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894Y1 -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 Google Patents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894Y1
KR200229894Y1 KR2020000022916U KR20000022916U KR200229894Y1 KR 200229894 Y1 KR200229894 Y1 KR 200229894Y1 KR 2020000022916 U KR2020000022916 U KR 2020000022916U KR 20000022916 U KR20000022916 U KR 20000022916U KR 200229894 Y1 KR200229894 Y1 KR 200229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telephone
button
circu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홍성도
Original Assignee
(주)신우전자
이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전자, 이동환 filed Critical (주)신우전자
Priority to KR2020000022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89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사용자가 특정한 번호에 접속하여 통화를 하면 특정한 번호의 사업자는 상기의 내용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공급해 주는 시스템이 있어서 전화 사용자가 먼저 특정한 번호에 접속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특정한 번호에만 접속을 한 후에 한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통화 시 다이얼링 전화번호를 메모리 할 수 있는 전화기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어도 다이얼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회로와 ; 접속버튼이 눌려 졌을 때 발진기를 동작하도록 하고 전화기 메모리의 특정한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송출하여 특정한 전화번호에 접속하도록 하는 다이얼제어회로부와 ; 사용자가 특정한 번호를 통하지 않고 직접 빠른 통화를 원하는 경우에 수화기를 들고 직접버튼을 누르면 발진기를 동작시켜 다이얼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다이얼제어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화기는 특정한 회사의 서버에 원터치로 접속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리를 도모하고 전화 사용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사업자의 이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본 고안은 유ㆍ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버튼을 구비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 사용 시에 접속버튼을 입력시키지 않으면 다이얼버튼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사업자의 시스템에 인위적으로 접속을 유도할 수 있는 전화기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현재 사용자가 특정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단지그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상당히 많은 수의 버튼을 입력해야 하고, 접속하여 사용인증을 받은 후에 다시 상대방의 전화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사용방법이 복잡하고, 버튼을 누르는 횟수가 많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화를 사용하면 전화비 절감과 차별 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상 복잡함과 버튼을 누르는 번거로움 때문에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상대방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사용자들은 사용자 시스템에 접속하는 특정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단축다이얼 기능으로 사용자 시스템에 접속하고 있으나, 이 경우도 사업자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질문 -- 예를 들면 비밀번호 입력, 각종 서비스 선택 등 -- 에 따라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
현대와 같이 통신수단의 발전과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전화기의 사용은 날로 증가하고, 그로 인해 일반가정의 통신비 지출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반면, 전화기의 기능은 고속화, 차별 화된 서비스에 대응하지 못하여, 사용자는 현재 저렴하면서도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차별 화된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시스템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한 후만 다이얼버튼의 작동이 가능하게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업자의 시스템에 인위적으로 접속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는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화기에 접속버튼을 구비하여, 상기의 접속버튼을 1회 입력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버튼을 구비한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긴급한 상황 발생 시에 접속버튼을 입력하지 않아도 다이얼버튼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이얼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에서 접속버튼에 저장된 번호는 전화 제조 시에 입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이얼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입력할 수도 있을 것으로, 이는 당업자가 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자세한 언급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전화기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얼제어회로의 블록도
도 4는 종래의 전화기로 특정한 전화번호에 접속하여 통화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화기로 통화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얼제어회로의 내부 흐름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화기는 종래의 전화기에 있어서,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버튼, 다이얼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제어회로 및 상기 다이얼 제어회로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다이얼 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추가적인 전기적인 회로로 구성된다. 종래의 전화기의 사용법은 다이얼 버튼(500)으로 숫자를 입력하면 전화기 내부회로의 여러 과정을 거쳐 국선을 통해 상대방에 접속되는데, 이때 다이얼 버튼의 작동은 다이얼회로(100)에 발진기(400)에서 지속적으로 주파수가 입력될 때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전화기는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발진기(400)가 다이얼 회로로 주파수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전화기는 종래의 전화기가 발진기가 다이얼 버튼의 작동을 통제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수화기를 들어도 발진기가 작동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속버튼(201) 혹은 다이얼 제어스위치(300)를 조작하여 신호를 인가했을 때, 상기의 발진기(400)가 다이얼 회로(100)에 주파수를 인가하여 다이얼 버튼(500)이 작동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본 고안의 전화기를 통하여 통화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접속버튼을 사용해야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자연적으로 사업자의 시스템으로 접속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전화기는 사용자가 접속버튼을 통해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두 가지 작업이 동시에 일어난다. 그중 하나의 작업은, 발진기를 통해 다이얼 회로에 주파수를 인가하여 다이얼 버튼(500)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또 다른 하나는 다이얼 회로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특정번호를 국선으로 송출하여 사업자 시스템에 즉시 접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화기의 사용자는 비록 의무적으로 접속버튼을 눌러야 하지만, 별다른 시간적 지연 없이 사업자의 시스템에 즉시 접속됨과 동시에 다이얼버튼이 작동되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차별화 된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본 고안의 전화기는 다이얼 제어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이얼 제어스위치는 부득이하게 접속버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해서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다이얼 제어스위치를 조작하면 발진기(400)가 다이얼 회로로 주파수를 인가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 버튼이 사용가능 하게 된다. 따라서 긴급상황 발생 시 혹은 상대방과 직접 전화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상기의 다이얼 제어 스위치를 사용하여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전화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화기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 전화기에 대해 도 1를 통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1은 기존의 전화기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는 벨의 울림을 제어하는 회로(Ring Control Circuit, 600)와 다이얼 회로(Dial circuit, 100) 및 상대방과의 대화를 통제하는 음성 관련 회로(Speech Circuit, 700)로 나누어진다. 전화를 통화하는 방식은 다이얼 버튼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과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전자의 경우는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다이얼 회로의 발진기(400)가 다이얼 회로에 주파수를 인가함으로써 다이얼 버튼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므로, 사용자는 다이얼 버튼을 직접 입력하여 전화통화를 한다. 후자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는 메모리 조작버튼이 입력되면 다이얼회로(100)는 상기의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음성 관련 회로(Speech Circuit)를 통하여 전압제어 회로를 거쳐 국선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2는 종래의 전화기에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핵심구성요소인 다이얼 회로 통제부(1)를 첨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다이얼 회로 통제부(1)는 다이얼제어회로(200), 다이얼 제어스위치(300), 접속버튼(201)으로 구성된다.
우선 종래의 전화기 구조에서 발진기(400)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얼제어회로(200)와 상기의 다이얼제어회로(200)를 동작하게 하는 접속버튼(201)과 다이얼제어스위치(300)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접속버튼(201)은 직접 다이얼회로(100)와 연결되어 메모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전화기는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어도 발진기(400)가 동작하지 않게 구성하고, 접속버튼(201)을 입력하면 사업자의 시스템에 전화접속 되면서 다이얼 제어회로(200)에서 다이얼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사용자가 다이얼버튼(5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다이얼제어회로(200)의 출력전압이 접지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출력전압과 연결되어 있는 발진기의 입력전압도 접지로 되어 발진기(400)는 다이얼 회로에 주파수를 인가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다이얼 버튼(500)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후 다이얼버튼(500)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진기(400)의 입력단과 다이얼제어회로(200)와의 연결을 차단시켜야 하는데, 이는 접속버튼(201)을 입력하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접속버튼이 입력되면 다이얼제어회로(200)의 출력단과 발진기(400)의 입력단이 차단되어 발진기(400)의 입력단에는 높은(high)전압이 인가되고 발진기는 주파수를 다이얼 회로에 인가하여 다이얼버튼(500)이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과정과 동시에 다이얼회로(100)의 메모리의 특정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번호를 국선을 통해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업자 시스템에 접속한 후 다이얼 버튼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다이얼제어스위치(300)의 역할은 다이얼제어회로(200)의 출력단과 발진기(400)의 입력부의 연결을 차단하게 함으로써, 다이얼 버튼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긴급통화를 원할 경우는 상기의 다이얼 제어스위치(300)를 이용하여 다이얼 버튼을 작동시키고, 해당숫자를 입력하여 상대방과 직접통화를 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얼 회로 통제부(1)와 주변회로와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다이얼 제어회로(200) 내부의 구성과 역할을 보면, 펄스검출부(210)는 외부의 신호를 검출하고, 전압출력부(220)는 상기 외부신호를 받아서 전압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며, 전압제어스위칭회로(230)는 전압이 높은 상태이면 출력단이 접지와 연결이 되고 전압이 낮은 상태가 되면 차단된다.
이하 접속버튼의 입력에 따른 과정을 설명한다.
접속버튼(201)이 입력되면 두 가지 과정이 동시에 일어난다. 우선 첫 번째 과정을 설명하면 접속버튼 입력에 의해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상기의 펄스신호는 다이얼 제어회로(200)의 펄스검출부(210)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펄스신호는 전압출력부(220)의 입력단에 인가되고 전압출력부(220)는 상기의 펄스신호를 낮은(low) 전압으로 바꿔 전압제어스위칭회로(230)에 인가된다.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전압제어스위치(230)는 높은(high)전압에서는 접지와 연결이 되고 낮은(low) 전압에서는 차단되므로, 전압출력부(220)에서 낮은 전압이 인가가 되어 상기의 전압제어스위칭회로(230)는 발진기와 차단된다. 따라서 발진기는 일정 주파수를 다이얼 회로에 인가하여, 다이얼 버튼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첫 번째 과정과 동시에 일어나는 두 번째 과정으로는, 접속버튼(400)의 라인은 다이얼회로(100)의 메모리 번지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버튼(201)의 신호가 입력되면 다이얼회로(100)의 펄스검출부에 펄스가 인가되어, 상기 신호는 해당 메모리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번호를 음성관련회로(Speech Circuit, 700)를 통해 국선으로 송출함으로써, 사업자 시스템에 접속시킨다.
사용자의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는 다이얼제어스위치(300)를 통해서 발진기(400)를 동작하는데 다이얼제어스위치(300)를 누르면 상기의 접속버튼(201)으로 발진기를 동작시키는 절차가 같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4는 종래의 전화기로 특정한 전화에 접속을 하여 통화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업자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특정전화번호를 입력(12단계)하고 발신을 기다려서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13단계)하는 과정을 거쳐 상대방의 번호를 입력(14단계)한 후 비로소 전화통화(15단계)를 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특정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한 후, 안내에 따라 비밀번호와 상대방의 번호를 입력해야 하므로, 입력해야 하는 번호의 숫자가 많아 사용이 복잡하고 번거롭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사용(12단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고 상대방의 전호번호를 입력(14단계)하여 전화통화를 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전화기로 이용하여 통화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을 원하는 경우 단순히 접속버튼을 입력(22단계) 하면 된다. 상기의 접속버튼 입력단계는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하는 특정번호 뿐만 아니라 비밀번호의 입력까지도 함께 처리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이후 상대방 번호를 입력(24단계)하여 전화통화(25단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도3의 종래의 방식에 비해 매우 편리함을 알 수 있다. 만약 긴급통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다이얼 제어스위치(23단계)를 사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속버튼을 1회 입력하기만 하면 사업자 시스템에 즉시 접속할 수 있으며, 별도의 비밀번호나 그 외 확인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본 고안의 전화기를 보유한 사용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차별화 된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접속버튼 사용여부에 따른 다이얼 제어회로(200)의 역할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사업자의 시스템에 접속을 하기 위해 접속버튼(31단계)을 누르게 되면 다이얼 제어회로는 다이얼 회로의 발진기를 동작(32단계)하게 만들고, 사업자 접속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송출(33단계)하여 사업자 시스템에 접속(34단계)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대방의 번호를 입력(37단계)하여 전화통화를 한다. 만약 긴급히 전화를 사용하려면 사용자는 다이얼 제어스위치를 사용(35단계)하여, 발진기가 동작(36단계)하도록 한 후 다이얼 버튼(500)으로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여 전화 통화를 한다.
상기의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은 당업자의 기술수준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 고안은 접속버튼 및 다이얼 제어스위치의 작동방식과 형태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전화기 사용초기에 사업자의 접속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이후 다시 변경 저장하는 단계에 대해서도 당업자의 기술수준에서 여러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 모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 있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의해 고안된 전화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접속버튼을 통해 손쉽게 사업자의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차별화 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업자 입장에서는 많은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전화기는 사용자와 사업자 모두에게 반드시 필요한 전화기라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2)

  1. 전화기에 있어서, 송,수화기를 들어 통화시 사용불가인 다이얼 버튼(500)과 상기 다이얼 버튼을 관장하는 다이얼 회로(100)와, 상기 다이얼 회로에 사용가능 신호를 인가하는 접속버튼(201)과, 상기 다이얼 회로에 사용가능 신호를 인가하는 다이얼 제어스위치(300)와, 특정번호가 입력저장된 메모리(150)와, 상기 접속버튼이 인가되면 다이얼 회로에 사용가능 신호를 인가하는 다이얼 제어회로(200)와, 상기 접속버튼이 되면 다이얼 제어회로를 통해 다이얼 버튼(500)이 사용가능 상태로 되고, 동시에 메모리(150)에 저장된 특정번호로 전화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회로를 구비하여 접속버튼의 인가로 특정사업자에게 접속하여 전화통화를 진행하는 전화기.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접속버튼(201)과 다이얼 제어스위치(300)에 동작에 의해 다이얼회로(100)에 사용가능신호를 인가하는 발진기회로(400)를 구비하여, 상기 접속버튼과 다이얼 제어스위치의 동작에 의해서만 다이얼 버튼(500)이 사용가능 상태로 되는 회로를 구비하여 접속버튼의 인가로 특정사업자에게 접속하여 전화통화를 진행하는 전화기.
KR2020000022916U 2000-08-11 2000-08-11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KR200229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916U KR200229894Y1 (ko) 2000-08-11 2000-08-11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916U KR200229894Y1 (ko) 2000-08-11 2000-08-11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575A Division KR20020013995A (ko) 2000-08-11 2000-08-11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894Y1 true KR200229894Y1 (ko) 2001-07-19

Family

ID=7308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916U KR200229894Y1 (ko) 2000-08-11 2000-08-11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8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185A (en) Cordless telephone having a call key capable of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and a method for assigning alternate functions to the call key and performing the multiple functions
JP2007189753A (ja) 電話機
KR100201942B1 (ko) 국가번호 및 지역번호 다이얼 방법.
CN105162980A (zh) 一种通话的处理方法和装置
US20090170562A1 (en) Speed di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from a remote service
KR20050028992A (ko) 원격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모드 변경 방법
KR200229894Y1 (ko)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US5638437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nabling a user to get access to an automated call processing from a central station operating on pulse dialling mode
KR20020013995A (ko)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JP4009899B2 (ja) 携帯電話のダイヤル発呼方法及び携帯電話機
JP3767219B2 (ja) 通信装置
KR100433027B1 (ko) 컴퓨터와 전화기 유도 결합장치
KR20030003841A (ko) 원격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JP2978916B1 (ja) 携帯電話端末
KR980013194A (ko) 키폰 시스템의 응답 자동 제어 방법
KR20050058820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전화번호 저장 방법
JP2001127869A (ja) 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電話装置
KR930003156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JPS62157448A (ja) 自動ダイヤル装置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JP2002271474A (ja) 携帯電話機
KR20010054089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통해 음성 다이얼을수행하기위한 방법
KR19990049508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다이얼링 방법
KR2004006232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자동저장 장치 및 방법
JPH03283856A (ja) 電話帳機能付き多機能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