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564B1 -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일체형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일체형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564B1
KR100422564B1 KR10-2002-0020359A KR20020020359A KR100422564B1 KR 100422564 B1 KR100422564 B1 KR 100422564B1 KR 20020020359 A KR20020020359 A KR 20020020359A KR 100422564 B1 KR100422564 B1 KR 10042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od
fuel inlet
handle member
trunk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907A (ko
Inventor
정병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5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4Fuel lids, charger l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레버를 하나의 장치내에 구비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설치된 종래의 장치에 비해 설치 위치에 따른 혼돈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장치의 구성 및 구조를 단순화시켜 공간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제조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An united opening device of hood, trunk lid and fuel filler door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hood)와 트렁크 리드(trunk lid) 및 연료 주입구(fuel filler door)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리드를 개방할 때 사용하는 트렁크 리드 개방레버와 연료 주입을 위한 주유구 개방레버 및 자동차 전면에 위치한 후드를 개방할 때 사용하는 개방레버를 하나의 장치 내에 구현시킨 일체형 개방장치이며, 레버설치에 따른 구조를 단순화시켜 효율적인 공간운영을 도모할 수 있고, 운전자의 편리한 사용과 차체구조를 단순화시킨 것에 따른 제조경비를 줄일 수 있는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이 위치한 부위의 하단, 예컨데 운전석 시트와 프런트 도어 사이의 저면에는 차량 전면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 등을 각각 개방할 수 있는 개방레버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버중 연료 주입구 개방레버는 통상적으로 연료 주입구의 개폐판을 단속하는 걸림편과 와이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트렁크 리드 개방레버는 트렁크에 설치된 통상의 로크장치와 와이어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료 주입구 개방레버나 트렁크 리드 개방 레버를 운전자가 당기는 경우 상기 연료 주입구 개방 레버와 트렁크 리드 개방 레버에 와이어 등으로 연결된 연료 주입구의 개폐판이나 트렁크 리드의 로크장치가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료 주입구 개방 레버와 트렁크 리드 개방 레버는 트렁크의 로크장치와 연료 주입구의 개폐판에 연결 설치된 각각의 와이어에 설치되므로 각각의 와이어 설치와 연료 주입구 개방 레버와 트렁크 리드 개방 레버의 분리 설치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설치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8-31351호」와 「제1998-57351호」에서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연료 주입구와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는 개방 레버를 하나의 장치에 결합하여 하나의 개방 레버 조작에 의해 연료 주입구의 개폐판과 트렁크 리드의 개폐장치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선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도, 자동차 전면에 위치한 후드를 개폐하기 위한 개방 레버는 여전히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차체내부의 구조가 여전히 복잡해지고 제조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레버를 하나의 장치에 통합하여 구비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아울러, 차체 내부의 장치 구조를 단순화시켜 공간의 효율적인 운영과 더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장치중 핸들 조작부 및 후드 개방부의 사시도이며,
도 3a 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개방부 및 연료 주입구 개방부를 도시한 것으로, 트렁크 리드 케이블이 정상상태에 있을 때 각 구성 부품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상태에서 핸들을 상부로 이동시킬 경우 트렁크 리드 케이블의 이동과 연료 주입구 개방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 는 핸들을 하부로 이동시킬 경우 트렁크 리드 케이블의 이동과 연료 주입구 개방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통합) 핸들 11 : 핸들 손잡이부
12 : 제1 핸들부재 13 : 핸들 날개부
14 : 제2 핸들부재 15 : 하부 돌출부
16 : 가이드 홀 17 : 제3 핸들부재
20 : 후드 케이블 21 : 후드 케이블 가이드
22 : 후드 케이블 가이드 걸림편
31, 32 : 연결부재(피봇점) 33, 34 :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
40 : 트렁크 리드 케이블 41 : 슬라이딩 바디
42 :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 43 : 슬랑이딩 바디 하우징
45 : 후크 47 :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 바
50 : 연료 주입구 개방 케이블 51 :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
52 : 회전중심부 53 : 케이블 가이드
54 : 제3 리턴 스프링 100 : 핸들조작 및 후드 개방부
400 : 트렁크 리드 개방부 500 : 연료 주입구 개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개방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1핸들부재, 상기 제1핸들부재의 아래쪽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2핸들부재 및 상기 제1핸들부재와 상기 제2핸들부재와 대면하여 설치된 제3핸들부재로 이루어지는 핸들조작 및 후드 개방부;
상기 제2연결부재의 아래쪽에서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렁크리드케이블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슬라이딩바디, 상기 슬라이딩바디를 내측 중심부에 수용하여 슬라이딩 바디와 일체로 움직이고 그 하부에 스토퍼 바가 형성된 슬라이딩바디스토퍼 및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전반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슬라이딩바디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트렁크리드 개방부; 및
상기 트렁크리드 개방부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회동되어 차량의 연료주입구를 개방하는 연료주입구 개방바디로 이루어지는 연료주입구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는 상기 제1핸들부재의 중간부근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케이블가이드홈, 상기 케이블가이드홈의 외측에 위치하며 후드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된 걸림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드케이블은 후드케이블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제3핸들부재를 향해 연장되고 다시 상기 후드케이블가이드의 후단에서 차량의 후드를 향해 전방으로 굴곡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기 트렁크리드 개방부는, 상기 슬라이딩바디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는 트렁크리드 케이블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리드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의 전단부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전단부 사이에서 이동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여 트렁크 리드 케이블의 이동거리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료주입구 개방바디는 그 중심부를 피봇 회전점으로 회동 가능한 상부 및 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는 상기 슬라이딩바디스토퍼의 하부돌출부와 맞닿아 회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에는 차량의 연료주입구 개방부에 연결되는 연료주입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핸들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제1 핸들부재를 상하 또는 측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어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장치중 핸들 조작부 및 후드 개방부(100)의 사시도이며,
도 3a 는 트렁크 리드 개방부(400) 및 연료 주입구 개방부(500)의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는 통합된 하나의 핸들부(10)가 위치해 있고, 이 핸들부(1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트렁크 리드가 개폐되는 핸들조작 및 후드 개방부(100)와, 상기 핸들 조작 및 후드 개방부(100)의 제2 핸들부재(14)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의 운동을 안내하여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고, 이와 함께 연료 주입구의 개방을 유도하는 트렁크 리드 개방부(400) 및 상기 트렁크 리드 개방부의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의 이동에 의해 연료 주입구를 개방하는 연료 주입구 개방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도면에서, 후드 케이블(20)과 트렁크 리드 케이블(40) 및 연료 주입구 케이블(50)의 연장선상의 각 단부(20E, 40E, 50E)는 각 케이블(20,40,50)과 결착되어 있는 해당 부품의 개방 로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핸들 조작부 및 후드 개방부(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핸들조작 및 후드 개방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두 개의 구성부재, 즉 제1 핸들부재(12)와 제2 핸들부재(14), 상기 두 핸들부재(12, 14)와 대면하여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3 핸들부재(17) 및 상기 각 구성부재들을 연결시키는 두 개소의 연결부재(3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핸들부재(12)의 전방에는 손잡이(11)가 형성되어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며, 제1 핸들부재(12)의 중간 지점에는 종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후드 케이블 가이드 홀(16)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의 상부와 저부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핸들 날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핸들부재(12)와 연결되는 제2 핸들부재(14)는 선단부가 상기 제1 핸들부재(12)의 날개부(13) 사이에 삽착되며,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31)에 의해 제1 핸들부재(12)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제1 핸들부재(12)와 제2 핸들부재(14)는 피봇점이 되는 연결부재(31)를 중심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 하 방향으로는 연결부재(32)가 위치한 지점이 피봇점이 되면서 회전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 핸들부재(14)의 저부에는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나온 하부 돌출부(15)가 형성되고, 이 하부 돌출부(15)에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이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제1 핸들부재(12)의 중간 지점에 형성된 후드 케이블 가이드 홀(16) 내부로 후드 케이블 가이드(21)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드(21)의 단부 전방에는 걸림편(22)이 위치해 있고, 이 걸림편(22)은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드(21) 내부에 수용된 후드 케이블(20)에 결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핸들부재(12)가 측방향(A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핸들부재(12)의 측방향 이동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걸림펀(22)도 이동하게 되며, 결국 상기 걸림편(22)의 이동은 걸림펀(22)과 결착되어 있는 후드 케이블(2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후드 케이블(20)은 제1 핸들부재(12)와 제3 핸들부재(17)의 사이에 설치된 후드 케이블 가이드(21)를 통해 그 내부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3 핸들부재(17)와 인접한 후드 케이블 가이드(21)의 단부에서 후드 케이블(20)의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후드 케이블(20)의 이동방향의 전환은 회전롤러 등의 부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후드 케이블 가이드(21)가 제1 핸들부재(12)와 제3 핸들부재(17)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후드 케이블 가이드(21)의 단부로부터 빠져 나온 후드 케이블(20)이 직접 절곡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후드 케이블(20)의 원할한 이동을 위해 후드 케이블 가이드(21) 자체를 굴곡진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 핸들부재(12) 상에 형성되는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드 홀(16)은 제1 핸들부재(12)의 상, 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홀 (16)의 내부에 삽입되는 후드 케이블(20)에 어떠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일정 크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드(21)가 설치되는 제1 핸들부재(12)와 제3 핸들부재(17)의 사이에는 제1 리턴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제1 핸들부재(12)의 측방향 이동에 대해 제1 핸들부재(12)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제2 핸들부재(14)와 제3 핸들부재(17)의 사이에도 제2 리턴 스프링(34)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리턴 스프링(34)은 제1 핸들부재(12)의 상, 하 방향 이동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핸들부재(12) 및 제2 핸들부재(14)와 대향하고 있는 제3 핸들부재(17)는 상기 제1 및 제2 핸들부재(12, 14)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프레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핸들부재(12, 14)의 폭보다 큰 크기로 형성하였다.
도 3a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개방부(400)와 연료 주입구 개방부(5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트렁크 리드 개방부(4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개방부(400)는 내부로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이 통과하는 슬라이딩 바디(41)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41)의 외측에 설치된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42)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42)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 바(47),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42)와 인접하여 있고, 내부로 상기 슬라이딩 바디(41)를 수용하는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의 내부에는 상기 도 3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후크(45)가 트렁크 리드 케이블(40) 상에 설치된다. 이 후크(45)는 트렁크 리드 케이블(40)과 일체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 내에서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의 움직임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후크(25)는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 내에서 연장되는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의 전단부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41)의 전단부 사이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 주입구 개방부(500)는 상기 트렁크 리드 개방부(400)의 하부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 바(47)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운동 하는 주유구 개방 바디(51)와, 상기 주유구 개방 바디(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유구 개방 바디(51)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하는 연료 주입구 케이블(50)과, 상기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의 이동 후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3 리턴 스프링(54) 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는 상부부위와 하부부위가 중심부를 축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 부재로서, 어느 상부 또는 하부 부위의 어느 부위에 힘이 가해질 경우 중심부를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료 주입구 케이블(50)을 가이드 하는 연료 주입구 케이블 가이드(53)와 제3 리턴 스프링(54)의 일측 단은 상기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의 하부 부위의 후방에 결착되고,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의 상부부위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 바(47)와 접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의 일체형 개방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기 도면들과 통합 핸들부(10)의 이송방향에 따른각 구성부품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 3a 내지 도 3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통합 핸들부(10)를 측방향으로(A 방향) 이동시키면 제1 핸들부재(12)와 제2 핸들부재(14)를 결착하는 연결부재(31)가 위치한 지점이 피봇점이 되어 제1 핸들부재(12)가 측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제1 핸들부재(12)상의 후드 케이블 가이드 홀(16)에 삽착되어 있던 후드 케이블 가이드 걸림편(22)이 제1 핸들부재(12)와 함께 측방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드 걸림편(22)이 측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편(22)과 연결되어 있는 후드 케이블(20)이 후드 케이블 가이드(21)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후드 케이블(20)의 연장된 타측 단부에 연결된 트렁크 리드 후크장치(20E)가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핸들부재(12)와 제3 핸들부재(17)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리턴 스프링(33)은 측방으로 이동한 제1 핸들부재(12)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인장력을 부가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후드가 개방된 후 손잡이부(11)에 인가된 힘을 제거하면 제1 핸들부재(1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 트렁크 리드와 연료 주입구의 개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는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개방부 및 연료 주입구 개방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이 정상상태(당겨지거나 밀리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각 구성 부품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상태에서 핸들(10)을 상부로(B 방향) 이동시킬 경우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의 이동과 연료 주입구 개방부(5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핸들(10)을 상부로(B 방향) 들어올리게 되면, 제2 핸들부재(14)와 제3 핸들부재(17)가 연결되는 부위인 연결부재(32)가 위치한 지점이 피봇점이 되어 제2 연결부재(32)의 우측단이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핸들부재(14)가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그 하부 돌출부(15)에 연결되어 있는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은 전방으로(D 방향) 당겨지게 된다.
상기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이 D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은 슬라이딩 바디(41)를 통과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트렁크 리드 케이블(40) 상에 결착되어 있는 후크(45)가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 내의 전단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내부로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이 통과하는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42)는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때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42) 하부의 스토퍼 바(47)와 주유구 개방 바디(51)의 상단부위와의 접촉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은 후크(45)가 슬라이딩 바디(41)의 전단에 밀착된 상태로부터 슬라이딩 바디 하우징(43)의 내측 후단에 이르는 길이 범위내에서 움직이게 되며, 이 범위내에서의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의 이동에 의해 트렁크 리드는 개방되게 된다.
도 3c 는 핸들(10)을 하부로(C 방향) 이동시킬 경우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의 이동과 연료 주입구 개방부(5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핸들(10)을 하부로(C 방향) 이동시키게 되면, 제2 핸들부재(14)는연결부재(32)가 위치한 지점이 피봇점이 되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제2 핸들부재(14)의 하부 돌출부(15)에 연결된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은 후방으로(E 방향) 밀려나게 된다.
상기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은 슬라이딩 바디(41)를 통과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에 결착되어 있는 후크(45)가 일정거리를 이동한 후에는 슬라이딩 바디(41)의 후단에 걸리게 되고, 이 시점 이후부터는 트렁크 리드 케이블(40)의 이동과 함께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42)도 함께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42)가 이동하게 되면 그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 바(47)도 함께 움직이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 바(47)는 그 하부의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의 상부부위(51a)를 밀게 되고,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는 회전 중심부(52)를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51)는 그 중심부를 축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상부부위(51a)를 전방에서 밀면 하부부위(52b)의 회동으로 하부부위(51b)의 배면측에 연결되어 있는 연료 주입구 케이블(50)이 당겨지게 되어(F 방향), 연료 주입구 케이블(50)의 연장선 단부에 설치된 연료 주입구의 개폐장치(50E)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는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개방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별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른 혼돈을 방지하는 등의 운전자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장치의 구성 및 구조를 단순화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1 핸들부재, 상기 제1 핸들부재의 아래쪽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2 핸들부재 및 상기 제1 핸들부재와 상기 제2 핸들부재와 대면하여 설치된 제3 핸들부재로 이루어지는 핸들조작 및 후드 개방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아래쪽에서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렁크리드 케이블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슬라이딩바디, 상기 슬라이딩바디를 내측 중심부에 수용하여 슬라이딩 바디와 일체로 움직이고 그 하부에 스토퍼 바가 형성된 슬라이딩 바디스토퍼 및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전반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슬라이딩바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트렁크리드 개방부; 및
    상기 트렁크리드 개방부의 상기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회동되어 차량의 연료 주입구를 개방하는 연료 주입구 개방 바디로 이루어지는 연료 주입구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는 상기 제1핸들부재의 중간부근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홈, 상기 케이블 가이드홈의 외측에 위치하며 후드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된 걸림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드 케이블은 후드 케이블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제3핸들부재를 향해연장되고 다시 상기 후드 케이블 가이드의 후단에서 차량의 후드를 향해 전방으로 굴곡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 개방부는, 상기 슬라이딩바디 하우징 내에서 연장되는 트렁크리드 케이블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리드 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바디 하우징의 전단부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의 전단부 사이에서 이동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구 개방바디는 그 중심부를 피봇 회전점으로 회동 가능한 상부 및 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 스토퍼의 하부로 돌출되어 나온 스토퍼 바와 맞닿아 회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에는 차량의 연료 주입구 개방부에 연결되는 연료 주입구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제1 핸들부재를 상하 또는 측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일체형 개방장치.
KR10-2002-0020359A 2002-04-15 2002-04-15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일체형 개방장치 KR10042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359A KR100422564B1 (ko) 2002-04-15 2002-04-15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일체형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359A KR100422564B1 (ko) 2002-04-15 2002-04-15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일체형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907A KR20030081907A (ko) 2003-10-22
KR100422564B1 true KR100422564B1 (ko) 2004-03-11

Family

ID=3237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359A KR100422564B1 (ko) 2002-04-15 2002-04-15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일체형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21A (ja) * 1982-07-20 1984-01-28 Nissan Motor Co Ltd プツシユ・プル・ケ−ブルの伝達力取出装置
KR950014526U (ko) * 1993-11-18 1995-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와 트렁크리드 잠금해제 스위치
KR950018417U (ko) * 1993-12-30 1995-07-22 자동차의 후드 및 트렁크리드 통합형 잠김해제 장치
KR960004492Y1 (ko) * 1993-02-01 1996-05-31 최영국 상.하수관 제조용 개량와인더
KR19980051127A (ko)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21A (ja) * 1982-07-20 1984-01-28 Nissan Motor Co Ltd プツシユ・プル・ケ−ブルの伝達力取出装置
KR960004492Y1 (ko) * 1993-02-01 1996-05-31 최영국 상.하수관 제조용 개량와인더
KR950014526U (ko) * 1993-11-18 1995-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와 트렁크리드 잠금해제 스위치
KR950018417U (ko) * 1993-12-30 1995-07-22 자동차의 후드 및 트렁크리드 통합형 잠김해제 장치
KR19980051127A (ko)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907A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9875C2 (ru)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KR10037324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US5431462A (en) Secure door latch for a vehicle
JP4759152B2 (ja) 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コントローラ
JPS6252885B2 (ko)
EP0822108A2 (en) Automotive vehicle sliding door interlock mechanism
KR20020015468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KR20070098666A (ko) 커넥터 연결 구조체, 클램핑 부재, 및 커넥터 연결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
US20080100103A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switch cover for an automotive armrest
US6877800B2 (en) Sunroof device
KR100422564B1 (ko) 차량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 및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는일체형 개방장치
JP4722261B2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KR100589005B1 (ko)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156281Y1 (ko) 자동차의 콘솔 박스 개폐장치
KR100579641B1 (ko) 센터 패시어 트레이 잠금장치
KR200144573Y1 (ko) 차량용 콘솔박스의 콘솔 암 레스트 개폐장치
KR200398468Y1 (ko) 주유구 리드 안전장치
KR20100060534A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0980663B1 (ko) 차량의 사이드슬라이딩도어 개방제한장치
JP4267347B2 (ja)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用ロック装置
KR19980051127A (ko)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KR960001137Y1 (ko) 자동차의 후드 열림장치
KR100370836B1 (ko) 게이트와 플로워 블랭크 공간 커버링 장치
KR0113843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