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418B1 -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418B1
KR100404418B1 KR10-1999-0057096A KR19990057096A KR100404418B1 KR 100404418 B1 KR100404418 B1 KR 100404418B1 KR 19990057096 A KR19990057096 A KR 19990057096A KR 100404418 B1 KR100404418 B1 KR 100404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terminal
head
p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786A (ko
Inventor
박희복
Original Assignee
(주) 나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라기술단 filed Critical (주) 나라기술단
Priority to KR10-1999-005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418B1/ko
Priority to KR2019990028225U priority patent/KR200183952Y1/ko
Publication of KR2001005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접속용 단자제조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와 핀부를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를 형성하고, 다양한 수지이탈방지용 돌기를 너어링가공한 핀부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합성수지 절연체를 형성한 전기 접속용 단자를 만듬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짧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함은 물론 단자를 절삭하여 가공하지 않아 원료의 손실이 전혀없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핀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이탈방지용 돌기가 인서트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절연체를 잡고있어 합성수지 절연체 자체가 빠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 몸체에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전기 접속용단자를 결합하여 사용시 단자 몸체의 핀부가 합성수지 절연체로 부터 절대로 빠지지 않아 플러그의 고장 및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a terminal produce a method of electrical machinery and appliances joining and that structure}
본 발명은 전기접속용 단자제조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는 방법으로 헤드와 핀부를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를 형성하고, 단자 몸체의 핀부에 너어링 가공방법으로 다양한 형상의 수지이탈방지용돌기를 형성한 다음 핀부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합성수지 절연체가 형성된 전기접속용 단자를 만듬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짧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토록 함은 물론 접속단자를 절삭하여 가공하지 않아 원료의 낭비가 전혀 없으므오, 제조원가를 대폭 줄여 제조단가를 낮추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핀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방지이탈용돌기가 인서트사출성형된 합성수지 절연체를 잡고있어 합성수지 절연체가 전혀 빠지지 않아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없도록 한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와 핀부(2)를 별도로 제작하여, 핀부(2)를 헤드(1)에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므로, 헤드(1)와 핀부(2)를 각각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비되어 제조단가가 상승하였으며, 장기간 사용시에 헤드(1)와 핀부(2)가 서로 이탈되어 플러그를 삽입할때 방전되어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었으며, 심한 경우에는 누전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등이 따르곤 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헤드(1)와 핀부(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단자소재를 절삭 가공하는 방법으로 단자를 가공하였으나, 이는 핀부(2)에 별도의 결합편(3)을 가공하기 때문에 절삭하기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울 뿐만아니라 절삭부분이 많아 소재의 낭비가 매우 심하여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속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는 방법으로 헤드와 핀부가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핀부의 외면을 너어링 가공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형상의 수지이탈방지용돌기를 형성한 다음 상기 너어링가공에 의하여 수지이탈방지용돌기가 형성된 핀부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합성수지 절연체를 형성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전기 접속용 단자를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짧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함은 물론 접속단자를 절삭하여 가공하지 않아 원료의 낭비를 줄여주고, 제조단가를 낮추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핀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이탈방지용돌기가 인서트사출성형된 합성수지 절연체를 견고하게 잡고 있어 합성수지 절연체 자체가 빠지는 것은 물론이고, 플러그 몸체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전기 접속용 단자를 결합하여 사용시 단자 몸체의 핀부가 합성수지 절연체로부터 절대로 빠지지 않아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없는 고품질의 전기 접속용 단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1b은 종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공정도.
도 3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인 단자몸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 20 : 핀부
21 : 수지이탈방지용돌기 22 : 합성수지 절연체30 : 단자몸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 도 1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일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공정 : 단자몸체성형공정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질의 성질을 갖는 소재를 금형상의 헤드펀치(도시하지 않음)로 타격하여 헤드(10)와 핀부(2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단자몸체(30)를 만든다.
제 2 공정 : 표면가공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금형상의 헤드펀치로 타격하는 방법으로 헤드(10)와 핀부(20)가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30)의 핀부(20) 외주면에 너어링가공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형상의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를 형성한다.
제 3 공정 : 인서트성형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너어링가공하는 방법으로 표면에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가 형성된 핀부(20)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인서트사출성형하여 합성수지 절연체(22)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기접속용 단자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전기접속용단자는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10)와 핀부(2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제조된 단자몸체(30)와,상기 단자몸체(30)가 형성되도록 헤드(10)와 일체로 형성한 핀부(20)의 외주면을 너어링가공하여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와,상기 표면에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가 형성된 핀부(20)의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결합되는 합성수지절연체(22)로 구성된다.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접속용 단자는 2개를 한조로 하여 플러그몸체에 합성수지절연체(22)부분의 후단이 결합되되, 핀부(20)후단은 플러그몸체내에 결합되고 핀부(20)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10)부분과 약간의 합성수지절연체(22)선단이 돌출되도록 결합되는데 사용시 단자몸체(30)의 핀부(20)가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에 의해 합성수지절연체(22)로 부터 절대로 빠지지 않도록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 없이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기용접속 단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와 핀부가 일체로 성형된 단자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몸체의 핀부를 너어링가공하여 다양한 형상의 수지이탈 방지용돌기를 형성한다음, 상기 수지이탈방지용돌기가 형성된 핀부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인서트사출성형하여 일체형의 합성수지절연체를 구성함으로써,단자를 종래와 같이 헤드와 핀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핀부를 헤드에 삽입하여 결합할때와 같이 제조하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비되어 제조단가가 상승하며, 장기간 사용시에 헤드와 핀부가 서로 분리되어 플러그를 삽입할때 방전되어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며, 심한 경우에는 누전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등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소된다.또한, 종래의 또다른 단자 제조방법과 같이 헤드과 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단자재료를 절삭하여 단자를 가공할때보다 절삭가공이 매우 어렵고 까다로울 뿐만아니라 절삭부분이 많아 소재의 낭비가 매우 심하여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도 완전히 해소된다.즉,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와 핀부가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절약되고, 짧은 시간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조립 및 가공공정이 줄어들어 인건비가 절감됨은 물론 단자를 절삭하여 가공하지 않아 원료의 손실이 거의 없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핀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이탈방지용돌기가 인서트성형된 합성수지를 잡고 있어 합성수지 자체도 빠지지 않을 뿐 만 아니라, 플러그몸체에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전기접속용 단자를 결합하여 사용시 단자몸체의 핀부가 합성수지절연체로부터 절대로 빠지지 않아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 없는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창출되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10)와 핀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단자몸체를 형성하는 단자몸체성형공정인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 의하여 헤드(10)가 일체로 성형된 핀부(20)의 외주면에, 너어링가공으로 다양한 형성의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를 형성하는 표면가공 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표면에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가 형성된 핀부(20)의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서 헤드(10)가 일체로 형성된 핀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에 의해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절연체(22)가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결합하는 인서트사출공정인 제3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용 단자제조방법.
  2.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10)와 핀부(2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제조된 단자몸체(30)와,
    상기 단자몸체(30)가 형성되도록 헤드(10)와 일체로 형성한 핀부(20)의 외주면을 너어링가공하여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와,
    상기 표면에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가 형성된 핀부(20)의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결합되는 합성수지절연체(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KR10-1999-0057096A 1999-12-13 1999-12-13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0404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96A KR100404418B1 (ko) 1999-12-13 1999-12-13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2019990028225U KR200183952Y1 (ko) 1999-12-13 1999-12-15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96A KR100404418B1 (ko) 1999-12-13 1999-12-13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225U Division KR200183952Y1 (ko) 1999-12-13 1999-12-15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786A KR20010055786A (ko) 2001-07-04
KR100404418B1 true KR100404418B1 (ko) 2003-11-12

Family

ID=1962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096A KR100404418B1 (ko) 1999-12-13 1999-12-13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4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34B1 (ko) 2005-07-04 2007-03-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 공조용 도어 액츄에이터의 단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0900523B1 (ko) 2008-11-27 2009-06-02 이완규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110v 내지 220v용 플러그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러그핀
KR101094531B1 (ko) 2008-04-11 2011-12-19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기본 절연 플러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2687B1 (ko) * 2019-06-04 2019-10-15 에콜그린텍(주)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 전극촉매용 전선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제품 그리고 이를 결합한 셀스택
KR102062094B1 (ko) 2019-07-25 2020-01-03 (주)에드맥스 숫단자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759U (ja) * 1992-01-16 1993-08-06 臼井 満 ローレット付連鎖状ピン接触子(コンタクト)
JPH07288165A (ja) * 1994-04-15 1995-10-31 Nitto Seiko Co Ltd コネクタプラグの製造方法
JPH08222308A (ja) * 1994-12-16 1996-08-30 Kitani Denki Kk 電源プラグ及びその端子構造
JPH10223298A (ja) * 1997-02-10 1998-08-21 Dai Ichi Denshi Kogyo Kk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H11185921A (ja) * 1997-12-22 1999-07-09 Kitani Denki Kk 電源プラグ栓刃へのトラッキング防止用被覆体挿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759U (ja) * 1992-01-16 1993-08-06 臼井 満 ローレット付連鎖状ピン接触子(コンタクト)
JPH07288165A (ja) * 1994-04-15 1995-10-31 Nitto Seiko Co Ltd コネクタプラグの製造方法
JPH08222308A (ja) * 1994-12-16 1996-08-30 Kitani Denki Kk 電源プラグ及びその端子構造
JPH10223298A (ja) * 1997-02-10 1998-08-21 Dai Ichi Denshi Kogyo Kk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H11185921A (ja) * 1997-12-22 1999-07-09 Kitani Denki Kk 電源プラグ栓刃へのトラッキング防止用被覆体挿入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34B1 (ko) 2005-07-04 2007-03-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 공조용 도어 액츄에이터의 단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1094531B1 (ko) 2008-04-11 2011-12-19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기본 절연 플러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0523B1 (ko) 2008-11-27 2009-06-02 이완규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110v 내지 220v용 플러그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러그핀
KR102032687B1 (ko) * 2019-06-04 2019-10-15 에콜그린텍(주)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 전극촉매용 전선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제품 그리고 이를 결합한 셀스택
KR102062094B1 (ko) 2019-07-25 2020-01-03 (주)에드맥스 숫단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786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93434A (en) Molded plug
KR100404418B1 (ko)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JP2001167838A (ja) 電源コードとその製造方法
KR200183952Y1 (ko)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EP2947724B1 (en) Modular plu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15981A (ko) 소형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101744471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커넥터의 터미널
KR101744470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커넥터의 터미널
KR100838313B1 (ko) 전류 전달 단자용 플러그 핀
KR200160485Y1 (ko) 전기플러그
KR101034075B1 (ko) 전원플러그용 단자의 제조방법
JPH0628179B2 (ja) モールド型のプラグにおけるコンタクト端子
KR100509548B1 (ko) 마이크로 휴즈용 리드플레이트
JP2001035583A (ja) 電源プラグ
US813306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tubular contact pin plugged at open end
CN220544340U (zh) 一种fakra连接器及车辆
CN220474947U (zh) 一种端子以及利用该端子制作的接口
JPS6230685B2 (ko)
AU2004325908A1 (en) Connector bridge
CN214254802U (zh) 一种插头插片
KR200312218Y1 (ko) 벽면 스위치의 연동스위치 단자함 연결구
JP3377403B2 (ja) 差込プラグ
KR20120108237A (ko) 전자기기의 보드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방법
SU1128318A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нтакт многоконтакт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зъема
KR200435363Y1 (ko) 진공 청소기 흡입호스용 통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