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813B1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813B1
KR100266813B1 KR1019970068463A KR19970068463A KR100266813B1 KR 100266813 B1 KR100266813 B1 KR 100266813B1 KR 1019970068463 A KR1019970068463 A KR 1019970068463A KR 19970068463 A KR19970068463 A KR 19970068463A KR 100266813 B1 KR100266813 B1 KR 10026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button
input
flip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508A (ko
Inventor
김영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8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어폰과 마이크로폰 및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하며, 음성등록메모리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상기 음성등록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상기 음성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탐색결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등록 음성이 존재하면 그 등록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다이얼링 기능의 실시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이어폰장치의 버튼를 이용하여 음성다이얼링 기능이 실시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다이얼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음성다이얼링키의 입력(예: 'FCN'키 + '4'+ '2', 'CLR') 혹은 플립(flip)의 오픈(open)을 감지한 경우 음성다이얼링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음성다이얼링키는 사용자가 단말기(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특정 키를 입력하면 그때부터 단말기가 음성다이얼링모드로 전환하도록 미리 설정해둔 것이며, 공지의 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음성다이얼링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1단계에서 무선 전화기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플립의 오픈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플립의 오픈이 감지되면 12단계에서 음성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예: '이름을 말하세요')를 출력한 다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입력하고, 13단계에서 음성등록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액세스하여 상기 음성에 대한 탐색을 실시한다. 상기 음성등록메모리에는 사용자가 음성다이얼링을 위해 미리 자신의 음성으로 등록해둔 몇 가지 이름(예: 홍길동, 금보라) 및 그 각 이름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14단계에서 상기 탐색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등록 음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등록 음성이 존재하면 15단계에서 그 등록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자동으로 다이얼링한다.
그런데 휴대용 무선전화기와 접속 가능한 외부 이어폰장치는 이어폰과 마이크로폰 및 버튼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굳이 가방속에 넣어 두었거나 허리에 차고 있거나 호주머니에 넣어둔 단말기를 끄집어내서 들고 플립을 열거나 음성다이얼링키를 누르는 수고 없이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버튼이 발신키(SEND) 및 종료키(END) 등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가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음성다이얼링 기능을 수행시키고자 할 때에는 그렇지 않다. 다시 말해서, 현재로서는 음성다이얼링 기능을 수행시키기는 경우에 한해서는 반드시 단말기의 음성다이얼링키를 직접 입력하거나 플립을 오픈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의 버튼을 이용하여 음성다이얼링 기능이 실시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어폰과 마이크로폰 및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하며, 음성등록메모리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상기 음성등록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상기 음성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탐색결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등록 음성이 존재하면 그 등록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음성다이얼링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유선 접속 혹은 분리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음성다이얼링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참조부호 100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이고, 180은 플립이며, 170은 잭(jack)이다. 참조부호 800은 외부 이어폰장치이고, 820은 외부 마이크로폰이며, 840은 외부 이어폰이고, 860은 외부 버튼이며, 870은 상기 잭 170에 꽂히는 외부 플러그(plug)이다.
도 3은 도 2의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유선 접속 혹은 분리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 110은 음성등록메모리 115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접속 혹은 분리에 따른 음성 통로(path)의 제어, 다이얼링, 음성인식 및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플립오픈감지부 120은 플립 180의 오픈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제어부 110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이어폰-마이크로폰 감지부 140은 상기 잭 170에 연결되어 외부 이어폰장치 800의 플러그 870이 상기 잭 170에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 110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버튼입력감지부 130은 잭 170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870이 상기 잭 170에 꽂힌 상태에서 외부 이어폰장치 800의 버튼 860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 110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증폭기 150과 160은 상기 잭 170에 접속되어 각각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 800의 외부 스피커폰 840으로 출력할, 상기 제어부 110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거나 외부 마이크로폰 82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 110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음성다이얼링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대기상태의 무선 전화기 제어부 110은 41단계에서 버튼입력감지부 130을 통해 외부 이어폰장치 800의 버튼 860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 800의 버튼 860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 42단계에서 플립오픈감지부 120을 통해 플립 180의 오픈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플립 180도 오픈되지 않은 경우에는 43단계에서 음성다이얼링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43단계에서 음성다이얼링키의 입력도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41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동작의 반복을 통해 대기상태에서 무선 전화기 제어부 110이 상기 버튼 860의 입력 혹은 상기 플립 180의 오픈 혹은 음성다이얼링키의 입력을 감지하면, 43단계에서 음성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다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입력한다. 그리고 44단계에서 음성등록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상기 음성에 대한 탐색을 실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등록메모리에는 사용자가 음성다이얼링을 위해 미리 자신의 음성으로 등록해둔 몇 가지 이름(예: 홍길동, 금보라) 및 그 각 이름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14단계에서 상기 탐색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등록 음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등록 음성이 존재하면 15단계에서 그 등록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자동으로 다이얼링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 이어폰장치의 버튼을 이용하여 음성다이얼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굳이 가방속에 넣어두었거나 허리에 차고 있거나 호주머니에 넣어둔 단말기를 끄집어내서 들고 플립을 열거나 음성다이얼링키를 누르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다.

Claims (4)

  1. 이어폰과 마이크로폰 및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하며, 음성등록메모리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상기 음성등록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상기 음성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탐색결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등록 음성이 존재하면 그 등록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이어폰과 마이크로폰과 버튼 및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잭과 음성등록메모리 및 상기 잭을 통해 상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상기 버튼의 입력이나 플립의 오픈을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버튼의 입력 혹은 상기 플립의 오픈을 감지하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상기 음성등록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상기 음성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탐색결과 상기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 등록 음성이 존재하면 그 등록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면 외부 이어폰장치의 이어폰으로 사용자에게 다이얼링 정보의 음성 입력을 요구하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제2-1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상기 버튼의 입력이나 플립의 오픈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키 입력 여부를 체크하고, 그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과정으로 진행하는 제1-1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68463A 1997-12-13 1997-12-13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KR100266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463A KR100266813B1 (ko) 1997-12-13 1997-12-13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463A KR100266813B1 (ko) 1997-12-13 1997-12-13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508A KR19990049508A (ko) 1999-07-05
KR100266813B1 true KR100266813B1 (ko) 2000-09-15

Family

ID=1952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463A KR100266813B1 (ko) 1997-12-13 1997-12-13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89A (ko) * 1999-12-03 2001-07-02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통해 음성 다이얼을수행하기위한 방법
KR20020052004A (ko) * 2000-12-23 2002-07-02 이대일 음성인식 전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234A (ko) * 1996-05-22 1997-12-12 김광호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234A (ko) * 1996-05-22 1997-12-12 김광호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50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873B1 (ko) 음성인식처리용 메모리를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
US6122369A (en) Communication process device and method therefor
SE9602012L (sv) Sätt att utföra flera funktioner genom utnyttjande av en samtalsknapp hos en mikrotelefon i en trådlös telefon
US6999586B2 (en) Mobile phone having a detachable keypad and the detachable keypad thereof
KR19990018665A (ko) 핸드셋과 핸즈프리킷 공용 음성인식기의 등록 엔트리 관리방법
KR100266813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KR100288362B1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JP2000201205A (ja) 携帯電話の誤動作防止方式及び誤動作防止回路
JP3014943B2 (ja) 電子システム手帳型携帯電話装置
KR200202271Y1 (ko)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10061785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20010055043A (ko) 음성합성을 이용한 버튼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93631B1 (ko) 이어폰-마이크로폰을 이용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안내 방법
KR100312229B1 (ko) 전화기의 이어 마이크 구동 장치 및 방법
JP2978916B1 (ja) 携帯電話端末
JP4009899B2 (ja) 携帯電話のダイヤル発呼方法及び携帯電話機
JP3028915B2 (ja) 電子システム手帳型携帯電話装置
KR20000034829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자동 안테나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229894Y1 (ko)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KR1004338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KR20010054089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통해 음성 다이얼을수행하기위한 방법
KR100258218B1 (ko) 플러그 접속장치 및 방법
KR100240444B1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자동저장 방법
KR100272219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온 훅 다이얼 방법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