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649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649B1
KR100369649B1 KR10-2001-0010618A KR20010010618A KR100369649B1 KR 100369649 B1 KR100369649 B1 KR 100369649B1 KR 20010010618 A KR20010010618 A KR 20010010618A KR 100369649 B1 KR100369649 B1 KR 10036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ing
display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996A (ko
Inventor
최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64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마이크폰에 원격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이어잭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메뉴키 신호를 발생하는 제1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메뉴의 선택, 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의 선택 및 통화 종료 및 다이얼링 선택에 대한 선택신호와 데이터의 서치를 위한 서치신호를 발생하는 제2입력부와,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 원격 다이얼링 방법{REMOTE CONTROLLER AND DIALING METHOD FOR REMOTELY DIAL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마이크폰에 원격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분야는 급속도로 발전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모두 서비스할 수있는 IMT-2000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일인당 한 대의 비율로 보급되어 있다. 이렇게 이동통신이 보편화, 대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의 추가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에 연결되는 이어마이크폰에 원격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컨트롤러를 통해 다이얼링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이어잭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메뉴키 신호를 발생하는 제1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메뉴의 선택, 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의 선택 및 통화 종료 및 다이얼링 선택에 대한 선택신호와 데이터의 서치를 위한 서치신호를 발생하는 제2입력부와,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어잭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메뉴키 신호를 발생하는 메뉴키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메뉴의 선택, 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의 선택 및 다이얼링, 통화 종료 선택에 대한 선택신호와 데이터의 서치를 위한 서치신호를 발생하는 조그셔틀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는 원격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이 연결되면 원격 다이얼링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다이얼링 모드에서 이어잭을 통해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 신호가 메뉴키이면 원격 제어용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뉴 중 다이얼링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셔틀의 서치신호에 의해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선택신호 입력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이어마이크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컨트롤러를 이용한 원격 다이얼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이어마이크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은 마이크(MIC)와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 잭 사이에 원격 컨트롤러(110)를 구비한다. 상기 원격 컨트롤러(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5)와,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메뉴키 신호를 발생하는 메뉴키인 제1입력부(111)와 메뉴의 선택, 또는 상기 표시부(115)에 표시된 데이터의 선택 및 다이얼링, 통화 종료 선택에 대한 선택신호와 데이터의 서치를 위한 서치신호를 발생하는 조그셔틀로 구성되는 제2입력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21)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1)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이어폰으로 전송하고 표시데이터는 상기 표시부(115)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입력부(111) 및 제2입력부(113)에서 발생한 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도1에서 이어잭은 이동통신단말기로 표시데이터를 입력받는 포트와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을 송수신하는 포트와 입력부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포트를 구비해야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컨트롤러를 이용한 원격 다이얼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상기 도3을 참조하여 상기 원격 컨트롤러의 입력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이어잭이 연결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이어잭이 연결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원격 다이얼링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원격 다이얼링 모드에서는 상기 이어폰잭을 통해 입력되는 키신 호와 이동단말기 본체의 키패들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모두 체크한다. 이는 203단계와 205단계를 통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원격 다이얼링 모드에서 203단계로 진행하여 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키 신호가 이어폰잭을 통해 수신된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입력된 키 신호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이면 237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이어폰 잭을 통해 수신된 키 신호이면, 상기 키 신호가 메뉴키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된 키 신호가 메뉴키 신호이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원격제어용 메뉴 표시데이터를 원격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그러면 원격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하여 표시부(115)로 출력하여 상기 메뉴 데이터를 표시시킨다. 상기 메뉴가 표시부(115)에 표시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11단계와 227단계에서 전화번호부 검색 메뉴 또는 다이얼 기능 메뉴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21단계에서 전화번호부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의 전화번호부 영역 최상위 번지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읽어 상기 원격 컨트롤러의 표시부(115)로 전송하여 표시시킨다. 상기 초기 전화번호 데이터가 표시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조그셔틀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색신호는 정 검색신호와 부 검색신호가 있으면, 상기 검색신호들은 조그셔틀의 회전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217단계에서 조그셔틀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화번호부 영역의 전화번호들을 순차적으로 읽어 상기 원격 컨트롤러(110)의 표시부(115)에 표시시킨다. 상기 215단계에서 조그셔틀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나 또는 217단계 후에 이동통신단말기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통화신호는 상기 조그셔틀이 일정 시간 길게 눌려지면 발생하는 신호이다. 상기 통화신호가 상기 원격 컨트롤러(110)의 제2입력부(113)로부터 입력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통화신호 입력 시 표시부(115)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211단계에서 전화번호부 검색 메뉴가 선택되지 않고 직접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다이얼링 기능 메뉴가 선택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29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15)의 첫 자리에 숫자를 표시한다. 처음 표시되는 숫자는 "0"일 수 있다. 상기 숫자가 표시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31단계에서 조그셔틀이 일정 시간이상 길게 눌리는지 또는 233단계에서 조그셔틀이 상기 일정 시간 이내로 눌리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조그셔틀이 233단계에서 짧게 눌리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35단계에서 상기 조그셔틀이 눌렸을 때 표시부(115) 첫 번째 자리에 있는 숫자를 저장시키고 다음 자리로 이동한다.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에 의해 모든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사용자는 231단계에서 상기 조그셔틀을 길게 누를 것이다. 그러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2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부(115)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형성한다. 상기 과정들을 통해 통화로가 형성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23단계에서 조그셔틀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에는 길게 눌리는 짧게 눌리든 상관이 없다. 상기 223단계에서 조그셔틀이 눌리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를 차단하여 통화를 해지한다.
또한 상기 235단계 후에 이동통신단말기는 238단계로 진행하여 조그셔틀이 짧게 두 번 눌리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38단계는 이전에 입력된 숫자를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238단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조그셔틀이 짧게 두 번 눌리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229단계로 진행하고 조그셔틀이 짧게 두 번 입력되면 239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15)의 현재 커서 위치에서 이전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229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어마이크폰에 구비된 원격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가방 또는 주머니, 또는 운전 중에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직접 다이얼링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이어잭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메뉴키 신호를 발생하는 제1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메뉴의 선택, 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의 선택 및 통화 종료 및 다이얼링 선택에 대한 선택신호와 데이터의 서치를 위한 서치신호를 발생하는 제2입력부와,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컨트롤러 장치.
  2. 이어잭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해 메뉴키 신호를 발생하는 메뉴키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메뉴의 선택, 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데이터의선택 및 다이얼링, 통화 종료 선택에 대한 선택신호와 데이터의 서치를 위한 서치신호를 발생하는 조그셔틀과, 상기 이어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는 원격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잭이 연결되면 원격 다이얼링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다이얼링 모드에서 이어잭을 통해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 신호가 메뉴키이면 원격 제어용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뉴 중 다이얼링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셔틀의 서치신호에 의해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상기 선택신호 입력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링 메뉴는 전화번호부 검색을 통한 다이얼링 메뉴와 전화번호 직접 입력에 의한 다이얼링 메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부 검색을 통한 다이얼링 메뉴 선택 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부 영역 최상위 번지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치신호에 의해 상기 전화번호부 영역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신호에 의해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로 다이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직접 입력을 통한 다이얼링 메뉴 선택 시 상기 표시부의 첫 번째 자리에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서치신호에 따라 상기 숫자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숫자를 선택하고 표시부에 자리를 하나 이동하여 숫자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반복 수행 중에 상기 선택신호가 일정시간 입력되면 상기 선택신호의 일정 시간 이상 입력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10618A 2001-02-28 2001-02-28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KR10036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618A KR100369649B1 (ko) 2001-02-28 2001-02-28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618A KR100369649B1 (ko) 2001-02-28 2001-02-28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96A KR20020069996A (ko) 2002-09-05
KR100369649B1 true KR100369649B1 (ko) 2003-01-29

Family

ID=2769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618A KR100369649B1 (ko) 2001-02-28 2001-02-28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542B1 (ko) 2006-08-14 200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 목록표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542B1 (ko) 2006-08-14 200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 목록표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96A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1516B1 (en) Multiple-mode cellular telephone control device
US6212409B1 (en) Multifunction earphone-microphone device
KR100288362B1 (ko) 외부 이어폰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 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및 그 방법
KR10036964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다이얼링을 위한 원격 컨트롤러 및원격 다이얼링 방법
JP2000059482A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0622838B1 (ko) 무선 장치의 메뉴 시스템
KR10061785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1007157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KR1003745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6919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KR100711715B1 (ko) 핸즈프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152873B2 (ja) 携帯電話機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2003004424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의 훅 버튼을 이용한통화연결방법
JP3942281B2 (ja) 携帯電話機
KR10082707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KR1008413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KR100452532B1 (ko)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및 통화방법
KR100244970B1 (ko) 송출 제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통화 장치
KR20030037162A (ko) 근거리 무선 터미널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문자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전화를 거는 방법
KR20040033370A (ko)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
KR19980075005A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표시방법
KR20010009007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어로우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수정방법
JP2001245349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呼出方法及び該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1245065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音声呼出方法及び該音声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