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916B1 -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916B1
KR101407916B1 KR1020120152797A KR20120152797A KR101407916B1 KR 101407916 B1 KR101407916 B1 KR 101407916B1 KR 1020120152797 A KR1020120152797 A KR 1020120152797A KR 20120152797 A KR20120152797 A KR 20120152797A KR 101407916 B1 KR101407916 B1 KR 10140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ine
finished product
semi
componen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희
염병윤
홍원표
박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12015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조작을 확인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중인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는 리더기와, 리더기를 통해 리딩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의 바코드 정보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의 비교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의 작업자 확인 및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작업자 단말기와,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DPS(Digital Picking System) 랙(rack) 컨트롤러와, 다수의 부품박스가 구비되어 조립할 각 부품이 수납되고, 각 부품박스마다 LED를 포함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DPS 랙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표시제어신호를 토대로 각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마다 구비된 표시부 중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의 표시부 점등을 수행하는 DPS 랙, 그리고 조립라인에서 수행할 반제품의 작업지시 리스트를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부품을 혼동하지 않고 정확한 부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과정에서의 작업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arts supply in assembly l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라인에서 이종(異種) 부품의 사용을 방지하고 적합한 부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을 조립할 때 여러 가지 모델의 자동차를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조립라인 부근에는 각 모델별로 사용되는 부품들이 선반에 수납되는데, 작업자는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반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이 어떠한 것인지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선반에 수납된 부품 중 필요한 부품을 선택하여 조립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방식은 작업자가 혼동하는 경우 정확한 부품을 사용하지 못하고 잘못된 부품을 사용할 수 있는 소지가 있었으며, 잘못된 부품의 사용으로 인해 작업오류의 발생확률이 높아짐은 물론, 품질관리에도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조립과정에서 이종 부품의 조립으로 인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식 및 장비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6249호 2007. 1.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9476호 2003. 11. 21
본 발명은,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다양한 모델의 반제품을 조립할 때 현재 사용해야 하는 부품이 어떤 것인지 작업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립라인으로 이송중인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등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작업자 부근에 위치한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선반에서 현재 사용해야 하는 부품이 위치한 곳을 표시하도록 하는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는, 작업자의 조작을 확인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중인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는 리더기와, 리더기를 통해 리딩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의 바코드 정보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의 비교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의 작업자 확인 및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작업자 단말기와,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DPS(Digital Picking System) 랙(rack) 컨트롤러와, 다수의 부품박스가 구비되어 조립할 각 부품이 수납되고, 각 부품박스마다 LED를 포함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DPS 랙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표시제어신호를 토대로 각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마다 구비된 표시부 중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의 표시부 점등을 수행하는 DPS 랙, 그리고 조립라인에서 수행할 반제품의 작업지시 리스트를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를 토대로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정보확인을 위한 바코드의 생성 및 프린터 출력을 처리하는 제 1 컴퓨터, 그리고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를 확인한 작업자의 확인을 토대로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조립상태를 확인하며, 확인결과를 토대로 재작업 또는 출하를 처리하는 제 2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라인의 부품공급방법은, (1) 서버 컴퓨터로부터 작업지시 리스트를 전송받은 제 1 컴퓨터는,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정보확인을 위한 바코드의 생성 및 프린터 출력을 처리하는 단계와, (2) 리더기는, 작업자의 조작을 확인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중인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고, 리딩된 바코드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3) 작업자 단말기는,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대상 반제품의 바코드 정보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의 비교를 수행하고, 비교결과를 토대로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DPS 랙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단계와, (4) DPS 랙 컨트롤러는,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PS 랙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5) DPS 랙은, DPS 랙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표시신호를 토대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의 표시부 점등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6) 서버 컴퓨터로부터 작업지시 리스트를 전송받은 제 2 컴퓨터는, 작업자의 확인을 토대로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조립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토대로 재작업 또는 출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다양한 모델의 반제품을 조립할 때 작업자가 현재 사용해야 하는 부품이 어떤 것인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품을 혼동하지 않고 정확한 부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과정에서의 작업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라인의 부품공급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다양한 모델의 반제품을 조립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통신망(10), 제 1 컴퓨터(20), 리더기(30), 작업자 단말기(40), DPS 랙 컨트롤러(50), DPS 랙(60), 제 2 컴퓨터(70), 서버 컴퓨터(80) 등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통신망(10)은 유/무선 인터넷, 인트라넷을 포함한 각종 통신망으로서, 제 1 컴퓨터(20), 작업자 단말기(40) 및 제 2 컴퓨터(70) 사이의 통신 회선을 연결하여 상호 간에 조립라인(예를 들어, 다양한 모델이 혼합될 수 있는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front bumper) 범퍼, 리어 범퍼(rear bumper) 등의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작업지시 리스트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제 1 컴퓨터(20)는 서브조립라인에 구비된 컴퓨터로서, 원격지의 서버 컴퓨터(80)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를 토대로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정보확인을 위한 바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를 바코드 프린터(22)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정보확인을 위해 바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이라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의 공지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리더기(30)는 작업자의 조작을 확인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중인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고, 리딩된 바코드 정보를 유/무선으로 작업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이때 리더기(30)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업하지 않고,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리더기(3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을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작업자 단말기(40)는 리더기(30)로부터 전송받은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의 바코드 정보와 서버 컴퓨터(80)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 상의 작업재상 반제품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을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하며,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DPS 랙 컨트롤러(50)로 출력한다.
DPS 랙 컨트롤러(50)는 작업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받은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PS 랙(60) 상의 특정 부품박스에 구비된 표시부(62)로 출력하여 점등되도록 한다.
DPS 랙(60)은 다수의 부품박스가 구비되어 조립할 각 부품이 수납되고, 각 부품박스마다 LED를 포함한 표시부(62)가 구비되어 있으며, DPS 랙 컨트롤러(50)로부터 전송받은 표시제어신호를 토대로 각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마다 구비된 표시부(62) 중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특정 부품박스 표시부(62)의 점등을 수행한다.
제 2 컴퓨터(70)는 출하라인에 구비된 컴퓨터로서, 서버 컴퓨터(80)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를 확인한 작업자의 확인을 토대로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조립상태를 확인하며, 확인결과를 토대로 재작업 또는 출하를 처리한다. 이때 제 2 컴퓨터(70)에는 프린터(72)가 접속되어 출하될 반제품의 직서열 납입 전표 등을 발행한다.
서버 컴퓨터(80)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작업지시 리스트의 관리를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원거리에 위치한 각 조립라인에서 수행할 반제품의 작업지시 리스트를 제 1 컴퓨터(20), 작업자 단말기(40) 및 제 2 컴퓨터(70)로 전송하며, 반제품의 조립결과 데이터를 제공받아 누적, 저장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라인의 부품공급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라인의 부품공급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서브조립라인에 구비된 제 1 컴퓨터(20)는 서버 컴퓨터(80)로부터 작업지시 리스트를 전송받은 이후,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정보 확인을 위한 바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를 바코드 프린터(22)를 통해 인쇄한다(S10).
S10 단계를 통해 바코드가 부착된 작업대상 반제품이 조립라인을 통해 작업자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되면, 작업자는 리더기(30)를 조작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중인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고, 리딩된 바코드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S20).
이때 S20 단계를 통해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는 리더기(30)는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작업자의 수동조작 없이 리딩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된 바코드 리딩을 위해 리더기(30)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리딩된다.
S20 단계를 통해 리더기(30)로부터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 정보를 전송받은 작업자 단말기(40)는 리더기(30)로부터 전송받은 작업대상 반제품의 바코드 정보와 서버 컴퓨터(80)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의 비교를 수행하고, 비교결과를 토대로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DPS 랙 컨트롤러(50)로 출력한다(S30).
DPS 랙 컨트롤러(50)는 작업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받은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PS 랙(60)의 해당 부품이 담긴 부품박스에 구비된 표시부(62)로 출력한다(S40).
DPS 랙(60)은 DPS 랙 컨트롤러(50)로부터 전송받은 표시신호를 토대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의 표시부(62) 점등을 수행한다(S50).
S50 단계를 통해 표시부(62)에 표시된 위치에 수납된 부품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조립라인으로 이송된 작업대상 반제품의 조립을 수행한 이후, 출하라인에 구비된 제 2 컴퓨터(70)는 서버 컴퓨터(80)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를 참조하여 작업대상 반제품의 조립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토대로 재작업 또는 출하를 처리한다(S60).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대상 반제품을 조립하는 작업자가 현재 사용해야 하는 부품이 어떤 것인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조립과정에서의 작업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네트워크 통신망
20 : 제 1 컴퓨터
22 : 바코드 프린터
30 : 리더기
40 : 작업자 단말기
50 : DPS 랙 컨트롤러
60 : DPS 랙
62 : 표시부
70 : 제 2 컴퓨터
72 : 프린터
80 : 서버 컴퓨터

Claims (5)

  1. 작업자의 조작을 확인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중인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는 리더기,
    상기 리더기를 통해 리딩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의 바코드 정보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의 비교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의 작업자 확인 및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DPS(Digital Picking System) 랙(rack) 컨트롤러,
    다수의 부품박스가 구비되어 조립할 각 부품이 수납되고, 각 부품박스마다 LED를 포함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DPS 랙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표시제어신호를 토대로 각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마다 구비된 표시부 중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의 표시부 점등을 수행하는 DPS 랙,
    조립라인에서 수행할 반제품의 작업지시 리스트를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를 토대로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정보확인을 위한 바코드의 생성 및 프린터 출력을 처리하는 제 1 컴퓨터, 그리고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를 확인한 작업자의 확인을 토대로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조립상태를 확인하며, 확인결과를 토대로 재작업 또는 출하를 처리하는 제 2 컴퓨터
    를 포함하는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4. (1) 서버 컴퓨터로부터 작업지시 리스트를 전송받은 제 1 컴퓨터는,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정보확인을 위한 바코드의 생성 및 프린터 출력을 처리하는 단계,
    (2) 리더기는, 작업자의 조작을 확인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중인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고, 리딩된 바코드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대상 반제품의 바코드 정보와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작업지시 리스트의 비교를 수행하고, 비교결과를 토대로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DPS 랙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단계,
    (4) 상기 DPS 랙 컨트롤러는,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조립라인에 위치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DPS 랙으로 출력하는 단계,
    (5) 상기 DPS 랙은, 상기 DPS 랙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표시신호를 토대로 작업대상 반제품에 조립할 부품이 수납된 부품박스의 표시부 점등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6)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작업지시 리스트를 전송받은 제 2 컴퓨터는, 작업자의 확인을 토대로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의 조립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토대로 재작업 또는 출하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라인의 부품공급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를 통해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리딩하는 상기 리더기는,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작업대상 반제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작업자의 수동조작 없이 리딩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조립라인의 부품공급방법.
KR1020120152797A 2012-12-26 2012-12-26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 KR10140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97A KR101407916B1 (ko) 2012-12-26 2012-12-26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97A KR101407916B1 (ko) 2012-12-26 2012-12-26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916B1 true KR101407916B1 (ko) 2014-06-17

Family

ID=5113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797A KR101407916B1 (ko) 2012-12-26 2012-12-26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9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1517A1 (fr) * 2014-07-01 2016-01-0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encement de poste de montage convenant pour l'assemblage de différentes références de pièces a assembler a différentes variantes de sous-ensembles pour véhicule automobile
KR102382594B1 (ko) * 2021-09-10 2022-04-08 주식회사 대륭 에프.에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펌프다운 자동화장치
KR102556422B1 (ko) 2022-12-12 2023-07-17 주식회사 브릴스 다층 순환식 부품 공급 장치
KR102576677B1 (ko) 2022-12-12 2023-09-08 (주)투비시스템 증강 현실 기반의 작업 검증 방법
KR102576673B1 (ko) 2022-12-12 2023-09-08 (주)투비시스템 증강 현실 기반의 작업 가이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831A (ja) * 1997-08-06 1999-03-02 Ckd Corp 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20030089900A (ko) * 2002-05-20 200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장의 작업 오류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831A (ja) * 1997-08-06 1999-03-02 Ckd Corp 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20030089900A (ko) * 2002-05-20 200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공장의 작업 오류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1517A1 (fr) * 2014-07-01 2016-01-0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encement de poste de montage convenant pour l'assemblage de différentes références de pièces a assembler a différentes variantes de sous-ensembles pour véhicule automobile
FR3023254A1 (fr) * 2014-07-01 2016-01-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encement de poste de montage convenant pour l'assemblage de differentes references de pieces a assembler a differentes variantes de sous-ensembles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2382594B1 (ko) * 2021-09-10 2022-04-08 주식회사 대륭 에프.에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펌프다운 자동화장치
KR102556422B1 (ko) 2022-12-12 2023-07-17 주식회사 브릴스 다층 순환식 부품 공급 장치
KR102576677B1 (ko) 2022-12-12 2023-09-08 (주)투비시스템 증강 현실 기반의 작업 검증 방법
KR102576673B1 (ko) 2022-12-12 2023-09-08 (주)투비시스템 증강 현실 기반의 작업 가이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916B1 (ko) 조립라인의 부품공급장치 및 그 방법
US20160086790A1 (en) Component preparation instruction system, component preparation instruc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CN108140164B (zh) 出入库管理系统、出入库管理方法以及程序
US20180088555A1 (e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CN103995536A (zh) 确保自动导航小车准确接货的物料托盘入库方法和系统
JP4853386B2 (ja) 物品収納支援システム
CN103481230A (zh) 工具及其运行方法
CN109107903B (zh) 自动分拣方法及系统
JP6223242B2 (ja) 組立て指示システム
WO2014061072A1 (ja) テープフィーダ部品照合システム
JP2006202021A (ja) 入荷検品支援システム
JP6369155B2 (ja) 組立ライン、ステア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品の製造方法
CN113065751A (zh) 信息追溯系统、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048241B2 (en) Production schedule creating method and production schedule creating apparatus
JP2003295927A (ja) 組立ラインの部品管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組立ラインの部品管理システム
KR100783598B1 (ko) Rfid송수신신호를 이용한 칵핏모듈 생산 제어장치 및제어방법
JP2018106606A (ja) 作業工程管理ラック、作業工程管理システム、作業工程管理方法
US20220004952A1 (en) Method for supporting the configuration changeover of an operating area of a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in general
CN105589350A (zh) 工具和用于通过外部控制装置配置工具的方法
JP7451216B2 (ja) 納品管理装置、データサーバおよび入荷確認システム
CN102393689B (zh) 一种汽车保险杠装配系统
JP65400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JP2008282257A (ja) 帳票発行サーバ、帳票発行方法及び帳票発行プログラム
US20230127643A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transporting a plurality of pieces in operations of assembling/disassembling and/or change of configuration in a manufacturing line and method for assisting an operator in such operations
JP2009170942A (ja) 回路部品装着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