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675B1 -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 Google Patents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675B1
KR101982675B1 KR1020160153364A KR20160153364A KR101982675B1 KR 101982675 B1 KR101982675 B1 KR 101982675B1 KR 1020160153364 A KR1020160153364 A KR 1020160153364A KR 20160153364 A KR20160153364 A KR 20160153364A KR 101982675 B1 KR101982675 B1 KR 101982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base
toilet
remodel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347A (ko
Inventor
최원섭
Original Assignee
최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섭 filed Critical 최원섭
Priority to KR102016015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6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85Repairing or restoring flooring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을 리모델링하는 동안에도 이미 설치된 변기를 철거하지 않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늘릴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주자가 변기 사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편리하게 욕실을 리모델링할 수 있게 한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습식 욕실의 경우, 이미 설치된 변기 주변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욕실 바닥과 벽체 그리고 천정에 바닥재와 마감재를 시공한 다음, 이 변기를 철거한 뒤에 베이스를 이용하여 새 변기를 바로 시공함으로써, 기존 변기를 철거하고 새 변기를 시공하는 동안만 제외하고 리모델링하는 동안 언제든지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식 욕실(UBR)의 경우, 이미 설치된 변기 주변에 베이스를 시공한 다음, 습식 욕실과 비슷한 방법으로 리모델링하므로, 기존 변기를 철거하고 새 변기를 시공하는 동안만 제외하고 리모델링하는 동안 언제든지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BASE AND METHOD FOR REMODELING BATHROOM IN ORDER TO ALWAYS USE TOILET}
본 발명은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을 짧은 시간에 리모델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델링하는 동안에도 기존 변기를 떼어내고 여기에 새 변기로 교체할 동안만 변기 사용이 않되도록 하여 욕실 전체를 리모델링하는 동안에도 긴 시간 변기 사용이 않되는 불편을 해소하여 편리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주택 전체를 리모델링하면서 함께 리모델링하거나, 누수나 미감 등을 목적으로 욕실만 리모델링하기도 한다. 이에,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다양한 리모델링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939911호
기존 시공사와는 차별화된 리모델링방법으로써, 기존 내부구조물을 철거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입주자의 이주 없이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용적률증가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시공기간이 최대한 단축되어 1년 이내에 리모델링을 완료할 수 있고, 시공비를 최소화하여 기존 시공사가 제시하고 있는 공사비용과 비교해볼 때 50~60% 절감효과를 누리기 위한 거주식 공동주택 리모델링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7331호
리모델링용 층상배관 시스템이 적용된 욕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골조를 포함한 바닥 슬라브는 유지한 상태에서 측면 확장과 기존 공간의 위치변경을 통해 구성되는 층상배관이 구현 가능한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층상배관 욕실을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욕실의 리모델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모르타르로 타일을 시공한 욕실(습식)에 대한 리모델링이고, 두 번째는 욕조와 변기 그리고 세면대 등이 일체로 제작된 UBR(Unit Bath Room, 건식)에 대한 리모델링이 있다.
습식으로도 불리는 욕실은 콘크리트로 골조를 제작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로 방수 등의 작업을 시행하고 그 내부에 욕조와 세면대 그리고 양변기 등을 시공한 것을 말한다. 이 때문에 습식 욕실을 리모델링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습식 욕실은 바닥과 벽 등에 타일을 시공하기 때문에 이 습식 욕실을 리모델링에 앞서 이러한 천장, 벽체, 바닥, 그리고 변기와 세면기 등을 철거한 다음 다시 타일과 바닥 그리고 벽체와 천장을 시공해야 한다. 이처럼 욕실 내면을 공사할 때는 변기를 철거해 버리기 때문에 욕실을 리모델링할 동안에는 변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2) 특히, 타일과 같이 시공한 뒤에 며칠 동안 양생해야 하는 경우, 그동안은 욕실 자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불편함이 더욱 커진다.
(3) 또한, 새로 타일 등을 시공할 때 방수를 고려해야 하므로 시공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델링 기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다.
건식 욕실이라고도 하는 UBR(Unit Bath Room)은 통상 욕실의 벽체와 바닥 등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 욕조와 세면대 그리고 양변기 등을 시공한 것을 말한다. 이 때문에 UBR 이 설치되었던 욕실을 새롭게 리모델링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UBR의 리모델링 방식은 우선, 욕실 내부에 설치한 세면대와 양변기 등을 철거한 다음, 욕실 바닥과 벽체 그리고 천장을 리모델링한 뒤에 새 세면대와 양변기 그리고 액세서리 등을 시공한다.
(2) 이는, 습식 욕실에 비교하여 벽체나 바닥 등의 철거 과정이 없어 리모델링 기간이 길지 않으나, 변기를 철거한 상태로 욕실 바닥과 벽체 그리고 천장 등을 시공하여 리모델링이 이루어지므로 오랫동안 변기를 사용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0939911호 (등록일 : 2010.01.25)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7331호 (공개일 : 2015.11.1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욕실을 리모델링하는 동안에도 이미 설치된 변기를 철거하지 않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늘릴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주자가 변기 사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편리하게 욕실을 리모델링할 수 있게 한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습식 욕실의 경우, 이미 설치된 변기 주변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욕실 바닥과 벽체 그리고 천정에 바닥재와 마감재를 시공한 다음, 이 변기를 철거한 뒤에 베이스를 이용하여 새 변기를 바로 시공함으로써, 기존 변기를 철거하고 새 변기를 시공하는 동안만 제외하고 리모델링하는 동안 언제든지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식 욕실(UBR)의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 리모델링을 실시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바닥판에 타일을 덧붙이는 형태로 리모델링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미 설치된 변기 주변에 베이스를 시공한 다음, 습식 욕실과 비슷한 방법으로 리모델링하므로, 기존 변기를 철거하고 새 변기를 시공하는 동안만 제외하고 리모델링하는 동안 언제든지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 방법은, UBR(Unit Bath Room) 방식의 욕실 리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욕실(B)에 이미 설치한 변기(U) 주변에 제1 베이스(140)를 욕실 바닥과 벽체에 밀착하게 시공하는 예비 단계; 욕실(B) 바닥에서 상기 제1 베이스(1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타일(T)을 시공하는 제1 단계; 욕실(B) 내부에서 이미 설치한 변기(U)를 제외한 내부 시설물(C)을 철거한 다음 욕실(B) 벽과 천장을 마감재(200)로 시공하는 제2 단계; 변기(U)를 철거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베이스(140) 위에 제2 베이스(300)를 설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2 베이스(300) 위에 새 변기(U')를 시공하고 다른 새 내부 시설물(C')을 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욕실에 이미 설치된 변기를 철거하지 않고 바닥재(또는 타일)와 마감재를 시공하므로, 리모델링하는 동안에도 거주자가 변기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2) 욕실 바닥을 하나로 이루어진 바닥재로 시공하므로 누수 등이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한 번에 바닥 전체를 시공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리모델링 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베이스를 이용하여 욕실 바닥과 바닥재의 시공 범위가 구획되어 그 사이의 높이 차이가 있게 하여 이 베이스 위에 새 변기를 시공하므로, 변기 시공이 쉬우면서도 베이스와 새 변기 사이의 틈새 등을 없애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욕실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4) 이러한 리모델링 방법은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로 이루어진 습식 욕실뿐만 아니라 베이스를 이용하면 일체형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UBR(Unit Bath Room)에도 적용할 수 있어 욕실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욕실 리모델링을 할 수 있다.
(5) 바닥재의 전체 테두리에 턱이 돌출 성형이 되므로, 그 위에 마감재가 걸쳐지게 하여 벽체 시공이 쉬울 뿐만 아니라, 이 턱이 물이나 이물 등이 기존 바닥으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게 하여 쾌적한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공 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 방법으로 시공한 새 변기의 시공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 방법에서 베이스의 시공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 방법으로 시공한 새 변기의 시공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 방법은, 이미 설치한 변기(U)를 철거하지 않고 바닥재(100)와 마감재(200)를 시공한 다음, 이 변기(U)를 철거한 뒤에 바로 새 변기(U')를 시공하여 리모델링을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리모델링하는 동안에도 기존 변기(U)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거주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5단계에 걸쳐 시공되므로, 아래에서는 각 단계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예 1]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욕실 전체를 구성한 습식 욕실에 적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제1 단계는, [도 1]과 같이, 리모델링하고자 하는 욕실(B) 바닥에 바닥재(100)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바닥재(100)는 욕실(B)의 특성상 물을 많이 사용하므로 물이 투과되지 않아 방수되며, 욕실을 이용할 때 발이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제작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바닥재(100)는 욕실(B) 바닥과 같은 크기로 제작하여 하나의 바닥재(100)를 욕실(B) 바닥에 시공함으로써, 시공 효율을 높이면서도 방수 기능을 함께 얻을 수 있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재(100)는, [도 1]과 같이, 절개 부분(120)을 형성한다. 절개 부분(120)은 바닥재(100)의 한쪽 테두리에서 미리 정한 크기와 위치에 형성하는 데, 바람직하게는 욕실(B) 바닥에 이미 설치된 변기(U)가 이 바닥과 접하는 크기 정도로 형성한다. 이는, 바닥재(100)를 시공할 때 기존 변기(U)를 철거하지 않더라도 욕실(B) 바닥에 바닥재를 한 번에 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바닥재(100)는, [도 6]과 같이, 제1조절 볼트(110)로 높이 조절과 물이 배수구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욕실(B) 바닥에 장착한다. 여기서, 제1조절 볼트(110)는 한쪽에 욕실(B) 바닥 등에 고정한 상태에서 너트를 회전함에 따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이 너트가 바닥재(100) 등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제1조절 볼트(110)는 바닥재(100)의 크기에 따라 욕실 바닥과 바닥재(100) 사이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설치하게 되는 데, 이러한 설치 방법은 통상의 기술로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조절 볼트(110)에는, [도 6]과 같이, 후술할 제2 베이스(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블록(111)을 더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 블록(111)은 상기 절개 부분(120)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설치한 제1 조절 볼트(110)에 구성하여 후술할 제2 베이스(300)를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관해서는 제2 베이스(300)를 설명하면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상기 바닥재(100)에는, [도 1]과 같이, 전체 테두리에 걸쳐 치수 턱(130)이 돌출 성형이 된다. 이 치수 턱(130)은 후술할 벽체에 마감재(200)를 시공하는 단계에서 이 마감재(200) 하부가 걸쳐지게 하고, 특히 바닥재(100) 위에 흘린 물이나 이물 등이 바닥재(100)의 테두리 부분을 통해 스며나가지 못하게 막아 물이나 이물이 바닥재(100)와 욕실(B)의 기존 바닥 사이에 고이거나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치수 턱(130)은 그 위에 마감재(200)가 걸쳐지게 시공하였을 때,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계는, [도 2]와 같이, 욕실(B) 벽체와 천장에 대하여 내부 시설물(C)을 철거한 다음 마감재(200)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마감재(200)는 상술한 바닥재(100)와 마찬가지로 방수되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모양이나 문양 등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시설물(C)은 이미 설치된 변기(U)를 철거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 변기(U)를 제외한 나머지 거울이나 세면기, 수건장 등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마감재(200)는 바닥재(100)와 같이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벽체와 천장에 액세서리와 전등 등의 부착물이 많이 시공되므로 타일과 같이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것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변기(U)는 욕실(B)에 장착할 때 물통 등이 벽에 부착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장착이 되므로, 이처럼 물통이 장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마감재(200)를 시공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처럼 마감재(200)를 시공하지 않는 위치와 크기는 후술할 제2 베이스(300)의 크기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계는 변기를 설치한 벽체 부분과 세면기를 설치한 부분을 제외하고 기타 시설물을 제거하고 마감재(200)를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처럼 시공되지 않은 부분에 새로운 변기와 세면기를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마감재(200)를 벽체에 시공할 때는, [도 2]와 같이, 바닥재(100)와 접하게 설치하는 하부가 상술한 치수 턱(130)에 걸쳐지게 시공하여 벽체가 턱이 생기지 않으면서 물이나 이물 등이 욕실 바닥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게 시공한다.
제3 단계는, [도 3]과 같이, 이미 욕실에 시공된 변기(U)를 철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변기(U) 철거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단계는, [도 4]와 같이, 제2 베이스(300)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제2 베이스(300)는 상술한 바닥재(100)와 마감재(200)를 시공할 때 변기(U)를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변기(U) 주변의 바닥재(100)와 마감재(200)로 시공하지 않은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제2 베이스(300)는 욕실 벽체와 바닥에 장착할 수 있게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이 되게 형성하며, 상술한 단계에서 미리 벽체와 바닥에 장착한 바닥재(100)와 마감재(200)와 같은 높이가 되게 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베이스(300)는, [도 6]과 같이, 상술한 절개 부분(120)보다 넓고 가장자리가 꺾이게 한 다음 다시 한 번 턱(340) 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렇게 꺾인 테두리 부분인 턱(340)에는 상술한 지지 블록(111)의 지지를 받게 하면서 스크루(310)로 체결 고정하여 견고하게 고정한 다음, 바닥재(100)와 접하는 부분을 실링 처리하여 절개 부분(120) 안으로 물이나 이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시공한다.
한편, 상기 제2 베이스(300)는, [도 6]과 같이, 안정적으로 그 상부에 설치할 새로운 변기(U')와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게 시공하기 위해 제2조절 볼트(320)를 미리 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시공한다. 이때, 제2조절 볼트(320)는 제1조절 볼트(110)와 마찬가지로 볼트-너트 방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고, 특히 한쪽 끝이 제2 베이스(300) 위로 관통 돌출되게 하여 새 변기(U')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제5 단계는, [도 5]와 같이, 새 변기(U')와 내부 시설물(C')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새 변기(U')는 상술한 제2 베이스(300) 위에 시공하며, 특히 제2조절 볼트(320)를 이용하여 제2 베이스(300) 위에 체결하여 시공한다.
그리고, 내부 시설물(C')로서 대표적인 세면기는 기존 장착 위치에 설치하고, 다른 액세서리 등을 원하는 위치에 시공하여 리모델링을 마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변기를 철거한 다음 새 변기를 바로 시공할 수 있도록 욕실을 리모델링함으로써, 리모델링하는 동안에도 변기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바로 기존 변기를 철거하고 새로운 변기를 시공하므로 리모델링 중에서 편리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 방법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하나, [실시예 1]에서 제1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치수 턱(130)의 기능과 기존 변기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의 제1 베이스(140)를 시공하는 "예비 단계"를 실시하고, [실시예 1]의 제1 단계에서 바닥재(100) 대신에 타일(T)을 시공하며, 이처럼 제1 베이스(140)의 이용으로 제2 베이스(300)를 고정하는 데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그 차이 구성에 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B'"는 합성수지와 같이 욕실을 일체로 제작한 UBR(Unit Bath Room)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제1 베이스(140)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으로, 이 제1 베이스(140)의 구성에 관해서는 예비 단계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예비 단계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 베이스(140)를 욕실(B')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제1 베이스(140)는, [도 7]과 같이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빈 프레임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제1 베이스(140)는, [도 7]과 같이, 욕실(B)에 이미 설치된 변기(U)를 철거하지 않고 그 둘레를 씌워서 욕실 바닥과 벽체에 밀착할 수 있게 장착한다.
특히, 상기 제1 베이스(14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욕실(B')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수평 부분(141), 이 수평 부분(141)의 한쪽에서 돌출 성형이 되어 제2 베이스(300)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수직 부분(142), 그리고 이 수직 부분(14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제2 베이스(300)의 옆쪽을 고정하게 하는 플랜지 부분(1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로 부분(141)은, [도 8]과 같이, 제1 베이스(140)를 스크루(141a)로 욕실(B') 바닥에 고정하게 하고, 그 위에는 제3조절 볼트(144)의 한쪽이 회전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여기서, 제3조절 볼트(144)는 상술한 다른 조절 볼트와 마찬가지로 너트-볼트 방식으로 높이 조절을 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으로, 육각 렌치 등으로 제3조절 볼트(144)를 돌리면 조절 너트(330)가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구성한다.
제1 단계는, [도 8]과 같이, 욕실(B') 바닥에 타일(T)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타일(T)은 상술한 제1 베이스(140) 내부를 제외한 욕실(B') 바닥에 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타일(T)을 시공하는 제1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제2 단계는 욕실(B') 내부에서 이미 설치한 변기(U)를 제외한 내부 시설물(C)을 철거한 다음 그 벽과 천장을 마감재(200)로 시공하는 단계이고, 제3 단계는 변기(U)를 철거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단계는, [도 8]과 같이, 제2 베이스(3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제2 베이스(300)는,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실시예 2]에서는 그 구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2 베이스(300)는, [도 8]과 같이, 상술한 제1 베이스(140)보다 크고 가장자리 부분이 꺾인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2 베이스(300)는 꺾인 테두리 부분이 상술한 수직 부분(142)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스크루 등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300)는, [도 8]과 같이, 상술한 조절 너트(330)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게 고정 구멍(351)이 형성되고, 이 고정 구멍(351)에는 제3조절 볼트(144)를 돌려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이 고정 구멍(351)에는 캡(350)을 씌워서 이물 등의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300)에는 새 변기(U')를 설치할 수 있게 관통 구멍(361)을 관통 형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2 베이스(300)는, [도 8]과 같이, 제4조절 볼트(360)를 미리 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욕실(B') 바닥에 설치한다. 이때, 제4조절 볼트(360)는 한쪽이 욕실(B') 바닥에 지지가 되고 다른 한쪽이 관통 구멍(361)을 통해 베이스(330) 위로 돌출된 상술한 구성과 같은 조절 볼트를 이용한다.
제5단계는, [도 8]과 같이, 제2 베이스(300) 위에 새 변기(U')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이는, 제4조절 볼트(360)에 새 변기(U')를 고정하는 것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변기를 철거한 다음 새 변기를 바로 시공할 수 있도록 욕실을 리모델링함으로써, UBR 욕실을 리모델링하는 동안에도 변기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바로 기존 변기를 철거하고 새로운 변기를 시공하므로 리모델링 중에서 편리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
100 : 바닥재
110 : 제1조절 볼트
111 : 지지 블록
120 : 절개 부분
140, 300 : 제1 베이스, 제2 베이스
141 : 수평 부분
142 : 수직 부분
143 : 플랜지 부분
200 : 마감재
310 : 스크루
320 : 제2조절 볼트

Claims (4)

  1. UBR(Unit Bath Room) 방식의 욕실 리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욕실(B)에 이미 설치한 변기(U) 주변에 제1 베이스(140)를 욕실 바닥과 벽체에 밀착하게 시공하는 예비 단계; 욕실(B) 바닥에서 상기 제1 베이스(1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타일(T)을 시공하는 제1 단계; 욕실(B) 내부에서 이미 설치한 변기(U)를 제외한 내부 시설물(C)을 철거한 다음 욕실(B) 벽과 천장을 마감재(200)로 시공하는 제2 단계; 변기(U)를 철거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베이스(140) 위에 제2 베이스(300)를 설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2 베이스(300) 위에 새 변기(U')를 시공하고 다른 새 내부 시설물(C')을 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베이스(140)는, 욕실(B)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수평 부분(141); 상기 수평 부분(141)의 한쪽에 돌출 형성되어 새로 설치하는 변기(U')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 부분(142); 및 이 수직 부분(14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제2 베이스(300)를 체결 고정하게 하는 플랜지 부분(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의한 UBR(Unit Bath Room) 방식의 욕실 리모델링 방법으로 리모델링할 때 이용하는 제2 베이스(300)에 있어서,
    욕실(B)에 이미 설치한 변기(U) 주변에 제1 베이스(140)보다 넓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그 전체 테두리가 제1 베이스(140)에 고정할 수 있게 서로 마주보게 꺾이며,
    욕실(B) 바닥에 고정한 제1 베이스(140)에 제3조절 볼트(144)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면서 이 제3조절 볼트(144)에 체결한 조절 너트(330)를 감싸주게 고정 구멍(351)을 형성하고, 이 고정 구멍(351)에는 캡(350)이 끼워져서 마감되며,
    한쪽이 욕실(B) 바닥에 밀착하고 다른 한쪽이 위로 돌출되어 새 변기(U')를 고정하는 제4조절 볼트(360)가 관통되게 설치하기 위한 관통 구멍(3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에 이용하는 제2 베이스(300).
  4. 제1항에 의한 UBR(Unit Bath Room) 방식의 욕실 리모델링 방법으로 리모델링할 때 이용하는 제2 베이스(300)에 있어서,
    변기(U)가 장착된 욕실(B) 바닥 부분과 이 바닥 부분과 접한 벽체에 맞닿을 수 있게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체 테두리 부분이 서로 마주 보게 꺾어서 형성하되,
    꺾인 테두리의 가장자리 부분이 다시 안쪽으로 턱(340) 지게 꺾여서 스크루(3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체결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제2 베이스(300).
KR1020160153364A 2016-11-17 2016-11-17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KR101982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64A KR101982675B1 (ko) 2016-11-17 2016-11-17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64A KR101982675B1 (ko) 2016-11-17 2016-11-17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40A Division KR101730093B1 (ko) 2016-02-23 2016-02-23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47A KR20170099347A (ko) 2017-08-31
KR101982675B1 true KR101982675B1 (ko) 2019-05-29

Family

ID=5976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364A KR101982675B1 (ko) 2016-11-17 2016-11-17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6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94B1 (ko) * 2013-04-08 2013-12-10 박대환 조립식 욕실의 개보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911B1 (ko) 2008-02-27 2010-02-03 임영식 거주식 공동주택 리모델링방법
KR20150127331A (ko)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청완 리모델링용 층상배관 욕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094B1 (ko) * 2013-04-08 2013-12-10 박대환 조립식 욕실의 개보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47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6017B2 (en) Compression drain with adjustable-height grate
US6443495B1 (en) Multiple level floor flange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DK2333174T3 (en) Drainage system for shower bath
US10422118B2 (en) Drain apparatus and system
KR200408194Y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JP6780999B2 (ja) 衛生設備ユニット
US76210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aining, removing, and disposing of liquids and light solids
US11389033B2 (en) Bathtub installation aide
KR101982675B1 (ko)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KR101730093B1 (ko)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JP3149129U (ja) ユニットバス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101580954B1 (ko)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US85785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aining, removing, and disposing of liquids and light solids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JP2006336285A (ja) 改装用防水パン
US6625825B1 (en) Convertible shower
KR101857864B1 (ko)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KR102589225B1 (ko)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의 시공 방법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JPH0533802A (ja) 衛生器具の留め具及びその留め具を使用した衛生器具の取付方法
KR200484801Y1 (ko) 악취 제거기능 양변기 관통 슬리브
JPH0521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