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370A -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370A
KR20040033370A KR1020020062432A KR20020062432A KR20040033370A KR 20040033370 A KR20040033370 A KR 20040033370A KR 1020020062432 A KR1020020062432 A KR 1020020062432A KR 20020062432 A KR20020062432 A KR 20020062432A KR 20040033370 A KR20040033370 A KR 20040033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range wireless
wireless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3370A/ko
Publication of KR2004003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3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원격 조정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유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연결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 또는 상기 단말기 연결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버튼부와, 상기 단말기 연결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연결이 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연결부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하는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손에 들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keypad)를 조작하여 착발신 통화를 하는 방식과, 차량용 핸즈프리(handsfree) 장치와 같은 거치대를 이용하여 착발신 통화를 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한 방식들은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손으로 접촉해서 조작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좀더 진보된 통화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헤드셋(headset)에 구비되어 있는 간단한 키 버튼을 조작하여 착신 통화나 간단한 형태의 발신 통화 예를 들면 리다이얼(redial) 통화를 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드셋을 통한 통화방식은 좀더 복잡한 형태의 발신 통화나 문자메시지의 수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헤드셋을 장착한 상태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직접 조작해서 통화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가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복합 단말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는 크기가 더 커지게 된다. 크기가 큰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단말기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가 부담이 되어 가방에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종래의 헤드셋을 통한 통화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복잡한 형태의 발신 통화나 문자메시지의 수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직접 조작하기 위해 가방을 열고 다시 단말기를 꺼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통화 기능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원격 조정할 수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기능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유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연결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 또는 상기 단말기 연결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버튼부와, 상기 단말기 연결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연결이 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연결부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들을 부여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정하는 장치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헤드셋 사이에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조정함으로써 착발신 통화시 또는 메시지 수신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직접 조작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와 상기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헤드셋(headset)(100)과 상기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113)는 메모리(11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3)는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 연결부(116)가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이어잭 연결부(122)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 연결부(116), 이어잭 연결부(122), 메모리(112), 조정 버튼부(114) 및 표시부(115)로 구성되는 유선 제어 경로를 통해 유선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11)와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21) 간에 무선 링크가 형성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 후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11),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21), 메모리(112), 조정 버튼부(114) 및 표시부(115)로 구성되는 무선 제어 경로를 통해 무선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 (113)는 유선 제어 모드인 경우에는 통화 음성신호가 이어젝 연결부(122)와 단말기 연결부(116)와 헤드셋 연결부(117)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20)와 헤드셋(100) 간에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무선 제어 모드인 경우에는 통화 음성신호가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들(111 및 121)과 헤드셋 연결부(117)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20)와 헤드셋(100) 간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의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11)는 제어부(113)의 제어 동작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21)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례로,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들은 불루투스(Bluetooth) 방식에 따라 인콰이어리(inquiry) 과정과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하여 서로간에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21)는 조정 버튼부(114)의 조작 상태에 따라 발생된 신호를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21)로 전송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저장되어 있는 폰북(phone book)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수신되는 통화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21)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폰북 정보에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 정보와 전화번호 정보 등이 있다.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21)는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11)와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121)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외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내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메모리(112)는 제어부(113)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폰북 정보를 제어부(113)의 제어동작에 따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조정 버튼부(114)는, 사용자가 표시부(115)를 보면서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 정보를 선택할 수 해주는 메뉴키 및 조그다이얼과,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ON/OFF 키와, 상기 메뉴키 및 조그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전송하게 해주는 전송(SEND)키와, 상기와 같은 키들을 잠그는 역할을 하는 잠금키로 구성되어 진다.
표시부(115)는 조정 버튼부(114)의 조작상태와 제어부(113)의 제어동작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폰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잭 연결부(115)는, 이어잭 연결부(122)와 유선으로 연결되어지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들(111 및 121)을 대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10)와 이동통신 단말기(120) 사이의 신호 송수신 경로의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120)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메뉴키를 누른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조그 다이얼을 우측으로 돌려서 커서를 문자메시지 확인 아이콘에 위치시킨 후 조그 다이얼을 클릭하게 된다. 그러면, 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이 표시부(115)에 표시되어지며, 이때 사용자가 조그 다이얼을 조작하여 수신된 수신메시지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헤드셋과 이동통신 단말기사이에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서도 착발신 통화를 할 수 있고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서도 착발신 통화를 하거나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원격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유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연결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 또는 상기 단말기 연결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버튼부와,
    상기 단말기 연결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연결이 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연결부를 통해 유선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폰북 정보 및 문자메시지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버튼부가 잠금키와, 메뉴키와, 조그 다이얼과, 온/오프(ON/OFF) 키와, 전송(SEND) 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송수신부의 통신 방식이 불루투스(BLUETOOTH) 방식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LCD(Liquid Crystal Display)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20062432A 2002-10-14 2002-10-14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 KR20040033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432A KR20040033370A (ko) 2002-10-14 2002-10-14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432A KR20040033370A (ko) 2002-10-14 2002-10-14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370A true KR20040033370A (ko) 2004-04-28

Family

ID=3733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432A KR20040033370A (ko) 2002-10-14 2002-10-14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33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64B1 (ko) * 2005-05-25 2007-05-07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KR20150052519A (ko) 2013-11-06 2015-05-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매장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원격 체험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64B1 (ko) * 2005-05-25 2007-05-07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KR20150052519A (ko) 2013-11-06 2015-05-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매장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원격 체험을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233B1 (ko) 블루투스 휴대기기의 발신 장치 및 방법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JP2009218671A (ja) ヘッドセット装着傘、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ヘッドセット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KR200194768Y1 (ko) 배경화면 선택이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KR20040033370A (ko)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 원격 조정 장치
KR20030032457A (ko)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JP2005323265A (ja) 無線通信機能付ヘッドセット及び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50119025A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80069836A (ko)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3745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663537B1 (ko) 블루투스 이동통신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070092847A (ko) 블루투스 휴대기기에서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365778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통화 발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200218536Y1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20040099636A (ko)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630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
KR20030056437A (ko) 통신단말기의 무선키보드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KR20020068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30037162A (ko) 근거리 무선 터미널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문자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전화를 거는 방법
KR2004003801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에이젠트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44595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메시지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