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657B1 -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657B1
KR101739657B1 KR1020150165813A KR20150165813A KR101739657B1 KR 101739657 B1 KR101739657 B1 KR 101739657B1 KR 1020150165813 A KR1020150165813 A KR 1020150165813A KR 20150165813 A KR20150165813 A KR 20150165813A KR 101739657 B1 KR101739657 B1 KR 10173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concrete
dam
fill
transition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범
박기찬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대림산업 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대림산업 주식회사, 현대건설주식회사,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5016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류부는 모래, 자갈, 암석, 토사 등의 재료로 축조한 필존과, 하류부는 콘크리트 재료로 축조한 콘크리트존으로 형성하여 2개의 다른 형식의 댐을 결합시켜 하나의 댐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류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축조되는 필존과; 하류측으로 계단상의 사면으로 일정경사를 갖도록 축조되는 콘크리트존과; 필존과 콘크리트존 사이에 축조되며 내부에 차수재가 형성되는 트랜지션존과; 필존 및 트랜지션존의 상단부에는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월류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Roller Compacted Concrete And Rockfill Dam}
본 발명은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류부는 모래, 자갈, 암석, 토사 등의 재료로 축조한 필존과, 하류부는 콘크리트 재료로 축조한 콘크리트존으로 형성하여 2개의 다른 형식의 댐을 결합시켜 하나의 댐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댐 건설에 있어 공사비 절감 및 공기단축을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은 계속되어 댐 형식 및 축조공법에 있어 다양한 기술개발이라는 성과를 얻었다.
콘크리트 댐, 필 댐 등이 주를 이루던 댐 형식은 각기 형식의 장점이 융합된 복합 댐으로 발전하였고, 축조재료의 특성을 이용 개선하여 콘크리트 댐 및 석괴 댐(필 댐)은 각기 RCC, RCD, Hardfill 공법 및 ACRD 공법이라는 축조공법 개발을 통해 기술발전을 이루었다.
Hardfill 댐에 이용한 Hardfill 개념은 점차 댐 건설의 적지(특히 지질적인 측면)가 소진됨에 따라 출현하게 된 형식이라고 볼 수 있으며, 1992년 초반 프랑스의 Londe에 의해 그 개념이 발표된 이래 여러 나라에서 수십 개의 댐이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CSG 댐(Cemented Sand and Grave Dam)이라고 칭하고 있으며,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2가지 이상의 댐 형식을 결합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상호보완하는 방식의 복합댐이 있으며, 복합댐은 콘크리트 댐과 필 댐을 혼합한 형식, 콘크리트 중력식 댐과 부벽식 댐을 혼합한 경우 등이 있다. 또한, 상류부에 콘크리트 차수벽형 록필 댐(CFRD: Concrete Faced Rockfill Dam)을 축조하고 하류부에 RCC 댐을 축조한 형태의 RCC록필 댐(RCCR: RCC and Rockfill dam)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복합 댐은 상류부와 하류부의 상이한 재료로 인하여 두 형식의 댐의 접속부(接續部)의 처리가 매우 어려우며, 접속부 상단부에 Crest를 두어 여수를 월류시키도록 하였으나 월류량이 많을 경우에는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중국 특허출원 제2010-10256664호 "RFC와 CSG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댐체의 상류측은 RFC(Rock Fill Concrete)로 하류측은 CSG(Cemented Sand and Gravel)로 구성하도록 하여 구성을 간소화하고 동시에 RFC와 CSG의 장점을 갖는 댐을 시공하도록 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RFC와 CSG의 장점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상류부와 하류부의 상이한 재료로 인하여 두 형식의 댐의 접속부(接續部)의 일체화 처리가 매우 어려우며, 별도의 여수로가 존재하지 않아 월류량이 많을 경우에는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면 월류를 허용할 경우 상류측 댐체를 구성하는 RFC 부분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대책이 강구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중국 특허출원 제2010-10256664호 "RFC와 CSG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류부는 모래, 자갈, 암석, 토사 등의 재료로 축조한 필존과, 하류부는 콘크리트 재료로 축조한 콘크리트존으로 형성하여 2개의 다른 형식의 댐을 결합시켜 하나의 댐으로 구성하고 일체화하도록 하면서도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존과 콘크리트존의 사이에 응력을 완화할 수 있는 트랜지션존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존의 경사면을 계단형 사면으로 형성하여 월류를 허용하여 댐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강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류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축조되는 필존과; 하류측으로 계단상의 사면으로 일정경사를 갖도록 축조되는 콘크리트존과; 필존과 콘크리트존 사이에 축조되며 내부에 차수재가 형성되는 트랜지션존과; 필존 및 트랜지션존의 상단부에는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월류캡;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콘크리트존은 슬럼프 값이 제로인 빈배합 콘크리트를 축조재료로 사용하여, 타설과 다짐을 반복하여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콘크리트존은 댐 현장 발생의 토질재료를 배합한 저강도 시멘트 혼합 하드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트랜지션존의 차수재는 아스팔트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트랜지션존의 차수재는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트랜지션존의 차수재는 토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트랜지션존의 차수재는 지오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트랜지션존의 차수재는 토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a) 댐이 축조될 지반을 견고하게 다져서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b) 상류측 일정 면적에 대하여 천연재료인 필재를 축조하고 다짐하여 일정 높이의 필존을 형성하는 단계; (c) 필존의 상부에서 운송 트럭에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축조재료를 이송하여, 일정 높이로 축조된 필존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인접하여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차수재가 구성되도록 축조하고 다짐하여 일정 높이의 트랜지션존을 형성하는 단계; (d) 필존의 상부에서 운송 트럭에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축조재료를 이송하여, 일정 높이로 축조된 트랜지션존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인접하여 축조하여 일정 높이의 콘크리트존을 형성하는 단계; (e) 필존은 상류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축조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존은 하류측으로 계단상의 사면으로 일정경사를 갖도록 축조되도록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여 소요되는 댐체의 높이로 축조하는 단계; (f) 필존 및 트랜지션존의 상단부에는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로 월류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d) 단계의 콘크리트존은 일정 크기의 PC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은 상류부는 모래, 자갈, 암석, 토사 등의 재료로 축조한 필존과, 하류부는 콘크리트 재료로 축조한 콘크리트존으로 형성하여 2개의 다른 형식의 댐을 결합시켜 하나의 댐으로 구성하고 일체화하도록 하면서도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존과 콘크리트존의 사이에 응력을 완화할 수 있는 트랜지션존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존의 경사면을 계단형 사면으로 형성하여 월류를 허용하여 댐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강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댐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댐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댐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복합댐(1)은 상류부는 모래, 자갈, 암석, 토사 등의 재료로 축조한 필존(10)과, 하류부는 다양한 콘크리트 재료로 축조한 콘크리트존(20)으로 형성하여 2개의 다른 형식의 댐을 결합시켜 하나의 댐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복합댐(1)의 상류측의 필존(10)은 상류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축조된다. 이와 같이 상류측에 형성되는 필존(10)은 댐 안부의 경사가 급변하는 지형인 경우 부등침하와 코어의 균열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어형 댐보다 적합하며, 댐 지형이 극단적이고 비대칭인 경우에도 콘크리트존(20)의 경사와 필존(10)의 경사가 각각 다른 경사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필존(10)은 모래, 자갈, 암석 등을 재료로 축조하는데, 하상 사력재 및 발파암 등의 현지 발생한 골재를 사용함으로써, 골재 제조 설비 등의 생략 및 간략화가 가능하여 건설비용 절감, 환경보전과 성토 재료원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댐(1)의 하류측의 콘크리트존(20)은 하류측으로 계단상의 사면으로 일정경사를 갖도록 축조된다.
콘크리트존(20)은 실제로 하드필댐과 같은 사다리꼴 단면이므로 암반기초에도 적합하지만, 비암반 기초에도 건설이 가능하며, 특히 폭이 좁고 가파른 암석으로 구성된 계곡부에서 월류형 콘크리트 댐을 고려할 때에도 대체하여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콘크리트존(20)은 도 1에서와 같이, 경사면이 계단상의 사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계단상 사면을 계단형 여수로로 활용하도록 하여 별도로 대규모의 에너지 감세공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월류시에 월류된 물이 콘크리트존(20)의 계단형 여수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월류시에 에너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존(20)은 슬럼프 값이 제로인 빈배합 콘크리트를 축조재료로 사용하여, 타설과 다짐을 반복하여 축조도록 할 수 있으며, 댐 현장 발생의 토질재료를 배합한 저강도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축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존(20)은 공사기간 중에 홍수를 댐체에 임시로 처리한 수로를 통하거나 공사 중인 댐체를 월류시키는데 사용하여 홍수를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존(10) 부분은 댐 인근 지역의 자연재료를 댐 축조 재료로 이용함으로써 댐 축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필존(10)과 콘크리트존(20)은 축조재료가 전혀 상이하기 때문에, 필존(10)과 콘크리트존(20)의 사이에 투수성이 작은 점토 등의 토질 재료 또는 현지 발생의 토질 재료를 배합한 저강도, 고변형성 콘크리트 등으로 트랜지션존(30)을 축조하여 응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며, 필존(10)과 콘크리트존(20) 간의 입자 지름이나 강성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함과 동시에 차수재(31)를 트랜지션존(30) 내부에 형성하여 차수재(31)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트랜지션존(30)은 댐 현장 발생의 토질재료를 배합한 저강도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역청 함량이 낮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댐 건설 지역의 기상, 지진 등의 특성에 맞추어 아스팔트 배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댐 현장 발생의 토질재료를 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재료원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류부의 필존(10)과, 하류부의 콘크리트존(20)의 사이에는 트랜지션존(30)이 축조되며, 트랜지션존(3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차수재(31)가 형성되도록 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차수재(31)는 아스팔트, PVC로 형성되는 차수재 등 공지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토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토목섬유는 다양한 섬유 형상의 결합에 의해 제조되며 크게 직포형 및 부직포형 지오텍스타일, 지오그리드, 지오네트, 지오멤브레인, 지오웹, 지오복합포, 지오텍스타일 및 단섬유 등이 있으며, 특히, 차수재(31)는 지오 멤브레인(Geo-Membrane)으로 구성하여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월류캡(40)은 필존(10) 및 트랜지션존(30)의 상단부에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로 형성하여, 상류측에서 콘크리트존(20)으로 월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월류캡(40)은 필존(10) 및 트랜지션존(30)의 상단부를 덮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리 제작된 PC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댐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댐 시공방법은 먼저, 댐이 축조될 지반을 견고하게 다져서 기초를 형성하도록 한다(a).
이후, 도 2b에서와 같이, 필존(10)을 일정 높이로 축조한다(b).
필존(10)은 모래, 자갈, 암석 등을 재료로 축조하는데, 하상 사력재 및 발파암 등의 현지 발생한 골재를 사용함으로써, 골재 제조 설비 등의 생략 및 간략화가 가능하여 건설비용 절감, 환경보전과 성토 재료원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자연재료를 축조하고 진동롤러(6) 등을 이용하여 다짐을 하여 일정 높이의 레이어(L1)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후, 일정높이로 축조된 필존(10)의 하류측으로 인접하여 차례로 트랜지션존(30)과 콘크리트존(20)을 축조하여 하나의 레이어(L1)을 완성하도록 한다(c)(d).
본 발명은 필존(10), 트랜지션존(30) 및 콘크리트존(20)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댐으로 시공시에 각 재료간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일정 높이로 축조된 필존(10)을 축조재료의 운반로로 활용하도록 하여, 오염없이 콘크리트존(20)을 시공하도록 한다.
먼저, 일정 높이의 트랜지션존(30)을 형성하는데, 필존(10)의 상부에서 운송 트럭(5)에서 컨베이어(51)를 이용하여 축조재료를 이송하여, 트랜지션존(30)을 형성한다.
이때, 트랜지션존(3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차수재(31)가 구성되도록 차수재(31)가 아스팔트코어재 등일 경우에는 아스팔트 코어재와 아스팔트 코어재 양측으로 트랜지션존(30)을 형성하도록 하는 축조재료를 축조하여 완성하며, 차수재(31)로 토목섬유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토목섬유가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트랜지션존(30) 형성시에 수직방향으로 이어가면서 축조하도록 한다.
이후, 일정 높이로 축조된 트랜지션존(30)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인접하여 축조하여 일정 높이의 콘크리트존(20)을 형성하도록 한다.
트랜지션존(30) 및 콘크리트존(20)의 축조재료는 모두 일정 높이로 축조된 필존(10)의 상부면을 운송로로 하여 덤프트럭 또는 크롤러 형태의 이송수단 등의 운송 트럭(5) 및 컨베이어(51)의 조합으로 운송 트럭(5)이 콘크리트존(20) 또는 트랜지션존(30)의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컨베이어(51)를 통하여 축조재료를 이송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존(20) 등에서의 재료의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정높이로 필존(10), 트랜지션존(30) 및 콘크리트존(20)을 축조하고 진동롤러(6) 등을 이용하여 다짐을 하여 일정 높이의 레이어(L1)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존(20)은 현장에서 축조재료를 타설하고 다짐하여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일정크기의 PC블럭을 형성하고 상기의 PC블럭을 축조재료로 사용하여 하기의 단계에서 PC블럭의 적층으로 콘크리트존(20)의 경사면을 계단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 도 2c와 도 2d에서와 같이,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여 일정 높이의 레이어(L1)(L2)(L3)...를 연속하여 축조하여 소요되는 댐체의 높이로 축조하도록 한다(e).
이때, 필존(10)은 상류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축조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존(20)은 하류측으로 계단상의 사면으로 일정경사를 갖도록 축조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2e에서와 같이, 필존(10) 및 트랜지션존(30)의 상단부에는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로 월류캡(40)을 형성하도록 한다(f).
소규모 댐일수록 자유월류의 힘이 강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월류캡(40)은 필존(10) 및 트랜지션존(30)의 상단부에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로 형성하여, 상류측에서 콘크리트존(20)의 하류측으로 월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월류캡(40)은 필존(10) 및 트랜지션존(30)의 상단부를 덮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리 제작된 PC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은 상류부는 모래, 자갈, 암석, 토사 등의 재료로 축조한 필존과, 하류부는 콘크리트 재료로 축조한 콘크리트존으로 형성하여 2개의 다른 형식의 댐을 결합시켜 하나의 댐으로 구성하고 일체화하도록 하면서도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존과 콘크리트존의 사이에 응력을 완화할 수 있는 트랜지션존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존의 경사면을 계단형 사면으로 형성하여 월류를 허용하여 댐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강우에도 대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복합댐
10 : 필존
20 : 콘크리트존
30 : 트랜지션존
31 : 차수재
40 : 월류캡
5 : 운송 트럭
51 : 컨베이어
6 : 진동롤러

Claims (9)

  1. 상류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축조되어 댐의 상류부를 이루는 필존(10)과;
    슬럼프 값이 제로인 빈배합 콘크리트 또는 댐 현장 발생의 토질재료를 배합한 시멘트 혼합 하드필 콘크리트를 축조재료로 사용하여, 하류측으로 계단상의 사면이 일정경사를 갖도록 축조되어 댐의 하류부를 이루는 콘크리트존(20)과;
    필존(10)과 콘크리트존(20) 사이에 댐 현장 발생의 토질재료를 배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축조되어 필존(10)과 콘크리트존(20) 사이의 급격한 강성 변화로 인한 응력을 완화시키고, 내부에 차수재(31)가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트랜지션존(30)과;
    필존 및 트랜지션존의 상단부에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존(20)으로 월류가 가능하도록 하는 월류캡(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랜지션존(30)의 차수재(31)는 아스팔트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랜지션존(30)의 차수재(31)는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랜지션존(30)의 차수재(31)는 토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랜지션존(30)의 차수재(31)는 지오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
  8. (a) 댐이 축조될 지반을 견고하게 다져서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
    (b) 상류측 일정 면적에 대하여 천연재료인 필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일정 높이의 필존(10)을 축조하여 댐의 상류부를 형성하는 단계;
    (c) 필존(10)의 상부에서 운송 트럭(5)과 컨베이어(51)를 이용하여 댐 현장 발생의 토질재료를 배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구성된 축조재료를 이송하여, 일정 높이로 축조된 필존(10)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인접하여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차수재(31)가 구성되도록 포설하고 다짐하여 일정 높이의 트랜지션존(30)을 형성하는 단계;
    (d) 필존(10)의 상부에서 운송 트럭(5)과 컨베이어(51)를 이용하여 슬럼프 값이 제로인 빈배합 콘크리트 또는 댐 현장 발생의 토질재료를 배합한 시멘트 혼합 하드필 콘크리트로 구성된 축조재료를 이송하여, 일정 높이로 축조된 트랜지션존(30)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인접하여 일정 높이의 콘크리트존(20)을 축조하여 댐의 하류부를 형성하는 단계;
    (e) 필존(10)은 상류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고, 콘크리트존(20)은 하류측으로 계단상의 사면으로 일정경사를 갖도록 (b) 내지 (d) 단계를 반복하여 소요되는 댐체의 높이로 축조하는 단계; 및
    (f) 필존(10) 및 트랜지션존(30)의 상단부에 일정두께의 콘크리트로 콘크리트존(20)으로 월류가 가능하도록 하는 월류캡(4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d) 단계의 콘크리트존(20)은 일정 크기의 PC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댐의 시공방법.
KR1020150165813A 2015-11-25 2015-11-25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KR101739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813A KR101739657B1 (ko) 2015-11-25 2015-11-25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813A KR101739657B1 (ko) 2015-11-25 2015-11-25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657B1 true KR101739657B1 (ko) 2017-05-26

Family

ID=5905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813A KR101739657B1 (ko) 2015-11-25 2015-11-25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6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8830A (zh) * 2017-12-07 2018-05-11 四川大学 一种重力式胶凝砂砾石坝及其施工方法
CN111962475A (zh) * 2020-08-25 2020-11-20 山东黄河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大坝上游面防渗结构
KR20220091026A (ko) * 2020-12-23 2022-06-30 한국수자원공사 하드필 재료에 시멘트 그라우트액을 혼합하여 보호·차수 콘크리트, 보호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댐
KR20240058611A (ko) 2022-10-26 2024-05-03 강창구 강(鋼)말뚝을 이용한 차수용 환형식가물막이공법에서의 말뚝 배설 및 수직도오차에 대한 보정시공장치
KR20240079707A (ko) 2022-11-29 2024-06-05 강창구 차수수단을 구비한 환형시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3944B2 (ja) * 1995-07-27 2003-03-10 飛島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ダム堤体、その築造法、同堤体のための上流側および下流側外層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7239209A (ja) * 2006-03-06 2007-09-20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土質貯水構造物の施工方法
CN102660936A (zh) * 2012-05-29 2012-09-12 中国水利水电第十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聚氯乙烯膜进行坝墙防渗的方法
CN103243685A (zh) * 2013-05-16 2013-08-14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适于生态水域景观的滚水坝建筑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3944B2 (ja) * 1995-07-27 2003-03-10 飛島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ダム堤体、その築造法、同堤体のための上流側および下流側外層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7239209A (ja) * 2006-03-06 2007-09-20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土質貯水構造物の施工方法
CN102660936A (zh) * 2012-05-29 2012-09-12 中国水利水电第十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聚氯乙烯膜进行坝墙防渗的方法
CN103243685A (zh) * 2013-05-16 2013-08-14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适于生态水域景观的滚水坝建筑结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8830A (zh) * 2017-12-07 2018-05-11 四川大学 一种重力式胶凝砂砾石坝及其施工方法
CN111962475A (zh) * 2020-08-25 2020-11-20 山东黄河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大坝上游面防渗结构
KR20220091026A (ko) * 2020-12-23 2022-06-30 한국수자원공사 하드필 재료에 시멘트 그라우트액을 혼합하여 보호·차수 콘크리트, 보호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댐
KR102517825B1 (ko) * 2020-12-23 2023-04-05 한국수자원공사 하드필 재료에 시멘트 그라우트액을 혼합하여 보호·차수 콘크리트, 보호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댐
KR20240058611A (ko) 2022-10-26 2024-05-03 강창구 강(鋼)말뚝을 이용한 차수용 환형식가물막이공법에서의 말뚝 배설 및 수직도오차에 대한 보정시공장치
KR20240079707A (ko) 2022-11-29 2024-06-05 강창구 차수수단을 구비한 환형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657B1 (ko) 복합댐 및 그 시공방법
CN106522037B (zh) 基于既有铁路路基的帮宽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CN103510441B (zh) 防止寒区公路水损破坏的立体排水路基结构及施工方法
CN101718086B (zh) 一种混凝土-堆石混合坝及其施工方法
KR100243395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폐기물매립장 구조물 및 그 구축방법
CN203383119U (zh) 一种新型公路路堤拓宽结构
CN104278608A (zh) 一种新型公路路堤拓宽结构及施工方法
CN110578290B (zh) 一种桥头台背回填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702916A (zh) U形装配式钢筋混凝土盖板涵洞及其施工方法
CN203393530U (zh) 一种抗浮轻质高路堤结构
CN203808088U (zh) 一种水电站渣场顶部石笼护沟结构
CN104060631A (zh) 一种道路井盖口高程动态控制结构及施工方法
CN101100862A (zh) 一种路堑式挡土墙的制作方法及其结构
CN103835203A (zh) 一种深厚软基后顶升轻质路堤结构及施工方法
CN105926391B (zh) 一种既有铁路路基的路肩加宽方法
US20170016200A1 (en) Method for Improving an Inwards Stability of a Levee
CN104594297B (zh) 一种双层面板堆石坝及其施工方法
CN110042870B (zh) 一种抗变形防沉降的道路宽边井圈结构及其实施方法
CN107447731B (zh) 一种混合坝及其施工方法
CN219621703U (zh) 一种水利河道护坡结构
CN111676951A (zh) 浅软土层抛石挤淤结合砂袋井处理施工方法
CN209603112U (zh) 一种浅埋溶洞处理结构
KR100790712B1 (ko) 투수콘크리트 말뚝공법
WO2016038688A1 (ja) 車両通過用盛土の構築、補強、拡幅、嵩上げの構造および方法
KR20140114711A (ko) 경량혼합토를 이용한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방법 및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성토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