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714B1 -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714B1
KR100405714B1 KR10-2001-0041274A KR20010041274A KR100405714B1 KR 100405714 B1 KR100405714 B1 KR 100405714B1 KR 20010041274 A KR20010041274 A KR 20010041274A KR 100405714 B1 KR100405714 B1 KR 100405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ntrol unit
input
assembly line
vehic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817A (ko
Inventor
이선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7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조립라인에서 글라스 분류 및 투입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물류 및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조립라인에 구비되는 상위 네트웍을 통해 생산 서열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생산 서열에 따라 해당되는 글라스를 적재랙에서 취출하도록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적재랙 상의 글라스 재고 수량을 관리하는 공정 제어부와; 상기 차량 조립라인에 투입되는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 상의 글라스 사양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 리더기와; 상기 공정 제어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입력되는 글라스의 사양 정보를 상기 공정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공정 제어부로부터 생산 서열 정보를 수신하여 각 팔레트 상의 글라스 재고량과 비교하여 팔레트 투입지시 작업에 관련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글라스 분류 제어부와; 상기 공정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재랙 상에 투입되어 있는 각종 글라스를 생산 서열에 따라 취출하여 해당 조립라인으로 공급하는 글라스 취출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GLASS FEEDING DEVICE OF VEHICLE MANUFACTURING L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조립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조립라인에서 글라스 장착공정으로 글라스를 공급할 때 종래에는 글라스 공급 업체에서 차량의 생산 서열 데이터(생산 순서)를 받아서 생산 서열대로 배열하여 팔레트 단위로 납품하면 해당 조립라인에서 작업자가 직접 글라스를 투입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과정을 설명한다.
글라스 공급 업체는 차량 조립 업체(현대 자동차)로부터 생산서열 데이터를 수신 받는다(102단계). 이어서, 작업자는 생산 서열에 따라 수작업으로 글라스 서열 맞춤 작업을 한다(104단계). 생산 서열에 따라 서열 작업된 팔레트 단위의 글라스를 차량 조립 업체로 입고한다(106단계).
이와 같이 글라스 공급 업체로부터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가 입고되면, 차량 조립 업체에서는 지게차와 같은 팔레트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글라스 장착공정에 배치된 작업자 위치에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를 공급한다(108단계).
이어서, 작업자는 팔레트에 적재된 글라스를 해당 조립라인에 투입한다(110단계).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종래에는 작업자의 수작업 특성상 다양한 차종에 따른 사양착오로 인해 글라스 투입의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게되며, 중량물의 핸들링 작업과 물류의 복잡성으로 인해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조립라인에서 글라스 분류 및 투입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물류 및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조립라인에 구비되는 상위 네트웍을 통해 생산 서열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생산 서열에 따라 해당되는 글라스를 적재랙에서 취출하도록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적재랙 상의 글라스 재고 수량을 관리하는 공정 제어부와; 상기 차량 조립라인에 투입되는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 상의 글라스 사양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 리더기와; 상기 공정 제어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입력되는 글라스의 사양 정보를 상기 공정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공정 제어부로부터 생산 서열 정보를 수신하여 각 팔레트 상의 글라스 재고량과 비교하여 팔레트 투입지시 작업에 관련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글라스 분류 제어부와; 상기 공정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재랙 상에 투입되어 있는 각종 글라스를 생산 서열에 따라 취출하여 해당 조립라인으로 공급하는 글라스 취출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조립라인의 공정 제어부가 상위 네트웍을 통해 생산 서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정 제어부로 수신된 생산 서열 데이터를 글라스 분류 제어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생산 서열 데이터를 우선 순위 별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우선 순위 가운데 최우선 순위에 해당되는 글라스 팔레트를 글라스 투입위치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된 글라스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기로 리딩하는 단계와; 상기 리딩된 글라스의 사양과 투입된글라스 사양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단계에서 리딩된 글라스 사양과 투입된 글라스 사양이 일치하면 공정 제어부로부터 글라스 취출 로봇으로 사양이 일치된 글라스를 취출하도록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글라스 취출 로봇이 구동되어 해당 랙에서 글라스를 취출하여 해당되는 글라스 이송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정 제어부(200), 바코드 리더기(210),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 글라스 취출 로봇(2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참조 번호(280)는 허브(Hub)이며, 공정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이더넷 통신을 위한 와이어를 연결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많은 다른 선으로 분산시켜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공정 제어부(200)는 차량 조립라인에 구비되는 상위 네트웍을 통해 생산 서열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생산 서열에 따라 해당되는 글라스를 적재랙(270)에서 취출하도록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적재랙(270) 상의 글라스 재고 수량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적재랙(270)이라 함은 글라스 투입지시 표시부(260)에 표시된 정보에 따라 지게차(290)를 운전하는 작업자가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를 비어있는 임의의 랙에 적재하는 경우 그 랙은 글라스 팔레트가 적재되는 적재랙(270)이 된다.
바코드 리더기(210)는 차량 조립라인에 투입되는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 상의 글라스 사양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 스캐너로 구성한다.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는 공정 제어부(200)와 데이터 통신(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며, 바코드 리더기(210)를 통해 입력되는 글라스의 사양 정보를 공정 제어부(200)로 전송하고 상기 공정 제어부(200)로부터 생산 서열 정보를 수신하여 각 팔레트 상의 글라스 재고량과 비교하여 글라스를 잘못 투입시 사양 수정 작업 기능과, 팔레트 투입시 사양확인 및 착오시 경보음을 발생하는 기능을 포함한 팔레트 투입지시 작업에 관련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글라스 취출 로봇(230)은 공정 제어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적재랙(270) 상에 투입되어 있는 각종 글라스를 생산 서열에 따라 취출하여 해당 조립라인(400)으로 공급한다. 참조 번호 (300)는 상기 글라스 취출 로봇(230)을 해당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기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글라스 공급 업체에서 팔레트 단위로 납품한 글라스를 별도의 서열작업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의글라스 적재공간에 투입하면 바코드 시스템과 연계된 공정 제어부(200)에서 글라스 취출 로봇(230)으로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생산 서열에 입각하여 자동으로 글라스를 적재공간에서 취출하여 해당되는 조립라인(400)으로 글라스를 투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와 바코드 리더기(210)의 사이에 위치되어 바코드 리더기(210)로부터 입력되는 글라스 사양 처리에 관련되는 각종 무선 데이터를 상기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중계기(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지게차(290)를 운전하는 작업자가 바코드 리더기(210)를 휴대하며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를 투입후 팔레트 상의 글라스 사양 바코드를 리딩하여 중계기(240)를 통해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로 무선으로 글라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는 중계기(240)를 통해 입력되는 글라스의 사양 정보를 공정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글라스 투입 정보에 관련된 작업지시 및 검사결과를 표시하도록 글라스 투입공정에 각각 배치되는 글라스 투입지시 표시부(260)와;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와 글라스 투입지시 표시부(260) 사이에 연결되어 각각의 글라스 투입지시 표시부(260)로 출력화면을 분배하는 표시부 분배기(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 조립라인의 공정 제어부(200)가 상위 네트웍을 통해 생산 서열 데이터를 수신한다(302단계).
그리고, 상기 공정 제어부(200)로 수신된 생산 서열 데이터를 글라스 분류 제어부(220)로 송신한다(304단계).
이어서, 송신된 생산 서열 데이터를 글라스 투입지시 표시부(260)에 우선 순위 별로 표시한다(306단계).
표시된 우선 순위 가운데 최우선 순위에 해당되는 글라스 팔레트를 글라스 투입위치에 투입한다(308단계).
이때 글라스 팔레트를 글라스 투입위치에 투입하는 단계(308단계)는 글라스 공급 업체에서 차량 조립 업체로부터 생산 서열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수신된 생산 서열 데이터를 통해 팔레트 단위의 글라스가 차량 조립 업체로 입고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322, 324단계).
투입된 글라스의 바코드를 지게차(290) 운전자가 바코드 리더기(210)로 리딩한다(310단계).
리딩된 글라스의 사양과 투입된 글라스 사양을 비교한다(312단계).
리딩된 글라스 사양과 투입된 글라스 사양이 일치하면 공정 제어부(200)로부터 글라스 취출 로봇(230)으로 사양이 일치된 글라스를 취출하도록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한다(314단계).
글라스 취출 로봇(230)이 구동되어 해당 랙에서 글라스를 취출하여 해당되는글라스 조립라인(400)으로 공급한다(316, 318단계).
한편, 상기 비교 단계(312단계)에서 리딩된 글라스 사양과 투입된 글라스 사양이 일치하지 않으면 지게차(290) 운전자는 투입될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를 재투입한다(320단계).
이때 재투입된 글라스의 바코드를 지게차(290) 운전자가 바코드 리더기(210)로 리딩하는 단계(310단계)로 리턴하여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은 글라스 분류 및 투입에 관련된 제어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물류 및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한 글라스 분류의 사양 착오에 따라 소요되는 보수비용을 절감하고, 중량물 핸들링 작업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조립라인에 구비되는 상위 네트웍을 통해 생산 서열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생산 서열에 따라 해당되는 글라스를 적재랙에서 취출하도록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적재랙 상의 글라스 재고 수량을 관리하는 공정 제어부와;
    상기 차량 조립라인에 투입되는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 상의 글라스 사양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 리더기와;
    상기 공정 제어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입력되는 글라스의 사양 정보를 상기 공정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공정 제어부로부터 생산 서열 정보를 수신하여 각 팔레트 상의 글라스 재고량과 비교하여 팔레트 투입지시 작업에 관련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글라스 분류 제어부와;
    상기 공정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재랙 상에 투입되어 있는 각종 글라스를 생산 서열에 따라 취출하여 해당 조립라인으로 공급하는 글라스 취출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분류 제어부와 바코드 리더기의 사이에 위치되어 바코드 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글라스 사양 처리에 관련되는 각종 무선 데이터를 상기 글라스 분류 제어부로 전송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글라스 분류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글라스 투입 정보에 관련된 작업지시 및 검사결과를 표시하도록 글라스 투입공정에 각각 배치되는 글라스 투입지시 표시부와;
    상기 글라스 분류 제어부와 상기 글라스 투입지시 표시부 사이에 연결되어 각각의 글라스 투입지시 표시부로 출력화면을 분배하는 표시부 분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4.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조립라인의 공정 제어부가 상위 네트웍을 통해 생산 서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정 제어부로 수신된 생산 서열 데이터를 글라스 분류 제어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생산 서열 데이터를 우선 순위 별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우선 순위 가운데 최우선 순위에 해당되는 글라스 팔레트를 글라스 투입위치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투입된 글라스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기로 리딩하는 단계와;
    상기 리딩된 글라스의 사양과 투입된 글라스 사양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단계에서 리딩된 글라스 사양과 투입된 글라스 사양이 일치하면공정 제어부로부터 글라스 취출 로봇으로 사양이 일치된 글라스를 취출하도록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글라스 취출 로봇이 구동되어 해당 랙에서 글라스를 취출하여 해당되는 글라스 이송라인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팔레트를 글라스 투입위치에 투입하는 단계는 글라스 공급 업체에서 차량 조립 업체로부터 생산 서열 데이터를 수신 받고, 상기 수신된 생산 서열 데이터를 통해 팔레트 단위의 글라스가 차량 조립 업체로 입고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에서 리딩된 글라스 사양과 투입된 글라스 사양이 일치하지 않으면 투입될 글라스가 적재된 팔레트를 재투입하는 단계와;
    재투입된 글라스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기로 리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방법.
KR10-2001-0041274A 2001-07-10 2001-07-10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 KR10040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274A KR100405714B1 (ko) 2001-07-10 2001-07-10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274A KR100405714B1 (ko) 2001-07-10 2001-07-10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817A KR20030005817A (ko) 2003-01-23
KR100405714B1 true KR100405714B1 (ko) 2003-11-14

Family

ID=2771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274A KR100405714B1 (ko) 2001-07-10 2001-07-10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358A (ko) * 2001-10-08 2003-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쿼터 글라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66519B1 (ko) * 2013-11-21 2016-10-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산 장치와 agv 장치를 연동한 서열공급 물류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5474A (ja) * 1986-03-27 1987-10-0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窓ガラス取付装置
JPH06190758A (ja) * 1992-12-25 1994-07-12 Mazda Motor Corp 車体部品の供給装置
JPH06269872A (ja) * 1993-03-23 1994-09-27 Honda Motor Co Ltd ワーク積込み装置
KR19980048069A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자동 생산라인의 도어 사이드아우터패널 자동 취출시스템
KR20000045061A (ko) * 1998-12-30 2000-07-15 정몽규 자동차 글라스 장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5474A (ja) * 1986-03-27 1987-10-0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窓ガラス取付装置
JPH06190758A (ja) * 1992-12-25 1994-07-12 Mazda Motor Corp 車体部品の供給装置
JPH06269872A (ja) * 1993-03-23 1994-09-27 Honda Motor Co Ltd ワーク積込み装置
KR19980048069A (ko) * 1996-12-17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자동 생산라인의 도어 사이드아우터패널 자동 취출시스템
KR20000045061A (ko) * 1998-12-30 2000-07-15 정몽규 자동차 글라스 장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817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9536A1 (en) Automated Manufacturing Facility and Methods
US5699242A (en) Control system for production facilities
CN107458828A (zh) 一种包裹拣选agv系统
JP2004042251A (ja) 組立生産ラインの部品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供給方法
CN109828542B (zh) 基于离散型工作站的生产控制方法、系统及装置
KR20150058800A (ko) 전산 장치와 agv 장치를 연동한 서열공급 물류시스템 및 방법
US20170330138A1 (en) Method of operating a parts rack
KR101407916B1 (ko)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
KR100405714B1 (ko) 차량 조립라인의 글라스 공급장치 및 방법
JP2016000446A (ja) 組立ライン
CN216003997U (zh) 一种台式pos收银机的智能生产设备
KR20140051556A (ko) 자동화부품공급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2018144226A (ja) 組立ライン、ステア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品の製造方法
JP2001026309A (ja) 荷札、流通管理装置及び流通管理方法
CN1267260A (zh) 装配组件的装配方法
KR20100085212A (ko) 스마트 파렛트 기반의 부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
WO2021199330A1 (ja) 生産システム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H0873009A (ja) 在庫管理システム
JP4220490B2 (ja) 製品生産システム
JPH058157A (ja) 製造工程管理システム
JP2574170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
JPH10182096A (ja) Idタグを用いた荷役作業システム及び荷役作業方法
JPH0639020B2 (ja) 搬送媒体
JP4220485B2 (ja) 製品生産システム
KR20200020527A (ko) 동적 선별 기반 주문 제품 포장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