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436B1 - 폐타이어재활용블록 - Google Patents

폐타이어재활용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436B1
KR100408436B1 KR10-2001-0017589A KR20010017589A KR100408436B1 KR 100408436 B1 KR100408436 B1 KR 100408436B1 KR 20010017589 A KR20010017589 A KR 20010017589A KR 100408436 B1 KR100408436 B1 KR 10040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ste tire
construction
box
tire recyc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260A (ko
Inventor
이현종
Original Assignee
이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종 filed Critical 이현종
Publication of KR2001009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 E02D2300/0003Car t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9Geo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폐타이어재활용블럭 및 폐타이어재활용블럭을 이용한 성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타이어조각을 잘게 부수어 박스내에 수납하거나 폐타이어조각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블럭형태로 만들어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성토자재 및 충격완화재로 안전하고 보다 간편하게 사용하고, 상기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구조물에 적층 또는 부착하여 건설공사시 성토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블록화하여 구조물의 뒷채움시 충격완화재로 사용하면 다짐시 횡방향 토압을 경감시켜 구조물을 보호하고 정밀다짐이 가능하여 구조물과 뒤채움구간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성토재로 사용하면 성토공사시 시공폭을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각층의 밀도도 균일하여 시공후 안정성이 높다. 또한,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이 자체적으로 배수기능을 가지므로 배수능이 좋다. 특히, 토사에 비해 경량이므로 사하중을 감소시켜 시공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폐타이어를 재활용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폐타이어재활용블록{A block for recycling waste tire}
본 발명은 폐타이어재활용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타이어조각을 잘게 부수어 박스내에 수납하거나 폐타이어조각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블럭형태로 만들어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성토자재 및 충격완화재로 안전하고 보다 간편하게 사용하게 한 폐타이어재활용블록에 관한 것이다.
갈수록 급속하게 자동차가 증가하면서 사용하고 난 폐타이어의 처리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방안으로 폐타이어를 재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큰 대안으로 떠올랐으며, 재활용에 있어 폐타이어를 건설공사시 성토용 부재로 사용하는 방법이 그 중 한 방법으로 착안되었다. 이러한 성토부재로는 각종 차량에 장착되는 모든 종류의 폐타이어가 사용가능하며, 폐타이어를 대략 10mm에서 200mm정도로 분쇄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폐타이어조각은 단위중량이 일반성토용 골재에 비해 약 1/2 내지 1/3 정도로 가벼울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지하수를 오염시킬 염려가 없어 우수한 재료로서 적합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더욱이, 폐타이어를 재활용하기 때문에 처리비용 뿐만 아니라 재료구입비등이 들지 않아 시공비가 저렴하고 대량 사용이 가능하여 건설시공에 있어 여러가지로 유리한 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폐타이어를 건설공사시 성토용 재료로 미국에서 일부 활용하는 사례가 있는 데, 주로 교량의 교대부 뒤채움이나 박스구조물의 뒤채움 구간에 적용하고 있다. 물론, 교량의 교대부 뒤채움이나 박스구조물의 뒤채움 구간은 구조물에 횡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배수가 잘되는 성토용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물과 토공부의 부등침하로 인하여 도로가 완성되고 나서 차량이 주행하면 항상 구조물의 뒤채움 구간에서 처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도로의 평탄성이 불량하게 되어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경량의 골재를 뒤채움 재료로 사용하게 되는 데, 이때 가장 우수한 재료로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폐타이어를 조각으로 분쇄하여 골재의 대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기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사례가 미국에서 일부 있으며, 이에 대한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기존의 건설공사에 적용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성토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교량의 교대에 뒤채움 시공시 다짐으로 인해 유발되는 횡방향의 토압을 경감시켜 구조물을 보호하고 교량과 토공부의 부등침하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조각을 성토용 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미국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폐타이어를 성토용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폐타이어를 잘게 분쇄하여 페타이어조각(10)으로 만들어서 교대(20)에 접하게 약 30cm에서 50cm정도 두께로 시공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시공시 인접골재에서 토분이 폐타이어조각(10)내로 침투되어 토공부의 침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타이어조각(10)들은 부직포(Geotextile)(11)를 사용하여 감싸서 골재와 분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공순서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바닥에 부직포(11)를 깔고 약 30cm 높이로 골재 뒤채움(21)지역을 성토한 다음 다짐을 실시한다.
2. 부직포(11)가 깔려 있는 교대(20)와 골재 뒤채움(21) 사이의 빈 공간에 타이어조각(10)을 붓고 인력으로 고르기를 하고 나서 진동탬핑롤러를 사용하여 다짐을 한다.
3. 부직포(11)는 수직방향으로 이음새가 없이 연속되게 하고, 부직포(11)의 폭이 충분하지 않으면 다른 부직포(11)를 잇대어 사용한다. 이때, 이음부에서는 적어도 50cm이상 겹쳐 시공한다.
4. 계속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약 30cm 두께로 층다짐을 실시하여 접속슬라브(22)까지 성토를 실시한다.
5. 성토후 접속슬라브(22) 상부에 보조기층재를 시공하고 나서, 아스팔트포장층을 시공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번호 23, 24는 각각 교량데크와 교량보를 나타낸다.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약간 변경될 수는 있으나, 보편적으로 이상과 같은 시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데, 이와 같이 폐타이어조각(10)을 이용한 성토방법상에는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즉, 이러한 공법에서는 부직포를 설치하기가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성토고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되게 된다. 또한, 시공도중 부직포에 주름이 생기가 되어 수직방향의 겹친구간이 벌어져 틈이 생길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시공도중 부직포가 찢어질 가능성이 컸다. 더욱이, 폐타이어의 시공폭을 정밀하게 조절하기가 어렵고, 층별 폐타이어의 다짐도가 균일하지 못하는 폐단도 있었다. 그리고, 폐타이어와 입상재료구간의 분리를 위해 부직포를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고 시공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폐타이어를 잘게 부수어 박스내에 수납하여 재활용함으로써 건설공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성토자재로 안전하고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한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기존의 건설공사에 적용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성토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교대벽면에 뒤채움재로 사용한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그때 블록을 쌓는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교대벽면 전체에 뒤채움재로 사용한 다른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성토방법이 박스구조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성토방법을 옹벽구조물에 적용한 사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연약지반에 내설하여 연약지반의 도로를 보강한 성토방법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폐타이어재활용블록 40 : 박스
41 : 배수공 50,50a : 폐타이어조각
52 : 접착제 60,60a: 부직포
70 : 교대 71 : 뒤채움부
80~84 : 부직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은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성토자재에 있어서, 배수공들이 천공된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 상기 박스속에 수납된 폐타이어조각; 및 상기 박스의 배수공을 통해 내부로 시공시 토사가 유입되지 않토록 상기 박스내측에 설치된 부직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그 종단면도이다.
본 폐타이어재활용블록(1)(이하, 블록이라 한다)은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40)속의 분쇄한 폐타이어조각(50)들을 수납하여 구성된다. 박스(40)에는 배수공(41)들이 천공되어 있는 데, 이 배수공(41)을 통해 박스(40)안쪽으로 시공시 토사가 유입되지 않토록 토사와 접하는 일측내면부에는 부직포(60)가 개재되어 있다.
박스(40)는 투수(Permeable)가 가능한 일정한 규격으로 규격화되며, 어는 정도의 변형이 가능한 연성재료로 제작된다. 특히, 그 재질은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을 지닌 플라스틱류나 철재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박스(40)는 폐타이어의 다짐이나 인접토사의 다짐에 의한 압력에 대해 변형성을 갖고 이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앞서도 설명했듯이 박스(40)는 전표면부에 걸쳐서 배수공(41)이 천공되어 있어 배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데, 이 배수공(41)의 크기는 가장 작은 폐타이어조각(50)보다 작게 하여 폐타이어조각(50)이 운반도중 또는 시공시에 박스(40) 밖으로 유출되지 않토록 한다.
박스(40)의 크기는 높이와 폭이 각각 20cmm ~ 50cm 내외로 하고, 길이는 30cm ~ 100cm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40)의 크기는 시공장소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특히 인력운반이냐 기계운반이냐에 따라 그 크기 및 무게를 달리 제작하는 것이 운반에 있어 용이하다. 부연설명하면, 폐타이어조각(50)을 내장한 박스(40)의 무게가 20kg 에서 30kg 정도로 제작하면 1인이 인력으로 운반가능하며, 40~50kg정도로 제작하면 2인이 인력으로 운반하고 쌓아 시공할 수 있으며, 기계운반시에는 50kg이상으로 블록(1)을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보다 간편하게 폐타이어조각을 박스형태로 성형하여 블록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다음의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보는 바와 같이 폐타이어조각(50a)들을 접착제(52)와 혼합하여 직사각형의 박스형태로 성형하여 블록(1)을 제작하고, 부직포(60a)를 일면에 부착한다. 좀더 상세히 부연 설명하면, 폐타이어조각(50a)과 접착제(52)를 질량비 95~97 : 3~5 의 비율로 혼합하여 블록형태의 틀에 부어넣고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고, 일면에 부직포(60a)를 붙인다. 그 결과, 성형틀에서 빼낸 블록(52)은 도 3과 같은 형상을 갖게 된다. 이 블록(52)의 제조시 폐타이어조각(50a)들을 결합시키는 접착제(52)로는 우레탄계열이 사용되며, 성형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접착제(52)는 폐타이어조각(52a)들을 결합시키면서 견고하게 경화되어 단단한 블록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폐타이어블록은 구조물에 못 등으로 박아 사용하거나 적층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재활용블록을 제조할 경우 제작공정이 전실시예에서 보다 단순하여 보다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로 재료비가 절감되고, 투수는 잘되고, 토사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타이어조각(50)을 박스(40)내에 수납하거나 폐타이어조각(50a)을 박스형태로 성형하여 폐타이어재활용블록(1)을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1)을 건설현장으로 운반하여 성토시 필요한 위치에 시공하게 된다. 이때, 박스내에 수납한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사용할 경우의 시공순서는 먼저블록(1)을 쌓아올릴 지반바닥에 부직포를 깔아 블록(1)이 지반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 블록(1)을 한층 설치하고 나서, 블록(1)의 높이만큼 토사를 포설하고 다진다. 그 다음에 블록(1)의 다짐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하여 블록(1)을 시공하여 성토고를 높여가며 시공을 하게 된다. 한편, 폐타이어조각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부직포를 일면에 붙인 폐타이어재활용블럭의 시공순서는 먼저 블록(1)을 구조물의 벽면에 접착제 혹은 철재못 등을 사용하여 부착한다. 그 다음, 토사를 일정 높이로 포설하고 다짐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토공부의 성토 및 다짐이 블록 한 개의 높이만큼 진행되면 블록을 구조물 벽면에 부착하고 성토 및 다짐을 실시하여 시공을 하게된다. 상기 시공방법에 대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종 건설공사들을 예로 들어가며 이하 도 4 내지 도 8에서 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교대벽면에 뒤채움재로 사용한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이때 블록을 쌓는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교대 뒤채움에 본 블록(1)을 사용하면 입상재료를 다질 때 교대(70)에 작용하는 횡방향 토압을 경감시킬 수 있어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입상재료를 충분히 다질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양질의 입상재료를 구하기 힘든 건설공사에서 본 블록(1)은 그를 대용하여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교대 뒤채움부(71)의 바닥을 고르게 하고, 블록설치구간의 폭만큼 부직포(80)를 깐다. 이때, 부직포(80)는 바닥뿐만 아니라 교대(70)면의 30cm 높이까지 연속되게 시설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블록설치구간 하부에 배수시설을 할 수도 있다.
2. 교대(70)벽면을 따라서 블록(1)을 1층만 설치하고 나서, 그 높이만큼 뒤채움재료를 성토하고 다짐을 실시한다. 이때, 블록(1)은 진동롤러로 3 내지 4회정도 다져준다.
3. 2번째층부터는 부직포(80)를 깔지 않고 1층의 블록(1)위에 바로 2번째층의 블록(1)을 적층한다.
4. 그리고 나서, 블록(1)의 높이만큼 다시 뒤채움부(71)를 성토하고 다짐을 실시한 후, 블록(1)의 다짐을 시행한다.
5. 위의 3항과 4항의 순서를 계속적으로 반복시행하여 원하는 성토고만큼 성토를 실시한다. 그런다음, 최상층의 블록(1) 상부면에 부직포(80)를 덮고 그 위에 토사를 성토하여 블록(1)이 직접 토사에 접촉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교대뒤채움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도 5는 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교대벽면 전체에 뒤채움재로 사용한 다른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지 블록을 한줄로 쌓아올려 일정폭으로 뒤채움을 할 수 있으나, 더 견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1)을 여러줄로 쌓아올려 뒤채움을 할 수 있다. 이 시공과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교대 뒤채움부(71) 바닥을 고르게 하고, 블록설치구간의 폭만큼 부직포(81)를 깐다. 이때, 부직포(81)는 바닥은 물론 교대(70)면의 30cm 높이까지연결되게 시공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블록설치구간의 하부에 배수시설을 설치할 수도 있다.
2. 교대(70)벽면을 따라 블록(1)을 1층만 설치하고, 진동롤러로 3회 내지 4회정도 다져준다. 그리고, 블록(1)의 높이만큼 토공구간의 토사를 성토한 후 다짐을 실시한다.
3. 두번째 층부터는 부직포(81)를 깔지 않고, 바로 블록(1)위에 블록(1)을 적층한 다음 블록(1)의 다짐을 시행한다.
4. 블록(1)의 높이만큼 토공구간의 토사를 성토한 후 다짐작업을 실시한다.
5. 계속해서 원하는 높이로 블록(1)을 적층하며 다짐하고 성토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성토고까지 시공한 후, 접속슬라브(72)로 마감하여 성토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 6은 본 성토방법이 박스구조물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암거(90)의 양측에는 도 4a에서 기설명한 바와 같이 그 양측면에 접촉되게 블록(1)을 적층하여 뒤채움시공을 행하게 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암거(90)배면에 일정폭으로 블록(1)을 설치하면 토공부의 다짐시 구조물을 보호하게 되며, 물론 도 5에서와 같이 입상채움재(100)를 배제하고 전체를 블록(1)으로 채움으로써 더욱 더 견고한 구조로 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암거(90)의 상부쪽 성토작업은 먼저 블록(1)을 설치할 구간에 바닥고르기를 실시하고 부직포(82)를 깐다. 특히, 이때 부직포(82)를 겹쳐 깔 경우에는최소 50cm이상 겹쳐지도록 한다. 그런다음, 블록(1)을 1층 설치하고 진동롤러로 다짐을 실시한다. 이때, 토사와 직접 접촉되는 블록면은 부직포가 있는 쪽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블록(1)의 높이만큼 토공부의 토사를 성토하고 다짐작업을 행한다. 두번째 층부터는 부직포(82)를 깔지 않고 블록(1)위에 바로 다음 블록(1)을 적층하고 다짐을 실시한 다음, 블록(1)의 높이만큼 토사를 성토하고 다짐작업을 행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블록(1)의 마지막 층까지의 시공이 완료되면 블록(1)의 상부를 부직포(82)로 다시 싸고 성토한다. 그리고, 쇄석보조기층(91)을 형성한 후, 아스팔트콘크리트(92)로 포장하여 아스팔스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암거구조물 상부의 성토고가 높을 경우 토사대신 본 블록을 성토재로 활용함으로써 구조물에 미치는 사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토사로 성토할 경우에 비해 1/2 내지 1/3 수준으로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어 암거구조물의 안전성을 배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성토방법을 옹벽구조물에 적용한 사례를 나타낸 도면으로, 옹벽구조물의 뒤채움재로 본 블록(1)을 적층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공하면 옹벽(110)에 작용하는 횡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이 향상되므로 토사(111)의 사면이 안정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물론, 이 시공방법은 이미 도 5에서 기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83은 부직포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을 연약지반에 내설하여 연약지반의 도로를 보강한 성토방법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연약지반도로에 본 재활용블록을 적용한 성토방법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블록(1)을 설치할 구간에 바닥고르기를 실시하고 부직포(84)를 깐다. 특히, 이때 부직포(84)를 겹쳐 깔 경우에는 최소 50cm이상 겹쳐지도록 한다.
2. 블록(1)을 1층 설치하고 진동롤러로 다짐을 실시한다. 이때, 토사와 직접 접촉되는 블록면은 부직포가 있는 쪽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블록(1)의 높이만큼 토공부의 토사를 성토하고 다짐작업을 행한다.
3. 두번째 층부터는 부직포(84)를 깔지 않고 블록(1)위에 곧바로 다음 블록(1)을 적층하고 다짐을 실시한다.
4. 블록(1)의 높이만큼 토사를 성토하고 다짐작업을 행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행하여 블록(1)을 마지막 층까지 시공한다.
5. 마지막 층의 시공이 완료되면 블록(1)의 상부를 부직포(84)로 다시 싸고 성토한다.
6. 블록공사가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토사를 성토하여 보조기층(120)과 기층(121)을 쌓고, 그 위에 아스팔스재(122)로 도로포장을 하여 연약지반의 아스팔스보강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약지반에 입체교차로 등을 건설할 경우 통상 성토고가 높아 연약지반의 보강처리를 실시해야 하는 데, 이때 토사로 성토할 경우 사하중이 커서 침하안전성에 큰 문제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토사에 비해 휠씬 경량인 본 블록(1)을 성토재로 활용하면 그 무게가 토사에 비해 1/2 내지 1/3 정도로 가볍기 때문에 일반토사에 비해 장기적으로 침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자체적으로 배수기능이 있어 사면안정성이 증대되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물론, 시공시 배수층(123)을 형성하여 배수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블록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성토공사시 시공폭을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각층의 밀도도 균일하여 시공후 안정성이 높다. 또한, 폐타이어재활용블록이 자체적으로 투수기능이 있으므로 배수능이 좋다. 특히, 토사에 비해 경량이므로 사하중을 감소시켜 시공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폐타이어를 재활용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잇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2)

  1.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성토자재에 있어서,
    배수공들이 천공된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
    상기 박스속에 수납된 폐타이어조각; 및
    상기 박스의 배수공을 통해 내부로 시공시 토사가 유입되지 않토록 상기 박스내측에 설치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폐타이어재활용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투수가 가능한 일정한 규격으로 규격화되며, 어는 정도의 변형이 가능한 연성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재활용블록.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토사와 접하는 상기 박스의 일측내면부에만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재활용블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1-0017589A 2000-04-04 2001-04-03 폐타이어재활용블록 KR100408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620 2000-04-04
KR1020000017620 2000-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260A KR20010095260A (ko) 2001-11-03
KR100408436B1 true KR100408436B1 (ko) 2003-12-06

Family

ID=1966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589A KR100408436B1 (ko) 2000-04-04 2001-04-03 폐타이어재활용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860B1 (ko) * 2001-12-20 2005-01-24 주성건설 합자회사 개량된 배수 시스템을 갖는 옹벽시스템
KR100469806B1 (ko) * 2002-09-13 2005-02-22 주식회사 티씨엠씨건축사사무소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충격 흡수재
KR100536429B1 (ko) * 2002-12-09 2005-12-16 유인항 무기질 투수재 블록 구조와 무기질 투수재를 이용한 성토공법
KR20040086017A (ko) * 2003-03-31 2004-10-08 박성언 발포성수지를 이용한 토목공사용 배수공법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330U (ja) * 1991-11-02 1993-06-01 洋一 岡本 古タイヤ埋設補強盛土工法
JPH05171652A (ja) * 1991-12-24 1993-07-09 Oyo Kikaku:Kk 斜面安定工法
KR950006495A (ko) * 1993-08-24 1995-03-21 엄길용 평판표시패널의 셀갭 검사방법
KR950011716A (ko) * 1993-10-30 1995-05-15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 수위 설정장치
KR950029476A (ko) * 1994-04-04 1995-11-22 이재명 옹벽 뒷채움재
JPH0860665A (ja) * 1994-08-24 1996-03-05 Asahi Denka Kogyo Kk 透水性軽量ブロック
JPH0860663A (ja) * 1994-08-24 1996-03-05 Asahi Denka Kogyo Kk 透水性軽量ブロック
KR970065906A (ko) * 1997-04-11 1997-10-13 황익현 구조물 보호용 배수층의 시공방법 및 그 배수재
US5795106A (en) * 1996-04-01 1998-08-18 Herd; Ian M.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9980082898A (ko) * 1997-05-09 1998-12-05 최원영 폐타이어를 이용한 배수 및 폐기물 매립방법
JPH1171768A (ja) * 1997-08-28 1999-03-16 Kokoku Kousensaku Kk 石籠を用いた法面構造
KR20000008476A (ko) * 1998-07-14 2000-02-07 유현식 발포성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설한 매설암거의 구축방법
KR20000041500A (ko) * 1998-12-22 2000-07-15 최원영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
KR20010073054A (ko) * 1998-08-27 2001-07-31 크리스 로저 에이치 나노다공성 실리카의 기계적 강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공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330U (ja) * 1991-11-02 1993-06-01 洋一 岡本 古タイヤ埋設補強盛土工法
JPH05171652A (ja) * 1991-12-24 1993-07-09 Oyo Kikaku:Kk 斜面安定工法
KR950006495A (ko) * 1993-08-24 1995-03-21 엄길용 평판표시패널의 셀갭 검사방법
KR950011716A (ko) * 1993-10-30 1995-05-15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 수위 설정장치
KR950029476A (ko) * 1994-04-04 1995-11-22 이재명 옹벽 뒷채움재
JPH0860663A (ja) * 1994-08-24 1996-03-05 Asahi Denka Kogyo Kk 透水性軽量ブロック
JPH0860665A (ja) * 1994-08-24 1996-03-05 Asahi Denka Kogyo Kk 透水性軽量ブロック
US5795106A (en) * 1996-04-01 1998-08-18 Herd; Ian M.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970065906A (ko) * 1997-04-11 1997-10-13 황익현 구조물 보호용 배수층의 시공방법 및 그 배수재
KR19980082898A (ko) * 1997-05-09 1998-12-05 최원영 폐타이어를 이용한 배수 및 폐기물 매립방법
JPH1171768A (ja) * 1997-08-28 1999-03-16 Kokoku Kousensaku Kk 石籠を用いた法面構造
KR20000008476A (ko) * 1998-07-14 2000-02-07 유현식 발포성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설한 매설암거의 구축방법
KR20010073054A (ko) * 1998-08-27 2001-07-31 크리스 로저 에이치 나노다공성 실리카의 기계적 강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공정
KR20000041500A (ko) * 1998-12-22 2000-07-15 최원영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260A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5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폐기물매립장 구조물 및 그 구축방법
KR102259699B1 (ko) 스톤백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시공방법
JP2000154553A (ja) 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0408436B1 (ko) 폐타이어재활용블록
CN214882659U (zh) 一种防治箱涵顶部新建道路不均匀沉降的路基处理结构
KR20090124056A (ko) 보도 포장 공법
KR101739657B1 (ko)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KR200195284Y1 (ko) 폐타이어재활용블록
US4519730A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JPS6332021A (ja) 地滑り箇所,軟弱地盤箇所等の軽量盛土工法
JP2839986B2 (ja) 擁壁の築造工法
KR100655182B1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과 그 축조방법
JPH11303060A (ja) 土間床の沈下防止方法
Winter et al. Construction of road foundations on soft ground using lightweight tyre bales
JP3045673B2 (ja) 軽量埋戻し、裏込工法および軽量盛土工法
JP2003019707A (ja) 木質土木製品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木質材料又は木質土木製品を用いた施工方法
KR102608230B1 (ko) 성토부 내의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21464A (ko) 건설자재 및 성토(盛土) 공법
US118917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discarded (degraded) asphalt shingles (DAS) for stabilizing soils in building and surface constructions
CN209836708U (zh) 一种土质地基路堤稳定加固结构
KR100536429B1 (ko) 무기질 투수재 블록 구조와 무기질 투수재를 이용한 성토공법
CN210315650U (zh) 一种锚杆加筋复合挡土墙
US20050178294A1 (en) System for recycling wet concretre into precast structures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JP2007204994A (ja) 杭頭接合構造
KR200288910Y1 (ko) 도로측면 보호를 위한 합성네트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