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362B1 -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362B1
KR100288362B1 KR1019980060786A KR19980060786A KR100288362B1 KR 100288362 B1 KR100288362 B1 KR 100288362B1 KR 1019980060786 A KR1019980060786 A KR 1019980060786A KR 19980060786 A KR19980060786 A KR 19980060786A KR 100288362 B1 KR100288362 B1 KR 100288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ice
phone
earphone devic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293A (ko
Inventor
이기홍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36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이어폰장치와 연결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를 외부 이어폰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롤 키를 이용하는 스크롤 기능을 통해 이어폰이나 표시부를 통해 검색한 후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다이얼링 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외부 이어폰장치와 연결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통해 원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 전화기는 이동과 공간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기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에 더불어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외부 이어폰장치를 접속하여 운전중이나 보행중에 전화기를 들지 않아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존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이어폰장치는 순수하게 통화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거나, 마지막으로 발신한 라스트 콜을 재다이얼 할 수 있도록 라스트 콜(Last Call)에 대한 발신(SEND) 및 통화종료를 위한 종료(END)키와 마이크로폰, 이어폰을 구비하였다. 이러한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하는 종래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이하의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참조부호 100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이고, 180은 플립이며, 170은 잭(jack)이다. 참조부호 10은 외부 이어폰장치이고, 12는 외부 마이크로폰이며, 14는 외부 이어폰이고, 16은 외부 버튼이며, 17은 상기 잭(170)에 꽂히는 외부 플러그(plug)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유선접속 혹은 분리상태 설명을 위해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접속 혹은 분리에 따른 음성 통로(path)의 제어, 다이얼링 및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플립오픈 감지부(120)는 상기 플립(180)의 오픈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이어폰-마이크로폰 감지부(140)는 상기 잭(170)에 연결되어 외부 이어폰장치(10)의 플러그(17)가 상기 잭(170)에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버튼입력 감지부(130)는 잭(170)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17)가 상기 잭(170)에 접속된 상태에서 외부 이어폰장치(10)의 버튼(16)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증폭기(150 과 160)는 상기 잭(170)에 접속되어 각각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10)의 외부 스피커폰(14)으로 출력할, 상기 제어부(110)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거나 외부 마이크로폰(12)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종래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는 상기에서도 기술하였듯이 라스트 콜에 대한 발신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휴대용 무선 전화기 사용자가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어야 할 경우(라스트 콜로 재발신하는 경우는 제외) 때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번호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것은 작업중이거나, 보행중에 포켓이나 가방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넣어 두고 외부 이어폰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마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를 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접속되는 외부 이어폰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선택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어폰과 마이크로폰과 스크롤 키와 버튼을 구비하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음성다이얼 정보를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를 통해 검색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된 스크롤 키신호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상기 이어폰을 통해 송출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을 통해 송출되는 음성다이얼 정보 중 발신하고자 하는 음성다이얼 정보가 송출될 때 상기 버튼신호가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된 버튼신호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면 해당 음성다이얼 정보에 설정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유선접속 혹은 분리상태 설명을 위해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유선접속 혹은 분리상태 설명을 위해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무선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유선접속 혹은 분리상태 설명을 위해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과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과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과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참조부호 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이고, 350은 데이터 입/출력용 잭(jack)이다. 참조부호 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이고, 212는 외부 마이크로폰이며, 214는 스크롤(SCROLL) 키이고, 216은 버튼(SEND/END용 키)이고, 210은 액정표시장치(LCD, 이하 "제2LCD"라 칭함)이고, 218은 외부 이어폰이며, 218은 상기 잭(170)에 꽂히는 외부 플러그(plug)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유선접속 혹은 분리상태 설명을 위해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듀플렉서(312)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수신부(313)로 출력하며, 무선 송신부(315)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313)는 데이터 수신시 이를 제어부(311)로 출력하고, 통화모드시 수신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음성 처리부(316)로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314)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수신 채널에 대응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발생시키며, 송신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315)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315)는 통화모드시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 처리부(316)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주파수 합성부(314)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312)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316)는 상기 무선 수신부(313)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복조하여 스위치부(317)를 통해 스피커 SPK로 출력하며, 마이크 MIC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317)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315)로 출력한다.
링거부(318)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의해 링 신호 수신시 링거음을 출력한다. 메모리부(320)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종 숫자정보를 음편으로 저장하고 있는 음성폰트 메모리(321)와 각종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폰북 메모리(323)와 다수의 음성 다이얼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음성등록 메모리(325)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그램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으로 구성된다.
키입력부(33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311)로 출력한다. 제1LCD(335)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한다. 또한 LCD 스위치부(333)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LCD(335) 및 외부 이어폰장치의 제2LCD(210)를 선택 스위칭하며, 상기 제2LCD(210)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용 잭(350)에 연결된다. LCD 구동부(331)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LCD 스위치부(333)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제1LCD(335) 및 제2LCD(210)를 구동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317)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의해 증폭기(341 및 34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증폭기(341 및 343)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용 잭(350)에 접속되어 각각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외부 스피커폰(218)으로 출력할, 상기 제어부(311)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거나 외부 마이크로폰(212)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한다.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접속 혹은 분리에 따른 음성 통로(path)의 제어, 다이얼링, 음성인식 및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입/출력용 잭(350)에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스크롤 키(214) 및 버튼(216)의 키신호를 입력받는 포트 P1, P2를 접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200)와 접속되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용 잭(350)은 통상적으로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입/출력용 잭을 이용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잭이 구비하는 다수의 포트 중 5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음성송신 및 음성수신 패스를 형성하는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 용도의 두 개 포트, 상기 스크롤 키 신호 입력용의 한 개 포트, 상기 버튼 입력용의 한 개 포트, 그리고 상기 제2LCD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용도의 한 개 포트, 총 5개의 포트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되게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외부 플러그(218) 또한 상기 이어폰(218)에 연결되는 핀, 상기 마이크로폰(212)에 연결되는 핀, 상기 스크롤 키(214)에 연결되는 핀, 상기 버튼(216)에 연결되는 핀, 그리고 상기 제2LCD에 연결되는 핀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 다이얼 정보 또는 전화번호 정보를 스크롤 검색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 7, 도 8 및 도 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등록 메모리(325)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스크롤 검색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로서,
6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평시에는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이후 603단계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가 접속됨을 감지하면(이는 통상적인 감지동작이므로 자세한 언급은 여기서 피하기로 한다.) 상기 스위치부(317)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 마이크로폰(212)을 상기 음성처리부(316)로 스위칭시켜 통화 패스(path)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크롤 키(214) 및 버튼(216)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포트 P1, P2와 스크롤 키(214), 버튼(216)과 연결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311)는 60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 P1을 통해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스크롤 키(214)가 눌러져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면 621단계로 진행하고,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포트 P2를 통해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버튼(216)이 눌러져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6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버튼신호의 입력은 통화중일 경우에는 통화종료를 위한 종료 키신호로 인식하고, 대기모드에서는 라스트 콜 발신 키신호로 인식하는데, 이 경우에는 대기모드에서 버튼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부(311)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폰북 메모리(323)를 독출하여 라스트 콜을 검색한다. 이후 6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검색한 라스트 콜 전화번호로 발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605단계에서 상기 스크롤 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6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 메모리(320)의 음성등록 메모리(325)를 독출한 후 623단계에서 상기 음성등록 메모리(325)에 등록된 첫 번째 음성 다이얼 정보를 상기 증폭기(341)를 통해 소정 증폭하여 음성송신 패스를 통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으로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청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218)을 통해 청취하고 있는 상기 첫 번째 음성 다이얼 정보를 선택하여 다이얼링하기 위해 버튼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상기 제어부(311)는 62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 P2를 통해 버튼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여 6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311)는 6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해당 음성 다이얼 정보에 설정된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633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포함한 발신제어를 통해 635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상대방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과 마이크로폰(212)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625단계에서 버튼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311)는 6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사용자가 다른 음성 다이얼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키(214)를 누르는 경우로, 상기 입력포트 P1을 통해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6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등록 메모리(325)에 등록된 음성 다이얼 정보 중 송출하지 않은 다음 음성 다이얼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어폰(218)을 통해 송출한 후 625단계로 리턴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외부 이어폰장치를 통해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등록 메모리(325)에 등록시켜 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스크롤 키(214)를 이용하여 하나씩 스크롤 하여 이어폰(218)을 통해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중 다이얼링을 원하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버튼(216)을 이용해서 선택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표시장치를 통해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폰북 메모리(323)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전화번호 정보를 LCD를 통해 검색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는데, 이는 도 8을 통해 설명한다.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의 표시장치를 통해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스크롤 키 및 LCD를 이용하여 검색한 후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로서,
7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평시에는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이후 703단계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가 접속됨을 감지하면(이는 통상적인 감지동작이므로 자세한 언급은 여기서 피하기로 한다.) 상기 스위치부(317)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 마이크로폰(212)을 상기 음성처리부(316)로 스위칭시켜 통화 패스(path)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LCD 스위치부(333)를 제어하여 상기 제2LCD(210)를 구동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키(214) 및 버튼(216)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포트 P1, P2와 스크롤 키(214), 버튼(216)과 연결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311)는 70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 P1을 통해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스크롤 키(214)가 눌러져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면 72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포트 P2를 통해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버튼(216)이 눌러져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7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버튼신호의 입력은 통화중일 경우에는 통화종료를 위한 종료 키신호로 인식하고, 대기모드에서는 라스트 콜 발신 키신호로 인식하는데, 이 경우에는 대기모드에서 버튼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 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폰북 메모리(323)를 독출하여 라스트 콜을 검색한다. 이후 7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검색한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제2LCD(210)에 표시하도록 표시데이터를 송출하며, 상기 제2LCD(210)는 상기 표시데이터를 받아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311)는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확인과정(버튼을 1회 더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713단계에서 상기 제2LCD(210)에 디스플레이 된 라스트 콜 전화번호로 발신한다.
한편, 상기 705단계에서 입력포트 P1을 통해 상기 스크롤 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7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 메모리(320)의 폰북 메모리(323)를 독출한 후 723단계에서 상기 폰북 메모리(323)에 저장되어 있는 첫 번째 전화번호 정보(전화번호, 이름, 번지 등)를 상기 제2LCD(2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이렇게 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 사용자는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제2LCD(2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전화번호 정보로 다이얼링하기 위해 버튼(216)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311)는 72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 P2를 통해 버튼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여 7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311)는 7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해당 전화번호 정보에 설정된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733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포함한 발신제어를 통해 통화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상대방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과 마이크로폰(212)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725단계에서 버튼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311)는 727단계로 진행하는데, 상기 7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사용자가 다른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키(214)를 다시 누르는 경우로, 상기 입력포트 P1을 통해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7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폰북 메모리(32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 중 송출하지 않은 다음 전화번호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2LCD(210)에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725단계로 리턴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외부 이어폰장치를 통해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폰북 메모리(32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하나씩 스크롤 하여 외부 이어폰장치(200)에 구비된 제2LCD(21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중 다이얼링을 원하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선택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폰북 메모리(323)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전화번호 정보를 외부 이어폰장치를 통해 음성으로 확인할 수도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스크롤 키(214)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311)가 상기 폰북 메모리(32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321)에서 이를 해당 숫자로 음편으로 변환 후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을 통해 송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을 때까지 스크롤 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으면 상기버튼(216)을 눌러 해당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이를 도 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의 이어폰을 통해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음성으로 검색한 후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로서,
8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평시에는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이후 803단계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가 접속됨을 감지하면(이는 통상적인 감지동작이므로 자세한 언급은 여기서 피하기로 한다.) 상기 스위치부(317)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 마이크로폰(212)을 상기 음성처리부(316)로 스위칭시켜 통화 패스(path)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키(214) 및 버튼(216)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포트 P1, P2와 스크롤 키(214), 버튼(216)과 연결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311)는 80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 P1을 통해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스크롤 키(214)가 눌러져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면 82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포트 P2를 통해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버튼(216)이 눌러져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8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버튼신호의 입력은 통화중일 경우에는 통화종료를 위한 종료 키신호로 인식하고, 대기모드에서는 라스트 콜 발신 키신호로 인식하는데, 이 경우에는 대기모드에서 버튼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 809단계에서 상기 폰북 메모리(323)를 독출하여 라스트 콜을 검색한다. 이후 8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검색한 라스트 콜 전화번호에 따른 숫자정보를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321)에서 해당 음편을 찾아 이를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을 통해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11)는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확인과정(버튼을 1회 더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813단계에서 상기 이어폰(218)을 통해 송출된 라스트 콜 전화번호로 발신한 후 83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805단계에서 입력포트 P1을 통해 상기 스크롤 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8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 메모리(320)의 폰북 메모리(323)를 독출한 후 823단계에서 상기 폰북 메모리(323)에 저장되어 있는 첫 번째 전화번호에 따른 숫자정보를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321)에서 해당 음편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218)을 통해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 사용자는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을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 이어폰을 통해 청취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기 위해 상기 버튼(216)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311)는 82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 P2를 통해 버튼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여 8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311)는 831단계에서 선택된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포함한 발신제어를 통해 833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상대방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과 마이크로폰(212)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825단계에서 버튼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311)는 827단계로 진행하는데, 상기 8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사용자가 다른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키(214)를 재입력 하는 경우로, 상기 입력포트 P1을 통해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8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폰북 메모리(32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 중 송출하지 않은 다음 전화번호 정보를 독출하여 전화번호에 따른 숫자정보를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321)에서 해당 음편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의 이어폰(218)을 통해 음성으로 송출한 후 상기 825단계로 리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 5, 도 6 및 도 7, 도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와 접속 가능한 플립형 무선전화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참조부호 400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이고, 480은 플립이며, 470은 이어-마이크로폰 잭(jack)이다. 참조부호 500은 외부 이어폰장치이고, 512는 외부 마이크로폰이며, 514는 외부 이어폰이고, 516은 외부 버튼이며, 517은 상기 잭(170)에 꽂히는 외부 플러그(plug)이고, 51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스크롤 키이다.
상기 도 6은 상기 도 5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유선접속 혹은 분리상태 설명을 위해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어부(410)는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플립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접속 혹은 분리에 따른 음성 통로(path)의 제어, 다이얼링 및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버튼입력 감지부(430)는 상기 잭(470)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517)가 상기 잭(470)에 접속된 상태에서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버튼(516)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10)의 입력포트 1을 통해 그 정보를 제공한다. 증폭기(450 과 460)는 상기 잭(470)에 접속되어 각각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외부 이어폰(514)으로 출력할, 상기 제어부(110)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거나 외부 마이크로폰(512)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잭(470)에 입력포트2를 통해 접속하며, 상기 입력포트2를 통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스크롤 키(518)가 눌려지는 경우 그 정보를 제공받는다.
메모리(420)가 상기 제어부(410)에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부(420)는 내에는 각종 숫자정보를 음편으로 저장하고 있는 음성폰트 메모리(421)와, 각종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폰북 메모리(423)와, 다수의 음성다이얼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음성등록 메모리(425)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는 플립(480)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플립오픈 감지부와 상기 잭(170)에 연결되어 외부 이어폰장치(10)의 플러그(17)가 상기 잭(170)에 꽂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마이크로폰 감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517)는 상기 잭(470)에 대응되는 4단자로 구성되며, 일 단자에는 마이크로폰(512)이 접속되고, 이 단자에는 이어폰(514)이 접속되고, 삼 단자에는 스크롤 키(518)가 접속되고, 4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이다.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마이크로폰(512), 상기 이어폰(514) 및 상기 스크롤 키(518)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이어폰을 통해 스크롤 검색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이하의 도 7의 흐름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등록 메모리(415)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스크롤 검색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로서,
6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10)는 평시에는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이후 603단계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200)가 접속됨을 감지하면(이는 통상적인 감지동작이므로 자세한 언급은 여기서 피하기로 한다.) 60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2를 통해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스크롤 키(518)가 눌러져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감지한다. 상기 605단계에서 스크롤 키신호가 상기 입력포트2를 통해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10)는 62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포트1을 통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버튼(516)이 눌러져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6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버튼신호의 입력은 통화중일 경우에는 통화종료를 위한 종료 키신호로 인식하고, 대기모드에서는 라스트 콜 발신 키신호로 인식하는데, 이 경우에는 대기모드에서 버튼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폰북 메모리(323)를 독출하여 라스트 콜을 검색한다. 이후 6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11)는 검색한 라스트 콜 전화번호로 발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60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2를 통해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등록 메모리(425)를 독출한 후 623단계에서 상기 음성등록 메모리(425)에 등록된 첫 번째 음성 다이얼 정보를 상기 증폭기(450)를 통해 소정 증폭하여 이어폰 접속 패스를 통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이어폰(514)으로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 사용자는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의 이어폰을 통해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청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514)을 통해 청취하고 있는 상기 첫 번째 음성 다이얼 정보를 선택하여 다이얼링하기 위해 버튼(516)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410)는 62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1을 통해 버튼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여 6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6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해당 음성 다이얼 정보에 설정된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633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포함한 발신제어를 통해 635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상대방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이어폰(514)과 마이크로폰(512)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625단계에서 버튼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10)는 6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다른 음성 다이얼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키(518)를 누르는 경우로, 상기 입력포트2를 통해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재입력됨을 감지하면 6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등록 메모리(425)에 등록된 음성 다이얼 정보 중 송출하지 않은 다음 음성 다이얼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이어폰(514)을 통해 송출한 후 625단계로 리턴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외부 이어폰장치를 통해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등록 메모리(425)에 등록시켜 둔 음성 다이얼 정보를 하나씩 스크롤 하여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중 다이얼링을 원하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선택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과 같은 구성을 이루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상기 외부의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이어폰장치의 이어폰을 통해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음성으로 검색한 후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제어흐름도로서,
8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10)는 평시에는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이후 803단계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가 접속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10)는 80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2를 통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스크롤 키(518)가 눌러져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면 821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포트1을 통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버튼(516)이 눌러져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8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버튼신호의 입력은 통화중일 경우에는 통화종료를 위한 종료 키신호로 인식하고, 대기모드에서는 라스트 콜 발신 키신호로 인식하는데, 이 경우에는 대기모드에서 버튼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809단계에서 상기 폰북 메모리(423)를 독출하여 라스트 콜을 검색한다. 이후 8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10)는 검색한 라스트 콜 전화번호에 따른 숫자정보를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421)에서 해당 음편으로 변환하여 이를 소정 증폭한 후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이어폰(514)을 통해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10)는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확인과정(버튼을 1회 더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813단계에서 상기 이어폰(514)을 통해 송출된 라스트 콜 전화번호로 발신한 후 83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805단계에서 입력포트2를 통해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8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메모리(420)의 폰북 메모리(423)를 독출한 후 823단계에서 상기 폰북 메모리(423)에 저장되어 있는 첫 번째 전화번호에 따른 숫자정보를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421)에서 해당 음편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418)을 통해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 사용자는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이어폰을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 이어폰을 통해 청취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기 위해 상기 버튼(516)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410)는 825단계에서 상기 입력포트1을 통해 버튼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여 8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831단계에서 선택된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포함한 발신제어를 통해 833단계에서 통화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상대방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이어폰(514)과 마이크로폰(512)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825단계에서 버튼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10)는 827단계로 진행하는데, 상기 8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다른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키(518)를 재입하는 경우로, 상기 입력포트2를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8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폰북 메모리(423)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 중 송출하지 않은 다음 전화번호 정보를 독출하여 전화번호에 따른 숫자정보를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421)에서 해당 음편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500)의 이어폰(514)을 통해 음성으로 송출한 후 상기 825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접속되는 외부 이어폰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나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한 음성 다이얼 정보나 전화번호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이얼링하므로써 작업중이거나 보행중 또는 운전중에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접속된 외부 이어폰장치로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이얼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이어폰과, 마이크로폰과,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전화번호 정보 및 음성 다이얼 정보를 스크롤 하여 검색하도록 하는 키신호를 발생하는 스크롤 키와, 발신 및 종료를 선택하는 버튼과, 표시부 각각에 연결되는 핀들로 이루어진 플러그를 구비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 플러그의 각 핀들에 대응되도록 음성송신 패스를 제공하는 상기 이어폰 용도의 포트, 음성수신 패스를 제공하는 상기 마이크로폰 용도의 포트, 상기 스크롤 키신호의 입력용 포트, 상기 버튼신호 입력용 포트 및 상기 표시부로의 디스플레이 정보 송신용도의 포트로 구성되는 데이터 입/출력용 잭과,
    다수의 음성 다이얼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음성등록 메모리와, 각종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폰북 메모리와, 각종 숫자정보를 음편으로 저장하고 있는 음성폰트 메모리를 구비하는 메모리와,
    상기 이어폰장치의 스크롤 키 및 버튼의 키신호를 입력받는 입력포트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전화기의 접속 혹은 분리에 따른 음성통로를 제어하며,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음성등록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순차적으로 이어폰으로 송출하거나 상기 폰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순차적으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기 폰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음성폰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숫자정보 음편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송출하며, 상기 스크롤 키신호 입력후 상기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이어폰을 통해 송출하거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는 상기 이어폰장치의 이어폰으로 출력할 음성을 소정 증폭하고, 상기 이어폰장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3. 이어폰과, 마이크로폰과,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전화번호 정보 및 음성 다이얼 정보를 스크롤 하여 검색하도록 하는 키신호를 발생하는 스크롤 키와, 발신 및 종료를 선택하는 버튼과, 상기 각 구성부와 접속되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연결되는 단자들로 이루어진 플러그를 구비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접속에 대응되는 이어-마이크로폰 잭과,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잭에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잭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의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알려주는 버튼입력 감지부와,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잭에 접속되어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할 음성을 소정 증폭하거나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증폭기와,
    각종 숫자정보가 음편으로 저장되어 있는 음성폰트 메모리, 각종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폰북 메모리, 다수의 음성 다이얼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음성등록 메모리를 구비하는 메모리와,
    상기 증폭기 및 버튼입력 감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로부터 버튼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1과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2가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잭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음성등록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순차적으로 이어폰으로 송출하거나 상기 폰북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따른 숫자정보를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에서 해당 음편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으로 송출하며, 상기 스크롤 키신호 입력후 상기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이어폰을 통해 송출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일 단자가 마이크로폰에 접속되고, 이 단자가 이어폰에 접속되고, 삼 단자가 스크롤 키에 접속되고, 사 단자가 그라운드 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마이크로폰, 상기 이어폰 및 상기 스크롤 키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6. 이어폰과 마이크로폰과 스크롤 키와 버튼을 구비하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음성다이얼 정보를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를 통해 검색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된 스크롤 키신호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상기 이어폰을 통해 송출하여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다이얼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을 통해 송출되는 음성다이얼 정보 중 발신하고자 하는 음성다이얼 정보가 송출될 때 상기 버튼신호가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된 버튼신호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면 해당 음성다이얼 정보에 설정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서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버튼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최근에 발신한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기 전에 상기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송출한 후 다이얼링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확인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9. 이어폰, 마이크로폰, 스크롤 키, 버튼, 외부 표시부를 구비하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각종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를 통해 검색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외부 표시부에 스크롤 하게 디스플레이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과정과,
    상기 외부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전화번호 정보 중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버튼신호 입력을 통해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버튼신호 입력을 통해 선택된 해당 전화번호 정보에 설정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서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버튼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최근에 발신한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기 전에 상기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상기 외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한 후 다이얼링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확인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12. 이어폰, 마이크로폰, 스크롤 키, 버튼, 외부 표시부를 구비하는 외부 이어폰장치와 접속되며, 각종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폰북 메모리와 각종 숫자정보가 음편으로 저장되어 있는 음성폰트 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서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각종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외부 이어폰장치를 통해 검색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에서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폰북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에서 음편으로 변환한 후 상기 이어폰을 통해 송출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과정과,
    상기 이어폰을 통해 송출되는 전화번호 정보 중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버튼신호 입력을 통해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버튼신호 입력을 통해 선택된 해당 전화번호 정보에 설정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폰북 메모리로부터 독출한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외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서 스크롤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버튼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최근에 발신한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기 전에 상기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상기 폰북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음성폰트 메모리에서 음편으로 변환한 후 상기 이어폰을 통해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을 통해 송출되는 라스트 콜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확인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기 전에 상기 라스트 콜 전화번호를 상기 폰북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외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방법.
KR1019980060786A 1998-12-30 1998-12-30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KR100288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786A KR100288362B1 (ko) 1998-12-30 1998-12-30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786A KR100288362B1 (ko) 1998-12-30 1998-12-30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293A KR20000044293A (ko) 2000-07-15
KR100288362B1 true KR100288362B1 (ko) 2001-05-02

Family

ID=1956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0786A KR100288362B1 (ko) 1998-12-30 1998-12-30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63B1 (ko) * 1999-06-18 2003-07-22 주식회사 플로텍엔지니어링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100374565B1 (ko) * 2000-07-27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30018682A (ko) * 2001-08-30 2003-03-06 (주) 엘지텔레콤 액정 리모콘형 핸즈프리 키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40016052A (ko) * 2002-08-14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전화 원격 통화 및 제어 장치
KR100637552B1 (ko) * 2002-09-17 2006-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시디가 구비된 휴대폰용 이어마이크
KR100690709B1 (ko) * 2002-10-23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40037997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검색장치 및 방법
KR100452532B1 (ko) * 2002-11-12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및 통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293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942B1 (ko) 국가번호 및 지역번호 다이얼 방법.
KR100288362B1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KR100396283B1 (ko)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JP2002142006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61785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200202208Y1 (ko)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
KR100277070B1 (ko)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JP2001168973A (ja) 携帯電話装置
KR2003004424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의 훅 버튼을 이용한통화연결방법
KR20000047171A (ko) 전화기의 빈번히 사용되는 전화번호 표시방법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10018353A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이용한 기능 선택방법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KR20020078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수신시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KR10036964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313356Y1 (ko) 국선을 이용한 휴대폰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KR100986265B1 (ko) 에스엠에스에 의한 메시지 전송에 있어서 수신번호 입력방법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74960A (ja) 電話機におけるキャラクター選択方法
JP2001197188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KR19990052950A (ko)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