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0890B1 -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0890B1
KR100410890B1 KR10-2001-0048268A KR20010048268A KR100410890B1 KR 100410890 B1 KR100410890 B1 KR 100410890B1 KR 20010048268 A KR20010048268 A KR 20010048268A KR 100410890 B1 KR100410890 B1 KR 10041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trunk lid
stopper
bracke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967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8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2005/067Bent flaps gooseneck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시 차량의 기울기나 토션바의 탄력에 관계없이 트렁크 리드가 항상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드 브라켓과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고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브라켓(4)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조 브라켓(10), 상기 보조 브라켓(10)의 중간 부분에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유도홈(50a), 상기 제 1 유도홈(50a)의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C'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유도홈(50b), 상기 제 2 유도홈(50b)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2 유도홈(50b)과 선대칭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 3 유도홈(50c), 상기 제 2 유도홈(50b)과 제 3 유도홈(50c) 연결 지점에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부(70a)에서 벗어나는 스토퍼(20)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 1 걸림단(60a), 제 1걸림단(60a)과 대향하는 위치에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제 1걸림단(60a)을 벗어난 스토퍼(20)를 제 2 고정부(70b)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 2 걸림단(60b), 리드바(3)의 중간부분에 리드바(3)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1, 2 및 제 3 유도홈(50c)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Trunk lid with openning unit}
본 발명은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시 차량의 기울기나 토션바의 탄력에 관계없이 트렁크 리드가 항상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승용차의 트렁크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승용차의 운전석에 설치된 트렁크 리드 개방 레버(미도시)를 조작하면, 토션바(6)에서 인가되는 탄성력이 트렁크 리드(1)로 인가되어 트렁크 리드(1)가 열리게 된다. 이때 고리형태의 리드 브라켓(2)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리드바(3)가 가이드 브라켓(4)에 형성된 가이드 홈(5)에 삽입되어 있다. 트렁크 리드(1)가 개방되면 리드바(3)가 가이드 홈(5)의 안쪽에서 이동하게 되고, 트렁크 리드(1)의 개방 범위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트렁크 리드가 열려 있는 동안에는 트렁크 리드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바에 의해 트렁크 리드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지만, 거듭된 사용에 의해 토션바의 탄성이 적어지거나 승용차가 경사지에 있을 경우에는 트렁크 리드의 개방 정도가 적어지거나 트렁크 리드 자체 무게에 의해 닫히는 문제점이 있다. 트렁크 리드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면 운전자는 트렁크 리드의 개방을 위해 레버를 다시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트렁크 리드 고정 장치의 가이드 브라켓에 홈을 형성하고 고정 장치의 리드 브라켓이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트렁크 리드 고정 장치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의 가이드 브라켓과 리드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A-A 선의 선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B 선의 선단면도.
도 5는 가이드 브라켓에 형성된 유도홈과 걸림단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C-C 선의 선단면도.
도 7은 도 5의 D-D 선의 선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보조 브라켓 20 : 스토퍼
50a, 50b, 50c : 제 1, 제 2 및 제 3 유도홈
60a, 60b : 제 1 및 제 2 걸림단
70a, 70b : 제 1 및 제 2 고정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의 가이드 브라켓과 리드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가이드 브라켓에 형성된 유도홈과 걸림단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리드 브라켓과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고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브라켓(4)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조 브라켓(10), 상기 보조 브라켓(10)의 중간 부분에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유도홈(50a), 상기 제 1 유도홈(50a)의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C'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유도홈(50b), 상기 제 2 유도홈(50b)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2 유도홈(50b)과 선대칭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 3 유도홈(50c), 상기 제 2 유도홈(50b)과 제 3 유도홈(50c) 연결 지점에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부(70a)에서 벗어나는 스토퍼(20)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 1 걸림단(60a), 제 1걸림단(60a)과 대향하는 위치에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제 1걸림단(60a)을 벗어난 스토퍼(20)를 제 2고정부(70b)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 2 걸림단(60b), 리드바(3)의 중간부분에 리드바(3)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1, 2 및 제 3 유도홈(50c)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2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도 3의 A-A 선의 선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B-B 선의 선단면도로서 리드바와 스토퍼의 구성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스토퍼(20)의 상부측에는 타원형의 스토퍼홀(25)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홀(25)에는 고정핀(30)이 삽입되어 스토퍼(20)가 리드바(3)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토퍼(20)의 일측면과 리드바(3)의 일측면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제 1 스프링 홀(35a) 및 제 2 스프링 홀(3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스프링 홀(35a) 및 제 2 스프링 홀(35b)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도록 하여 서로 대향하게 한다. 제 1 스프링 홀(35a) 및 제 2 스프링 홀(35b)에는 스프링(35)의 양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스프링(35)의 탄성력이 리드바(3)와 스토퍼(20)에 인가되도록 한다.
도 5는 가이드 브라켓에 형성된 유도홈과 걸림단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6은 도 5의 C-C 선의 선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D-D 선의 선단면도로서, 제 2 유도홈(70b)의 저면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제 3 유도홈(70c)의 저면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유도홈(70c)의 저면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유도홈(70b)과 제 3 유도홈(70c)은 높이차를 갖게 되고, 스토퍼(30)가 제 1 유도홈(70a)에서 이동할 때 제 3유도홈(70c)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렁크 리드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 스토퍼(20)는 제 1 유도홈(50a)의 a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운전자가 트렁크 리드 개방 레버를 조작하여 트렁크 리드가 개방되면 스토퍼(20)는 제 1 유도홈(50a)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a 지점에서 제 2 유도홈(50b)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트렁크 리드가 완전히 열렸을 때 스토퍼(20)는 제 1 고정부(70a)에 위치하게 되고, 트렁크 리드에 인가되는 힘을 제거할 때 토션바의 탄성에 의해 스토퍼(20)는 계속적으로 제 1 고정부(70a)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있어 트렁크 리드가 닫히지 않는다.
트렁크 리드(1)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토션바의 탄력이 부족하여 트렁크 리드의 개방 상태를 유지지 못할 경우에는 스토퍼(20)가 제 1 고정부(70a)에 머무르지 못하고 제 2 유도홈(50b)측으로 이동하게 되나, 이때 제 1 고정부(70a)와 제 2 고정부(70b)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걸림단(60a)에 스토퍼(20)가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렁크 리드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트렁크 리드를 닫기 위해서는 제 1 걸림단(60a)에 위치하고 있는 스토퍼(20)를 제 1 유도홈(50a)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트렁크 리드를 위로 들어 올리도록 외력을 인가하면, 제 1 걸림단(60a)에 위치하고 있는 스토퍼(20)는 제 2 걸림단(60b)에 걸리게 되어 제 2 고정부(70b)로 이동된다.
스토퍼(20)가 제 2 고정부(70b)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렁크 리드를 닫게 되면 스토퍼(20)는 제 3 유도홈(50c)과 제 1 유도홈(50a)을 따라 이동하여 a 지점에 도달하게 되고 트렁크 리드는 닫히게 된다.
스토퍼(20)가 제 3 유도홈(50c)에서 제 1 유도홈(50a)으로 이동할 때 스토퍼(20)와 리드바(3)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35)에 의해 스토퍼(20)의 진행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렁크 리드가 개방된 후 트렁크 리드의 개방 정도를 설정하는 가이드 브라켓에 트렁크 리드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조 브라켓을 설치하여 승용차가 경사지에 주차되어 있는 경우 또는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가 약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트렁크 리드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리드 브라켓과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고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트렁크 리드 개폐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브라켓(4)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조 브라켓(10), 상기 보조 브라켓(10)의 중간 부분에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유도홈(50a), 상기 제 1 유도홈(50a)의 단부에 연장되고 'C'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유도홈(50b), 상기 제 2 유도홈(50b)에 연장되고 제 2 유도홈(50b)과 선대칭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 3 유도홈(50c), 상기 제 2 유도홈(50b)과 제 3 유도홈(50c) 연결 지점에 대향하여 ∧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유도홈(50a)에서 벗어나는 스토퍼(20)를 고정하도록 하는 제 1 걸림단(60a), 제 1 걸림단(60a)과 대향하는 위치에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걸림단(60a)을 벗어난 스토퍼(20)를 제 3 유도홈(50c)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 2 걸림단(60b), 리드바(3)의 중간부분에 리드바(3)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1, 2 및 제 3 유도홈(50c)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20), 상기 스토퍼(20)의 측면에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스프링홈(35a), 리드바(3)의 측면에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스프링홈(3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홈(35a)과 제 2 스프링홈(35b)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여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홈(35a)과 제 2 스프링홈(35b)에는 스프링(35)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의 상부에는 타원형의 스토퍼홀(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홀(25)에는 고정핀(30)이 삽입되어 스토퍼(20)와 리드바(3)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0-2001-0048268A 2001-08-10 2001-08-10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0041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268A KR100410890B1 (ko) 2001-08-10 2001-08-10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268A KR100410890B1 (ko) 2001-08-10 2001-08-10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967A KR20030013967A (ko) 2003-02-15
KR100410890B1 true KR100410890B1 (ko) 2003-12-18

Family

ID=2771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268A KR100410890B1 (ko) 2001-08-10 2001-08-10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8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967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0230B2 (ja) 車両のフード構造
KR100447568B1 (ko) 글로브 박스의 댐퍼 시스템
KR100410890B1 (ko) 승용차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CN114150957B (zh) 引擎罩铰链结构
KR950014783B1 (ko) 윈드스크린와이퍼의 피봇죠인트
JP2002104758A (ja) エレベータ乗場のドア装置
EP1712387B1 (en) Sliding door structure
KR101954201B1 (ko)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KR100200287B1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101912906B1 (ko) 윙바디 차량의 승강식 윙도어 잠금장치
KR0115626Y1 (ko) 자원터치용 본네트 잠금장치
KR100445875B1 (ko) 윙바디 트럭용 측면 게이트의 이중 캐치구조
KR100692743B1 (ko) 차량 테일게이트 도어의 오버슬램범퍼 설치구조
KR10034685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장치
KR0134566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조립체
KR013295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 노브 결합구조
KR100423667B1 (ko)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의 상단부 스토퍼의 구조
KR100422564B1 (ko)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일체형 개방장치
KR200142255Y1 (ko) 자동차의 도어 암 레스트 장착구조
KR0113632Y1 (ko) 암 로드의 조립구조
KR100216814B1 (ko) 자동차 도어의 첵커 구조
KR20030024061A (ko) 사물함의 유동방지구조
JPH08207671A (ja) 両開き可能なルーフボックス
KR20010000967U (ko) 화물차의 적재함 캐치 어셈블리
KR19980031259A (ko) 차량용 후드스테이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