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838B1 - 무선 장치의 메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장치의 메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838B1
KR100622838B1 KR1020007002993A KR20007002993A KR100622838B1 KR 100622838 B1 KR100622838 B1 KR 100622838B1 KR 1020007002993 A KR1020007002993 A KR 1020007002993A KR 20007002993 A KR20007002993 A KR 20007002993A KR 100622838 B1 KR100622838 B1 KR 100622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unction
wireless device
functions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247A (ko
Inventor
모엘러스테판
무르가스한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4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2Menu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장치(1), 특히 이동 전화기 또는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무선 장치는 간단한 조작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 장치(1)의 조작 스크린에서는 조작 기능이 호출 가능하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또는 제 2 동작 모드(5, 10)가 제공된다. 제 1 동작 모드(5)에서 호출 가능한 모든 조작 기능은 또한 제 2 동작 모드(10)에서 실행 가능하다. 제 2 동작 모드(10)에서는 제 1 동작 모드(5)에서 호출 불가능한 부가의 조작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무선 장치(1)의 모든 조작 기능이 호출 가능한 동작 모드(15)가 제공된다.
무선 장치, 조작 기능, 동작 모드, 이동 전화기, 무선 전화기.

Description

무선 장치의 메뉴 시스템{Menu system for a radio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작 스크린에 호출 가능한 조작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무선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무선 장치는 종래의 무선 장치와는 달리 장점, 즉 무선 장치의 모든 조작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를 위해 조작이 단순화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한정된 조작 기능 범위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서 조작 메뉴에서 시간이 걸리는 선택 과정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 기능 범위 내에서 원하는 조작 기능을 보다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를 위한 명료성이 증가한다. 상이한 조작 기능 범위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 모드에 의해, 무선 장치의 조작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에 의해 독립 청구항에 제시된 무선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제 1 동작 모드에서 기본 전화 기능(base telephone function), 특히 전화 네트워크(telephone network)를 통한 가입자의 선택, 걸려온 전화의 수신 그리고 전화번호부 메모리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기능, 그리고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기본 전화 기능에 대해 부가적인 조작 기능, 즉 편리한 전화 기능, 특히 호출 전송(call forwarding) 및/또는 데이타 텔레그램(data telegram)의 송신과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기본 전화 기능을 위한 기본 조작 기능 범위와 그리고 기본 전화 기능과 부가의 편리한 전화 기능을 위한 추가 조작기능 범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편리한 전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기본 전화 기능을 갖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선택을 위한 조작 기능의 수가 적어지고, 명료성이 더 커지므로, 조작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 3 동작 모드가 제공되고, 상기 제 3 동작 모드에서는 제 2 동작 모드에 비해, 부가적으로 다른 조작 기능, 즉 순수한 전화 기능을 넘어, 특히 계산기, 시계, 자명종, 인터넷(internet)-접속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이한 기능 범위를 구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선택 가능한 조작 범위가 사용자의 요구에 더 양호하게 부합됨으로써, 사용자를 위한 명료성과 조작의 편리성이 더욱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장치의 블록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장치에서 평가 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은 예를 들어서 이동 전화기 또는 무선 전화기로 형성된 무선 장치(1)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무선 장치는 본 발명에 중요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회로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무선 장치(1)는 입력 유니트(20)와 평가 유니트(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입력 유니트(20)를 통해서 사용자가 평가 유니트(25)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장치(1)가 세개의 가능한 동작 모드(5, 10, 15) 중 하나로 동작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유니트에는 상기 세개의 동작 모드(5, 10, 15) 가운데서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당한 조작 요소(30)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조작 요소(30)는 예를 들어서 회전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회전 스위치는 세개의 위치(I, II, III)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조작 요소(30)는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개의 서로 다른 동작 모드(5, 10, 15)는 조작 요소(30)의 상이한 길이의 작동 지속 시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세가지 동작 모드(5, 10, 15) 각각에 대해 적합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고유의 조작 요소가 입력 유니트(input unit)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 요소(3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당업자에 의해 가능하다. 제 3 동작 모드(15)는 무선 장치(1)의 모든 조작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제 2 동작 모드(10)는 제 1 동작 모드(5)에서 호출 가능한 모든 조작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부가적으로, 제 2 동작 모드(10)에서는 제 1 동작 모드(5)에서 호출되거나 활성화될 수 없는 조작 기능도 활성화될 수 있다. 제 2 동작 모드(10)에서 이미 무선 장치(1)의 모든 조작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 3 동작 모드(15)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도 1에서 제 3 동작 모드(15)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1 동작 모드(5)는 전화 네트워크를 통한 가입자의 선택, 걸려온 전화의 수신 및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전화 번호부 메모리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이다. 따라서, 제 1 작동 모드(5)는 이동 또는 무선 전화의 기본 전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동작 모드(10)에서는 제 1 동작 모드(5)에서 활성화 가능한 조작 기능 이외에도 부가적으로 다른 조작 기능,예를 들면 호출 전송 및/또는 데이타 텔레그램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여 편리한 전화 기능을 형성하는 조작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동작 모드를 선택하느냐 또는 제 2 동작 모드(5, 10)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동작 모드(5)에서 한정된 조작 기능 범위로 인해 보다 신속히 선택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기본 전화 기능으로 충분한지, 아니면 기본 전화 기능 이외에 편리한 전화 기능을 원해서, 제 2 동작 모드(10)를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 전화 기능이란 예를 들어서 전화 네트워크를 통한 가입자의 선택, 걸려온 전화의 수신 그리고 전화 번호부 메모리의 이용을 의미한다. 그 밖의 기본 전화 기능, 예를 들어서 단축 다이얼, 재 다이얼 등도 제 1 동작 모드(5)의 기능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호출 전송 및/또는 데이타 텔레그램의 송신과 수신 이외에도 제 2 동작 모드(10)에서 다른 편리한 전화 기능, 예를 들어서, 통화중 대기, 전화 회의 등이 실현될 수 있다.
데이타 텔레그램의 송신과 수신은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에 따른 소위 단축 메시지(short ma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2 동작 모드(10)가 무선 장치(1)의 실현 가능한 모든 조작 기능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면, 사용자는 제 3 동작 모드(15)의 선택을 통해서 무선 장치(1)를 범용(universal)으로, 즉 실현 가능한 모든 조작 기능, 예를 들어서 계산기, 시계, 자명종, 인터넷-접속, 메모 기능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장치(1)의 기능 범위가 선택된 동작 모드(5, 10, 15)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짐으로써, 사용자는 항상 가장 신속하게 그리고 최대의 명료함으로 필요한 조작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평가 유니트(25)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 포인트(100)에서는 조작 요소(30)가 작동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조작 요소(30)가 작동되었다면, 프로그램 포인트(105)로 진행하게 되며, 조작 요소(30)가 작동되지 않았다면, 프로그램 포인트(100)로 다시 되돌아 간다. 프로그램 포인트(105)에서는 제 3 동작 모드(15)가 조작 요소(30)를 통해서 선택되었는지, 다시 말해서 조작 요소(30)가 위치(III)로 접속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긍정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포인트(110)로 진행하게 되며, 부정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포인트 (115)로 진행하게 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10)에서는 무선 장치(1)의 조작 스크린에 무선 장치(1)의 모든 조작 기능이 선택과 활성화를 위해서 제공되며, 예를 들어 기능 범위에 따라서 호출 가능한 서브 메뉴(submenu)를 포함할 수 있는 적합한 선택 메뉴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무선 장치(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그램의 일부가 종료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15)에서 조작 요소(30)가 위치(II)로 이동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긍정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포인트(120)로 진행하게 되며, 부정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포인트(125)로 진행하게 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20)에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조작 메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조작 메뉴는 기능 범위에 따라 선택 가능한 서브 메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전화 기능의 선택과 활성화, 다시 말해서 기본 전화 기능 뿐만 아니라 편리한 전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순수한 전화 사용을 넘는 무선 장치(1)의 조작 기능, 예를 들어서 계산기, 시계, 자명종, 인터넷 접속, 메모장 기능 등은 선택될 수 없다. 순수한 전화 사용을 넘어서는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은 단지 제 3 동작 모드(15)에서만 선택 및 활성화될 수 있다. 프로그램 포인트(120) 이후에는 프로그램의 일부가 종료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25)에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무선 장치(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 메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선택 메뉴에서 사용자는 가입자의 선택, 걸려온 전화의 수신, 전화번호부 메모리 이용, 단축 다이얼링과 같은 다양한 기본 전화 기능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선택할 수 있다. 평가 유니트(25)는, 조작 요소(30)가 위치(I)에 놓여졌기 때문에, 제 1 동작 모드(5)가 선택되었고 편리한 전화 기능, 예를 들어서 호출 전송 및/또는 데이타 텔레그램의 송신과 수신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한다. 편리한 전화 기능은 제 2 동작 모드(10) 또는 제 3 동작 모드(15)에서만 실행 및 활성화될 수 있다. 프로그램 포인트(125) 이후에 프로그램의 일부가 종료된다.

Claims (8)

  1. 입력 유닛(20) 형태의 조작 스크린과 상기 조작 스크린에 호출 가능한 조작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 스크린은 무선 전화(1)의 조작 기능을 선택 및 활성화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입력 유닛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30)가 선택 유닛(25)을 통해 설정될 수 있는 상이한 기능 범위를 가진 다수의 동작 모드(5,10,15)를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들(5,10)이 제공되며, 각각의 선택 메뉴는 상응하는 동작 모드의 기능 범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제 1 동작 모드(5)에서 호출 가능한 모든 조작 기능은 제 2 동작 모드(10)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고, 제 2 동작 모드(10)에서는 제 1 동작 모드(5)에서 호출될 수 없는 조작 기능이 추가로 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전화(1)의 모든 조작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동작 모드(15)가 제공되며, 상기 무선 전화(1)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30)를 통해, 상기 선택 유닛(25)에 의해 설정 가능한 상이한 동작 모드들(5,10,15)간의 선택에 있어서 방금 선택된 동작 모드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모드(5)에서는 기본 전화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동작 모드(10)에서는 기본 전화 기능에 부가해서 편리한 전화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기능이 활성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화 기능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한 가입자의 선택, 걸려온 전화의 수신 및 전화 번호부 메모리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리한 전화 기능은 호출 전송 및/또는 데이타 텔레그램의 수신 또는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작 모드(10)는 무선 장치(1)의 모든 조작 기능이 활성화 가능한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동작 모드(15)가 제공되며, 상기 제 3 동작 모드(15)에서는 제 2 동작 모드(10)에 비해, 순수한 전화 기능을 넘는 다른 조작 기능이 부가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조작 기능은 계산기, 시계, 자명종 및/또는 인터넷-접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동작 모드(15)는 상기 무선 장치(1)의 모든 조작 기능이 활성화 가능한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KR1020007002993A 1997-09-29 1998-08-20 무선 장치의 메뉴 시스템 KR100622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2851A DE19742851A1 (de) 1997-09-29 1997-09-29 Funkgerät
DE19742851.7 1997-09-29
PCT/DE1998/002435 WO1999017514A1 (de) 1997-09-29 1998-08-20 Funkgerät menü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247A KR20010040247A (ko) 2001-05-15
KR100622838B1 true KR100622838B1 (ko) 2006-09-12

Family

ID=784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993A KR100622838B1 (ko) 1997-09-29 1998-08-20 무선 장치의 메뉴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59912B1 (ko)
EP (1) EP1021904A1 (ko)
JP (1) JP2001518752A (ko)
KR (1) KR100622838B1 (ko)
CN (1) CN1164138C (ko)
DE (1) DE19742851A1 (ko)
TW (1) TW389015B (ko)
WO (1) WO1999017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5070B2 (en) * 2002-01-30 2007-12-04 At&T Labs, Inc. Sequential presentation of long instructions in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KR100677342B1 (ko) * 2004-07-3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환경 설정방법
US7967215B2 (en) * 2008-04-18 2011-06-28 Vivotech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pporting multiple contactless applications using different security keys
KR101828306B1 (ko) * 2011-10-18 2018-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5200A2 (en) * 1988-10-19 1990-04-25 AT&T Corp.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 modification
US5386460A (en) * 1993-01-04 1995-01-31 At&T Corp. Feature configurable telephon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2393A (en) 1984-07-07 1986-01-29 Plessey The Company Plc Communication apparatus
CA2157623C (en) * 1994-09-20 1999-12-21 Lars Stig Sorens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adio communication menu
DE19537372B4 (de) * 1995-10-06 2007-06-21 Siemens A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Steuerung von in einer optischen Anzeigeeinrichtung anzuzeigenden Informationen
US6144863A (en) 1996-11-26 2000-11-07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screen comprising a menu which can be customized by a user
US6285364B1 (en) * 1997-06-03 2001-09-0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internet and telephone information
US6169911B1 (en) * 1997-09-26 2001-01-02 Sun Microsystem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le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5200A2 (en) * 1988-10-19 1990-04-25 AT&T Corp.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 modification
US5386460A (en) * 1993-01-04 1995-01-31 At&T Corp. Feature configurable telephon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59912B1 (en) 2002-10-01
CN1271490A (zh) 2000-10-25
WO1999017514A1 (de) 1999-04-08
KR20010040247A (ko) 2001-05-15
DE19742851A1 (de) 1999-04-01
CN1164138C (zh) 2004-08-25
TW389015B (en) 2000-05-01
EP1021904A1 (de) 2000-07-26
JP2001518752A (ja) 200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8523B2 (ja) ブックマークリスト表示方法、及び携帯電話機
EP1107544A2 (en) Method of defining soft-keys for user selection of desired function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20323A (ko)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WO2008038489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procédé de communication et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KR100622838B1 (ko) 무선 장치의 메뉴 시스템
US20040102209A1 (en)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by means of a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00307706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履歴表示方法
JP2003143264A (ja) 携帯通信端末
KR1005306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사칙연산 수행 방법
JP2000236385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122591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413625B1 (ko) 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제한방법과, 착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착신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20020078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수신시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KR2005004319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전송 방법
WO2004102937A1 (en) Input mechanism
KR100469723B1 (ko) 키폰시스템에서키폰전화기의더미기능수행방법
KR100244970B1 (ko) 송출 제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통화 장치
KR20020068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0000051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20010081834A (ko) 전화기를 이용한 발신 번호 자동 전환 방법
KR100295754B1 (ko) 전화통신시스템의호전환방법
KR0184468B1 (ko) 무선전화기에서 내선통화나 외부통화시 통화전환방법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