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491B1 - 감마보상장치 - Google Patents

감마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491B1
KR100404491B1 KR10-1998-0708967A KR19980708967A KR100404491B1 KR 100404491 B1 KR100404491 B1 KR 100404491B1 KR 19980708967 A KR19980708967 A KR 19980708967A KR 100404491 B1 KR100404491 B1 KR 10040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ignal
output
point
bend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212A (ko
Inventor
히로코 스기모토
아츠히사 가게야마
마사히로 다케시마
미노루 가와바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높게 컬러 포화된 적색 부분의 컬러 재현성을 개선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의 감마 보상 장치는, 굴곡점 설정 블럭(100a) 및 감마 보상 블럭(101a)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굴곡점 설정 블럭(100a)은 입력 휘도 신호의 평균 화상 레벨을 입력해서, 지정된 레벨보다 높은 신호 성분을 검출하여 취출하기 위한 고 APL 검출 회로(1a), 고 APL 화상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신호를 이득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기(2a), 이득 제어기(2a)의 출력에 대해 지정된 오프셋을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3a)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마 보상 블럭(101a)은 컬러 차분 신호 (R-Y) 및 굴곡점 설정 블럭(100a)의 출력을 입력하여, 굴곡점 설정 블럭(100a)의 출력 신호 레벨보다 높은 컬러 차분 신호 성분을 취출하는 슬라이스 회로(4a), 슬라이스 회로(4a)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이득 제어기(5a), 입력 컬러 차분 신호(R-Y)로부터 이득 제어기(5a)의 출력을 감산하여, 감마 보상된 컬러 차분 신호(R-Y)'을 출력하기 위한 감산기(6a)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감마 보상 장치{GAMMA COMPENSATION APPARATUS}
고 부가 가치를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는 이미 개발되어 있으며, 감마 보상과 같은 화질 보정 회로를 갖는 컬러 텔레비전 수신기가 요망된다.
통상의 컬러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휘도 신호 Y만이 감마 보상되며, 색 신호(chrominance signal)는 감마 보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상의 컬러 텔레비전 수신기는 고 포화(high saturation)된 적색(red color)이 그 자신의 색조로 올바르게 재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 소위, "적색의 색조 파괴(tone crush)"가 발생하여, 컬러 재현성을 좋지 않게 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컬러 텔레비전 수신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감마 보상 장치는
휘도 신호의 평균 화상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이 인가되어, 지정된 레벨보다 높은 신호 성분을 취출하기 위한 고(high) APL 검출 회로와,
상기 고 APL 검출 회로로부터 취출된 신호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이득제어기와,
상기 제 1 이득 제어기의 출력에 지정된 오프셋을 가산하여, 감마 특성의 보상 개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가산기와,
컬러 차분 신호 (R-Y)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가산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컬러 차분 신호 (R-Y)를 슬라이싱하기 위한 슬라이스(slice) 회로와,
사전 결정된 비율로 상기 슬라이스 회로의 출력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 2 이득 제어기와,
상기 컬러 차분 신호 (R-Y)로부터 상기 제 2 이득 제어기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를 구비하여,
높게 컬러 포화된 컬러 차분 신호 (R-Y)의 적색 부분의 컬러 재현성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컬러 텔레비전 수신기에 사용되는 감마 보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감마 보상 특성에 있어서 한개의 굴곡점(bending point)을 갖는 굴곡선의 경우)에 따른 감마 보상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APL에 대한 굴곡 레벨의 설정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라 한 개의 굴곡점을 갖는 감마 보상 장치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2(감마 보상 특성에 있어서 두개의 굴곡점을 갖는 굴곡선의 경우)에 따른 감마 보상 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른 감마 보상 장치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3(감마 보상 특성에 있어서 두개의 굴곡점을 갖는 굴곡선의 경우)에 따른 감마 보상 장치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3에 따른 감마 보상 장치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4(감마 보상 특성에 있어서 연속적인 굴곡선의 경우)에 따른 감마 보상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한 개의 굴곡점과 두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감마 특성을 갖는 감마 보상 장치의 블럭도이다.
굴곡점 계산 블럭(50a)은 고 APL 검출 회로(1a), 이득 제어기(2a), 가산기(3a)로 이루어진다. 고 APL 검출 회로(1a)는 평균 화상 레벨(APL) 신호, 예컨대, 필드 주기 동안의 휘도 신호의 평균값이 인가되고, 그 인가된 신호로부터 지정된 레벨 Lp를 감산하여, 그 감산된 출력이 음이면 0(zero)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하고, 그 감산된 출력이 양이면 입력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일종의 슬라이스 기능을 갖는다.
이득 제어기(2a)는 고 APL 검출 회로(1a)의 출력을 사전 결정된 비율로 감소시킨다. 가산기(3a)는 이득 제어기(2a)의 출력 신호에 오프셋 Op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굴곡점 계산 블럭(50a)은 입력 APL 신호에 따라 감마 보상을 개시하는 레벨인 굴곡 레벨 Oa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설명상의 관계를 위해, 굴곡점 계산 블럭(50a)은 굴곡점 설정 블럭(100a)으로도 불리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점 계산 블럭(50a)의 입/출력 특성은 입력 APL이 지정된 레벨 Lp보다 낮으면 그 출력은 수동으로 설정되는 오프셋 값 Op로 되고, 그 출력은 입력 신호 레벨에 따라 상승하는 직선으로 도시되며, 입력 APL이 지정된 레벨 Lp보다 낮으면 오프셋 값 Op를 개시점으로 하는 것이다.
보상 연산 블럭(51a)은 슬라이스 회로(4a), 이득 제어기(5a)를 구비한다. 슬라이스 회로(4a)는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로부터 굴곡점 설정 블럭(100a)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고, 그 감산된 신호가 음이면 0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하고, 그 감산된 신호가 양이면 그 입력 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득 제어기(5a)는 슬라이스 회로(4a)의 출력에 계수 Kg(0<Kg<1)를 곱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감마 보상 블럭(101a)은 보상값 연산 블럭(51a)과, 감산기(6a)로 이루어진다. 감산기(6a)는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로부터 보상값 연산 블럭(51a)의 출력, 즉, 이득 제어기(5a)의 출력을 감산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마 보상 블럭(101a)의 입/출력 특성은,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가 굴곡점 레벨 Oa보다 낮으면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를 그대로 출력하며,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가 굴곡점 레벨 Oa보다 높으면 그 특성의 구배(gradient)가 감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색 신호의 감마 보상된 신호 (R-Y)'은 감마 보상 블럭(101a)으로부터 출력된다. 그 굴곡점은 지정된 레벨 Lp보다 APL이 낮은 화상에 대한 설정점 Op로 되기 때문에, 감마 보상 블럭(101a)의 입/출력 특성은 도 3에 도시한 굴곡선 A로 표현되며, 그 특성은 지정된 레벨 Lp로부터 화상의 APL 편차에 따라, 굴곡선 A로부터 굴곡선 B로,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득 제어기(5a)의 이득이 Kg이면, 감마 보상된 특성의 구배가 (1-Kg)로 표현된다.
레벨 Lp는 설정되는 레벨이며, 레벨 Oa는 화상의 내용(APL 값)에 따라 이동한다. 화상 APL이 설정된 APL(Lp)보다 낮으면, 굴곡점은 점 Op(도 2)로 되며, 감마 보상 블럭(101a)의 입/출력 특성은 도 3에 도시한 굴곡선 A로 표현된다. 설정된 APL(Lp)(예컨대, 레벨 La)보다 화상 APL이 높으면, 굴곡점은 점 Oa(도 2)로 되며, 감마 보상 블럭(101a)의 입/출력 특성이 도 3에 도시한 굴곡선 B로 표현된다. 화상의 APL 값이 커질수록, 굴곡점이 더욱 상방향으로 이동한다(즉, 굴곡선 A의 굴곡 부분이 상방향으로 이동함). 화상의 APL이 작아질수록(즉, 전체적인 화상이 어두워질수록), 적색의 색조 파괴가 더욱 현저해지는 반면에, 감마 보상이 완화되지 않는한, 큰 APL 값을 갖는 화상은 부자연스러운 화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컬러 차분 신호 (R-Y)의 고 포화된 적색 부분의 레벨을 억제함으로써 적색 부분의 색조 파괴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의 고 포화된 적색 부분의 컬러 재현성은 개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2)
도 4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른 감마 보상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2는 두개의 굴곡점을 갖는 세 개의 연속선으로 이루어지는 감마 보상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의 장치는 두 쌍의 굴곡점 계산 블럭, 보상값 연산 블럭, 감산기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굴곡점 계산 블럭(50b)은 고 APL 검출 회로(1b), 이득 제어기(2b), 가산기(3b)로 이루어진다. 제 2 굴곡점 계산 블럭(50c)은 고 APL 검출 회로(1c), 이득 제어기(2c), 가산기(3c)로 이루어진다. 제 1 굴곡점 계산 블럭(50b) 및 제 2 굴곡점 계산 블럭(50c)의 조합은 굴곡점 설정 블럭(100b)이라 한다. 고 APL 검출 회로(1b, 1c), 이득 제어기(2b, 2c), 가산기(3b, 3c)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 1의 고 APL 검출 회로(1a), 이득 제어기(2a), 가산기(3a)와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제 1 굴곡점 계산 블럭(50b) 및 제 2 굴곡점 계산 블럭(50c)은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1의 굴곡점 계산 블럭(50a)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제 1 보상값 연산 블럭(51b)은 슬라이스 회로(4b) 및 이득 제어기(5b)로 이루어지며, 제 2 보상값 연산 블럭(51c)은 슬라이스 회로(4c) 및 이득 제어기(5c)로 이루어진다. 슬라이스 회로(4b, 4c), 이득 제어기(5b, 5c), 감산기(6b, 6c)는 각각 예시적인 실시예 1의 슬라이스 회로(4a), 이득 제어기(5a), 감산기(6a)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이득 제어기(5b, 5c)의 이득은 각각 Kgb, Kgc로 되며, Kgb, Kgc 모두가 0보다 크고 1보다 작다.
감마 보상 블럭(101b)은 제 1 보상값 연산 블럭(51b), 감산기(6b), 제 2 보상값 연산 블럭(51c), 감산기(6c)로 이루어지며, 예시적인 실시예 1의 감마 보상 블럭(101a)에 대응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의 오프셋 Op와 유사하게, 오프셋 Ob, Oc를 각각 가산기(3b, 3c)에 인가하며, 여기서 오프셋 Ob는 오프셋 Oc보다 작다. 휘도 신호의 APL이 Lp보다 큰 화상의 경우, 제 1 굴곡점은, 제 1 굴곡점 설정 블럭(50b)에서, 예컨대 Lp로 설정된다. 컬러 차분 신호(R-Y)는 제 1 굴곡점 설정 블럭(50b)에서 설정된 Lb와 함께 제 1 보상값 연산 블록(51b) 내의 슬라이스 회로(4b)에 입력되어, Lb보다 큰 레벨만 취출되고, 이득 제어기(5b)에서 Kgb가 승산되어, 감산기(6b)에 인가된다. 감산기(6b)는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로부터 이득 제어기(5b)의 출력을 감산하여, 그 감산된 신호를 출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보상값 연산 블럭(51b)의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에 대한 감산기(6b)의 출력 특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Lb보다 큰 컬러 차분 신호 (R-Y)의 레벨에 대해 구배 1과, (1-Kgb)를 갖는 두 선을 접속하는 한개의 굴곡점을 갖는 굴곡선으로 표현된다.
휘도 신호의 APL이 Lp보다 큰 화상일 경우, 제 2 굴곡점은, 예컨대, 제 2 굴곡점 설정 블럭(50c)에서, Lc로 설정된다. 감산기(6b)의 출력은 제 2 굴곡점 설정 블럭(50c)에서 설정된 Lc와 함께 제 2 보상값 연산 블럭(51c)의 슬라이스 회로(4c)에 인가되어, Lc보다 높은 레벨만 취출되고, 이득 제어기(5c)에서 Kgc를 승산하여, 감산기(6c)로 인가된다. 감산기(6c)는 감산기(6b)의 출력으로부터 이득 제어기(5c)의 출력을 감산하고, 그 감산된 신호를 출력한다. 감산기(6c)는 Lc보다높은 입력 컬러 차분 신호(R-Y)의 레벨에 대해 제 1 보상값 연산 블럭(51b)의 출력으로부터 Kgc를 곱한 슬라이스 회로(4c)의 출력을 감산하기 때문에, 감산기(6c)는 (1-Kgb)×(1-Kgc)를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에 곱한 결과를 출력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국, 감마 보상 블럭(101b)의 입/출력 특성은 구배가 1, (1-Kgb), (1-Kgb)×(1-Kgc)인 세 선을 접속하면서 두개의 굴곡점을 갖는 굴곡선 C로 표현된다.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는, 장치로부터, 도 5에 도시한 특성에 의해 감마 보상된 컬러 차분 신호 (R-Y)'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컬러 차분 신호 (R-Y)의 고 포화된 적색 부분의 레벨을 억제함으로써, 적색 부분의 색조 파괴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된 화상에 있어서의 고 포화된 적색 부분의 컬러 재현성은 개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3에 따른 감마 보상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굴곡점 설정 블럭(100b)은 예시적인 실시예 2와 동일하다. 감마 보상 블럭(101c)은 제 1 및 제 2 보상값 연산 블럭(51b, 51c), 가산기(7), 감산기(6d)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보상값 연산 블럭(51b, 51c)은 예시적인 실시예 2의 것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2에서는 제 1 및 제 2 보상값 연산 블럭(51b, 51c)이 직렬(cascade)로 접속되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 3에서는 병렬로 접속된다. 컬러 차분 신호 (R-Y)는 제 1 및 제 2 보상값 연산 블럭(51b, 51c) 모두에 입력되고, 그 출력은 가산기(7)에서 가산된다. 감산기(6d)는 입력 컬러 차분 신호(R-Y)로부터 가산기(7)의 출력을 감산한다. 제 1 및 제 2 보상값 연산 블럭(51b, 51c)의 각 출력은 Lb보다 낮은 컬러 차분 신호(R-Y)의 레벨에서 0에 대응하는 값이므로, 가산기(7)의 출력은 0이며, 입력 컬러 차분 신호(R-Y)는 그 때의 출력이다. 즉, 감마 보상 블럭(101c)의 입/출력 특성의 구배는 1이다. Lb보다 높고 Lc보다 낮은 컬러 차분 신호(R-Y)의 레벨에서, 신호는 슬라이스 회로(4b)로부터 출력되지만, 슬라이스 회로(4c)의 출력은 0이다. 따라서, 감마 보상 블럭(101c)의 입/출력 특성의 구배는 이 레벨에서 (1-Kgb)이다. Lc보다 높은 컬러 차분 신호(R-Y)의 레벨에서, 슬라이스 회로(4b, 4c) 모두는 각각의 신호를 출력하며, 감산기(6d)에서 입력 컬러 차분 신호 (R-Y)로부터 양 출력의 합을 감산한 결과, 감마 보상 블럭(101c)의 입/출력 특성의 구배는 Lc보다 높은 레벨에서 (1-Kgb-Kgc)이다. 결국, 예시적인 실시예 3에 따른 감마 보상 블럭(101c)의 입/출력 특성은, 예시적인 실시예 2의 그것과 유사하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서대로 1, (1-Kgb), (1-Kgb-Kgc)의 구배를 갖는 세 선을 접속하는 두개의 굴곡점을 갖는 굴곡선 D로 표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 4)
이득 제어기(5a)를, 입력 신호 레벨의 제곱에 비례한 값을 출력하는 승산기로 치환함으로써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8에는 이러한 경우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한다. 이 특성의 감마 보상 부분은 부드럽게 변화하는 곡선이며,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의 것들과는 상이하다.
따라서, 컬러 차분 신호 (R-Y)의 고 포화된 적색 부분의 레벨을 억제함으로써, 적색 부분의 색조 파괴가 방지되고,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의 고 포화된 적색 부분의 컬러 재현성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컬러 차분 신호(R-Y)의 고 포화된 부분의 레벨을 휘도 신호의 APL 값에 따라 억제함으로써, 적색 부분에서의 색조 파괴를 방지하여, 고 포화된 적색 부분의 컬러 재현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감마 보상 장치에 있어서,
    평균 화상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굴곡점을 결정하여, 상기 굴곡점에 대응하는 굴곡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굴곡점 설정 수단과,
    상기 굴곡점보다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이 높으면, 감마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굴곡점 설정 수단은,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이 지정된 레벨보다 낮으면 지정된 점으로 상기 굴곡점을 설정하고,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이 지정된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평균 화상 레벨에 따라 상기 굴곡점을 변화시키는 굴곡점 계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상 수단은 상기 굴곡점 신호를 입력받아 컬러 차분 신호로부터 감산되는 보상값을 계산하며,
    상기 굴곡점 연산 수단은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을 상기 지정된 레벨로 슬라이스하고,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이 상기 지정된 레벨보다 높은 경우를 검출하는 고 APL(평균 화상 레벨) 검출 회로와,
    상기 고 APL 검출 회로의 출력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 1 이득 제어기와,
    상기 제 1 이득 제어기의 출력 신호에 지정된 오프셋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감마 보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은 복수의 보상값 중 하나이고,
    상기 보상 수단은
    상기 보상값의 총합을 계산하는 가산기와,
    상기 컬러 차분 신호로부터 상기 가산기의 출력을 감산하여 감산된 신호를 출력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는
    감마 보상 장치.
  3. 감마 보상 장치에 있어서,
    평균 화상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굴곡점을 결정하여, 상기 굴곡점에 대응하는 굴곡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굴곡점 설정 수단과,
    상기 굴곡점보다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이 높으면, 감마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굴곡점 설정 수단은,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이 지정된 레벨보다 낮으면 지정된 점으로 상기 굴곡점을 설정하고,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이 지정된 레벨보다높으면 상기 평균 화상 레벨에 따라 상기 굴곡점을 변화시키는 굴곡점 계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상 수단은
    상기 굴곡점 설정 수단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컬러 차분 신호를 슬라이스해서 그 슬라이스된 신호를 출력하는 슬라이스 회로와,
    상기 슬라이스 회로의 출력 신호 레벨을 조정하여, 그 레벨 조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이득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점 계산 수단은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을 상기 지정된 레벨로 슬라이스하고, 상기 평균 화상 레벨이 상기 지정된 레벨보다 높은 경우를 검출하는 고 APL(평균 화상 레벨) 검출 회로와,
    상기 고 APL 검출 회로의 출력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 1 이득 제어기와,
    상기 제 1 이득 제어기의 출력 신호에 지정된 오프셋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감마 보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득 제어기는 입력 신호를 지정된 계수로 승산하여, 그 적을 출력하는 감마 보상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득 제어기는 위쪽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표현되는 입/출력 특성을 갖는 감마 보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득 제어기는 입력 신호 레벨의 n(n≥1)제곱(power)에 비례하는 값을 출력하는 감마 보상 장치.
KR10-1998-0708967A 1997-03-06 1998-03-05 감마보상장치 KR100404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33797 1997-03-06
JP97-51337 1997-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212A KR20000065212A (ko) 2000-11-06
KR100404491B1 true KR100404491B1 (ko) 2003-12-18

Family

ID=1288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967A KR100404491B1 (ko) 1997-03-06 1998-03-05 감마보상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15529B1 (ko)
EP (1) EP0909515B1 (ko)
JP (1) JP3852956B2 (ko)
KR (1) KR100404491B1 (ko)
CN (1) CN1186947C (ko)
BR (1) BR9804773B1 (ko)
CZ (1) CZ295874B6 (ko)
DE (1) DE69806214T2 (ko)
MY (1) MY120447A (ko)
WO (1) WO1998039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3343B2 (en) * 2000-03-14 2003-10-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ynamic gamma correction apparatus
US6507347B1 (en) * 2000-03-24 2003-01-14 Lighthouse Technologies Ltd. Selected data compression for digital pictorial information
JP4659272B2 (ja) * 2001-05-31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階調補正装置
US7233705B2 (en) * 2001-07-24 2007-06-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accuracies when processing color data with a tone map
JP4271978B2 (ja) * 2003-04-18 2009-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装置
CN101110965B (zh) * 2007-09-04 2011-08-31 晨星半导体股份有限公司 色彩值调整装置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5492A (en) 1979-04-09 1980-10-22 Nec Corp Gamma correction system for color pickup device
JPS56107674A (en) * 1980-01-31 1981-08-26 Sony Corp Gradation correcting device of video signal
FR2506549A1 (fr) * 1981-05-22 1982-11-26 Thomson Csf Dispositif de correction des informations couleur fournies par les tubes analyseurs d'une camera en vue d'ameliorer la perception des images
FR2538983B1 (fr) * 1982-12-30 1986-02-07 Guichard Jacques Procede de correction de couleur applicable a la prise de vues video et systeme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US4814861A (en) * 1985-07-10 1989-03-21 Canon Kabushiki Kaish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gain control for chrominance and color signals
US4903121A (en) * 1987-05-14 1990-0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ick up apparatus having pixel compensation circuit
JPH0281572A (ja) 1988-09-19 1990-03-22 Fuji Photo Film Co Ltd 垂直輪郭強調抑制回路
US5089890A (en) * 1989-02-06 1992-02-18 Canon Kabushiki Kaisha Gamma correction device
KR100202344B1 (ko) * 1990-03-26 1999-06-15 이데이 노부유끼 자동니제어회로
US5221963A (en) * 1990-03-31 1993-06-2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having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479204A (en) * 1990-08-28 1995-12-26 Fuji Photo Film Co., Ltd. Negative-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185656A (en) * 1991-10-11 1993-02-09 Ikegami Tsushinki Co., Ltd. Circuit for compressing image signal
JPH05191675A (ja) * 1992-01-14 1993-07-30 Canon Inc ガンマ補正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5764287A (en) * 1992-08-31 1998-06-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utomatic selection of gamma correction valve
JPH06105326A (ja) 1992-09-22 199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JP3302423B2 (ja) * 1992-12-28 2002-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5345265A (en) * 1992-12-31 1994-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mma correction circuit for a video camera
EP0613294B1 (en) * 1993-02-24 1998-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radation correction device and image sensing device therewith
DE69421121T2 (de) * 1993-06-30 2000-04-13 Nec Corp Farbvideokamera mit Gradationsverbesserung des dunklen Signalpegels
BE1007590A3 (nl) * 1993-10-01 1995-08-16 Philips Electronics Nv Videosignaalverwerkingsschakeling.
JP3408316B2 (ja) * 1994-04-18 2003-05-19 日本フィリップス株式会社 ニー回路
JP3291694B2 (ja) * 1994-04-25 2002-06-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ネガ撮像装置におけるノイズ除去回路
KR0142263B1 (ko) * 1994-08-06 1998-06-15 김광호 디지탈 감마 보정방법 및 그 장치
DE69534929T2 (de) * 1994-09-30 2006-11-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Bildaufnahmevorrichtung
US5565931A (en) * 1994-10-31 1996-10-15 Vivo Softw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gamma predistortion to a color image signal
JPH08140112A (ja) * 1994-11-10 1996-05-31 Sony Corp ガンマ補正回路
US5933199A (en) * 1995-09-15 1999-08-03 Lg Electronics Inc. Gamma correction circuit using analog multiplier
GB2305571B8 (en) * 1995-09-22 2000-01-31 Ibm Display apparatus with gamma correction
JP2951909B2 (ja) * 1997-03-17 1999-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の階調補正装置及び階調補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13903A (ja) 2000-10-17
BR9804773B1 (pt) 2010-12-14
CN1217854A (zh) 1999-05-26
BR9804773A (pt) 1999-08-17
EP0909515B1 (en) 2002-06-26
DE69806214D1 (de) 2002-08-01
DE69806214T2 (de) 2002-10-31
WO1998039925A1 (en) 1998-09-11
KR20000065212A (ko) 2000-11-06
JP3852956B2 (ja) 2006-12-06
CZ295874B6 (cs) 2005-11-16
CZ353898A3 (cs) 1999-03-17
EP0909515A1 (en) 1999-04-21
MY120447A (en) 2005-10-31
US6215529B1 (en) 2001-04-10
CN1186947C (zh) 200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492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044436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색온도 보정 방법
EP0647069B1 (en) Adaptive video signal compression
EP1065886B1 (en) Chroma overload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0467602B1 (en) Contrast corrector for video signal
KR100404491B1 (ko) 감마보상장치
US6977662B2 (en) Correction of digital images
US7075574B2 (en) Shading correction circuit and digital camera signal processing circuit using the same
US4937671A (en) Digital video black expander
US7012719B1 (en) Sign sensitive apertur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4891689A (en) Color signal matrix circuits
EP1370091A1 (en) Image processing
KR0139155B1 (ko) 적응형 윤곽보정장치
KR100200610B1 (ko)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방법 및 그 회로
JPH10271336A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
KR20050051908A (ko)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화질 개선 장치
JPH07231453A (ja) 彩度/位相自動調整回路
MXPA00006448A (es) Aparato de proteccion de sobrecarga de crominancia
JPH0865543A (ja) 映像補償回路
KR19990076726A (ko) 선명도 개선 방법 및 회로
JPH01272281A (ja) 垂直輪郭補正回路
JPH03229592A (ja) 画質調整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