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644B1 -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 Google Patents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644B1
KR100406644B1 KR10-2000-0051552A KR20000051552A KR100406644B1 KR 100406644 B1 KR100406644 B1 KR 100406644B1 KR 20000051552 A KR20000051552 A KR 20000051552A KR 100406644 B1 KR100406644 B1 KR 100406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waterproof plate
drain pipe
bathtub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299A (ko
Inventor
김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0-005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6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에 오수관 (9) 및 배수관(11)이 설치되고, 방수판(5a)의 욕조부(6a)를 하강시켜 욕조(15)를 설치함으로써 욕조턱(15')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은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에 오수관(9) 및 배수관(11)을 설치함으로써, 오수 및 배수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오수관(9) 및 배수관(11) 점검시나 욕실 교체시에 자체내에서 공사를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방수판(5a)의 욕조부(6a)를 하강시켜 욕조(15)를 설치함으로써 욕조턱 (15')이 낮아지게 되어 노약자 및 어린이가 출입하기 편리하게 되었다.
아울러, 방수판(5a) 하부에 종래의 수평조절 모르타르(4)를 사용하는 대신에, 수평조절 프레임(20)을 사용함으로써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이 일체가 되지 않고,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내진성(耐震性)이 우수해졌다.

Description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 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Prefabricated Composite Bathroom with Soil Pipe and Drain Pipe Constructed between Slab and Water-proof Flooring and Lowered Bathtub}
본 발명은 바닥슬래브 또는 천정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 방수판의 욕조부를 하강시켜 욕조를 설치함으로써 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욕실의 구조 및 시공 방법을 살펴본다.
도 8은 종래의 조립식 욕실의 단면도로서, 오수관(9) 및 배수관(11)이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 아래에 있고, 방수판(5b)의 욕조부(6b)의 높이가 세면장부(7)의 높이와 동일한 종래의 조립식 욕실을 보여준다.
이때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와 방수판(5b) 사이에는 수평조절 모르타르(4)가 있고, 방수판(5b)의 욕조부(6b)에 욕조(15) 및 욕조에프론(16)이 설치되어 있고, 방수판(5b)의 세면장부(7)에 양변기(17) 및 세면대(18)가 설치되어 있고, 오수관(9)이 방수판(5b)의 오수 구멍(9')에 연결됨으로써 양변기(17)와 연결되고 오수관 고정행거(10)에 의해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에 고정되어 있으며, 배수관(11)이 방수판(5b)의 배수트랩(8)에 연결되고 배수관 고정행거(12)에 의해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에 고정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은 조적 또는 옹벽, (13)은 벽파넬, (14)는 천정파넬, (19)는 문틀 또는 문짝이다.
또한 욕조턱(15')은 욕실 사용시 사용자가 밟게 되는 방수판(5b)의 세면장부(7)로부터 욕조(15)의 가장 윗부분까지를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욕실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바닥슬래브(1b), 천정슬래브(2b) 및 조적 또는 옹벽(3)으로 공사가 완료된 건축물에서 먼저,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 바닥에 수평조절 모르타르 (4)를 설치한 후, 수평조절 모르타르(4) 위에 배수트랩(8)이 설치된 방수판(5b)을 안착한 다음, 아래층에서 배수관(11)을 배수트랩(8)에 연결하고, 배수관 고정행거 (12)를 이용하여 배수관(11)을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에 고정한다. 이때 배수관(11)은 구배(句配)를 주어 설치한다.
또한 아래층에서 수평조절 모르타르(4) 위에 안착된 방수판(5b)의 양변기(17)가 연결된 오수 구멍(9')에 오수관(9)을 연결하고, 오수관 고정행거(10)를 이용하여 오수관(9)을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에 고정한다. 이때 오수관(9)은 구배(句配)를 주어 설치한다.
다음, 벽파넬(13)을 방수판(5b)의 플랜지 위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문틀 및 문짝(19)을 방수판(5b)과 벽파넬(13)에 고정한 후에, 천정파넬(14)을 벽파넬(13)과 문틀(19)에 고정하고, 욕조(15)와 욕조에프론(16)을 방수판(5b)의 욕조부(6b)에 안착 고정하고, 양변기(17)와 세면대(18)를 방수판(5b)의 세면장부(7)에 설치 고정하며, 휴지걸이등의 욕실 악세사리를 설치 고정한 다음 마감처리하여 종래의 조립식 욕실을 완성한다.
도 9는 종래의 바닥슬래브(1b) 및 천정슬래브(2b)의 단면도로서, 바닥슬래브 (1b) 및 천정슬래브(2b)가 1자형이고, 오수관 및 배수관이 지나가게 되는 부위인오수 구멍(9")과 배수 구멍(11")이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바닥슬래브(1b) 및 천정슬래브(2b)의 사방 테두리에는 조적 또는 옹벽(3)이 올라가 있다.
도 10은 종래의 방수판(5b)의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방수판(5b)의 욕조부 (6b)의 높이와 세면장부(7)의 높이가 동일함을 보여준다.
이때 방수판(5b)에는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부위인 배수 구멍(11') 및 양변기가 설치되는 부위인 오수 구멍(9')이 있어, 방수판(5b)을 상기 도 9의 바닥슬래브 (1b) 또는 천정슬래브(2b)에 안착시키게 되면, 방수판(5b)의 오수 구멍(9') 및 배수 구멍(11')과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의 오수 구멍(9") 및 배수 구멍 (11")이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욕실은 오수관(9) 및 배수관(11)이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 아래, 즉 아래층의 천정파넬(14) 위에 설치되어 있어 오수 및 배수의 소음이 아래층에 심하게 발생되고, 오수관(9) 및 배수관(11) 점검도 아래층의 천정파넬(14)의 점검구를 통해 점검해야 했으며, 욕실 교체시에도 아래층에서 공사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수판(5b)의 욕조부(6b)의 높이와 세면장부(7b)의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방수판(5b)의 욕조부(6b)에 욕조(15)를 설치하고 나면 욕조턱(15')이 높아 노약자 및 어린이가 출입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 위에 수평조절 모르타르(4)를 사용함으로 인해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 수평조절 모르타르(4) 및방수판(5b)이 일체가 되기 때문에 지진(地震) 발생시 바닥슬래브(1b) 또는 천정슬래브(2b)에 금(crack)이 발생하게 되면 수평조절 모르타르(4) 및 방수판(5b)에도 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누수의 위험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조립식 욕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슬래브 또는 천정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9) 및 배수관(11)을 설치하고, 방수판의 욕조부를 하강시켜 욕조(15)를 설치함으로써 욕조턱(15')을 낮춘 조립식 욕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내진성(耐震性)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해 방수판 하부에 수평조절 모르타르(4)를 사용하는 대신에 수평조절 프레임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조절 프레임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조절 프레임이 조립된 방수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슬래브 및 천정슬래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조립식 욕실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바닥슬래브 및 천정슬래브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방수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바닥슬래브 1b : 바닥슬래브
2a : 천정슬래브 2b : 천정슬래브
3 : 조적 또는 옹벽 4 : 수평조절 모르타르
5a : 방수판 5b : 방수판
6a : 욕조부 6b : 욕조부
7 : 세면장부 8 : 배수트랩
9 : 오수관 9': 오수 구멍
9": 오수 구멍 10 : 오수관 고정행거
11 : 배수관 11': 배수 고멍
11": 배수 구멍 12 : 배수관 고정행거
13 : 벽파넬 14 : 천정파넬
15 : 욕조 15': 욕조턱
16 : 욕조에프론 17 : 양변기
18 : 세면대 19 : 문틀 및 문짝
20 : 수평조절 프레임 21 : 2단사각 구조프레임
22 : 연결구 23 : 조절 볼트
24 : 조절 너트 25 : 고정 브래킷
26 : 지지대 27 : 캡(cap)
28 : 에폭시 접착제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
29 : 힐트(hilt) 30 : 나사못
31 : 볼트 32 : 보강재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구조 및 시공방법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단면도로서, 오수관(9) 및 배수관(11)이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에 있고, 방수판(5a)의 욕조부(6a)가 하강되어 세면장부(7)보다 낮아진 조립식 욕실을 보여준다.
이때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에는 수평조절 프레임(20)이 있고, 방수판(5a)의 욕조부(6a)에 욕조(15) 및 욕조에프론(16)이 설치되어 있고, 방수판(5a)의 세면장부(7)에 양변기(17) 및 세면대(18)가 설치되어있고, 오수관(9)이 방수판(5a)의 오수 구멍(9')에 연결됨으로써 양변기(17)와 연결되고 오수관 고정행거(10)에 의해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에 고정되어 있으며, 배수관(11)이 방수판(5a)의 배수트랩(8)에 연결되고 배수관 고정행거(12)에 의해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에 고정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은 조적 또는 옹벽, (13)은 벽파넬, (14)는 천정파넬, (19)는 문틀 또는 문짝이다.
또한 욕조턱(15')은 욕실 사용시 사용자가 밟게 되는 방수판(5a)의 세면장부(7)로부터 욕조(15)의 가장 윗부분까지를 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바닥슬래브(1a), 천정슬래브(2a) 및 조적 또는 옹벽(3)으로 공사가 완료된 건축물에서 먼저,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 바닥에 수평조절 프레임 (20)을 설치한다.
수평조절 프레임(20)은 오수관(9) 및 배수관(11)이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를 지나가기 때문에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또한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의 수평오차가 있기 때문에 방수판(5a)이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 조절 기능을 하며, 방수판(5a)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평조절 프레임(20)을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조절 프레임(20)의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수평조절 프레임(20)은 크게 본체인 2단사각 구조프레임(21)과 욕실 바닥의 전체적인 강도를유지해 주는 지지대(26)로 이루어진다.
이때 2단사각 구조프레임(21)은 연결구(22)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지지대 (26)의 상부에는 에폭시 접착제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28)가 투입되는 캡(27)이 있다.
수평조절 프레임(20)을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에 설치하는 과정은 먼저, 도 3의 도 2 "A"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각각의 2단사각 구조프레임(21)의 끝에 연결구(22)를 끼우고, 나사못(30)으로 고정하여 일체화시킨 다음, 일체화된 2단사각 구조프레임(21)을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에 안착시키고, 2단사각 구조프레임(21)의 하부에 부착된 조절볼트(23)를 설정된 높이에 맞게 조정한다.
다음, 도 4의 도 2 "B"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홀이 나 있는 고정브래킷(25)을 조절 볼트(23)에 꽂은 다음, 조절 볼트(23)에 부착된 조절 너트(24)를 이용하여 위, 아래에서 고정한 다음, 고정브래킷(25)의 하부는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힐트(hilt)(29)로 고정한다.
다음, 지지대(26)를 2단사각 구조프레임(21)의 설정된 위치에 나사못으로 고정한 다음, 도 2의 "C"부분과 같이 지지대(26) 하부에 부착된 조절볼트(23)를 바닥슬래브와 맞닿게 하고,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홀이 나 있는 고정브래킷(25)을 조절 볼트(23)에 꽂은 다음, 조절 볼트(23)에 부착된 조절 너트(24)를 이용하여 고정브래킷(25)을 위, 아래에서 고정한 다음, 고정브래킷(25)의 하부는 천정슬래브(2a)와 힐트(29)로 고정한다.
이때 수평조절 프레임(20)을 설치한 후에는 수평조절 프레임(20)의 상부에 방수판(5a)이 조립되는 것에 대비하여 지지대(26) 상부의 캡(27)에 에폭시 접착제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28)를 투입해야 한다.
수평조절 프레임(20)의 설치를 마친 후에, 오수관 고정행거(10)를 이용하여 오수관(9)을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에 고정한다. 이때 오수관(9)은 구배(句配)를 주어 설치한다.
다음, 방수판(5a)에 배수트랩(8)을 설치하고, 배수트랩(8)에 배수관(11)을 연결한 다음, 배수관 고정행거(12)를 이용하여 배수관(11)을 방수판(5a)에 고정한다. 이때 배수관(11)은 구배(句配)를 주어 설치한다.
다음, 배수관(11)이 고정된 방수판(5a)을 수평조절 프레임(20)의 위에 설치하는데, 도 5의 수평조절 프레임(20)이 조립된 방수판(5a)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수판(5a) 하부에 부착된 볼트(31)와 앞서 언급한 에폭시 접착제 또는 시멘트 모르타르(28)가 투입된 지지대(26) 상부의 캡(27)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 다음, 나사못(30)으로 방수판(5a)을 수평조절 프레임(20)에 고정한다.
이때 방수판(5a)의 세면장부(7)의 하부는 우레탄과 탄석으로 이루어진 보강재(32)에 의해 보강되어 있음을 알수 있는데, 이는 압착프레스를 이용하여 방수판(5a) 하부에 우레탄과 탄석을 충전시킨 것이다. 만약 우레탄만을 사용하면 쿠션감만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온돌 문화에 적합하도록 딱딱한 느낌을 주기 위해 탄석도 함께 사용한다.
또한, 방수판(5a)을 수평조절 프레임(20) 위에 설치하고 나면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에 고정된 오수관(9)은 방수판(5a)의 오수 구멍(9')을 지나 양변기(17)에 연결된다.
그런 후에, 종래 조립식 욕실의 시공방법과 마찬가지로, 벽파넬(13)을 방수판(5a)의 플랜지 위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문틀 및 문짝(19)을 방수판(5a)과 벽파넬(13)에 고정한 후에, 천정파넬(14)을 벽파넬(13)과 문틀(19)에 고정하고 욕조 (15)와 욕조에프론(16)을 방수판(5a)의 욕조부(6a)에 안착 고정하고, 양변기(17)와 세면대(18)를 방수판(5a)의 세면장부(7)에 설치 고정하며, 휴지걸이등의 욕실 악세사리를 설치 고정한 다음 마감처리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을 완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슬래브(1a) 및 천정슬래브(2a)의 단면도로서, 바닥슬래브(1a) 및 천정슬래브(2a)는 욕조부(6a)가 하강된 방수판(5a)을 안착시키기 위해 1자형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하강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바닥슬래브(1a) 및 천정슬래브(2a)의 사방 테두리에는 조적 또는 옹벽(3)이 올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판(5a)의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방수판(5a)의 욕조부(6a)가 하강되어 세면장부(7)보다 낮아졌음을 보여준다.
이때 방수판(5a)에는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부위인 배수 구멍(11') 및 양변기가 설치되는 부위인 오수 구멍(9')이 있고, 앞서 언급하였듯이 방수판(5a)의 세면장부(7)의 하부는 우레탄과 탄석으로 이루어진 보강재(32)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은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에 오수관(9) 및 배수관(11)을 설치함으로써, 오수 및 배수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오수관(9) 및 배수관(11) 점검시나 욕실 교체시에 자체내에서 공사를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방수판(5a)의 욕조부(6a)를 하강시켜 욕조(15)를 설치함으로써 욕조턱 (15')이 낮아지게 되어 노약자 및 어린이가 출입하기 편리하게 되었다.
아울러, 방수판(5a) 하부에 종래의 수평조절 모르타르(4)를 사용하는 대신에, 수평조절 프레임(20)을 사용함으로써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이 일체가 되지 않고,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내진성(耐震性)이 우수해졌다.

Claims (3)

  1. 삭제
  2. 바닥슬래브(1a), 천정슬래브(2a) 및 조적 또는 옹벽(3)으로 공사가 완료된 건축물의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의 바닥에 수평조절 프레임(20)이 설치되고, 오수관 고정행거(10)에 의해 오수관(9)이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 (2a)에 고정된 다음, 방수판(5a)의 배수트랩(8)에 배수관(11)이 연결되고, 배수관 고정행거(12)에 의해 배수관(11)이 방수판(5a)에 고정된 다음, 배수관(11)이 고정된 방수판(5a)이 수평조절 프레임(20) 위에 설치된 후, 아래로 하강된 방수판(5a)의 욕조부(6a)에 욕조(15) 및 욕조에프론(16)이 안착 고정되고, 방수판(5a)의 세면장부(7)에 양변기(17) 및 세면대(18)가 설치되는, 오수관(9) 및 배수관(11)이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에 설치되고 욕조턱(15')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에 있어서, 수평조절 프레임(20)이, 4개의 2단사각 구조프레임(21)의 끝에 연결구(22)가 끼워지고, 나사못(30)으로 고정되어 일체화 된 것이 바닥슬래브 (1a) 또는 천정슬래브(2a)에 안착되고, 2단사각 구조프레임(21)의 하부에 부착된 조절 볼트(23)가 설정된 높이에 맞게 조정된 다음, 고정브래킷(25)이 조절 볼트(23)에 꽂아 지고, 조절 볼트(23)에 부착된 조절 너트(24)에 의해 고정브래킷(25)이 위, 아래에서 고정된 후, 힐트(29)에 의해 고정브래킷(25)의 하부가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에 고정됨으로써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 바닥에 설치되는 수평조절프레임(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9) 및 배수관(11)이 바닥슬래브(1a) 또는 천정슬래브(2a)와 방수판(5a) 사이에 설치되고 욕조턱(15')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3. 삭제
KR10-2000-0051552A 2000-09-01 2000-09-01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KR10040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552A KR100406644B1 (ko) 2000-09-01 2000-09-01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552A KR100406644B1 (ko) 2000-09-01 2000-09-01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299A KR20020018299A (ko) 2002-03-08
KR100406644B1 true KR100406644B1 (ko) 2003-11-21

Family

ID=1968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552A KR100406644B1 (ko) 2000-09-01 2000-09-01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25B1 (ko) * 2008-04-11 2009-11-13 유희종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788B1 (ko) * 2009-11-23 2010-07-05 노중석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904A (ja) * 1992-04-20 1993-11-09 Iida Kenchiku Sekkei Jimusho:Kk 集合住宅における入浴設備
JPH0868477A (ja) * 1994-08-30 1996-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管床装置
JPH08120817A (ja) * 1994-10-20 1996-05-14 Daiwa House Ind Co Ltd 階上のユニットバス据付型浴室床下構造
JPH08218655A (ja) * 1995-02-15 1996-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水床パン
JPH0941686A (ja) * 1995-07-26 1997-02-10 Noda Corp ユニットバスルーム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H0998900A (ja) * 1995-10-06 1997-04-15 Touyoko Syst Kensetsu:Kk バスシステムとこれを組み立てるためのユニットバス
JPH10108799A (ja) * 1996-10-04 1998-04-28 Sekisui Chem Co Ltd 浴室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904A (ja) * 1992-04-20 1993-11-09 Iida Kenchiku Sekkei Jimusho:Kk 集合住宅における入浴設備
JPH0868477A (ja) * 1994-08-30 1996-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管床装置
JPH08120817A (ja) * 1994-10-20 1996-05-14 Daiwa House Ind Co Ltd 階上のユニットバス据付型浴室床下構造
JPH08218655A (ja) * 1995-02-15 1996-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水床パン
JPH0941686A (ja) * 1995-07-26 1997-02-10 Noda Corp ユニットバスルーム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H0998900A (ja) * 1995-10-06 1997-04-15 Touyoko Syst Kensetsu:Kk バスシステムとこれを組み立てるためのユニットバス
JPH10108799A (ja) * 1996-10-04 1998-04-28 Sekisui Chem Co Ltd 浴室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25B1 (ko) * 2008-04-11 2009-11-13 유희종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299A (ko) 200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644B1 (ko) 슬래브와 방수판 사이에 오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고,욕조턱이 낮아진 조립식 욕실
JPH0617460A (ja) Pc床版及び防水パン
US6460204B1 (en) Assembly unit for sanitary facilities
JP3318519B2 (ja) ユニットバスの設置構造及びユニットバスの設置方法
JP6587428B2 (ja) 入浴設備及びこれに用いる組立浴槽体
JPH0613282Y2 (ja) 床のシ−ト防水構造
JP3232477B2 (ja) 浴 室
KR102583751B1 (ko) 완성형 화장실용 고정 구조
KR0167719B1 (ko) 조립식욕실의 방수판 하부에 조립되는 발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욕실의 시공방법
JP2003138630A (ja) サニタリーユニットにおける壁掛型衛生設備機器の取付構造
JP2541099Y2 (ja) 壁パネルの固定構造
JP2001090135A (ja) 集合住宅における要排水設備の設置構造
JP2882523B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壁パネル建て付け構造
KR100402544B1 (ko) 코어층을 가진 쉬트 몰딩 콤파운드 방수판의 시공방법
JPH0136467Y2 (ko)
KR950006224Y1 (ko) 좌변기 시공용 받침대
WO2019093517A1 (ja) 衛生機器装置、ルームユニット、衛生機器装置の施工方法及びルームユニットの施工方法
JPH08816U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防水構造
KR20050120006A (ko) 무소음 화장실 건식 시공방법---T-gps
JPH11293939A (ja) 大型浴室のハーフユニット化工法
TW202204737A (zh) 衛生單元結構體及其施工方法
KR101982675B1 (ko)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JP2004044172A (ja) 玄関構造
JPH0425885Y2 (ko)
JPH03357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