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271Y1 -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 Google Patents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271Y1
KR200202271Y1 KR2020000017126U KR20000017126U KR200202271Y1 KR 200202271 Y1 KR200202271 Y1 KR 200202271Y1 KR 2020000017126 U KR2020000017126 U KR 2020000017126U KR 20000017126 U KR20000017126 U KR 20000017126U KR 200202271 Y1 KR200202271 Y1 KR 200202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button
emergency
earphone
mobile ph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김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섭 filed Critical 김선섭
Priority to KR2020000017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설치된 통화버튼 이외에 사용자가 등록한 긴급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할 수 있는 긴급통화버튼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긴급전화번호를 기억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긴급상황을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긴급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긴급통화버튼을 통해 긴급전화번호의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으므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Earphone for portable telephone having emergency call button}
본 고안은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설치된 통화버튼 이외에 사용자가 등록한 긴급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할 수 있는 긴급통화버튼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긴급전화번호를 기억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긴급상황을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이어폰(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버튼(101)이 장착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의 통화버튼(SEND 버튼)을 직접 키-인하지 않더라도 이어폰(100)에 설치된 통화버튼(101)을 누름에 따라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이어폰에 설치된 통화버튼은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긴급한 전화번호로 긴급통화를 시도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휴대전화기를 통하여 직접 다이얼링하거나 혹은 기억된 저장번지를 찾아 이를 키-인함으로써 다이얼링하여야 하므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 효율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긴급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한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의 개략적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전화기의 개략적 내부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0: 이어폰 201: 이어폰용 스피커
202: 이어폰용 마이크 203: 통화버튼
204: 긴급통화버튼 205: 이어폰용 플러그
300: 휴대전화기 301: 이어폰 잭
302: 중앙처리장치 303: 메모리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최근 전화번호 및 긴급전화번호가 등록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최근 전화번호 및 긴급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와; 휴대전화기에 장착되어 휴대전화기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이어폰용 스피커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어폰용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휴대전화기로 전달하며,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는 통화버튼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있어서: 통화버튼으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키-인함에 따라 통화버튼을 눌렀을 때와 상이한 다른 제어신호가 휴대전화기내의 중앙처리장치로 출력되어 메모리에 기 등록된 긴급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도록 한 긴급통화버튼을 더 포함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긴급통화버튼은, 사용자가 촉감만으로 통화버튼과 구별할 수 있도록 긴급통화버튼의 구조 또는 형상이 통화버튼과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의 개략적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전화기의 개략적 내부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휴대전화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어폰용 스피커(201)와, 이어폰용 스피커(201)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사용자로부터 발생한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휴대전화기(300)로 제공하는 이어폰용 마이크(202)와, 이어폰용 마이크(202)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설치되어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얼링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온 경우 통화로를 개방하는 통화버튼(203)과, 통화버튼(203)으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설치되어 기 등록된 긴급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는 긴급통화버튼(204) 및 이어폰용 스피커(201)로부터 반대되는 종단에 설치되고 휴대전화기(300)의 이어폰잭(301)에 결합되어 이어폰(200)과 휴대전화기(300) 사이에서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이어폰용 플러그(205)로 구성된다.
이때, 긴급통화버튼(204)과 통화버튼(203)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지 않더라도 촉감에 의해 구분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이나 구조를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휴대전화기(3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302)는 이어폰 잭(301)을 통해 수신된 긴급통화모드 및 통화모드를 구분하여 메모리(303)에 저장된 긴급전화번호 및 최근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고, 통화회로(304)를 통하여 검출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메모리(303)는 중앙처리장치(302)가 운용할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특히, 최근 전화번호, 긴급전화번호 및 사용자가 저장할 저장 전화번호 등이 저장된다.
통화회로(304)는 중앙처리장치(302)의 제어에 따라 통화기능을 수행한다.
음성신호 처리부(305)는 내장 마이크(306) 또는 이어폰용 마이크(202)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통화회로(304)로 전송하거나 혹은 통화회로(304)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증폭부(307) 혹은 이어폰용 스피커(201)로 전달한다.
증폭부(307)는 음성신호 처리부(305)를 통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소정레벨로 증폭한 후 내장 스피커(308)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전화기(300)를 이용하여 통화기능을 수행하면, 해당 전화번호는 최근 통화목록에 등록되어 메모리(303)에 저장된다. 또한, 이어폰용 플러그(205)와 이어폰 잭(301)에는 음성신호를 입/출력하는 음성단자와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제어단자 및 그라운드단자의 3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통화버튼(203)을 눌렀을 때 중앙처리장치(302)에서 인식하는 제어신호와 사용자가 긴급통화버튼(204)을 눌렀을 때 중앙처리장치(302)에서 인식하는 제어신호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이어폰(200)에 설치된 통화버튼(203)을 누르면, 이 신호는 이어폰용 플러그(205)와 이어폰 잭(301)의 제어단자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302)로 전송되며, 중앙처리장치(302)는 이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303)에 저장된 최근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해당 번호를 다이얼링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근의 전화번호를 다시 입력하지 않더라도 최근의 전화번호로 통화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긴급 통화버튼(204)을 누르면, 이 신호는 이어폰용 플러그(205)와 이어폰 잭(301)의 제어단자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302)로 전송되며, 중앙처리장치(302)는 이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303)에 기 등록된 긴급전화번호를 검출하여 해당 번호를 다이얼링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긴급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기 등록된 긴급전화번호로 통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고안에 의한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에게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긴급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긴급통화버튼을 통해 긴급전화번호의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으므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Claims (2)

  1. 최근 전화번호 및 긴급전화번호가 등록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최근 전화번호 및 상기 긴급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와; 상기 휴대전화기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전화기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이어폰용 스피커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어폰용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휴대전화기로 전달하며,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는 통화버튼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통화버튼으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키-인함에 따라 상기 통화버튼을 눌렀을 때와 상이한 다른 제어신호가 상기 휴대전화기내의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출력되어 상기 메모리에 기 등록된 상기 긴급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도록 한 긴급통화버튼을 더 포함하는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화버튼은,
    사용자가 촉감만으로 상기 통화버튼과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긴급통화버튼의 구조 또는 형상이 상기 통화버튼과 상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2020000017126U 2000-06-16 2000-06-16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200202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26U KR200202271Y1 (ko) 2000-06-16 2000-06-16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26U KR200202271Y1 (ko) 2000-06-16 2000-06-16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71Y1 true KR200202271Y1 (ko) 2000-11-15

Family

ID=1966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126U KR200202271Y1 (ko) 2000-06-16 2000-06-16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2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521A (ko) * 2001-08-01 2001-09-28 김진경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KR20010088525A (ko) * 2001-08-01 2001-09-28 김진경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및 핸즈프리와 한 조가된 운전대 부착 장치
KR100677359B1 (ko) * 2004-09-21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긴급통화 발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68804B1 (ko) * 2013-05-03 2014-12-03 중소기업은행 비상연락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521A (ko) * 2001-08-01 2001-09-28 김진경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KR20010088525A (ko) * 2001-08-01 2001-09-28 김진경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및 핸즈프리와 한 조가된 운전대 부착 장치
KR100677359B1 (ko) * 2004-09-21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긴급통화 발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68804B1 (ko) * 2013-05-03 2014-12-03 중소기업은행 비상연락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KR20000010415A (ko) 휴대전화기의휴대감지에따른통화서비스제공방법
JP5494327B2 (ja) 無線通信装置
KR200202271Y1 (ko)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GB2365266A (en) Fixed telephone structurally adapted for use of cellular phones
KR100288362B1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US20050238164A1 (en) Telephone apparatus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20030010213A (ko)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통신단말기에서 무선 헤드셋의볼륨 제어방법
KR100798372B1 (ko) 원격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321228B1 (ko) 다기능 이어폰
JP2534209Y2 (ja) 補聴器対応式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66813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KR1011533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헤드 셋을 이용한 전화를 거는방법
KR20050072986A (ko) 인터넷 전화 및 전화망을 이용한 전화의 송수신이가능케하는 중계장치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KR20010054089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통해 음성 다이얼을수행하기위한 방법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KR200270494Y1 (ko) 벨소리 증폭장치를 갖는 핸드폰용 핸즈프리
WO2001097492A1 (fr) Support de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KR200289970Y1 (ko) 유선 또는 무선이어폰 버튼에 의한 유선전화기훅크스위치 동작
JP2011087062A (ja) 親子電話機及び親子電話機の子機並びに電話機
KR200210158Y1 (ko) 휴대폰 수신음 자동 연결 장치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