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952Y1 -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3952Y1 KR200183952Y1 KR2019990028225U KR19990028225U KR200183952Y1 KR 200183952 Y1 KR200183952 Y1 KR 200183952Y1 KR 2019990028225 U KR2019990028225 U KR 2019990028225U KR 19990028225 U KR19990028225 U KR 19990028225U KR 200183952 Y1 KR200183952 Y1 KR 2001839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head
- synthetic resin
- resin
- pin pa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와 핀부를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를 형성하고, 다양한 수지이탈용돌기를 너어링가공한 핀부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만듬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짧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함은 물론 단자를 절삭하여 가공하지 않아 원료의 손실이 전혀없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핀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방지용돌기가 인서트성형된 합성수지를 잡고있어 합성수지가 빠지지 않아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기접속용 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와 핀부를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를 형성하고, 다양한 수지이탈방지용돌기를 너어링가공한 핀부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전기접속용 단자를 만듬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짧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토록 함은 물론 접속단자를 절삭하여 가공하지 않아 원료의 낭비가 전혀 없으므오, 제조원가를 대폭 줄여 제조단가를 낮추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핀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방지이탈용돌기가 인서트성형된 합성수지를 체결있어 합성수지가 전혀 빠지지 않아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없도록 한 전기접속용 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와 핀부(2)를 별도로 구성하고, 핀부(2)를 헤드(1)에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므로, 헤드(1)와 핀부(2)를 각각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비되어 제조단가가 상승하였으며, 장기간 사용시에 헤드(1)에 결합된 핀부(2)가 이탈되어 플러그를 삽입할때 방전되어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었으며, 심한 경우에는 누전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등이 따르곤 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헤드(1)와 핀부(2)를 일체로 절삭하여 단자를 가공하였으나, 이는 핀부(2)에 별도의 결합편(3)을 가공하기 때문에 절삭하기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울 때문아니라 절삭부분이 대단히 많아 소재의 낭비가 매우 심하여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속단자구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와 핀부를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를 형성하고, 다양한 수지이탈용돌기를 너어링가공한 핀부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만듬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짧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함은 물론 접속단자를 절삭하여 가공하지 않아 원료의 낭비를 없앴고,제조원가를 줄여 제조단가를 낮추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핀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방지용돌기가 인서트성형된 합성수지를 잡고있어 합성수지가 빠지지 않아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없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1b은 종래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단자몸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 20 : 핀부
21 : 수지이탈방지용돌기 30 : 단자몸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에는 단자헤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 결합되는 핀부가 형성된 접속단자에 있어서,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10)와 핀부(20)가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30)를 형성하고,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에 너어링가공으로 다양한 형상의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를 형성한 다음 표면에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가 형성된 핀부(20)의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금형상의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10)와 핀부(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단자몸체(30)를 형성한다.
그런다음 핀부(20) 일측 외주면에 너어링가공등 다양항 방법으로 다양한 형상의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를 형성하고, 상기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가 형성된 핀부(20)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하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가 인서트성형된 합성수지를 잡고있어 합성수지가 빼지거나 느슨해지지 않아 전기를 매우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등 실생활에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와 핀부를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를 형성하고, 다양한 수지이탈용돌기를 너어링가공한 핀부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만듬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짧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함은 물론 단자를 절삭하여 가공하지 않아 원료의 손실이 전혀없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핀부 표면에 형성된 수지방지용돌기가 인서트성형된 합성수지를 잡고있어 합성수지가 빠지지 않아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이 전혀없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 전방에는 단자헤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 결합되는 핀부가 형성된 접속단자에 있어서,전도성이 뛰어나고 연성을 갖는 소재를 헤드펀치로 타격하여 헤드(10)와 핀부(20)가 일체로 성형된 단자몸체(30)를 형성하고, 상기 핀부(20)의 외주면에 너어링가공으로 다양한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를 형성한 다음 표면에 수지이탈방지용돌기(21)가 형성된 핀부(20)의 외주면에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8225U KR200183952Y1 (ko) | 1999-12-13 | 1999-12-15 |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7096A KR100404418B1 (ko) | 1999-12-13 | 1999-12-13 |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KR2019990028225U KR200183952Y1 (ko) | 1999-12-13 | 1999-12-15 |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7096A Division KR100404418B1 (ko) | 1999-12-13 | 1999-12-13 |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3952Y1 true KR200183952Y1 (ko) | 2000-06-01 |
Family
ID=2663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8225U KR200183952Y1 (ko) | 1999-12-13 | 1999-12-15 |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395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6445B1 (ko) | 2010-09-28 | 2012-08-30 | 이찬주 | 디서브커넥터용 파워단자 |
-
1999
- 1999-12-15 KR KR2019990028225U patent/KR2001839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6445B1 (ko) | 2010-09-28 | 2012-08-30 | 이찬주 | 디서브커넥터용 파워단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62457A (en) | Overmold strain relief and snag prevention feature | |
US6371807B1 (en) | Rear cover and process for forming resilient seal member therein | |
JP2008018633A (ja) |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用の成形型 | |
KR200183952Y1 (ko) | 전기접속용 단자구조 | |
KR100404418B1 (ko) | 전기접속용 단자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
US5879178A (en) | Waterproof connector housing | |
JPS56155911A (en) | Manufacture of optical mold connector | |
US3328504A (en) | Method of forming female socket for electrical coupling | |
CN105144499A (zh) | 断开杆和制造方法 | |
EP2947724B1 (en) | Modular plu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EP0605083B1 (en) | Electical connector housing with improved contact insertion | |
CN217177308U (zh) | 螺母结构及电动阀 | |
CN212193990U (zh) | 一种螺纹型芯 | |
JPS6457579A (en) | Female coaxial connector | |
US8454346B2 (en) | Mold for forming a product with a through hole | |
CN202662853U (zh) | 电触头和电连接器 | |
JPS6230685B2 (ko) | ||
JPS5821500Y2 (ja) | 防水コネクタ− | |
CN216354927U (zh) | 一种高速连接器结构 | |
JP3093282U (ja) | 耳当てモダン | |
KR100838313B1 (ko) | 전류 전달 단자용 플러그 핀 | |
CN212795730U (zh) | 一种防破裂模具 | |
CN213278515U (zh) | 防水连接器 | |
CN220474947U (zh) | 一种端子以及利用该端子制作的接口 | |
CN220155790U (zh) | 一种带顶出结构的一出四穴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