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56B1 -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 Google Patents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56B1
KR930003156B1 KR1019900016895A KR900016895A KR930003156B1 KR 930003156 B1 KR930003156 B1 KR 930003156B1 KR 1019900016895 A KR1019900016895 A KR 1019900016895A KR 900016895 A KR900016895 A KR 900016895A KR 930003156 B1 KR930003156 B1 KR 93000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analog switch
door phone
sign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152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156B1/ko
Publication of KR920009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PU 20, 50 : 제1 - 2 아날로그 스위치
30 : 통화회로 40 : 톤검출부
60 : 도어폰 70 : 도어폰 호출감지부
80 : 도어폰 전원공급부 90 : 메모리
100 : 키메트릭스 SW11 : 훅크스위치
SW12 : 도어폰 스위치 T11 : 트랜스
BD11 : 브리지 다이오드
본 발명은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 있어서 부재중에 도어 폰을 이용하여 내방객과 국선 라인간에 통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에서 핵가족이 증가됨에 따라 가정 자동화시스템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외출중에 필히 만나야할 내방객이 방문하였을 경우 국선을 통해 통화할 수 있는 통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다중 전화기 회로도로서, 국선과 통화하기 위해 핸드셀을 들면 훅크스위치(SW1)가 로우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CPU(1)에 인가된다. 이때 CPU(1)는 라인(d)를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지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로우상태로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 되어진다. 이때 팁/링(Tip/Ring)의 48V의 국선 전압의 극성에 관계없이 브리지 다이오드(BD1)을 통해 통화로가 연결되고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13V전압으로 안정화되어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을 통한 전압은 캐패시터(C1) 및 쵸코코일(L1)에 의해 평활되어 통화회로(2)의 전원단(Vcc)으로 인가되는 동시에 신호는 저항(R5) 및 캐패시터(C2)를 통해 단자(ZB)로 인가된다. 상기 통화회로(2)의 단자(ZB)로 입력된 신호는 증폭되어 단자(RxA)로 출력되고 캐패시터(C3)를 통해 단자(RxI)에 입력되어 다시 증폭되어 수신단(RXO1, RXO2)를 통해 핸드셀 수화기의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쵸코 코일(L1)은 방송파 및 선로상의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송화는 음성신호가 마이크(M)를 통해 송신단(MC1, MC2)으로 입력되어 증폭되어진 후 단자(MCO)로 출력된다. 상기 단자(MCO)로 출력된 신호는 저항(R8) 및 캐패시터(C4)로 구성된 RC필터를 거쳐 송신 입력단(TxI)으로 입력되어 다시 증폭된 후 단자(ZB)를 통해 국선라인으로 송출되므로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어폰(3)과의 통화는 다음과 같이 된다. 내방객이 도어폰 스위치(SW2)를 누르면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6)가 턴온되면 에미터에 연결된 라인(b)를 통해 로우신호가 CPU(1)로 인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CPU(1)는 라인(a)을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로우상태가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공급전원(12V)가 다이오드(D1)을 통해 도어폰(3)으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CPU(1)는 라인(C)를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로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7)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7)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는 로우상태가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되면 공급전원(12V)가 통화회로(2)의 전원단(Vcc)에 인가되어 통화로를 형성하므로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게 상기 통화회로(2)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공급전원(12V)은 도어폰(3)으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AC110V/220V에서 얻어지는 전압이고 국선측의 48V는 상기 트랜지스터(Q2)가 동작되지 않으므로 국선과는 무관하다.
상기 제 1 도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국선과 통화중에는 국선전압 48V를 사용하고 도어폰과 통화시에는 도어폰 자체 전원 12V를 사용함으로 로직상 국선과 도어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부재중에 필히 만나야 할 내방객이 방문하였을 경우에 내방객과 통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재중에 내방객이 방문하였을 경우 도어폰과 국선간의 통화로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내방객과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안사람이 귀가하여 가정내에 사람이 없을 경우 도어폰과 국선간의 통화로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가정내의 사람이 어느 장소로 외출하였는가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시스템을 제어 처리하는 CPU(10)와, 국선과 연결되어 입력된 신호를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D11)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11)와 연결되어 상기 CPU(10)의 제어에 의해 국선과 통화로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 1 아날로그스위치(20)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와 연결되어 마이크(M)로 입력된 음성 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시키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음향적 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SP)로 송출하여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회로(30)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와 연결되어 가압자가 국선과 통화가 끝났음을 감지하기 위한 비지톤을 검출하는 톤 검출부(40)와, 송수화기의 놓인 상태에 따라 전송선로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훅크스위치(SW11)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와 연결되어 상기 CPU(1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국선을 연결시키기 위해 스위칭하는 제 2 아날로그스위치(50)와, 스위치(SW12)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가정내의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화할 수 있는 도어폰(60)과, 상기 도어폰(60)과 상기 제2아날로그 스위치(50) 사이에 연결되어 국선 또는 상기 통화회로(30)와 연결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매칭시키기 위한 트랜스포머(T11)와, 상기 도어폰(60)의 호출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폰 호출감지부(70)와, 상기 CPU(1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폰(60)의 전원을 공급하는 도어폰 전원공급부(80)와, 시스템의 제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90)와, 각종 기능 키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메트릭스(100)로 구성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외출 및 도어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도어폰(60)의 스위치(SW12)가 눌러져 호출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호출신호가 발생되면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을 온시켜 훅크오프상태를 만든 후 다이알 톤이 검출되는가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다이얼 톤이 검출되면 메모리(90)에 기억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기억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비지콘이 검출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비지톤이 검출되면 링백통이 소정 시간 계속 검출되었는가를 체크하여 소정시간 계속 검출되면 도어폰(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에서 도어폰(60)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 2 아날로그 스위치(50)을 온시켜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가 종료되었는가를 체크하여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제 1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6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2도-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외출시 행선지의 전화번호를 홈폰(Home Phone)에 메모리시킨 후 방문자가 도어폰(60)을 누르게 되면 도어폰 전원공급부(80)에서 도어폰(60)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도어폰(60)에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90)에 기억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어 외출자 행선지의 전화와 도어폰(60)간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방문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제 3 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a)단계에서 외출 및 도어키가 눌러졌는가를 체크하여 외출 및 도어키가 눌러지지 않았으면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외출 및 도어키가 눌러졌으면 (3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b) 단계에서는 방문자가 스위치(SW12)를 눌러 도어폰호출 감지부(70)에서 호출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체크하여 호출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다른 기능을 수행을 하고 호출신호가 발생되었으면 (3c)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c) 단계에서는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을 온시켜 훅크 오프상태로 만들고 (3d)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d) 단계에서는 다이얼 톤이 발생되었는가를 체크하여 다이얼 톤이 발생되었으면 (3e)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e) 단계에서는 메모리(90)에 기억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3f)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f) 단계에서는 비지톤이 검출되었는가를 체크하여 비지톤이 검출되었으면 다시 (3e) 단계를 수행하고 비지톤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3g)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g) 단계에서는 링 백톤이 소정시간 계속 검출되는가를 체크하여 링백톤이 소정시간 계속 검출되면 다시 (3e) 단계를 수행하고 링백톤이 소정시간 계속 검출되지 않으면 (3h)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h) 단계에서는 도어폰 전원공급부(80)에서 도어폰(60)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3i)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i) 단계에서는 제 2 아날로그 스위치(50)을 온시켜 통화로를 형성시키고 (3j)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3j) 단계에서는 통화가 종료되는 비지톤이 검출되는가를 체크하여 비지톤이 검출되지 않으면 (3i) 단계를 계속 수행하여 통화를 하고 비지톤이 검출되면 (3k) 단계에서 제1-2아날로그 스위치(20, 50)을 오프시키고 다시 (3a) 단계로 되돌아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재중에 도어폰을 이용하여 내방객과 국선간에 통화를 형성함으로서 부재중에 필히 만나야할 내방객과 통화가 가능하고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기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시스템을 제어 처리하는 CPU(10)와, 국선과 연결되어 입력된 신호를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D11)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11)와 연결되어 상기 CPU(10)의 제어에 의해 국선과 통화로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와 연결되어 마이크(M)로 입력된 음성 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시키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음향적 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SP)로 송출하여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회로(30)와, 상기 제 1 아날로그스위치(20)와 연결되어 가입자가 국선과 통화가 끝났음을 감지하기 위해 비지톤을 검출하는 톤 검출부(40)와, 송수화기의 놓인 상태에 따라 전송선로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훅크 스위치(SW11)와,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와 연결되어 상기 CPU(1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국선을 연결시키기 위해 스위칭하는 제 2 아날로그 스위치(50)와, 스위치(SW12)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가정내의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화할 수 있는 도어폰(60)과, 상기 도어폰(60)과 상기 제 2 아날로그 스위치(50) 사이에 연결되어 국선 또는 상기 통화회로(30)와 연결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매칭시키기 위한 트랜스포머(T11)와, 상기 도어폰(60)의 전원을 공급하는 도어폰 호출감지부(70)와, 상기 CPU(1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폰(60)의 전원을 공급하는 도어폰 전원공급부(80)와, 시스템의 제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90)와, 각종 기능 키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메트릭스(100)을 구비한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에 있어서, 외출 및 도어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도어폰(60)의 스위치(SW12)가 눌러져 호출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호출신호가 발생되면 제 1 아날로그 스위치(20)을 온시켜 훅크오프 상태를 만든 후 다이알 톤이 검출되는가를 체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다이얼 톤이 검출되면 메모리(90)에 기억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기억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비지톤이 검출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제 4 과정에서 비지톤이 검출되면 링백톤이 소정 시간 계속 검출되었는가를 체크하여 소정시간 계속 검출되면 도어폰(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에서 도어폰(60)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 2 아날로그 스위치(50)을 온시켜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가 종료되었는가를 체크하여 통화가 종료되면 제 1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6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16895A 1990-10-22 1990-10-22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KR930003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895A KR930003156B1 (ko) 1990-10-22 1990-10-22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6895A KR930003156B1 (ko) 1990-10-22 1990-10-22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52A KR920009152A (ko) 1992-05-28
KR930003156B1 true KR930003156B1 (ko) 1993-04-22

Family

ID=1930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895A KR930003156B1 (ko) 1990-10-22 1990-10-22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1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52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7450A (en)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NZ233606A (en) Standard telephone set interfaced to cellular transceiver
KR100557110B1 (ko) 무선가입자망 단말장치의 다이얼링 방법
US3979563A (en) Communication systems of key telephone systems
JP2738834B2 (ja) 通信装置
KR930003156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다기능 전화기에서 도어폰과 국선 라인간의 통화방법
KR19990086591A (ko) 인터폰과 외부 전화기 자동 연결장치 및 그 방법
JPH0247992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JP3585109B2 (ja) 高周波結合回路
KR200229894Y1 (ko)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KR920004615Y1 (ko) 다기능 인터폰
JPH0628868Y2 (ja) 宅内交換機におけるドアホン呼出装置
KR0166917B1 (ko) 팩시밀리 수신 방식
KR860000485Y1 (ko) 음성인식 전화기의 전환회로
JPH09181812A (ja) トーン信号自動切替機能付電話機
JPS6322752B2 (ko)
KR19980040237A (ko)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방법
JPS62266998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9980056078A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JPH038622B2 (ko)
JPH04242355A (ja) 電話機
JPH03158057A (ja) 電話装置
KR940017642A (ko)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의 자동반복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13995A (ko) 특정한 번호를 통해서만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