즉, 상기 판스프링(12)의 스프링 강성이 작아지면 범퍼 클리어런스는 크게해 주어야 하므로, 현가장치의 설계상 레이-아웃에 대한 제약이 수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가장치의 구성에서 판스프링과 차축 사이를 지지하는 로워 브라켓의 전장을 연장시켜 적재하중에 따라 판스프링의 스프링 상수값이 변화될 수 있게 하여, 적재화물이 없는 공차시에는 승차감에 주안점을 두고, 적재화물이 있는 적차시에는 스프링의 강성에 주안점을 둠으로써, 승차감과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용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이드 프레임상에 설치된 전방측 마운팅 브라켓과 후방측 마운팅 브라켓 사이에 설치된 판스프링과, 이 판스프링과 U-볼트를 매개로 체결되는 차축 및, 상기 판스프링과 차축 사이에서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일측 단부를 장착하도록 개재되는 로워 브라켓을 포함하는 상용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워 브라켓은 판스프링과 차축 사이로 배치되는 중앙부와, 이 중앙부로부터 상기 판스프링의 전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연장부를 갖추고서, 적차에 따른 상기 판스프링의 변형시 상기 연장부가 판스프링의 중앙부위를 지점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상용차의 현가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현가장치에서 일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사이드 프레임 12-판스프링
14-전방측 마운팅 브라켓 16-후방측 마운팅 브라켓
18-섀클 20-차축
22-U-볼트 24-스테빌라이져 바아
26-쇽 업소버 28,38-로워 브라켓
30-지지로드 32-범퍼 스토퍼
38a-중앙부 38b-연장부
38c-장착부 38d-가이드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현가장치에서 일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Ⅳ-Ⅳ선 단면도인 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종래 상용차의 현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 1을 참고로 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으로 길게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0)상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전방측 마운팅 브라켓(14)과 후방측 마운팅 브라켓(16)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전방측 마운팅 브라켓(14)과 후방측 마운팅 브라켓(16) 사이에 판스프링(12)이 설치되는 바, 이 판스프링(12)의 후방측 부위는 사이드 프레임(10)의 후방측 마운팅 브라켓(16)상에 섀클(18)을 매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2)의 중앙에는 U-볼트(22)를 매개로 차축(20)이 고정되고, 이 차축(20)에는 스테빌라이져 바아(24)가 차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차축(2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0) 사이에는 쇽 업소버(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2)과 차축(22) 사이에는 U-볼트(20)를 매개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아(24)의 일측 단부를 장착하는 로워 브라켓(38)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로워 브라켓(3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2)의 하면부와 상기 차축(22)의 상면부 사이로 개재되는 중앙부(38a)와, 이 중앙부(38a)로부터 상기 판스프링(12)의 전장을 따라 전/후방측으로 다소 길이가 연장됨과 더불어 하향절곡된 연장부(38b) 및, 전방측 연장부(38b)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아(24)의 일측 선단을 장착하는 장착부(38c)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 브라켓(3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선단에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스프링(12)의 양측 선단을 안착시켜 지지하도록 된 가이드부(38d)를 일체로 형성하는 바, 이 가이드부(38d)는 상기 판스프링(12)에 대해 로워 브라켓(38)의 전장이 틀어지지 않고 면착지지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상기 차축(22)의 상부에는 사이드 프레임(10)과의 사이로 범퍼 스토퍼(3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범퍼 스토퍼(32)는 차축이 범프시 사이드 프레임(10)과 판스프링(12)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의 배제는 물론 범프되는 양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2a는 상기 범퍼 스토퍼(32)를 차축(22)상에 판스프링(12)과 함께 U-볼트(20)를 매개로 설치하도록 하는 마운팅용 브라켓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용차의 현가장치는, 상기 판스프링(12)에 대한 스프링 상수값의 설정시 다소 낮은 재질의 스프링강을 채택하게 되더라도, 적재화물이 있는 적차시 상기 판스프링(12)이 아래로 휘어지는 변형을 하면서 상기 로워 브라켓(38)의 전방측 하향절곡된 연장부(38b)에 접촉하게 되면서 스프링 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스프링의 내구에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12)은 이의 중앙부위가 상기 로워 브라켓(38)의 전방측 하향절곡된 연장부(38b)상에 접촉하면서 이를 지점으로 하여 스프링의 실제 길이가 짧아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높은 스프링 상수값, 즉 높은 스프링 강성의 구현을 통해 스프링의 변형량을 줄여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적재화물이 없는 공차시에는 낮은 스프링 상수값으로 채택된 상기 판스프링(12)의 스프링 특성에 의해 높은 감쇠력의 발휘로 향상된 승차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현가장치에서 상기 판스프링(12)은 전/후방으로 부재의 길이가 연장된 로워 브라켓(38)을 매개로 이른 바 가변 스프링 상수값을 갖는 부재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적재하중에 경/중에 따라 승차감과 내구성이라는 상반된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현가장치에 의하면, 상기 판스프링(12)과 차축(22) 사이에 배치되는 로워 브라켓(38)의 전장이 판스프링(12)을 따라 전/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공차시에는 낮은 스프링 강성으로 승차감의 향상을 구현함과 더불어 적차시에는 높은 스프링 강성으로 내구성의 확보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Claims (3)

  1. 사이드 프레임(10)상에 설치된 전방측 마운팅 브라켓(14)과 후방측 마운팅 브라켓(16) 사이에 설치된 판스프링(12)과, 이 판스프링(12)과 U-볼트(20)를 매개로 체결되는 차축(22) 및, 상기 판스프링(12)과 차축(22) 사이에서 스테빌라이져 바아(24)의 일측 단부를 장착하도록 개재되는 로워 브라켓(38)을 포함하는 상용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워 브라켓(38)은 판스프링(12)과 차축(22) 사이로 배치되는 중앙부(38a)와, 이 중앙부(38a)로부터 상기 판스프링(12)의 전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연장부(38b)를 갖추되, 전방측 연장부(38b)는 하향절곡되어, 적차에 따른 상기 판스프링(12)의 변형시 상기 연장부(38b)가 판스프링(12)의 중앙부위를 지점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8b)에는 부재의 일부분이 하방향으로 연장절곡되어 스테빌라이져 바아(24)의 일측 단부를 장착하는 장착부(38c)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현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브라켓(38)의 양측 선단에는 판스프링(12)을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가이드부(38d)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현가장치.
KR10-2001-0048670A 2001-08-13 2001-08-13 상용차의 현가장치 KR10041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670A KR100412844B1 (ko) 2001-08-13 2001-08-13 상용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670A KR100412844B1 (ko) 2001-08-13 2001-08-13 상용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797A KR20030014797A (ko) 2003-02-20
KR100412844B1 true KR100412844B1 (ko) 2003-12-31

Family

ID=2771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670A KR100412844B1 (ko) 2001-08-13 2001-08-13 상용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81B1 (ko) * 2006-07-24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판스프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0205A (en) * 1980-11-28 1982-06-04 Hino Motors Ltd Suspension for vehicle
JPS61247505A (ja) * 1985-04-26 1986-11-04 Nhk Spring Co Ltd 車両用懸架装置
JPH0563913U (ja) * 1992-02-07 1993-08-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91917U (ja) * 1992-05-15 1993-12-14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KR950003032A (ko) * 1993-07-12 1995-02-16 전성원 자동차의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0205A (en) * 1980-11-28 1982-06-04 Hino Motors Ltd Suspension for vehicle
JPS61247505A (ja) * 1985-04-26 1986-11-04 Nhk Spring Co Ltd 車両用懸架装置
JPH0563913U (ja) * 1992-02-07 1993-08-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91917U (ja) * 1992-05-15 1993-12-14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KR950003032A (ko) * 1993-07-12 1995-02-16 전성원 자동차의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81B1 (ko) * 2006-07-24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판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797A (ko)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221A (en) Tapered convolute leaf spring for truck suspensions
EP1052122B1 (en) Suspension device for car
KR20100029463A (ko) 자동차의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
KR100412844B1 (ko) 상용차의 현가장치
US6206391B1 (en) Rear suspension using a torsional spring integral with trailing arm
KR20200128812A (ko) 차량의 리어현가장치
KR100264649B1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KR10091679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테빌라이저 바
GB2351050A (en) A rear suspension for a road vehicle
JP2001287525A (ja) トーションバー・エア・ライド・サスペンション
KR10018745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CN213892085U (zh) 一种多连杆式后悬架和车辆
KR100636843B1 (ko) 차량용 에어서스펜션장치
KR100199759B1 (ko) 크로스멤버 내장형 보조스프링겸용 스테빌라이저
KR100224438B1 (ko) 스테빌라이저바아의 장착구조
KR100361296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412848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100828495B1 (ko) 연료 누유방지를 위한 리어 서스펜션 스토퍼 지지구조
KR100507466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80068833A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링크
KR100320504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980007139U (ko) 자동차의 현가 장치
KR20030049213A (ko) 자동차의 휠 지오메트리 가변형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