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01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016B1
KR100684016B1 KR1020000078963A KR20000078963A KR100684016B1 KR 100684016 B1 KR100684016 B1 KR 100684016B1 KR 1020000078963 A KR1020000078963 A KR 1020000078963A KR 20000078963 A KR20000078963 A KR 20000078963A KR 100684016 B1 KR100684016 B1 KR 100684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nouncement
cal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714A (ko
Inventor
최인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0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데 있어서, 상대편에게 통화모드를 안내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가 현재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으로 통화를 하는지 통화모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통화모드를 발신자에게 안내멘트로 송출하여 알려주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통화개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검색된 통화모드로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멘트 송출후 발신자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할 때까지 계속 연속하여 안내멘트를 송출하거나, 상기 발신자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후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것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때, 발신자/수신자의 통화상태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으로 하는지 여부를 상대방에게 미리 알려줌으로써 제 3자가 상기 통화내용을 들을 수 있음을 상대방에게 알려서, 상기 전화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상대방이 함부로 이야기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신자/발신자의 개인 사생활 보호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Method of Guiding Telephone Mode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적용한 수신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적용한 발신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의 명칭>
10 : 신호송수신부 20 : 중앙처리장치
30 : 메모리 40 : 주변회로
50 : 스피커 60 : 핸즈프리 킷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통화에 있어서, 수신자/발신자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 있다는 것을 상대방에게 알려줌으로 써, 수신자/발신자의 사생활보호를 도울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특별히 상대편의 통화모드를 안내하는 방법이 없었다.
이제까지,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핸즈프리나 스피커폰을 사용하여 통화하는 경우에, 수신자/발신자가 상대방에게 직접 현재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면, 상대방은 수신자/발신자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으로 통화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없었다.
즉, 상기 상대방은 자신이 하는 말을 다른 사람도 들을 수 있다는 것을 모른 채 통화를 하는 것이므로, 함부로 수신자/발신자의 사생활을 말할 수 있어 수신자/발신자의 사생활 침해가 우려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통화를 할 때, 수신/발신측의 전화상태가 핸즈프리인지, 스피커폰인지를 검색하여 상대방에게 알려줌으로써 상대방이 제 3자가 들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통화를 하게 하여, 수신/발신측의 사생활 보호를 도울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가 현재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으로 통화를 하는지 통화모드를 검색하여, 검색된 통화모드를 발신자에게 안내멘트로 송출하여 알려주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통화개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검색된 통화모드로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멘트 송출후 발신자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할 때까지 계속 연속하여 안내멘트를 송출하거나, 상기 발신자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후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것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화모드를 알리는 안내멘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녹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동통신 전화를 발신할 때에는, 전화를 발신하고, 수신측의 응답신호가 검출되면, 통화모드에 대한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 통화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적용한 수신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적용한 발신시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처리를 담당을 하는 신호송수신부(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 기능의 모든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1), 수행할 소프트웨어 및 음성멘트, 사용자 설정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2),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의 구동을 인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에 필요한 각종 주변회로(13), 스피커폰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14), 핸즈프리 킷(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수신/발신에 따른 신호를 신호송수신부(10)에서 내보내게 되면, 주변회로(13)에서 현재의 스피커폰(14)과 핸즈프리 킷(15)의 구동여부를 검색하여, 현재 스피커폰(14) 또는 핸즈프리 킷(15)가 구동되고 있다면, 메모리(12)에 단말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녹음되어 있는 안내멘트 또는 기본적인 안내멘트를 송출하게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을 적용한 수신시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대기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수신되면(S201), 상기 전화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을 사용하는지 검색한다(S202).
상기 검색결과,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을 사용한다면, 상대편 발신자에게 상기 수신자의 단말기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상태로 되어 있음을 안내멘트를 송출하여 알린다(S203). 상기 안내멘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2)에 사용자가 설정하여 기본적인 안내멘트를 송출하거나, 직접 음성으로 녹음하여 송출한다.
상기 안내멘트 송출후에,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발신측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하고(S204), 상기 통화 개시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반복적으로 안내멘트를 송 출하고(S203), 통화 개시신호가 검출되면 통화를 하게된다(S205).
상기 안내멘트 송출 시기에 관하여는 안내멘트 송출후 발신측 단말기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통화를 하거나, 발신측 단말기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안내멘트를 송출 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발신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발신자가 전화를 발신하고(S301), 상대편 수신측에서 수신했음을 검출하면(S302),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통화모드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인지를 검색한다(S303).
상기 검색결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으로 통화중이라면, 상기 수신자에게 안내멘트를 송출하여 알리고(S304), 통화를 하게 된다 (S305). 상기 안내멘트는 발신자가 단말기의 기본 안내멘트 또는 음성 녹음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에서 수신자/발신자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으로 통화를 하면 수신자나 발신자가 아닌 제 3자가 통화내용을 들을 수 있었으나, 이제까지는 상기 수신자/발신자의 상대편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으로 통화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어 상대편이 전화 통화중에 함부로 이야기하여 상기 수신자/발신자의 사생활이 제 3자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었 다.
따라서, 전화통화시 발신자/수신자의 통화모드가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인지를 검색하여 상대편에게 알려줌으로써 전화 통화시에 노출되는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측이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의 제어부 및 회로부는 핸즈프리 또는 스피커폰의 구동여부를 확인하여 통화모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통화모드를 발신측에게 안내멘트로 송출하여 알려주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의 통화개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검색된 통화모드로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멘트 송출후 발신측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할 때까지 계속 연속하여 안내멘트를 송출하거나, 상기 발신측의 통화 개시신호를 검출후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것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3.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모드를 알리는 안내멘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4.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전화를 발신할 때에는, 전화를 발신하고, 수신측의 응답신호가 검출되면, 통화모드에 대한 안내멘트를 송출한 후 통화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5. 발신측과 수신측간에 호(Call)가 설정되는 단계;
    제어부 및 회로부는 상기 발신측 및/또는 수신측의 통화 모드를 확인하여 수신측 및/또는 발신측에 알려주는 단계; 및
    상기 통지된 통화모드에 의거 통화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 방법.
KR1020000078963A 2000-12-20 2000-12-20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KR100684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963A KR100684016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963A KR100684016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714A KR20020049714A (ko) 2002-06-26
KR100684016B1 true KR100684016B1 (ko) 2007-02-20

Family

ID=2768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963A KR100684016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0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60A (ko) * 1998-12-15 2000-07-05 김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자 알림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60A (ko) * 1998-12-15 2000-07-05 김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자 알림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0003976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714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89916B2 (ja) おやすみモード付き携帯電話端末および方法
KR1006840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 안내방법
EP1044550A1 (en) Mobile telephone with silent answer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265427B1 (ko) 자동수신 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셀룰러 휴대용전화기의 자동응답방법
KR100406252B1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JP3286523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30031714A (ko) 통신단말기의 통화연결 알림 장치 및 방법
JPH0583338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211440Y1 (ko)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절환장치
KR100320303B1 (ko) 셀룰라폰의발신자메세지저장방법
KR200240708Y1 (ko) 음성전송 단축다이얼 장치
JP2704153B2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発呼接続方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100268671B1 (ko) 자동응답기에저장된전화번호에대한자동다이얼링가능한자동응답전화기
JP2004048441A (ja) 携帯端末、着信制御方法および着信制御システム
JP2002152332A (ja) 通話方法および通話装置ならびに通話システム
KR20000001055A (ko)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의 대기 안내 메시지 송출방법
JPH04123560A (ja) 自動車用電話端末装置
JP2005168037A (ja) 携帯端末および着信制御方法
JPS62241457A (ja) 電話機のダイヤル方式
JPS61127258A (ja) 発着信接続制御方式
KR20020079254A (ko) 긴급 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 긴급메시지 수신 방법
KR20040001318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휴대폰의 원격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