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610B1 -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방법 및 그 회로 - Google Patents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방법 및 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610B1
KR100200610B1 KR1019960032067A KR19960032067A KR100200610B1 KR 100200610 B1 KR100200610 B1 KR 100200610B1 KR 1019960032067 A KR1019960032067 A KR 1019960032067A KR 19960032067 A KR19960032067 A KR 19960032067A KR 100200610 B1 KR100200610 B1 KR 10020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luminance
luminance signal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454A (ko
Inventor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610B1/ko
Publication of KR98001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Abstract

루미넌스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 방법과 그 회로가 개시되어 있으며, 칼라 보상 방법은 칼라성분신호를 입력하고,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루미넌스신호를 소정의 처리에 의해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입력하고, 칼라성분신호를 보상된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성분신호의 값을 변화시켜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왜곡 없는 칼라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 방법 및 그 회로
본 발명은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 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루미넌스 처리를 근거로 하여 칼라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루미넌스 변화에 따라 칼라값을 변화시키는 칼라 보상 방법 및 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적, 녹, 청(이하 RGB라고 함) 칼라 처리는 두가지의 기본적인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한 방법은 RGB 독립적인 칼라 처리와 다른 한 방법은 루미넌스(Y) 처리를 근거한 칼라 처리이다.
먼저, 도 1은 RGB 칼라 신호를 위한 3가지 독립적인 처리를 위한 칼라 처리 회로의 블럭도로서, RGB 칼라신호는 R처리기(11), G처리기(12), B처리기(13)에 의해 독립적으로 처리되어 결과 칼라신호(R'G'B')를 출력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칼라 시스템의 응용은 루미넌스 처리를 근거로 한 칼라 처리방법이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Y에 근거한 칼라 처리는 주어진 RGB 시스템이 Y성분을 포함하는 다른 칼라 시스템으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다. 즉, RGB신호는 신호방식에 따라 (Y,I,Q), (Y,U,V), (Y,R-Y,B-Y)칼라 시스템등과 같이 다양하게 다른 색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Y,U,V)를 칼라 시스템으로 정의하고, 여기서, Y는 루미넌스 성분이고, U,V는 시스템-정의된 칼라 신호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RGB신호와 새로운 칼라 신호(YUV)사이의 관계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ij는 계수이다.
도 2는 종래의 Y-처리를 근거로 하는 칼라 처리 회로의 블럭도로서, 변환된 칼라 신호를 Y-처리에 근거하여 칼라 처리를 행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RGB/YUV 변환기(21)에서는 입력되는 RGB신호를 YUV신호로 변환하고, 이중 Y신호는 Y 처리기(22)에서 변화된 루미넌스신호(Y')로 출력된다. YUV/RGB 변환기(23)에서는 Y 처리기(22)에서 출력되는 Y'신호와 RGB/YUV 변환기(21)에서 출력되는 UV신호를 입력하여 R'G'B'신호로 변환한다.
결과 RGB신호는 다음 수학식 2에 도시된 관계에 의해 (Y,U,V)신호로부터 (R,G,B) 칼라 시스템으로의 역변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Y성분이 도 2에 도시된 Y 처리기(22)에 의해 Y'으로 변화하고, 결과 RGB 칼라신호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부자연스런 칼라 왜곡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변화된 신호들(Y,U,V)이 (R,G,B) 칼라신호로 역변환할 때 루미넌스 성분의 변화가 적당히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칼라 처리 회로는 칼라 보상기능을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칼라 시스템이 Y, R-Y, B-Y신호로 구성된다고 고려하고, Y는 소정의 처리에 의해 Y'=Y+△y로 변화된다고 가정한다. 변화된 칼라 신호(Y',R-Y,B-Y)는 칼라 보상없이 (R,G,B)값으로 변화되고, 결과 칼라신호는 다음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6과 같이 주어진다.
순수 R,G,B신호가 고려될 때 다음 왜곡 문제를 안다면 칼라 보상의 필요성은 이 예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다. 즉, 칼라 보상이 없다면 Y는 Y'으로 변화할 때, 순수 적신호 (R,0,0)는 예를 들어, (R+△y, △y, △y)로 맵핑된다. 따라서, 결과 칼라신호는 더 이상 순수 적신호가 아니다. 유사하게, 칼라 보상이 없다면 모든 다른 순수 칼라 신호는 왜곡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것은 분명히 원하지 않는 결과이다.
또한, 입력 칼라신호 RGB로부터 Y를 추출해서 추출된 Y로부터 보정신호(correction signal)를 추출해서 위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6과 같이 각 입력 RGB신호에 보정신호를 더하는 콘트라스트 보정방법은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5,345,2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루미넌스 처리를 근거로 해서 RGB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때, 루미넌스가 변화했을 때 이에 적응하여 칼라신호도 변화시키는 칼라 보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루미넌스 처리를 근거로 해서 RGB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때, 루미넌스가 변화했을 때 이에 적응하여 칼라신호도 변화시키는 칼라 보상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칼라 보상 방법은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칼라성분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b)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루미넌스신호를 소정의 처리에 의해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칼라성분신호를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성분신호의 값을 변화시켜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칼라 보상 회로는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RGB신호를 루미넌스신호와 칼라성분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수단; 상기 루미넌스신호를 소정의 루미넌스 처리에 의해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출력하는 루미넌스 처리수단; 상기 루미넌스신호, 칼라성분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입력하여 루미넌스 변화에 따라 칼라성분신호의 값을 변화시켜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를 출력하는 칼라 보상수단; 및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를 입력하여 역변환에 의해 결과 칼라신호(R'G'B')를 출력하는 제2 변환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RGB 독립 처리를 위한 칼라 처리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Y-처리를 근거로 한 칼라 처리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칼라 포화를 방지하기 위한 칼라 보상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 보상을 갖는 Y-처리를 근거로 한 칼라 처리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칼라 보상기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칼라 보상기의 다른 상세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칼라 보상을 갖는 Y-처리를 근거로 한 칼라 처리회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먼저, 칼라 보상 방법에 대하여 도 3과 도 4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C = (R,G,B)와 Y로 주어지고, 소정의 루미넌스 처리에 의해 Y는 Y'로 변화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칼라 보상을 위한 방법의 기본적인 개념은 주어진 칼라를 (R,G,B)공간에서 그 칼라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우선, 수학식 1로부터 Y는 Y = a11R + a12G + a13B로 나타낼 수 있고, 일정한 Y값을 갖는 (R,G,B)들은 (R,G,B)공간에서 평면을 형성한다. 즉, Y = a11R + a12G + a13B 인 평면상에 놓인 모든 칼라신호는 동일한 루미넌스 값을 가진다. Y에서 Y'로 루미넌스가 변화하는 것은 주어진 칼라 C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Y'평면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내포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C와 C'는 같은 칼라 방향을 가진다고 가정하고, 이것은 라인(OC)이 라인(OC')과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Y'평면상의 보상된 칼라 C'는 라인(OC)과 Y'평면의 교점을 찾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요약하면, 도 3에 도시된 원래의 칼라 신호 C는 Y평면이 Y'평면에 놓일 때 C'로 맵핑되며, 이것은 라인 OC와 Y'평면의 교점이다.
이제, C'를 구하기 위하여, (l,m,n)를 주어진 칼라 C의 방향 코사인(directional cosine)이라고 정의하고, 이는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주어진다.
유사하게, 출력 칼라 신호 C' = (R',G',B')의 방향 코사인(l'.m'.n')은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두가지 칼라가 동일한 칼라 방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 수학식 9 또는 수학식 10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위 수학식 11, 수학식 12 그리고 수학식 13에서 주어진 관계를 Y' = a11R' + a12G' + a13B'에 대입하면,
이다.
그러므로, 다음 수학식 17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이것은 루미넌스의 변화의 비는 칼라의 변화의 비와 같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루미넌스의 변화에 따라 칼라값을 변화시켜 칼라 보상을 행한다.
한편, 수학식 11 내지 수학식 13은 수학식 17의 결과를 이용하면 아래 수학식 18 내지 수학식 20으로 나타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C'는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k=Y'/Y이고, 이것은 원래의 루미넌스 신호와 결과 루미넌스 신호 사이의 비이다.
위 수학식 22의 결과를 이용하여 다른 칼라 시스템의 칼라 보상도 쉽게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주어진 (Y,U,V)신호는 위 수학식 22에 주어진 칼라보상의 결과로서 다음 수학식 22 내지 수학식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kY,kU,kV)로 변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제, 상술한 칼라 보상 방법에 의한 칼라 포화(saturation)를 막기 위하여, 다음의 칼라 보상의 가정이 더 고려된다.
루미넌스 비는 k로 주어지고, 도 4에 도시된 보상 라인 (R',G',B')=k(R,G,B)에 의해 칼라 보상을 할 경우, b(=Max/k)레벨과 최대(Max)레벨사이의 칼라신호는 최대값(Max)으로 보상되고, 이것은 포화됨을 내포한다. 왜냐하면 b와 Max사이의 칼라는 상술한 보정방법에 의하면 결과적으로 Max로 맵핑되어 서로 구별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칼라 포화를 막기 위해서, 보상라인 (R',G',B')=k(R,G,B)을 a(=lb)레벨과 최대(Max)레벨사이의 칼라를 위한 보상라인을 (R',G',B')=A(R,G,B)+K으로 근사한다. 여기서, 0 1 l 1 1이고, A와 K는 수학식 29 및 수학식 3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위의 칼라 보상 방법을 수행하는 칼라 보상 회로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 보상을 갖는 Y-처리를 근거로 한 칼라 처리 회로의 블럭도로서, Y에서 만들어진 변화는 다른 칼라 성분 U,V로 피드입력되는 구성이다.
도 5에 있어서, RGB/YUV 변환기(31)는 입력되는 RGB신호를 YUV로 변환한다. Y 처리기(32)는 RGB/YUV 변환기(31)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를 소정의 처리에 의해 Y'로 변환해서 칼라 보상기(33)에 피드백입력한다. 여기서, 소정의 처리는 화면에 적응하는 비디오신호의 개선을 위한 처리로서 히스토그램 등화를 이용한 콘트라스트 개선, 노이즈 감소 그리고 이득제어등이 될 수 있다.
칼라 보상기(33)는 RGB/YUV 변환기(31)로부터 출력되는 YUV신호와 Y 처리기(32)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를 입력하여 Y변화에 따라 UV신호를 변화시켜 U'V'신호를 출력한다.
YUV/RGB 변환기(34)에서는 Y 처리기(32)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와 칼라 보상기(33)로부터 출력되는 U'V'신호를 입력하여 역변환에 의해 결과 칼라신호(R'G'B')를 출력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칼라 보상기(33)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연산기(33.1)는 도 5의 RGB/YUV 변환기(31)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와 Y 처리기(32)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간의 비(k) 즉, Y'/Y를 연산한다. 제1 승산기(33.2)는 RGB/YUV 변환기(31)로부터 출력되는 U신호와 연산기(33.1)로부터 출력되는 비(k)를 승산해서 U'신호를 출력한다. 제2 승산기(33.3)는 RGB/YUV 변환기(31)로부터 출력되는 V신호와 연산기(33.1)로부터 출력되는 비(k)를 승산해서 V'신호를 출력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칼라 보상기(33)의 다른 상세회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연산기(33.4)는 도 5의 RGB/YUV 변환기(31)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와 Y 처리기(32)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간의 비(k) 즉, Y'/Y를 연산한다. 제1 근사치 조정기(33.5)와 제2 근사치 조정기(33.6)는 도 4에 도시된 근사화된 보상라인으로 칼라 포화를 막기 위한 것이다.
제1근사치 조정기(33.5)는 도 5의 RGB/YUV 변환기(31)로부터 출력되는 U신호, 연산기(33.4)로부터 출력되는 비(k), 파라미터(l)를 입력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레벨에서 a(=lb)레벨까지는 보상라인 (R',G',B')=k(R,G,B)에 의해 보상된 U'신호를 출력하고, a레벨에서 최대(Max)레벨까지는 근사화된 보상라인 (R',G',B')=A(R,G,B)+K에 의해 보상된 U'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파라미터(l)의 값에 의해 보상라인 (R',G',B')=k(R,G,B)에 의해 보상할 수도 있고, 근사화된 보상라인 (R',G',B')=A(R,G,B)+K에 의해 보상할 수도 있다. 즉, l=1이면 보상라인 (R',G',B')=k(R,G,B)에 의해 보상하고, l=0이면 근사화된 보상라인 (R',G',B')=A(R,G,B)+K에 의해 보상하고, 0l1이면, 최소레벨에서 a(=lb)레벨까지는 보상라인 (R',G',B')=k(R,G,B)에 의해 보상하고, a레벨에서 최대(Max)레벨까지는 근사화된 보상라인 (R',G',B')=A(R,G,B)+K에 의해 보상한다.
제2근사치 조정기(33.6)는 RGB/YUV 변환기(31)로부터 출력되는 V신호, 연산기(33.4)로부터 출력되는 비(k), 파라미터(l)를 입력해서 최소레벨에서 a레벨까지는 보상라인 (R',G',B')=k(R,G,B)에 의해 보상된 V'신호를 출력하고, a레벨에서 최대(Max)레벨까지는 근사화된 보상라인 (R',G',B')=A(R,G,B)+K에 의해 보상된 V'신호를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칼라 보상을 갖는 Y-처리를 근거로 한 칼라 처리회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로서, 위 수학식 22에 도시된 결과에 의한 Y-변화에 따른 R,G,B 보상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매트릭스 회로(41)는 입력되는 RGB신호로부터 Y신호를 추출한다. Y 처리기(42)는 매트릭스 회로(41)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를 소정의 처리에 의해 Y'로 변환한다.
칼라 보상기(43)의 연산기(43.1)는 매트릭스 회로(41)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와 Y 처리기(42)로부터 출력되는 Y'신호간의 비(k) 즉, Y'/Y를 연산한다.
제1 승산기 내지 제3 승산기(43.2-43.4)는 입력되는 RGB 각 칼라신호와 연산기(43.1)로부터 출력되는 비(k)를 각각 승산해서 출력 칼라신호 R'G'B'를 출력한다.
여기서, 칼라 보상기(43)는 승산기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사치 조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라 보상 방법과 그 회로는 루미넌스 처리를 근거로 해서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루미넌스가 변화했을 때 그 변화에 따라 칼라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왜곡 없는 칼라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2)

  1.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칼라성분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b)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루미넌스신호를 소정의 처리에 의해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칼라성분신호를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성분신호의 값을 변화시켜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는 입력 칼라성분신호가 갖는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는 칼라신호 공간에서 평면을 형성하고, 형성된 루미넌스 평면에서의 모든 칼라신호의 루미넌스값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는 입력 칼라성분신호의 방향을 잇는 라인과 변화된 루미넌스 평면의 교점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5.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되는 RGB신호를 루미넌스신호와 칼라성분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루미넌스신호를 소정의 처리에 의해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칼라성분신호를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성분신호의 값을 변화시켜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를 역변환하여 결과 칼라신호(R'G'B')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입력되는 RGB신호를 Y,U,V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입력되는 RGB신호를 Y R-Y,B-Y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입력되는 RGB신호를 Y,I, Q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는 입력 칼라성분신호가 갖는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는 RGB 공간에서 평면을 형성하고, 형성된 루미넌스 평면에서의 모든 칼라신호의 루미넌스값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는 입력 칼라성분신호의 방향을 잇는 보상라인과 변화된 루미넌스 평면의 교점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의 비는 k로 주어질 때, 상기 보상 라인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의 비는 k로 주어질 때 상기 보상라인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여기서,이고,이고,이고,는 최대값이다)
  14.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되는 RGB신호로부터 루미넌스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루미넌스신호를 소정의 처리에 의해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되는 RGB신호의 값을 상기 변환된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변화시켜 보상된 RGB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된 RGB신호는 입력 RGB신호가 갖는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는 RGB 공간에서 평면을 형성하고, 형성된 루미넌스 평면에서의 모든 칼라신호의 루미넌스값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된 RGB신호는 입력 RGB신호의 방향을 잇는 보상라인과 변화된 루미넌스 평면의 교점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의 비는 k로 주어질 때, 상기 보상 라인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의 비는 k로 주어질 때 상기 보상라인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여기서,이고,이고,이고,는 최대값이다)
  20.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RGB신호를 루미넌스신호와 칼라성분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수단;
    상기 루미넌스신호를 소정의 루미넌스 처리에 의해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출력하는 루미넌스 처리수단;
    상기 루미넌스신호, 칼라성분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입력하여 루미넌스 변화에 따라 칼라성분신호의 값을 변화시켜 보삳된 칼라성분신호를 출력하는 칼라 보상수단; 및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를 입력하여 역변환에 의해 결과 칼라신호(R'G'B')를 출력하는 제2 변환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수단은 입력되는 RGB신호를 Y,Y,V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수단은 입력되는 RGB신호를 Y,R-Y,B-Y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수단은 입력되는 RGB신호를 Y,I,Q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보상수단은
    상기 제1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루미넌스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화된 루미넌스신호간의 비를 연산하는 연산수단; 및
    상기 제1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칼라성분신호와 상기 연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를 승산해서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를 출력하는 승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보상수단은
    상기 제1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루미넌스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화된 루미넌스신호간의 비를 연산하는 연산수단; 및
    상기 제1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칼라성분신호와 상기 연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를 입력해서 소정의 보상라인에 의해 칼라성분신호의 값을 변화해서 보상된 칼라성분신호를 출력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의 비는 k로 주어질 때, 상기 보상 라인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의 비는 k로 주어질 때 보상라인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여기서,이고,이고,이고,는 최대값이다)
  28.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칼라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RGB신호로부터 루미넌스신호를 추출하는 매트릭스회로;
    상기 루미넌스신호를 소정의 처리에 의해 변화된 루미넌스신호를 출력하는 루미넌스 처리수단; 및
    상기 입력되는 RGB신호의 값을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에 근거해서 변화시켜 보상된 RGB신호를 출력하는 칼라 보상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보상수단은
    상기 매트릭스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루미넌스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화된 루미넌스신호간의 비를 연산하는 연산수단; 및
    상기 입력되는 각 RGB신호와 상기 연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를 각각 승산해서 보상된 RGB신호를 출력하는 승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보상수단은
    상기 매트릭스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루미넌스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화된 루미넌스신호간의 비를 연산하는 연산수단; 및
    상기 연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를 입력해서 소정의 보상라인에 의해 상기 입력되는 RGB신호의 값을 변화해서 보상된 RGB신호를 출력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의 비는 k로 주어질 때, 상기 보상 라인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회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루미넌스신호와 상기 변화된 루미넌스신호의 비는 k로 주어질 때 보상라인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보상 방법.
    (여기서,이고,이고,이고,는 최대값이다)
KR1019960032067A 1996-07-31 1996-07-31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방법 및 그 회로 KR10020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067A KR100200610B1 (ko) 1996-07-31 1996-07-31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방법 및 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067A KR100200610B1 (ko) 1996-07-31 1996-07-31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방법 및 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454A KR980013454A (ko) 1998-04-30
KR100200610B1 true KR100200610B1 (ko) 1999-06-15

Family

ID=1946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067A KR100200610B1 (ko) 1996-07-31 1996-07-31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방법 및 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6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454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7008B1 (en) Adaptive contrast and brightness enhancement with color preservation
US67249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7746411B1 (en) Color management unit
US20020180892A1 (en) Color modification on a digital nonlinear editing system
US58414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number of matrix operations when converting RGB color space signals to YCbCr color space signals
US8064693B2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lour saturation in an input image
KR20040019847A (ko) 알지비 컬러 시스템의 컬러 포화 조정 방법
US61779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saturation of chrominance signals
JP2969773B2 (ja) カラー補正装置
US8014600B1 (en) Intelligent saturation of video data
EP1560417A2 (en) System and method for clipping values of pixels in one color space so not to exceed the limits of a second color space
US6972793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ts method
EP02179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reviously processed video signals
EP0593962A1 (en) Color signal aperture correction system having automatically selected source signal
EP0415350B1 (en) Color-signal enhancing circuit
KR20000041319A (ko) 영상신호 처리 시스템의 색신호 처리장치
KR100200610B1 (ko) 루미넌스 변화에 따른 칼라 보상방법 및 그 회로
US6650363B1 (en) Color suppression circuit and electronic camera using it
US5337083A (en) Digital video camera suppressing low-saturation chrominance
US7012719B1 (en) Sign sensitive apertur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5905531A (en) Color noise slice method and circuit for an image pickup device
EP189578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lour saturation
KR100404491B1 (ko) 감마보상장치
JP2001518248A (ja) カラーリーガライゼーション
EP0920782B1 (en) White balanc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