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864B1 -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 Google Patents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864B1
KR101857864B1 KR1020160100412A KR20160100412A KR101857864B1 KR 101857864 B1 KR101857864 B1 KR 101857864B1 KR 1020160100412 A KR1020160100412 A KR 1020160100412A KR 20160100412 A KR20160100412 A KR 20160100412A KR 101857864 B1 KR101857864 B1 KR 101857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bowl
cavity
slab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214A (ko
Inventor
한은혜
Original Assignee
한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은혜 filed Critical 한은혜
Priority to KR102016010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8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35Supports for bow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변기위치의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110) 타설 시 동양식변기개구부를 성형하되 성형틀(100)의 상부가 화장실바닥 마감타일(130)의 표면과 수평이 되게 형성하고 하부는 개구로 형성하여 변기(200)설치 시 변기두름테(250)가 화장실바닥에 밀착되고 변기(200)의 하부를 개구된 슬래브(110) 아래로 돌출시켜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 및 오수관(290)을 연결하여 화장실바닥 및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변기 및 세척수밸브의 설치와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실바닥과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변기 및 세척수밸브의 설치와 교체가 가능하여 설치 및 보수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기두름테(250)가 화장실바닥 마감타일(130)과 변기개구부 성형틀(100)의 이음매를 덮어 변기와 타일의 일체감을 주므로 화장실바닥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Oriental toilet opening frame}
본 발명은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동양식변기설치 시 변기두름테가 화장실바닥에 밀착되며 변기의 하부가 개구된 슬래브 아래로 돌출되어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 및 오수관을 연결하도록 구비하여 화장실바닥 및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변기의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변기위치의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 타설 시 동양식변기안착용 개구부를 성형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에 관한 것이다.
변기는 크게 기능적으로 쪼그려 앉아 용변을 보는 동양식 변기와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서양식 변기로 구분하고 있다.
구조적으로는 동양식변기는 바닥에 매설되는 구조이고 서양식변기는 바닥에 올려놓는 노출구조이다.
또한 동양식변기는 쪼그려 앉아 용변을 보는 형식으로 어린이, 노약자, 변비환지는 용변보기가 불편한 반면 서양식변기는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형식으로 용변보기가 편리하다.
이와 같이 설치와 사용의 편리를 위해 가정은 물론 공공장소의 화장실에서도 대다수 서양식 변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요즘에는 위생이 강조되면서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의 화장실에 설치된 서양식변기에 대한 거부감이 팽배해지고 있는 추세다.
서양식변기는 변기시트가 직접 피부에 접촉되는 관계로 수많은 사람들의 피부와 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피부병 그리고 각종 질병의 분비물에 노출되어 전염될 위험성이 많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부의 화장실에서는 일회용 변기커버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비용문제와 1회용 물품의 사용규제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장소의 화장실을 사용하는 대다수 사용자는 휴지로 변기커버를 닦거나 변기시트에 휴지를 깔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런 것들은 근본 해결책이 되지 못하며 휴지사용을 남발하고 화장실 내부를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016. 06. 21 서울시 설문조사 발표에 따르면 남자의 20%, 여성의 40% 정도가 지하철 화장실을 이용할 경우 동양식 변기를 사용하길 원한다고 답하였다고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동양식변기의 선호도는 높아지고 있지만 동양식변기는 화장실바닥에 매설되는 구조로서 변기설치가 번거롭고 변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변기주변을 훼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설치를 꺼려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6319호에는 화장실 바닥에 매몰되어 설치되고 화변기의 고장 또는 파손시에 화변기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화변기 고정틀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의 구성은 화장실 건축 시 또는 화장실 바닥의 개조 시에 화장실 바닥에 화변기 고정틀을 설치하고 화변기 고정틀의 외부에는 시멘트로 채워져 양생되며, 시멘트의 상부에는 타일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변기 수리 및 교체 시 변기주변을 걷어낸 후 변기를 안착시키고 걷어낸 주변을 혼석으로 채우고 미장을 한 후 타일로 마감을 하는 과정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발명은 화변기 고정틀이 매몰되는 구조로서 화변기 고정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화변기 고정틀 높이만큼 매설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원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화변기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세척수밸브를 교체할 때 변기주변을 훼손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화장실바닥과 외형이 상이한 사각틀의 표면이 화장실바닥에 노출되므로 화변기고정틀의 표면과 화장실바닥과 부조화를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361호에는 화변기 장착공 시공을 위한 형틀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구성은 본 고안은 화변기 장착공 시공을 위한 형틀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된 소정 두께의 통 형상으로 가공하되 설치하고자 하는 화변기의 외형에 대체로 일치되는 외부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제작됨으로써, 화변기의 외형에 근접하는 장착공을 슬래브상에 시공할 수 있는 화변기 장착공 시공을 위한 형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화변기 장착공 시공을 위한 형틀에 의하면, 변기 고정용 각목 설치, 부분 고정을 위한 모르타르 채움, 하부 합판 거푸집 설치, 공간부분 마감 모르타르 채움, 하부 합판 거푸집 철거 등 종래의 여러 공정이 삭제 가능하여 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고, 인건비 및 자재비 절감 및 공기 단축 등 여러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장착공의 경우 화변기를 간단히 내부에 넣어 안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성 향상이 가능해지며, 종래의 모르타르 채움 공간이 없어지므로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인용발명은 화변기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세척수밸브를 교체할 때 변기주변을 훼손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건물의 용도에 따라 슬래브높이와 마감모르타르의 두께를 달리하고 있으나 상기 인용발명은 형틀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화장실바닥 두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실 변기위치의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 타설 시 동양식변기안착용 개구부를 성형하되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에 형성된 변기받침테의 하부가 슬래브의 표면과 수평이 되게 하고 하부는 개구로 성형하여 변기설치 시 변기의 거치턱이 변기받침테에 안착되고 변기두름테가 화장실 마감타일에 밀착되며 변기의 하부가 개구된 슬래브 아래로 돌출되어 세척수급수관 및 오수관의 배관작업을 슬래브 하부에서 이루어지도록 구비하여 화장실바닥과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변기 및 세척수밸브의 설치 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변기설치 시 변기두름테가 화장실바닥의 마감타일의 표면에 밀착되고 본체부와 마감타일의 이음매를 덮어 이음매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고 화장실바닥을 미려하게 한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화장실 변기위치의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110) 타설 시 동양식변기안착용 개구부를 성형하되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에 형성된 변기받침테(330)의 하부가 슬래브의 표면과 수평이 되게 하고 하부는 개구로 성형하여
변기(200) 설치 시 변기거치턱(230)이 변기받침테(330)에 안착되고 변기두름테(250)가 화장실 마감타일(130)에 밀착되며 변기(200)의 하부가 개구된 슬래브(110) 아래로 돌출되어 개구된 하부를 통해 변기(200)의 세척수급수관(270) 및 오수관(290)을 연결하여 화장실바닥 및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변기(200) 및 세척수밸브의 설치와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에 있어서
변기테두리 모양의 하부가 개구된 타원통 형상으로 본체부외벽(310)을 성형하며 변기거치턱(230)이 거치되는 변기받침테(330)와, 내부 전면 상부에 형성된 세척수급수관연결구(350)와, 중앙하부에 형성되어 변기(200)의 사이펀부분 외관이 거치되어 변기(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변기거치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부(300)와;
본체부(30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300)의 높이를 조절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 오수관(290)을 연결하며 하부를 덮개(430)로 개폐하는 본체높이조절부(400)와;
하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공동구부외벽(510)을 성형하며 상면에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세척수급수관인입구(550)와, 배관작업구(570)를 형성하여 화장실바닥 상부에서도 배관작업구(570)를 통해 세척수급수관(270) 및 세척수밸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동구부(500)와;
공동구부(500)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를 조절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270) 및 세척수밸브를 연결하며 덮개(630)로 하부를 개폐하는 공동구높이조절부(6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300)의 본체부외벽(310) 및 공동구부(500)의 공동구부외벽(510)은 슬래브(110)층에 매설되며 본체부의 변기받침테(330) 및 공동구부(500)의 세척수급수관인입구(550)와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배관작업구(570)는 마감모르타르(120) 및 마감타일(130)층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300)의 변기받침테(330)의 끝부분은 화장실바닥의 마감타일(130)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기(200)의 변기두름테(250)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마감타일(130) 위에 밀착되도록 거치시켜 변기의 고정력을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동구부(500)의 외형 높이를 본체부(300)의 외형보다 변기받침테(330)두께의 절반 낮게 하여 측면에 세척수급수관 인입구(550)을, 상면에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배관작업구(570)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300) 및 공동구부(500)외벽은 격자모양의 돌기(320),(520)를 형성하여 강도를 높이고 슬래브와의 응집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동구부(500)의 상면 상, 하부에 격자모양의 돌기(580)를 형성하여 세척수밸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에 의하면 화장실바닥에 성형된 변기개구부에 동양식변기가 안착되므로 변기와 세척수밸브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비용과 시간이 절약되며 수리 및 교체 시 화장실바닥, 급수관, 오수관 등 기존시설을 훼손하거나 변형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어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슬래브 두께에 관계없이 변기두름테(250)가 화장실바닥에 밀착되고 변기(200)의 하부가 화장실바닥 아래로 돌출되기 때문에 변기가 슬래브 위로 노출이 되지 않아 변기가 슬래브 위로 노출되는 부분만큼 단을 만들 필요가 없어 화장실설비가 용이하며 시설 후 변기두름테(250)가 변기와 타일의 이음세를 덮음으로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형틀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기가 안착된 본체부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구부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덮개 평면도
본 발명의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은 화장실 변기위치의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110) 타설 시 동양식변기안착용 개구부를 성형하되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에 형성된 변기받침테(330)의 하부가 슬래브의 표면과 수평이 되게 하고 하부는 개구로 성형하여 변기(200)설치 시 변기거치턱(230)이 변기받침테(330)에 안착되고 변기두름테(250)가 화장실 마감타일(130)에 밀착되며 변기(200)의 하부가 개구된 슬래브(110) 아래로 돌출되어 개구된 하부를 통해 변기(200)의 세척수급수관(270) 및 오수관(290)을 연결하여 화장실바닥 및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변기(200) 및 세척수밸브의 설치와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에 있어서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은 변기테두리 모양의 하부가 개구된 타원통 형상으로 변기(200)가 안착되는 본체부외벽(310)와, 변기받침테(330)를 성형하는 본체부(300)와;
본체부(30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 외벽(310)높이를 조절하는 본체높이조절부(400)와; 하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공동구부외벽(510)을 성형하며 상면에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배관작업구(570)와, 세척수급수관인입구(550)를 성형하는 공동구부(500)와;
공동구부(500)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공동구높이조절부(60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슬래브 타설시 변기위치의 슬래브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설치되어 동양식변기 안착용 개구부가 성형이 되도록 구비하였다.
다음으로 본체부(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부(300)는 변기테두리 모양의 하부가 개구된 타원통 형상으로 변기가 안착되는 본체부외벽(310)과, 변기거치턱(230)이 거치되는 변기받침테(330)를 성형한다.
이때 본체높이조절부(400)가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110)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체부(300)외벽은 격자모양의 돌기를 형성하여 수직, 수평강도를 높이고 슬래브와의 응집력을 높였다.
본체부(300)가 매설되는 부분은 콘크리트슬래브 층과 마감 층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부외벽(310)은 슬래브(110) 층에, 변기받침테(330)는 마감모르타르(120) 및 타일(130) 층에 매설된다.
이때 슬래브(110) 두께 및 마감모르타르(120) 두께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상기 본체부(300)의 변기받침턱(330)의 끝 부분은 화장실바닥의 마감타일(130)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는 변기(200가 변기거치턱(230)이 변기받침테(330)에 거치되어 본체부(300)에 안착되고 변기두름테(250)는 마감타일(130) 위에 밀착시켜 변기의 고정력을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부 전면상부에는 세척수급수관연결구(350)를 형성하고 중앙하부에는 변기사이펀부분의 외관이 거치되는 변기거치대(370)를 형성하여 변기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켰다.
또한 상기 변기(200)의 변기두름테(250)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마감타일(130) 위에 밀착되도록 거치되어 변기의 고정력을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였다.
또한 변기(200) 설치 및 교체 시 화장실바닥 및 변기주변을 훼손이나 변형하지 않고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비와 시간을 절약하며 변기교체로 인한 화장실바닥의 부조화를 방지하였다
다음으로 본체부높이조절부(4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체부(30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110)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300)의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가 개구되어 있고 덮개(430)로 개폐한다.
본체부(300)의 변기받침테(330) 끝부분은 슬래브(110) 두께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화장실바닥의 마감타일(130)과 수평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슬래브(110)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300)의 높이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콘크리트슬래브(110) 두께는 건물의 용도에 따라 200mm 전후로 타설되며 이에 따라 본체부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본체부높이조절부(400)가 이 기능을 하게 하였다.
높이가 설정되면 본체높이조절부(400)를 본체부(300)에 고정하고 화장실 변기위치의 슬라브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설치되어 슬래브(110) 타설 시 본체부(300)가 성형된다.
또한 하부가 개구되므로 변기(200) 오수관(290)의 연결은 아래층 화장실 천장 점검구를 통해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동구부(5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공동구부(500)는 하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270)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동구부외벽(510)을 성형한다.
또한 상부에 세척수밸브를 고정하는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화장실바닥을 통해 배관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관작업구(570)와, 세척수급수관인입구(550)를, 성형한다.
본 발명의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은 하부를 개구시켜 아래층 화장실 천장 점검구를 통해 세척수급수관 및 오수관을 연결하는 구조이나 하층 화장실 천장을 개봉할 수 없을 시 상부에서 세척수급수관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배관작업구(570)를 성형하였다.
이때 마감타일 작업 시 작업구덮개(590)와 대응하는 부분의 타일을 절개하여 작업구덮개(590) 위에 거치시켜 타일을 훼손하지 않고 작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공동구높이조절부(600)가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110)의 두께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공동구부(500)외벽은 격자모양의 돌기(520)를 형성하여 수직, 수평강도를 높이고 슬래브(110)와 응집력을 높였다.
또한 세척수밸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공동구부(500) 상면의 상, 하부에 격자모양의 돌기(580)를 형성하여 강도를 높였다.
이때 공동구부(500)의 외형 높이를 본체부(300) 외형보다 변기받침테(330)두께의 절반 낮게 하여 세척수급수관을 인입시킨 후 변기받침테(330)와 수평이 되도록 모르타르와 타일로 마감을 하게 하였다.
이때 슬래브(110)두께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화장실바닥의 마감타일(130)높이와 세척수고정구(530) 및 배관작업구(570)의 끝부분과 일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공동구높이조절부(6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공동구부(50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가 개구되어 있고 덮개(630)로 개폐한다.
슬래브(110)두께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세척수밸브고정구(530) 및 배관작업구(570) 끝부분은 화장실바닥의 마감타일과 수평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따라서 슬래브(110)의 두께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슬래브(110)두께는 건물의 용도에 따라 200mm 전후로 타설되며 이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데 공동구부높이조절부(600)가 이 기능을 하게 하였다.
공동구부(500)의 높이가 설정되면 공동구부높이조절부(600)를 공동구부(500)에 고정하고 화장실 변기위치의 슬라브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 타설시 공동구부(500)가 성형된다.
또한 하부가 개구되므로 세척수밸브고정 및 세척수급수관 연결은 아래층 화장실 천장 점검구를 통해 편리하게 할 수 있다.
100 :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110 : 슬래브
120 : 마감모르타르
130 : 마감타일
150 : 성형틀고정턱
200 : 변기
230 : 변기거치턱
250 : 변기두름테
270 : 세척수급수구
290 : 오수관
300 : 본체부
310 : 본체부외벽
320 : 돌기
330 : 변기받침테
350 : 세척수급수관연결구
370 : 변기거치대
390 : 브이스프링브래킷
400 : 본체높이조절부
430 : 덮개
450 : 슬라이딩홈
470 : 오수관연결구
500 : 공동구부
510 : 공동구부외벽
520 : 돌기
530 : 세척수밸브고정구
550 : 세척수급수관인입구
570 : 배관작업구
580 : 돌기
590 : 작업구덮개
600 : 공동구높이조절부
630 : 덮개

Claims (9)

  1. 화장실 변기위치의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110) 타설 시 동양식변기안착용 개구부를 성형하되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에 형성된 변기받침테(330)의 하부가 슬래브의 표면과 수평이 되게 하고 하부는 개구로 성형하여 변기(200)설치 시 변기거치턱(230)이 변기받침테(330)에 안착되고 변기두름테(250)가 화장실 마감타일(130)에 밀착되며 변기(200)의 하부가 개구된 슬래브(110) 아래로 돌출되어 개구된 하부를 통해 변기(200)의 세척수급수관(270) 및 오수관(290)을 연결하여 화장실바닥 및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변기(200) 및 세척수밸브의 설치와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에 있어서
    변기테두리 모양의 하부가 개구된 타원통 형상으로 본체부외벽(310)과, 변기거치턱(230)이 거치되는 변기받침테(330)를 성형하며 내부 전면 상부에 형성된 세척수급수관연결구(350)와, 중앙하부에 형성되어 변기(200)의 사이펀부분 외관이 거치되어 변기(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변기거치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부(300)와;
    본체부(30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300)의 높이를 조절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 오수관(290)을 연결하며 하부를 덮개(430)로 개폐하는 본체높이조절부(400)와;
    하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공동구부외벽(510)을 성형하며 상면에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세척수급수관인입구(550)와, 배관작업구(570)를 형성하여 화장실바닥 상부에서도 배관작업구(570)를 통해 세척수급수관(270) 및 세척수밸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동구부(500)와;
    공동구부(500)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를 조절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270) 및 세척수밸브를 연결하며 덮개(630)로 하부를 개폐하는 공동구높이조절부(6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00)의 본체부외벽(310) 및 공동구부(500)의 공동구부외벽(510)은 슬래브(110)층에 매설되며 본체부의 변기받침테(330) 및 공동구부(500)의 세척수급수관인입구(550)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배관작업구(570)는 마감모르타르(120) 및 마감타일(130)층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00)의 변기받침테(330)의 끝부분은 화장실바닥의 마감타일(130)과 수평이 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200)의 변기두름테(250)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마감타일(130) 위에 밀착되도록 거치시켜 변기의 고정력을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부(500)의 외형 높이를 본체부(300)의 외형보다 변기받침테(330)두께의 절반 낮게 하여 측면에 세척수급수관 인입구(550)을, 상면에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배관작업구(570)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1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외벽(310) 및 공동구부외벽(510)은 격자모양의 돌기를 형성하여 강도를 높이고 슬래브와 응집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부(500)의 상면 상, 하부에 격자모양의 돌기를 형성하여 세척수밸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9. 삭제
KR1020160100412A 2016-08-06 2016-08-06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KR101857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412A KR101857864B1 (ko) 2016-08-06 2016-08-06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412A KR101857864B1 (ko) 2016-08-06 2016-08-06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214A KR20180016214A (ko) 2018-02-14
KR101857864B1 true KR101857864B1 (ko) 2018-05-14

Family

ID=6122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412A KR101857864B1 (ko) 2016-08-06 2016-08-06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8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300B2 (ja) 1988-02-23 1996-09-11 東陶機器株式会社 和風便器の施工方法
JP4229241B2 (ja) 2002-08-02 2009-02-25 リー、ハン−ギュ 和風便器の固定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300B2 (ja) 1988-02-23 1996-09-11 東陶機器株式会社 和風便器の施工方法
JP4229241B2 (ja) 2002-08-02 2009-02-25 リー、ハン−ギュ 和風便器の固定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214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578106U (zh) 一种建筑用模块化同层排水装置
US1533444A (en) Floor slab for plumbing fixtures
CN211007806U (zh) 超高性能混凝土的预制式整体卫浴结构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CN204875972U (zh) 一种厨卫间排水管预埋座
KR101857864B1 (ko)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10106461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CN208748778U (zh) 一种顶置水箱式便器安装结构
CN205444383U (zh) 悬套挂壁式座便器
CN207047963U (zh) 一种室内排污立管预埋双偏心积水处理装置
KR101229734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101982675B1 (ko) 상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KR101677028B1 (ko)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
KR101291882B1 (ko)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
RU2371552C2 (ru) Убирающееся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анузла
KR101695090B1 (ko) 동양식변기 좌대
CN202577508U (zh) 随冲式多功能节水环保座便器
CN208917957U (zh) 智能马桶
KR101730093B1 (ko) 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욕실의 리모델링용 베이스와 그 리모델링 방법
CN110656788A (zh) 一种卫生间及其施工方法
KR20110053501A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KR20090093647A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CN2158422Y (zh) 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