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205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205B1
KR100408205B1 KR10-2001-0056189A KR20010056189A KR100408205B1 KR 100408205 B1 KR100408205 B1 KR 100408205B1 KR 20010056189 A KR20010056189 A KR 20010056189A KR 100408205 B1 KR100408205 B1 KR 10040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coming
hands
termina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167A (ko
Inventor
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2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드 전환부를 구비하여 핸즈프리 키트의 착/탈을 감지하는 감지부에서 발신되는 핸즈프리 착/탈 신호에 따라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장착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정보를 검출하는 착신모드 검출단계와; 검출된 착신모드의 벨 모드 여부를 판별하는 벨 모드 판별단계와; 판별결과 벨 모드이면 종료하고, 벨 모드가 아니면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전환단계와; 착신모드 전환된 단말기의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탈거신호가 전송되면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이전의 착신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복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핸즈프리 키트 사용을 위해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일일이 전환해야하는 불편함을 덜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Device of auto-conversion for destination mode i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controling a destination mod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드 전환부를 구비하여 핸즈프리 키트의 착/탈을 감지하는 감지부에서 발신되는 핸즈프리 착/탈 신호에 따라 모드 전환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 상황에 따라 전환할 수 있도록 벨(소리),진동, 진동 후 벨, 램프(무음) 등의 착신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착신 모드 가운데 진동모드의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의 키 패드에 매너모드 전환버튼으로 설정되어 사용자는 단말기의 키 패드에서 매너모드 전환버튼을 선택하거나, 단말기의 착신 모드 메뉴에서 벨, 진동, 진동 후 벨, 램프 등을 선택하여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설정한다.
근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가 급증하였고,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들이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를 하는 경우가 많아져 단말기에서의 통화 신호 착신 시 벨 소리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이 문제시되어 진동모드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장소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 가운데 운전 중에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경우가 많아 운전 중의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되면서 운전 중의 단말기 사용에 대한 제재가 강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자동차 운전시 단말기 사용을 위해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를 구비하게 되어 핸즈프리 키트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핸즈프리 키트는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와 마이크로 구성되는 것으로, 단말기의 리셉터클부에 핸즈프리 키트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연결하거나 단말기의 이어 잭(Ear-Jack) 연결부에 핸즈프리 키트의 이어 잭(Ear-Jack)을 연결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자동차 운전 중과 같은 경우에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핸즈프리 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부분의 단말기 사용자는 승차 후 바로 단말기를 핸즈프리 키트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단말기의 벨 모드가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갑작스런 진동으로 당황하게 되거나 통화신호 수신을 인식하지 못해 통화신호에 응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선 단말기 사용자가 일일이 핸즈프리 키트에 단말기를 장착할 때마다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확인하고 벨 모드로 전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장착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판별하여 벨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자동전환하고,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탈착신호가 전송되면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이전의 착신모드로 복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핸즈프리 키트의 착/탈 상태를 검출하여 핸즈프리 착/탈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핸즈프리 착/탈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판별하여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착신 전환하는 착신모드 전환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모드 판별 데이터인 착신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은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장착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정보를 검출하는 착신모드 검출단계와; 검출된 착신모드의 벨 모드 여부를 판별하는 벨 모드 판별단계와; 판별결과 벨 모드이면 종료하고, 벨 모드가 아니면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전환단계와; 착신모드 전환된 단말기의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탈거신호가 전송되면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이전의 착신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복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모드 자동전환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부 20 : 제어부
30 : 착신모드 전환부 40 : 메모리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핸즈프리 키트의 착/탈 상태를 검출하여 핸즈프리 착/탈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10)와, 상기 감지부(10)로부터 전송되는 핸즈프리 착/탈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판별하여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착신 전환하는 착신모드 전환부(30)와, 상기 제어부(20)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모드 판별 데이터인 착신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부(10)는 단말기의 리셉터클부에 핸즈프리 키트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거나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연결부에 핸즈프리 키트의 이어 잭(Ear-Jack)이 삽입되면 이를 토대로 핸즈 프리 키트의 착/탈 상태를 감지하도록 한 것으로,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단말기의 리셉터클부 간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I/O port)에서 발생되는 신호 또는 장착된 이어 잭을 통해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연결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통해 감지된 핸즈프리 착/탈 신호 즉, 핸즈프리 장착 및 탈거 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핸즈프리 장착 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착신모드가 벨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검출된 착신모드를 메모리부(40)에 저장한 후에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착신모드 전환부(30)로 출력하고, 감지부(10)로부터 핸즈프리 탈착신호가 전송되면 검출된 이전의 착신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착신모드 전환부(30)로 출력한다.
착신모드 전환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벨, 진동, 진동 후 벨, 램프 모드로 착신모드를 전환한다.
이와 같은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은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에 감지부(10)로부터 핸즈프리 장착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정보를 검출하는 착신모드 검출단계와; 검출된 착신모드의 벨 모드 여부를 판별하는 벨 모드 판별단계와; 판별결과 벨 모드이면 종료하고, 벨 모드가 아니면 착신모드 전환부(30)를 통해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전환단계와; 착신모드 전환된 단말기의 감지부(10)로부터 핸즈프리 탈거신호가 전송되면 착신모드 전환부(30)를 통해 이전의 착신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복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착신모드 전환단계는 착신모드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착신모드 정보를 메모리부(40)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에서 감지부(10)로부터 전송되는 핸즈프리 장착신호를 통해 핸즈프리 키트의 장착여부를 판별하는 제 1단계(S1)와, 판별결과 핸즈프리 키트가 장착되면 단말기의 현재 착신모드 정보를 검출하고 핸즈프리 키트가 장착되지 않으면 이전의 핸즈프리 키트 장착여부 판별단계로 리턴하는 제 2단계(S2)와, 검출된 착신모드 정보를 통해 현재의 착신모드가 벨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3단계(S3)와, 판별결과 현재의 착신모드가 벨 모드이면 종료하고 현재의 착신모드가 벨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검출된 착신모드 정보를 메모리부(40)에 저장하는 제 4단계(S4)와, 검출된 착신모드를 저장한 후에 착신모드 전환부(30)를 통해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는 제 5단계(S5)와, 벨 모드로 전환된 단말기의 제어부(20)에서 감지부(10)로부터 전송되는 핸즈프리 탈거 신호를 통해 핸즈프리 키트의 탈거 여부를 판별하는 제 6단계(S6)와, 판별결과 핸즈프리 키트가 탈거되면 저장된 착신모드 정보를 검출하여 착신모드 전환부(40)를 통해 이전의 착신모드로 복구한 후 종료하고 핸즈프리 키트가 탈거되지 않으면 이전의 핸즈프리 키트 탈거여부 판별루틴으로 리턴하는 제 7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회의에 참석해야 해서 단말기의 벨 모드를 진동모드로 설정한 후에 회의가 끝나고 출장을 가게 되었다면, 단말기 사용자는 외부 출장을 위해 자동차에 탑승한 후에 자신의 단말기를 자동차의 핸즈프리 키트에 연결하여 장착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 키트에 장착되면 단말기의 감지부(10)에서 리셉터클부에 연결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해 핸즈프리 키트에 신호를 전송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입출력 포트(I/O port)를 통해 핸즈프리의 장착을 감지하고 제어부(20)로 핸즈프리 장착신호를 발신한다.
발신되는 핸즈프리 장착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의 제어부(20)는 현재 착신모드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현재의 착신모드가 벨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결과 검출된 착신모드가 벨 모드인 경우에는 종료되고, 판별결과 검출된 착신모드가 벨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검출된 착신모드 정보를 단말기의 메모리부(40)에 저장한다.
현재의 단말기 사용자는 이전에 회의로 인해 착신모드를 진동모드로 설정하였으므로 진동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메모리부(4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의 제어부(20)는 현재의 착신모드 정보를 메모리부(40)에 저장한 후에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착신모드 전환부(30)로 전송하고, 착신모드 전환부(30)는 전송된 착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핸즈프리 장착 후 단말기 사용자는 벨 모드를 통해 착신되는 통화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착신모드가 벨 모드로 전환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핸즈프리 키트로부터 단말기를 탈거시키면 단말기의 감지부(10)에서 핸즈프리 키트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단말기의 리셉터클부에서 탈거되는 것을 감지하여 핸즈프리 탈거 신호를 제어부(30)로 발신한다.
발신되는 핸즈프리 탈거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제어부(20)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된 단말기의 이전 착신모드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되는 착신모드인 진동모드로의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착신모드 전환부(30)로 발신한다.
착신모드 전환부(30)는 전송된 착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이전의 착신모드인 진동모드로 전환하여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복구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단말기 사용자가 이어 잭(Ear-Jack)으로 연결되는 핸즈프리 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어 잭을 통한 핸즈프리 키트의 착/탈에 따라 감지부(10)에서 핸즈프리 착/탈 신호가 발신되어,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핸즈프리 키트 장착동안 벨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핸즈프리 키트의 장착이 인식된 후에 통화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제어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단말기의 제어부(20)는 감지부(10)를 통해 전송되는 핸즈프리 장착신호로 핸즈프리 키트의 장착 여부를 판별하여, 핸즈프리 키트가 장착되면 통화신호 수신시에 단말기의 착신모드 정보를 검출한다.
검출된 착신모드 정보를 통해 벨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벨 모드인 경우에는종료하고 벨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검출된 착신모드 정보를 메모리부(40)에 저장한 후에 벨 모드로 착신모드가 전환되도록 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착신모드 전환부(30)로 발신한다.
발신된 착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착신모드 전환부(30)는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벨 모드로 전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핸즈프리 탈거신호가 전송되면,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착신모드 정보를 통해 이전의 착신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착신모드 전환부(30)로 발신한다.
발신된 착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착신모드 전환부(30)는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이전의 착신 모드로 복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감지되는 핸즈프리 착/탈신호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장착 시에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고 탈거 시에는 복구하여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핸즈프리 사용을 위해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일일이 전환해야하는 불편함을 덜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핸즈프리 키트의 착/탈 상태를 검출하여 핸즈프리 착/탈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핸즈프리 착/탈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판별하여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착신 전환하는 착신모드 전환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모드 판별 데이터인 착신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리셉터클부에 핸즈프리 키트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삽입되거나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연결부에 핸즈프리 키트의 이어 잭(Ear-Jack)이 삽입되면 이에 따라 핸즈 프리 키트의 착/탈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핸즈프리 착/탈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장착 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착신모드가 벨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검출된 착신모드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에 단말기의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착신모드 전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탈거신호가 전송되면 검출된 이전의 착신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착신모드 전환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모드 전환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착신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벨, 진동, 진동 후 벨, 램프 모드 등으로 착신모드를 전환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5.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장착신호가 전송되면 단말기의 착신 모드 정보를 검출하는 착신모드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착신모드의 벨 모드 여부를 판별하는 벨 모드 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벨 모드이면 종료하고, 벨 모드가 아니면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착신모드를 벨 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전환단계와;
    상기 착신모드 전환된 단말기의 감지부로부터 핸즈프리 탈거신호가 전송되면 착신모드 전환부를 통해 이전의 착신모드로 전환하는 착신모드 복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모드 전환단계는 착신모드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착신모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를 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KR10-2001-0056189A 2001-09-12 2001-09-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KR10040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189A KR100408205B1 (ko) 2001-09-12 2001-09-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189A KR100408205B1 (ko) 2001-09-12 2001-09-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167A KR20030023167A (ko) 2003-03-19
KR100408205B1 true KR100408205B1 (ko) 2003-12-01

Family

ID=2772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189A KR100408205B1 (ko) 2001-09-12 2001-09-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2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167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2929A1 (en) Portable Telephone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JP2004140731A (ja) 車載用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1004082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이를이용한 착신모드 제어방법
KR100483272B1 (ko) 텔레메틱스 장치의 내부 단말기와 외부 휴대폰간 전환장치및 그 방법
JP4161908B2 (ja) 携帯電話、ハンズフリー装置、および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JP2007143119A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KR100440925B1 (ko) 텔레메틱스 장치의 내부 단말기와 외부 휴대폰간 통화음전환장치
KR2006011209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
JP3354455B2 (ja) 移動速度検出機能付携帯電話機制御方法
KR200202271Y1 (ko)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100306487B1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JPH10313484A (ja) ハンズフリー装置の制御方法
JPH0661935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KR100538880B1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핸즈프리 방법
JP2962261B2 (ja) 携帯電話機
JPH0583338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61779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40923B1 (ko) 텔레메틱스 장치의 외부 휴대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40503B1 (ko) 휴대형 단말기의 착신 알람 모드의 전환 방법
KR100589193B1 (ko) 핸즈프리 장치의 통화전환 시스템
JPH11168553A (ja) 携帯電話機
JP2004147266A (ja) 電話機用ブルートゥースアダプタ
JP2004180087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1006840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