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323A -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323A
KR20010020323A KR1019997009931A KR19997009931A KR20010020323A KR 20010020323 A KR20010020323 A KR 20010020323A KR 1019997009931 A KR1019997009931 A KR 1019997009931A KR 19997009931 A KR19997009931 A KR 19997009931A KR 20010020323 A KR20010020323 A KR 20010020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
input
display
display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855B1 (ko
Inventor
하루미 야마기쉬
제이슨 케니지
Original Assignee
밀러 제리 에이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러 제리 에이,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밀러 제리 에이
Publication of KR2001002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행될 다양한 옵션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을 이용하는 셀룰러 전화(10)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전화의 디스플레이부(14)상의 특정 옵션 리스트 메뉴(옵션 그룹)를 소환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을 누른다. 다이얼 셔틀(20)이 눌려진 상태가 되면, 장치의 현재 작동 모드와 연관되며 메모리(22, 25)에 저장되어 있는 옵션 그룹 중의 하나가 회수되는데, 여기에서 저장된 옵션 그룹 각각은 해당 작동 모드와 연관되며 또한 해당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다수개의 기능들을 포함한다. 현재 작동 모드는 전화 호출이 발생했는 지뿐만 아니라 셀룰러 전화(10)에 입력된 디지트 번호에도 관계한다. 검색된 옵션 그룹은 디스플레이되고, 다이얼 셔틀(20)은 디스플레이된 기능들 중에서 수행할 한 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Description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ONS USING A DIAL SHUTTLE}
셀룰러 전화, 개인용 통신 장치(예를 들어 PCS), 및 다른 유사한 제품들에 대한 사용이 매일 증가하고 있다. 현재 상기와 같은 휴대용 장치(이하 "셀룰러 전화"라고 간단하게 언급하기로 함)의 크기를 축소시키려고 대단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셀룰러 전화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기술 중에는 배터리를 더욱 작은 것을 사용하거나, 내부 회로의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또는 고정 안테나 대신에 접어 넣은 형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른 기술로는 입력 키들의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이들 입력 키들간의 간격을 줄이는 것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입력 키들의 크기가 작아지고 또한 키들간의 간격이 더욱 좁혀질수록, 이들 키에 대한 사용, 그래서 셀룰러 전화의 사용이 점점 상당히 어려워지고 있다.
키를 적당한 크기로 유지하면서 셀룰러 전화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다른 기술로서는 필요한 입력 키들의 개수를 축소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서 잘 알려진 한 기술로는 한 개의 동일한 입력 키(예를 들어 "2" 키)에 다수의 기능을 지정하는 것으로서, 셀룰러 전화의 특정 모드에서 한 개의 특정키를 사용자가 누르면 한 개의 동작이 발생하고, 다른 작동 모드에서 그 키가 눌려지면 다른 동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숫자 식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셀룰러 전화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한 개 이상의 작동 모드에서 입력 키들(0-9)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문자, 숫자, 특별 기호나 그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식별 이름을 입력하도록 해주는데, 동일한 상기 입력 키들은 다른 작동 모드에서는 전화 번호(예를 들어 숫자만)를 입력시키는데 사용된다. 다른 한 예로서는, "*" 및 "#" 키들은 전화 번호에서 "*" 및 "#" 기호(예를 들어 멈춤을 나타냄)를 입력시키고 또한 사전에 저장된 전화 번호 리스트를 포함한 다양한 리스트에서 스크롤링하는 일을 둘다 하는데 사용된다. 한 개의 동일한 키에 다수의 기능을 "지정"하는 것은 셀룰러 전화의 전면부에 필요한 입력 키 개수를 감소시키게 하여, 셀룰러 전화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게 해주는데, 그 정도로 줄일 수 있는 것보다 더욱 많이 셀룰러 전화의 크기를 축소시켜야 하기에, 셀룰러 전화 장치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증가시키지 않게 하면서 필요한 입력 키 개수라도 최소한 감소시켜야 하는 필요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셀룰러 전화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얼 셔틀을 이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셀룰러 전화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이얼 셔틀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의 전면부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작동 모드에서 다이얼 셔틀의 작동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테이블에 관한 도면.
도 4는 다이얼 셔틀을 이용해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전화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 및 디스플레이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룰러 전화의 전면부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장치의 불충분한 점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다이얼 셔틀을 이용해서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옵션을 선택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을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입력키를 두면서도 사용하기가 여전히 간편한 통신 터미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외의 다른 다양한 목적, 장점, 특징을 쉽게 알 수 있으며, 새로운 특징들에 대해서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특히 언급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자면, 사용자가 통신 터미널 장치의 현재 작동 모드에서 입력 수단이나 스위치(예를 들어 다이얼 셔틀)를 통해 적합한 입력을 입력(예를 들어 누름)하고, 통신 터미널 장치의 현재 작동 모드와 연관된 다수개의 옵션 그룹에서 한 개에 해당하는 옵션 리스트 데이터를 회수하고, 사용자가 입력 스위치를 스위칭 했을 때에 현재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검색된 옵션 그룹에서 최소한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저장된 옵션 그룹 각각은 통신 터미널 장치의 해당 작동 모드에 연관되고, 상기 옵션 그룹 각각은 해당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으로서는, 해당 작동 모드와 연관된 옵션 그룹 각각은 해당 작동 모드에서 사용되는 기능들만을 포함하는 작동 모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는, 현재 작동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및 장치가 콜 모드에서냐 또는 대기 모드(standby mode)에서 작동중이라는 것으로부터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는,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의 확인된 기능은 입력 스위치가 두 번째로 스위칭될 때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는,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에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은 리스트가 초기에 디스플레이 될 때에 초기 선택된다.
상기 양상에 대한 한 특징으로서는,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에서 가장 자주 선택된 기능에 인접한 두 개의 기능들이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가장 많이 선택되는 기능으로서 옵션 그룹을 한번만 스크롤이 업 또는 다운함으로써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옵션 그룹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옵션 리스트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부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꼭 그것으로만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한 특징부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 첨부 도면과 연관하여 가장 잘 이해가 될 것이다.
이제부터 도면에 참조하자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전화(1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러 전화(10)는 제어기(12), 액정 디스플레이(LCD)(14), LCD 드라이버 회로(16), 입력 키부(18), 조그 다이얼(20)(또한 여기에서 다이얼 셔틀이라고 언급함), ROM(22), RAM(24), EEPROM(25), 송신/수신 회로(26) 및 안테나(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기(12)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24)과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와 같이 프로그램 가능 셋팅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25)을 사용하고, ROM(22)에 저장되어 있는 영구 저장 동작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셀룰러 전화의 대부분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키부(18) 및 조그 다이얼(20)은 셀룰러 전화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선택을 하게 해주는 수단으로서 이루어진다(이하에서 더욱 설명됨). LCD 드라이버(16)는 제어기(12)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디스플레이부(14)를 구동시킨다. 송신/수신 회로(16)는 안테나(28)를 통해서 RF 신호를 셀룰러 전화 기지국(미도시됨)으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및 수신한다. 송신/수신 회로(26)와, LCD 드라이버(16)와, 및 안테나(28)의 구조 및 동작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대한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있지만 그것들에 대하여 더 이상의 설명은 여기에서 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가 여기에서 액정 디스플레이(LCD)로서 설명되고 있지만,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언급이 되는대로, 본 발명은 셀룰러 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PCS 장치, 호출기, 원격 제어기(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나 VCR 등과 같은 것에 사용하는 것), 개인용 전자 이동 서류첩을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이동 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다른 종류의 이동 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전화(10)의 전면부(32)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그 전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키(18), 다이얼 셔틀(20), 디스플레이부(14) 및 스피커(30)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면부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 도시한 것으로서 접는 방식의 안테나(28)이다. 셀룰러 전화(10)의 전면부(32)에는 또한 사용자가 거기에다 대고 말을 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됨)이 포함되어 있는데, 마이크로폰은 셀룰러 전화의 접는 방식으로 확장되어 있는 개별적인 것으로나 또는 "플립" 뚜껑 형태로 제공된다. 안테나(28), 스피커(30), 및 마이크로폰의 동작 및 기능은 당업계에서 잘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대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 키(18)에는 숫자 입력 키들(0-9), "#" 키, "*" 키, "송신(SEND)" 키, "종료(END)" 키, "삭제(CLEAR)" 키 및 "전원(POWER)" 키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키들은 모든 셀룰러 전화에 일반적으로 있는 것들이며, 따라서 해당 기능 및 설계는 당업계에서 잘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이얼 셔틀(20)은 사용자에 의하여 위로나 아래로 또는 눌려진 포지션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최소한 세 가지의 포지션으로 스위칭될 수 있도록 적합한 스위치로서 다이얼 셔틀(20)이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다이얼 셔틀(20)은 사용자에 의하여 위와 아래 또는 눌려진 포지션으로 용이하게 움직이는데, 상기 스위치는 눌려지게 되면 사용자에게 눌려졌다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클릭"소리를 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다이얼 셔틀(20)이 위와 아래 포지션으로 움직이는 대신에 오른쪽과 왼쪽으로 움직이게 만들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설명을 하고 있는 다이얼 셔틀(20)은 위와 아래 및 눌려진 포지션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이얼 셔틀(20)은 사용자가 위나 아래 포지션으로 다이얼 셔틀을 움직이게 하면 디스플레이부(14) 상에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메뉴들을 스크롤링하도록 동작하며, 또한 다이얼 셔틀(20)이 눌려지게 되었을 때에 셀룰러 전화의 그 다음 실행을 위하여 반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된 메뉴에서 특정 조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다이얼 셔틀(20)은 디스플레이된 메뉴에서 스크롤링이나 입력선택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에 따라서는, 다이얼 셔틀(20)이 움직이게 되면(예를 들어 눌려지거나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여짐), 셀룰러 전화(10)의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특정 메뉴가 디스플레이부(14)에 디스플레이되고(이하에서 설명될 것임), 디스플레이된 메뉴에서 반전된 제 1 입력은 가장 빈도가 높게 사용을 하는 입력에 해당한다(이것도 역시 나중에 설명될 것임).
다이얼 셔틀(20)을 이용한 셀룰러 전화(10)의 동작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다이얼 셔틀(20)이 셀룰러 전화의 다양한 여러 가지 모드에서 이동이 되거나 눌려지게 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서로 다른 메뉴들을 도시한다.
도 3a에서도 특히 거기에 도시된 경우 1에 대하여 우선 설명을 하자면, 경우 1에서의 옵션 리스트(여기에서 "옵션 그룹"이라고도 언급함)는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부(14)에 대한 크기 제한 때문에 일부만 디스플레이되기도 함)되며, 또한 셀룰러 전화의 대기 모드(도 3a 및 도 3b에서 "상황(CONTEXT)"이라고 언급됨)에서 세 개 이상의 디지트를 이미 사용자가 입력시켰을 때에 선택되는 특정 메뉴 옵션들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호출이 발생하기 전에(또는 호출이 종료되고 나서), 만약에 사용자가 예를 들어 디지트 키들로 이루어진 키부(18)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그런 다음에 다이얼 셔틀(20)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14)는 (제어기(12)로부터의 해당 제어 신호와 드라이버(16)로부터의 해당 구동 신호에 의하여)구동되어 도 3a에 도시된 경우 1에 해당하는 옵션 리스트(그룹)를 디스플레이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이얼 셔틀(20)이 위나 아래 위치로 이동하거나 눌려진 경우에, 경우 1의 옵션 리스트도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 설명하는 부분이 옵션 그룹(다시 말해서 옵션 리스트) 각각이 텍스트로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각 옵션 그룹은 아이콘이나 기능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해서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의 각 옵션을 그래픽 표시 형태로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경우 1의 옵션 리스트는 세 개 이상의 디지트가 대기 모드에서 전화로 입력되었을 때에 해당 상황(즉 "상황(context)"에 따름)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선택가능 기능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에서 세 개 이상의 디지트가 이미 입력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특정 기능들로서는, 입력되는 디지트를 포함하는 저장된 전화 번호를 탐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번호 찾기(FIND NUMBER)", 입력된 번호를 다이얼링 호출하는 기능을 나타내는("송신" 키의 기능과 동일함) "송신", 입력된 번호를 "전화 번호부"에 저장하는(예를 들어, EEPROM에 저장됨) 기능에 해당하는 "저장", 전화 번호에 멈춤(pause) 표시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멈춤 입력(ENTER PAUSE)", 링크 표시를 입력시키는 기능을 나타내는 "링크 입력"(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전화 번호부의 위치 번호를 입력, 및 입력된 전화 번호에 "하이픈(-)" 표시를 입력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하이픈 입력"(일반적으로 전화번호를 더욱 판독하기 쉽게 할 목적을 가짐)이 있다. 경우 1의 옵션 리스트는 실시예적인 것이며, 대기 모드에서 최소한 세 개의 디지트를 사용자가 입력한 후에 사용되는 다른 기능들도 포함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경우 1의 옵션 리스트는 대기 모드에서 세 개 이상의 디지트를 사용자가 입력시킨 후에 절대로 선택될 수 없는 입력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호출 "종료" 기능이나 소리죽임(mute) 기능은 호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선택되지 않는 것들이어서, 경우 1의 옵션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3a의 경우 2로 표시된 제 2 작동 모드는, 대기 모드에서 셀룰러 전화로 단지 한 개나 두 개의 디지트만을 입력했을 때에 진입된다. 상기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도 3a에 도시된 경우 2에 해당하는 옵션 리스트는 다이얼 셔틀(20)이 눌려지면 디스플레이부(14)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옵션 리스트는 "위치 해당번호 리콜(Recall Loc#)"과, "송신"과, "저장"과, "멈춤 입력"과, "링크 입력"과, 및 "하이픈 입력"과 같은 선택가능 옵션들이 포함된다. "위치 해당번호 리콜(Recall Loc#)" 옵션은, 입력된 주소로서 저장하고 있는 전화 번호부로부터(즉, 사용자가 입력한 한 개나 두 개의 디지트로 이루어진 주소로부터) 전화 번호를 리콜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며, 경우 2의 다른 옵션들은 이전에 설명했다. 경우 1의 옵션 리스트를 경우 2의 옵션 리스트와 비교하면, 경우 1의옵션 리스트에 "해당 위치 번호 리콜" 선택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왜냐하면 셀룰러 전화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공급한 전화 번호들을 저장하기 위하여 단지 99개의 장소만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경우 2는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가 한 개 또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디지트를 입력했을 때의 상황을 표시하며, 여기서 셀룰러 전화(10)는 100개 이상의 메모리 장소에 100개 이상의 사용자가 공급한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것을 허용하여, 결과적으로 경우 2에서 3 디지트 메모리 장소로부터 전화 번호의 회수가 가능하게 된다("해당 위치 번호 리콜"이 선택되었을 때에).
셀룰러 전화(10)의 특정 모드 즉 "상황"에 기초한 선택가능 옵션들을 구비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더불어서, 본 발명은 다이얼 셔틀(20)이 눌려졌을 때에 처음 선택된(즉, 리스트에서 "반전"되어 있지만 아직 실행은 안되었음) 특정 옵션이 옵션 리스트에서 가장 선택의 빈도수가 높은 것에 해당하게 또한 제공한다. 도 3a의 경우 1에 참조해서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가 대기 모드에서 세 개 이상의 디지트를 입력하고 나서 다이얼 셔틀(20)이 눌려지면, 경우 1의 옵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옵션 리스트에서 실행하기 위하여 가장 자주 선택되는(가장 많이 선택된 기능) 옵션(본 경우에서는, "송신")이 반전된다. 옵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나서, 만약에 사용자가 다이얼 셔틀(20)을 누르면,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 "송신"이 실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기 모드에서 세 개 이상의 디지트를 입력하고 다이얼 셔틀(20)을 연속해서 두 번 누르면, "송신" 기능이 수행되는데, 경우 1의 옵션 리스트는 다이얼 셔틀(20)이 처음 눌려진 다음에 디스플레이되고, 다이얼 셔틀(20)이 두 번째 눌려지면 반전된 기능(이 경우에서는, "송신")이 수행된다.
사용자가 "송신" 말고 다른 기능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다이얼 셔틀(20)을 처음으로 누름 상태로 하고 나서), 사용자는 옵션 리스트를 "스크롤링'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의 위치를 위 또는 아래로 옮긴다. 그렇게 스크롤링을 하는 동안에, 다이얼 셔틀(20)의 위치가 위 또는 아래로 옮겨질 때마다, 다른 옵션이 반전되는데, 다이얼 셔틀(20)의 위치가 위로 옮겨지면 반전된 옵션 위에 있는 것이 반전되고(이전에 반전되었던 옵션을 반전상태가 아니게 됨), 다이얼 셔틀(20)의 위치가 아래로 옮겨지면 반전된 옵션 아래에 있는 것이 반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옵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면 우선 가장 자주 선택되는 옵션을 반전하는(선택하는) 것과 더불어, 초기에 반전된 옵션의 위와 아래에 디스플레이된 옵션 리스트의 옵션들이 셀룰러 전화(10)의 특정 작동 모드에서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들에 해당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있는 경우 1에 계속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번호 찾기", 및 "저장"(처음으로 반전된 옵션인 "송신"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음)은 사용자가 그 다음으로("송신" 후에)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들을 표시한다. 따라서, 특정 경우(작동 모드)에,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로 많이 선택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우선 다이얼 셔틀(20)을 누르고(옵션 리스트가 나타나게 하기 위하여), 그 다음에 두 번째나 세 번째고 많이 선택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을 한번 위로 또는 아래로 위치를 옮기고, 그 다음에 선택된 옵션 실행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을 두 번째로 눌러줘야 한다. 유사하게,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로(또는, 세 번째 또는 두번째로) 가장 많이 선택되는 옵션들에 인접하게 위치한 것은 각각 네 번째 및 다섯 번째로 가장 많이 선택되는 옵션들이며, 계속 그런 식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각 옵션 리스트에는 두 개 내지 열 개의 옵션이 있으며, 다이얼 셔틀(20)을 오직 한 번 또는 두 번 위 또는 아래로 위치를 옮기기만 하면 수행하길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게 된다. 물론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이얼 셔틀(20)을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은 각 옵션 리스트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고, 대신에 다이얼 셔틀(20)을 연속해서 두 번 누름으로써 간단히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전화(10)는 또한 다른 작동 모드에서 다이얼 셔틀(20)이 누름 상태가 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옵션 리스트들을 포함한다("작동 모드"는 전화가 대기 모드냐 또는 콜 모드냐의 여부와 및 입력된 디지트 개수에 관계된다). 다른 옵션 리스트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경우 3 내지 11에 해당하며, 이들 경우와 그것들에 해당하는 옵션 리스트들은 이하에서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경우 3 내지 11에 대한 설명을 하기 전에, 다이얼 셔틀(20)의 작동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도 4에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사용자가 대기 모드(예를 들어, 경우 1)에서 최소한 세 개 이상의 디지트를 입력시키고 나서 다이얼 셔틀(20)이 사용될 때에, 셀룰러 전화(10)의 작동 및 디스플레이부(14)의 다양한 디스플레이들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0)는, 사용자가 대기 모드에서 세 개 이상의 디지트를 입력시키고 또한 그리고 나서 다이얼 셔틀(20)을 누름 상태로 만들었을 때에(도 4에서 "DS 누름" 지시어(41)로서 표시됨), 디스플레이부(14)에 디스플레이된 것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는 텍스트 정보가 제공된 4줄의 텍스트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는 예를 들어 신호 강도, 배터리 세기,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라인들도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의 텍스트 라인에는 옵션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단어인 "옵션"이 있고, 두 번째에서 네 번째 줄까지는 선택된 옵션 리스트에 해당하는 세 개의 옵션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또는 이미지)(40)에 표시되어 있는 바대로, 다이얼 셔틀(20)이 누름 상태가 된 다음에 디스플레이되는 옵션들은 "번호 찾기"와, "송신"과, 및 "저장"이 포함된다. 부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일 먼저 반전된 옵션, 즉 옆에 ">"가 붙어 있는 옵션은 "송신"(화살표 커서인 ">"로 표시됨)이다. 그 때에 사용자가 호출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을 누름 상태로 만들고, 또한 "저장"(디스플레이 42)을 반전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번호 찾기"(디스플레이 50)를 반전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을 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42 또는 50)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셔틀(20)을 위 또는 아래로 위치를 옮기면 옵션 리스트에 대한 스크롤링이 일어나게 되지만, 읽기 쉽게 하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반전된" 옵션이 세 개의 디스플레이된 옵션의 중간에 나타나는 것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그리고 나서 예를 들어 "저장"이 "반전"되면(디스플레이 42), 사용자는 다이얼 셔틀(20)을 누름 상태로 만들어서 입력된 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옵션을 선택하기 위하여 다이얼 셔틀(20)을 위 또는 아래로 다시 위치를 옮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40, 42, 44, 46, 48, 및 50)는 다이얼 셔틀(20)이 위 또는 아래로 다시 위치를 옮겨서, 즉 특정 옵션 리스트를 스크롤링 업 또는 다운하고 있을 때에 디스플레이부(14)에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다른 옵션 리스트들, 즉 경우 2 내지 11에 해당하는 옵션 리스트들은 다이얼 셔틀(20)을 이용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스크롤링된다.
도 3a에 다시 참조하자면, 그 도면의 경우 3은(여기서 "콜 코드 상태"로 지시된) 호출이 발생했을 때에 사용자가 세 개 이상의 디지트를 입력시켰을 때의 셀룰러 전화(10)의 작동 모드를 나타낸다. 다이얼 셔틀(20)이 그 작동 모드에서 누름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된(또는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옵션 리스트는 "소리죽임", "송신", "저장", "번호 톤", "번호 찾기", "멈춤 입력", "링크 입력", 및 "하이픈 입력"이 포함되어 있다. "소리죽임" 옵션은 통화 도중에 마이크로폰의 소리를 죽이는 기능을 나타내고, "번호 톤" 옵션은 DTMF 톤을 송신하는 기능을 표시하며, 및 경우 3의 다른 옵션들은 이전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경우 3의 옵션 리스트는 호출 도중에 세 개 이상의 디지트가 셀룰러 전화(10)로 입력시켜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들을 표시한다. 더욱이, 제일 먼저 반전된 옵션인 "송신" 및 그 송신 옵션에 인접한 옵션들인 "소리죽임"과 "저장"은 그 특정 작동 모드에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3a의 경우 4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제 4 작동 모드는 콜 모드에서 단지 한 개 또는 두 개의 디지트를 사용자가 입력시킬 때에 진입되는 모드이다. 그 작동 모드에서, 다이얼 셔틀(20)이 누름 상태에 있을 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옵션 리스트에는 "소리죽임", "송신", "저장", "번호 톤", "위치 리콜#", "멈춤", "링크 입력" 및 "하이픈 입력"이 포함된다.
도 3b에 도시된 경우 5에 해당하는 제 5 작동 모드에서, 경우 5의 옵션 리스트는 사용자가 대기 모드에서 전화번호부로부터의 번호를 리콜하고 그 다음에 다이얼 셔틀(20)을 눌렀을 때에 디스플레이된다. 경우 5의 옵션 리스트는 "소거(ERASE)", "송신", "편집(EDIT)", "제한(RESTRICTION)" 및 "번호 보기(View Number)"가 포함된다. 앞에서 설명한 경우(1 내지 4)와 달리, 경우 5의 옵션 리스트는 전화번호부에 있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된 번호를 소거시키는 "소거"와, 전화번호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된 번호를 사용자로 하여금 편집하게 해주는 "편집"과, 전화번호부의 번호를 특정 사람들로 제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한된 번호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패스워드(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한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수행되는 "제한" 및 디스플레이부(14)에서의 제한된 디지트 길이 때문에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오버플로우" 디지트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번호 보기" 기능들이 포함된다.
도 3b에 제시된 경우 6은 제 6 작동 모드로서, 사용자가 콜 모드에서 전화번호부로부터 번호를 리콜했을 때에 생성되는 것으로서, 경우 6의 옵션 리스트는 "소리죽임", "송신", '편집", "소거", "제한", "번호 보기" 및 "번호 톤"이 포함된다.
도 3b에 제시된 경우 7, 즉 제 7 작동 모드는 사용자가 대기 모드에서 콜 내역을 사용하여 번호를 리콜하는 경우로서 다이얼 셔틀(20)이 눌러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된 옵션 리스트에는 "저장", "송신", "지속기간(DURATION)", "시간/날짜", "번호 보기", "소거" 및 "번호 톤"이 포함된다. "지속기간" 기능은 "콜 내역" 기능으로부터 디스플레이되었던 이전의 전화 호출에 대한 길이(예를 들어, 초, 분)를 디스플레이하고, "시간/날짜"기능은 디스플레이된 호출이 된 시간 및 날짜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콜 모드에서 "콜 내역"에 있는 전화 번호를 리콜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도 3b에 도시된 경우 8에 해당하는 그 다음의 작동 모드에 있어서, 그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옵션 리스트에는 "소리죽임", "송신", "저장", "지속기간", "시간/날짜", "번호 보기", "소거" 및 "번호 톤"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대기 모드에서 스크래치 패드(스크래치 패드(scratch pad) 모드)로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를 말하는 도 3b의 경우 9인 그 다음 작동 모드에 있어서, 경우 9의 옵션 리스트는 "멈춤 입력", "저장", "링크 입력" 및 "하이픈 입력"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콜 모드에서 스크래치 패드로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10)를 말하는 10번째 작동 모드에서는, 이 경우에서의 옵션 리스트는 "소리죽임", "저장", "멈춤 입력", "링크 입력", "하이픈 입력" 및 "번호 톤"이 포함된다.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음성 사서함 경고(VMA : Voice Mail Alert)에서의 콜백 번호가 디스플레이된 경우(11)를 말하는 11번째 작동 모드에서는, 이경우의 옵션 리스트는 "송신" 및 "저장"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경우(1 내지 11)에 해당하는 셀룰러 전화(10)의 다양한 작동 모드에 관한 위의 설명부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특정 작동 모드의 "관습적(custom like)" 옵션 리스트는(입력된 번호 디지트를 고려한 것임) 다이얼 셔틀(20)을 누르는 것으로 간단하게 제공된다. 더욱이, 각 옵션 리스트는 제일 먼저 반전되는 옵션이(특정 옵션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이 되고 또한 그 옵션에 인접한 옵션들은 그 다음으로 사용자가 자주 선택하는 기능들이 되게 하는 방식으로 순서가 정렬된다. 그러나,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경우들(1 내지 11)은 셀룰러 전화(10)의 단지 작동 모드가 아니며,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설명한 각 옵션 리스트의 옵션들은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콜 내역(Call History)"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가능 기능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셀룰러 전화(60)의 전면부(61)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러 전화(60)는 전면부(61)가 "송신"키와 "종료"키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만 제외하고 위에서 설명한 셀룰러 전화(10)와 거의 동일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옵션 리스트에 "송신" 기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콜 모드의 경우에서 디스플레이된 특정 옵션 리스트들은 "종료" 옵션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 및 "종료" 키는 작동시키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하지 않으면서 셀룰러 전화의 전면부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다. 이 실시예 및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호출은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다이얼 셔틀(20)을 두 번 연속해서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통화를 종료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다이얼 셔틀(20)을 예를 들어 누르며, 여기에서 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셀룰러 전화가 콜 모드에 있을 때에 디스플레이된 옵션 리스트는 첫 번째로 반전된 "종료" 옵션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옵션 리스트에서 선택 가능한 옵션들이 배열된 순서는 옵션들의 사용 빈도수에 상관관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삭제" 및 "전원" 키를 포함하는, 또 다른 키들을 셀룰러 전화의 전면부로부터 뗄 수 있게끔 하도록 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셀룰러 전화가 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다이얼 셔틀(20)을 누르는 동작은 "전원"키를 키는 것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다이얼 셔틀(20)이 전화 번호에 관련되지 않은 것뿐만 아니라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것과 관련된 기능들을 포함하는 셀룰러 전화(10)의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이 위에서 설명한 부분을 보면 이해가 된다. 예를 들어, 적합한 옵션 리스트는 볼륨 제어, 디스플레이 명암도, 배터리 전원 잔여량 등과 같은 것에 연관되는 옵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전화에 대한 앞의 부분에서 다수개의 옵션 리스트나 메뉴 중에서 특정한 한 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그러한 옵션 리스트는 셀룰러 전화의 메모리(즉, ROM(22)이나 EEPROM(25))에 미리 저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의 옵션 리스트와 같은 데이터는 미리 저장되지 않으며, 대신에 진행 중에 컴파일되거나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서, 각 옵션 리스트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특정 작동 모드에서 다이얼 셔틀(20)을 눌러서 필요해진 경우에 예컨대 제어기(12)에 의하여 생성되며, 또한 생성된 옵션 리스트는 일시적으로 저장되거나 (예를 들어, RAM(24)) 또는 메모리에 영구 저장된다.
본 발명이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관해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 셔틀의 사용은 셀룰러 전화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텔레비전의 원격 제어부, 스테레오의 원격 제어부, 호출기, 및 부착된 입력 키의 개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다른 장치들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옵션 리스트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것으로 제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리스트를 텍스트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기능 그룹"이나 상기 리스트들을 그래픽식 디스플레이의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비록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특정 옵션 메뉴를 소환하기 위하여 눌려지고 옵션 메뉴를 스크롤링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다이얼 셔틀에 대하여 하고 있지만, 상기의 기능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나 보이스 액티베이션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다이얼 셔틀이 없이도 달성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여기에서 언급한 실시예들과, 위에서 언급한 대안과, 및 그런 것들에 필적하는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하길 바란다.

Claims (26)

  1. 통신 터미널 장치(10)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입력 수단(20)과;
    다수개의 옵션 그룹에 해당하는 옵션 리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22, 24, 25)으로서, 상기 옵션 그룹의 각각은 상기 통신 터미널 장치(10)의 해당 작동 모드와 연관되어 있으며, 상기 옵션 그룹의 각각은 해당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해당 한가지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수단과; 및
    상기 입력 수단(20)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때에 상기 통신 터미널 장치(10)의 현재의 작동 모드와 연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 수단(22, 24, 25)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한 개의 옵션 그룹의 일부분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14)을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해당 작동 모드 각각에 연관되는 옵션 그룹의 각 옵션은 해당 작동 모드에서 사용되는 기능들만을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게 하는 입력 키부(18)와; 및 최소한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함수로서 상기 통신 터미널 장치(10)의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작동 모드 결정 수단(12)을 더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교환수를 통하여 전화를 거는(place) 수단(26, 2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10)는 전화 호출이 발생한 콜 모드에 있거나 또는 전화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대기 모드에 있게 되며; 상기 작동 모드 결정 수단(12)은 입력된 데이터 및 상기 장치(10)가 콜 모드에 있냐 또는 대기 모드에 있냐의 여부에 관한 함수로서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 결정 수단(12)은 입력된 데이터 결과 및 상기 장치(10)가 콜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 있냐에 관한 함수로서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키부(18)는 사용자가 디지트를 입력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통신 터미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4)은 사용자로부터 실행 지시어를 수신하였을 때에 수행하게 되는 상기 한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의 한가지 기능을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는 표시부(indicator)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통신 터미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옵션 그룹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을 때에 상기 입력 수단(20)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실행 지시어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기 장치(10)는 옵션 그룹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때에 상기 입력 수단(20)이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확인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12)을 더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20)은 또한 사용자가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통신 터미널 장치는 상기 입력 수단(20)의 위치가 옮겨지게 되는 것에 반응해서 상기 한 가지 이상의 기능 각각을 스크롤링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4)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표시부는 상기 입력 수단(20)의 위치가 옮겨질 때마다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의 서로 다른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4)이 디스플레이한 표시부는 상기 입력 수단(20)이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의 상기 한가지 이상의 기능 중에서 가장 자주 선택하는 한 개 기능을 초기에 표시해주는, 통신 터미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에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에 인접한 기능은 두 번째로 자주 선택되는 기능이며; 옵션 그룹이 초기 디스플레이되고 나서 상기 입력 수단(20)이 처음으로 위치를 옮기게 되면,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16)은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4)을 제어하여 두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알게 해주는 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에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에 인접한 두 개의 기능은 두 번 째 및 세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4)을 제어하는 상기 수단(16)은, 상기 옵션 그룹이 초기 디스플레이되고 나서 상기 입력 수단(20)이 사전에 결정된 제 1 및 제 2 위치 중에서 한 위치로 옮겨지면 두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입력 수단(20)이 사전에 결정된 제 1 및 제 2 위치 중에서 또 다른 위치로 옮겨지면 세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표시해 주는 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4)을 제어하게 동작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그룹 중에서 한 개 이상에 해당하는 상기 옵션 리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12)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저장 수단(22, 24, 25)은 생성 목적을 위하여 상기 수단(12)이 생성한 상기 옵션 리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14. 통신 터미널 장치(10)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터미널 장치(10)의 현재 작동 모드에서 입력 수단(20)에 사용자가 입력신호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통신 터미널 장치(10)의 현재 작동 모드와 연관되는 다수개의 저장된 옵션 그룹 중에서 한 개에 해당하는 옵션 리스트 데이터를 회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저장된 옵션 그룹 각각은 상기 통신 터미널 장치(10)의 해당 작동 모드에 연관되어 있으며, 상기 옵션 그룹 각각은 해당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한가지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회수 단계와;
    상기 입력 수단(20)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검색된 옵션 그룹의 한 부분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해당 작동 모드의 각각과 연관되는 옵션 그룹 각각은 해당 작동 모드에서 사용되는 기능들만을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20)에 입력신호를 사용자가 입력되기 전에 사용자가 입력 키부(18)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및 최소한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 관한 함수로서 상기 통신 터미널 장치(10)의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전화 호출을 교환수를 통해서 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장치(10)는 전화 호출이 발생한 콜 모드에 있거나 전화 호출이 발생하지 않은 대기 모드에 있게 되며;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 및 상기 장치가 콜 모드에 있냐 또는 대기 모드에 있냐의 여부에 대한 함수로서 상기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장치(10)가 콜 모드에 있냐 또는 대기 모드에 있냐 및 입력된 데이터의 결과에 관한 함수로서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입력 키부(18)를 이용하여 디지트를 입력시키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실행 지시어를 수신하게 되면 수행되게 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 중 한 개 이상의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20)이 입력을 두 번째 수신하면 확인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20)의 위치 옮김에 대한 반응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 중 한가지 이상의 기능 각각을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표시부는 옵션 그룹이 스크롤링되고 있을 때에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의 다른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초기에 상기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 중 한 개 이상의 기능 중에서 가장 자주 선택되는 하나를 초기에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 중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에 인접해 있는 하나의 기능은 두 번째로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나타내는데; 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입력 수단(20)이 처음으로 위치를 옮겼을 때에 두 번째로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옵션 그룹에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에 인접한 두 개의 기능은 두 번 째 및 세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수단(20)이 사전에 결정된 제 1 및 제 2 위치 중에서 한 위치로 옮겨지면 두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입력 수단(20)이 사전에 결정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에서 또 다른 위치로 옮겨지면 세 번째로 가장 자주 선택되는 기능을 표시해 주는 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그룹에서 한 개 이상에 해당하는 상기 옵션 리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회수 단계는 다수개의 생성된 옵션 그룹 중에서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생성된 옵션 리스트 데이터를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터미널 장치에서 옵션을 선택하는 방법.
KR10-1999-7009931A 1997-04-28 1998-04-24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KR100490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45,851 1997-04-28
US08/845,851 US6178338B1 (en) 1997-04-28 1997-04-28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ons using a dial shuttle
US8/845,851 1997-04-28
PCT/US1998/008344 WO1998049816A1 (en) 1997-04-28 1998-04-24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ons using a dial shu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323A true KR20010020323A (ko) 2001-03-15
KR100490855B1 KR100490855B1 (ko) 2005-05-23

Family

ID=2529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931A KR100490855B1 (ko) 1997-04-28 1998-04-24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78338B1 (ko)
EP (1) EP0979569B1 (ko)
JP (1) JP4494533B2 (ko)
KR (1) KR100490855B1 (ko)
AT (1) ATE290745T1 (ko)
AU (1) AU7160298A (ko)
DE (1) DE69829283T2 (ko)
NO (1) NO995244L (ko)
WO (1) WO19980498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804B1 (ko) * 2006-07-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7997B1 (en) * 1997-10-01 2002-02-19 Brad A. Armstrong Analog controls housed with electronic displays
US6222525B1 (en) * 1992-03-05 2001-04-24 Brad A. Armstrong Image controllers with sheet connected sensors
US6343991B1 (en) * 1997-10-01 2002-02-05 Brad A. Armstrong Game control with analog pressure sensor
USRE39959E1 (en) * 1994-04-20 2007-12-2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74932B2 (en) * 1996-07-05 2014-03-18 Anascape, Ltd. Image controller
US20040160414A1 (en) * 1996-07-05 2004-08-19 Armstrong Brad A. Image controller
US6490235B1 (en) * 1997-08-07 2002-12-03 Sony Corporation Storage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rotary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operations
JP3865169B2 (ja) * 1997-11-28 2007-01-1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H11184593A (ja) * 1997-12-25 1999-07-09 Sony Corp 携帯無線情報端末装置、画面操作方法、記録媒体およ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装置
US6131047A (en) * 1997-12-30 2000-10-10 Ericsson Inc. Radiotelephones having contact-sensitive user interfa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GB2333386B (en) 1998-01-14 2002-06-12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FI106333B (fi) 1998-04-16 2001-01-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laitteet valikko-ohjaukseen
KR100290671B1 (ko) * 1998-07-22 2001-07-12 윤종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및 표시 방법
US6519481B1 (en) * 1998-08-04 2003-02-11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underlining scroll display function
US6396518B1 (en) 1998-08-07 2002-05-28 Hewlett-Packard Company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having a send capability for stored data
JP2000227832A (ja) 1998-12-04 2000-08-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媒体
KR100598066B1 (ko) * 1999-02-25 2006-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547767B1 (ko) * 1999-04-02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에서 다기능키 이용방법
US6710771B1 (en) * 1999-05-13 2004-03-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dium
US20060121938A1 (en) * 1999-08-12 2006-06-08 Hawkins Jeffrey C Integrated handheld computing and telephony device
US7007239B1 (en) * 2000-09-21 2006-02-28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contacts database and telephone services
US7764272B1 (en) * 1999-08-26 2010-07-27 Fractal Edge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ng items such as data files
US7359492B2 (en) * 1999-09-08 2008-04-15 Ameri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telephone to a text signal
GB2355142A (en) * 1999-10-08 2001-04-11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device having menu driven input
GB2355144B (en) * 1999-10-08 2004-01-14 Nokia Mobile Phones Ltd A portable device
US6978127B1 (en) * 1999-12-16 2005-12-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and-ear us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
US7032821B2 (en) * 2000-03-01 2006-04-25 Hart Intercivic, Inc. Precinct voting system
US6980120B2 (en) * 2000-03-10 2005-12-27 Yu Philip K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digital recorder
JP2001312942A (ja) * 2000-04-27 2001-11-09 Sony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
CN1175647C (zh) * 2000-05-31 2004-11-10 西门子公司 带有关联式用户操作界面的移动无线电话
JP2003029904A (ja) * 2000-06-05 2003-01-31 Sony Corp 情報携帯装置及び情報携帯装置における操作子の配置方法
FI111778B (fi) * 2000-06-22 2003-09-15 Nokia Corp Radiopuhelimen käyttöliittymä
ATE378629T1 (de) * 2000-07-28 2007-11-15 Symbian Ltd Rechnergerät mit verbesserter benutzerschnittstelle für menüs
US7289614B1 (en) * 2000-09-29 2007-10-30 Palmsource, Inc. Making a call from an address list or a call history list
EP1202535A3 (en) * 2000-10-30 2003-12-17 Fujitsu Limited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7636079B2 (en) * 2000-11-29 2009-12-22 Palm Inc. Application access and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JP4383683B2 (ja) * 2001-03-12 2009-12-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EP1248184A1 (en) * 2001-04-02 2002-10-09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caling an option list of an application software
SE0101489D0 (sv) * 2001-04-25 2001-04-25 Claes Lorentz Uno Wellton Pers Förfarande och anordning relaterade till utrustningar företrädesvis avsedda för internetkommunikation
US7152213B2 (en) * 2001-10-04 2006-12-19 Infogat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key assignment in enhanced user interface
US7120473B1 (en) * 2001-10-14 2006-10-10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y using a pivoting input switch
US7050835B2 (en) * 2001-12-12 2006-05-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CA2742282C (en) * 2001-12-26 2014-12-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viewing unified communications events on a mobile device
EP1337093B1 (en) * 2002-02-19 2006-08-23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enabling a communication via a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enabling a communication
US7787908B2 (en) * 2002-03-19 2010-08-3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ll display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174191B2 (en) * 2002-09-10 2007-02-06 Motorola, Inc. Processing of telephone numbers in audio streams
FI20021759A0 (fi) * 2002-10-03 2002-10-03 Nokia Corp Menetelmä ja käyttöliittymä tekstin syöttämiseen
KR20040035459A (ko) * 2002-10-22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US7245945B2 (en) * 2002-11-05 2007-07-17 Intel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 adapted to update display information while in a low power mode
KR100630048B1 (ko) * 2002-11-14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7295852B1 (en) * 2003-05-01 2007-11-13 Palm, Inc. Automated telephone 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US20040253989A1 (en) * 2003-06-12 2004-12-16 Tupler Amy M.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navigational wheel
EP1510911A3 (en) * 2003-08-28 2006-03-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0697416B1 (ko) * 2003-09-30 2007-03-2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GB0329860D0 (en) * 2003-12-23 2004-01-28 Nokia Corp Method of data entry
US7280652B2 (en) * 2004-09-13 2007-10-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phone call log, and associated method
KR100703371B1 (ko) * 2005-01-18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US7948457B2 (en) * 2005-05-05 2011-05-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actuating MEMS display elements
US20060258390A1 (en) * 2005-05-12 2006-11-16 Yanqing Cui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US8345834B2 (en) * 2007-04-04 2013-01-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calls
US20090156186A1 (en) * 2007-12-12 2009-06-18 Lyle Ruthie 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acts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990734B2 (en) * 2012-10-15 2015-03-24 Nextep Systems, Inc. Method and assembly for displaying menu options
US9230755B2 (en) * 2013-06-14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 assembly for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986B2 (ja) * 1988-08-29 1995-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話装置
JPH05260206A (ja) * 1992-03-11 1993-10-08 Tamura Electric Works Ltd データ通信機能付電話装置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3050347B2 (ja) * 1992-11-09 2000-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FI92782C (fi) * 1993-02-09 1994-12-27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puhelimien asetusten ryhmittely
US5396264A (en) 1994-01-03 1995-03-07 Motorola, Inc. Automatic menu item sequencing method
WO1996007262A1 (fr) 1994-08-31 1996-03-07 Sony Corporation Terminal de transmission
CA2157623C (en) * 1994-09-20 1999-12-21 Lars Stig Sorens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adio communication menu
JP3508961B2 (ja) * 1995-07-21 2004-03-22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
JPH09233171A (ja) * 1996-02-26 1997-09-05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GB2322513B (en) * 1997-02-21 2001-12-19 Nokia Mobile Phones Ltd A phone displaying alternative functionality menu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804B1 (ko) * 2006-07-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US8600445B2 (en) 2006-07-03 2013-12-0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rotary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9369568B2 (en) 2006-07-03 2016-06-1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rotary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95244D0 (no) 1999-10-27
KR100490855B1 (ko) 2005-05-23
EP0979569A1 (en) 2000-02-16
DE69829283T2 (de) 2006-03-30
NO995244L (no) 1999-12-27
ATE290745T1 (de) 2005-03-15
EP0979569B1 (en) 2005-03-09
US6178338B1 (en) 2001-01-23
JP4494533B2 (ja) 2010-06-30
WO1998049816A1 (en) 1998-11-05
DE69829283D1 (de) 2005-04-14
AU7160298A (en) 1998-11-24
JP2001523417A (ja)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855B1 (ko)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KR970002177B1 (ko) 무선 전화 동작 방법
US5303288A (en) Multiple mode cellular telephone control device
KR100749834B1 (ko) 북마크 소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북마크 리스트 표시 방법
JP3123990B2 (ja) 携帯無線端末
US6799061B2 (en) Method of defining short keys used to select desired function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user
KR100749018B1 (ko) 모바일 전화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US5737394A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functions activated by the use of dedicated and/or soft keys
AU715497B2 (en) A radio telephone
US6064725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all-history memory method and call-history display method
JP2008544618A (ja) 強化された着信履歴メニュー
KR200100830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US7096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executing features in a personal wireless handset
JP3379476B2 (ja) 表示装置付携帯端末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1007915A (ja) 電話端末装置
KR20010110034A (ko)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2001B1 (ko) 핫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핫키 실행 방법
JP3686864B2 (ja) 移動無線端末
KR1006919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KR20010018353A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이용한 기능 선택방법
JPH1174960A (ja) 電話機におけるキャラクター選択方法
KR200400518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JP2924899B2 (ja) 電子機器およ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