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831B1 -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831B1
KR100401831B1 KR10-2000-0070357A KR20000070357A KR100401831B1 KR 100401831 B1 KR100401831 B1 KR 100401831B1 KR 20000070357 A KR20000070357 A KR 20000070357A KR 100401831 B1 KR100401831 B1 KR 100401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witching
battery
antenna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328A (ko
Inventor
윤태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8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45Levelling or stabilising systems for t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변에 설치된 장애물을 먼저 감지하면서 덱크의 상승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운전자 1인만으로도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석에 구비된 클러치스위치(10)에 의해 배터리(21)의 전원을 통전하는 전원통전수단(20)과, 이 전원통전수단(20)에 의해 작동되어 선회공간에 설치된 물체를 감지하는 선회작동수단(30) 및 이 선회작동수단(30)의 물체 감지 여·부에 따라 덱크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여 작동시키는 유압작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Truck deck having an obstacle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덱크의 상승시 선회공간에 설치된 전선 등과 같은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의 적재함인 덱크(Deck)는 모래 등을 운반하는 경우 하역을 쉽게 하기 위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되는데, 이는 운전석에서 구비된 클러치스위치와 수동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의 동작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트럭의 덱크를 화물의 하역을 위해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덱크의 상승시 주변에 위치한 전력선과 같이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 여러 장애물과의 접촉을 회피시켜야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운전자가 미리 주변 환경을 살펴 덱크 상승에 따른 위험이 없음을 확인하거나, 또는 보조자의 지시를 받아 가면서 덱크를 상승시켜야만 하므로, 운전자가 단독으로 화물의 하역을 위해 덱크의 상승 작업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덱크의 상승시 주변에 있는 장애물을 먼저 감지한 다음,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덱크의 상승 동작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단독으로도 안전하게 덱크의 상승 및 하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동으로 온/오프 전환되는 클러치스위치를 매개로 배터리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전원통전수단과, 이 전원통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매개로 덱크의 상승방향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안테나를 선회시키는 선회작동수단 및, 이 선회작동수단을 매개로 한 장애물의 감지여부에 따라 덱크의 상승에 필요한 유압의 전달과정을 제어받는 유압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전원통전수단은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와, 상기 클러치스위치의 조작시 배터리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제1스위칭 릴레이 및, 이 제1스위칭 릴레이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선회작동수단으로 통전시키도록 수동으로 온/오프 조작되는 통전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선회작동수단은 배터리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통전스위치에 연결된 제2스위칭 릴레이와; 이 제2스위칭 릴레이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안테나를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테나가 한계 위치로의 완전 선회에 되는 경우에 한해 접점의 변화가 수반되는 스위칭 접점을 갖춘 정/역 전환 구동부 및; 상기 스위칭 접점의 접점 변화에 따라 상기 유압작동수단으로 전원의 통전을 허용 내지 단절시키는 연결릴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의 작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의 회로도.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러치스위치 20 : 전원통전수단
21 : 배터리 22 : 제1스위칭 릴레이
23 : 통전스위치 30 : 선회작동수단
31 : 제2스위칭 릴레이 32 : 정/역 전환 구동부
32a : 모터 32b : 안테나
33 : 연결릴레이 40 : 유압작동수단
41 : 솔레노이드밸브 42 : 오일펌프
43 : 리저버 44 : 방향전환밸브
45 : 교축밸브 46 : 체크밸브
47 : 유압실린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본 발명은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구비된 클러치스위치(10)에 의해 배터리(21)의 전원을 통전하는 전원통전수단(20)과, 이 전원통전수단(20)을 매개로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을 인가받아 덱크(12)의 승강시 선회반경내 공간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덱크(12)의 후미에 설치된 안테나(32b)를 회동시키는 선회작동수단(30) 및, 이 선회작동수단(30)과 연동되어 상기 덱크(12)의 승/하강을 조절하도록 된 유압작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통전수단(20)은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21)와, 상기 클러치스위치(10)를 온(ON)상태로 전환조작시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제1스위칭 릴레이(22) 및, 이 제1스위칭 릴레이(22)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운전자에 의한 수동조작에 따라 상기 선회작동수단(30)으로 통전시키도록 하는 통전스위치(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선회작동수단(30)은 배터리(21)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통전스위치(23)에 연결된 제2스위칭 릴레이(31)와, 이 제2스위칭 릴레이(31)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안테나(32b)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32a)는 물론 이 모터(32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접점의 스위칭 변화가 수반되는 스위칭 접점(32c)을 구비하는 정/역 전환 구동부(32) 및, 이 스위칭 접점(32c)의 스위칭 변화를 매개로 상기 유압작동수단(40)에 배터리(21)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연결릴레이(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스위칭 릴레이(31)와 연결릴레이(33)는 각각 배터리(21)와 별도의 전원 공급회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32b)는 전선과의 접촉시 전원의 통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부도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길이, 즉 선회반경은 상기 덱크(12)의 최대 상승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도록 설정된다. 아울러, 상기 안테나(32b)는 인장과 수축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관한 바, 이 경우 인장시 길이는 상기 덱크(12)의 전체길이 보다 크게 설정됨은 물론, 수축시에는 최대한 짧게 되도록 서로 삽입되는 최소한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직경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압작동수단(40)은 상기 연결릴레이(33)를 통해 전원이 통전되는 솔레노이드밸브(41)와, 이 솔레노이드밸브(41)의 통전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는 오일펌프(42), 이 오일펌프(42)의 작동을 매개로 리저버(43)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전환밸브(44) 및, 이 방향전환밸브(44)의 전환을 통해 공급되는 오일을 매개로 상기 덱크(12)를 승/하강시키도록 작동되는 유압실린더(4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밸브(44)와 유압실린더(47)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조절가능한 교축부의 개구 면적의 크기에 의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교축밸브(45)가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7)와 오일펌프(42) 사이에는 오일의 유동에 대한 방향성을 제어하는 체크밸브(46)가 구비되며, 상기 유압실린더(47)와 리저버(43) 사이에는 오일의 복귀를 위한 리턴관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통전수단(20)에서 클러치스위치(10)가 운전자에 의해 온(ON)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클러치스위치(10)를 통해 접지되는 배터리(21)의 전원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스위칭 릴레이(22)에서는 접점의 변화[NC(Normal Closed)에서 NO(Normal Opened)상태로 전환됨]가 수반되고, 이 제1스위칭 릴레이(22)의 접점 변화에 따라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이 상기 통전스위치(23)로 인가된다.이때, 운전자가 상기 통전스위치(23)를 온(On)시키게 되면,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이 상기 제1스위칭 릴레이(22)와 통전스위치(23)를 지나 상기 선회작동수단(30)의 제2스위칭 릴레이(31)로 인가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스위칭 릴레이(31)에서는 접점의 변화[NC(Normal Closed)에서 NO(Normal Opened)상태로 전환됨]가 수반되고, 이 제2스위칭 릴레이(31)의 접점 변화에 따라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이 상기 정/역 전환 구동부(32)에 인가된다.이어, 상기 정/역 전환 구동부(32)에서는 NC상태인 스위칭 접점(32c)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이 모터(32a)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32a)는 정방향의 회전을 시작하게 되며, 이 결과, 상기 덱크(12)에 구비된 안테나(32b)는 덱크(12)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하는 선회를 시작하게 된다.이후, 상기 안테나(32b)의 상승 선회가 종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역 전환 구동부(32)의 스위칭 접점(32c)에서는 접점의 변화[NC(Normal Closed)에서 NO(Normal Opened)상태로 전환됨]가 수반되고, 이 스위칭 접점(32c)의 접점 변화에 따라,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은 정/역 전환 구동부(32)의 스위칭 접점(32c)을 지나 상기 연결릴레이(33)로 인가되어 연결릴레이(33)를 온(ON)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이어, 상기 연결릴레이(33)가 온(ON)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은 연결릴레이(33)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1)에 전달되어 솔레노이드밸브(41)를 온(ON) 시키게 된다.이 결과, 상기 유압작동수단(40)에서는 오일펌프(42)로부터 송출된 오일이 방향전환밸브(44)로 공급되는 작동 대기상태가 되고, 이어 상기 방향전환밸브(44)의 전환조작이 수반되면, 상기 오일펌프(42)로부터 송출된 오일은 방향전환밸브(44)를 지나 유압실린더(47)로 공급되어 상기 덱크(12)의 상승 작동을 도모하게 된다.이 경우, 상기 운전자는 방향전환밸브(44)의 전환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해야함은 물론이고, 이에 따라 수반되는 상기 유압작동수단(40)의 동작 과정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선회작동수단(30)에서 모터(32a)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이 종료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스위칭 접점(32c)에서 일어나는 접점의 변화[NC(Normal Closed)에서 NO(Normal Opened)상태로 전환됨]는 상기 덱크(12)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안테나(32b)가 회동의 한계지점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모터(32a)에서 수반되는 이상 현상(과토오크의 발생)의 검출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의 기술로부터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이에 대한 일례로는, 상기 덱크(12)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안테나(32b)의 회동 한계위치에 별도의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안테나(32b)의 정/역방향 회전이 종료되는 경우에 스위칭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현상으로부터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덱크(12)의 상승 과정이 종료된 다음, 상기 덱크를 하강시킬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방향전환밸브(44)의 전환 조작과 함께 상기 통전스위치(23)를 오프(OFF)시키는 조작이 요구되는 바, 상기 통전스위치(23)가 오프(OFF)되면, 상기 제2스위칭 릴레이(31)로 공급되고 있던 배터리(21)의 전원이 차단된다.이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칭 릴레이(31)에서는 접점의 변화[NO(Normal Opened)에서 NC(Normal Closed)상태로 전환됨]가 수반되고, 이러한 접점의 변화에 따라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은 상기 온(ON)상태의 연결릴레이(33)를 통해 상기 정/역 전환 구동부(32)에 역으로 인가되며, 이 결과 상기 모터(32a)에서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덱크(12)에 구비된 안테나(32b)는 하강방향으로 선회를 시작하게 된다.그리고, 상기와 같이 안테나(32b)의 하강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정/역 전환 구동부(32)의 스위칭 접점(32c)에서는 접점이 원래의 상태대로 NO(Normal Opened)에서 NC(Normal Closed)로 전환되어, 다음번 안테나(32b)의 상승 동작에 대한 준비단계를 완료하는 상태가 된다.(도 2를 참조)이 경우에 있어, 상기 덱크(12)의 하강은 상승시와 동일하게 운전자가 상기 유압작동수단(40)의 방향전환밸브(44)에 대한 조작을 통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역 전환 구동부(32)에서 모터(32a)의 정회전을 통한 안테나(32b)의 상승 과정중, 상기 안테나(32b)와 선회공간에 위치한 장애물과 접촉하여 더 이상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정/역 전환 구동부(32)의 스위칭 접점(32c)에서는 접점의 변화[NC(Normal Closed)에서 NO(Normal Opened)상태로 전환됨]가 수반되지 않게 된다.이와 같이, 상기 스위칭 접점(32c)에서 접점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은 상기 연결릴레이(33)로 인가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유압작동수단(40)의 솔레노이드밸브(41)에는 동작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이 결과, 상기 오일펌프(42)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유압작동수단(40)을 매개로 한 덱크(12)의 상승 동작은 수행될 수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럭에 구비된 덱크의 상승시 덱크의 상승방향으로 공간에 위치한 장애물의 유무를 덱크의 상승 이전 단계에서 상방향으로 회동하는 안테나를 매개로 감지함으로써, 상승하는 덱크와 이의 상승 선회반경내 공간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접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음과 더불어, 덱크의 상승 작업시 운전자는 별도로 보조자의 도움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수동으로 온/오프 전환이 되는 클러치스위치(10)를 매개로 배터리(21)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전원통전수단(20)과, 이 전원통전수단(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매개로 덱크(12)의 상승방향내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안테나(32b)를 선회시키는 선회작동수단(30) 및, 이 선회작동수단(30)을 매개로 한 장애물의 감지여부에 따라 덱크(12)의 상승에 필요한 유압의 전달과정을 제어받는 유압작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통전수단(20)은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21)와, 상기 클러치스위치(10)의 조작시 배터리(21)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제1스위칭 릴레이(22) 및, 이 제1스위칭 릴레이(22)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배터리(21)의 전원을 상기 선회작동수단(30)으로 통전시키도록 수동으로 온/오프 조작되는 통전스위치(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작동수단(30)은 배터리(21)의 전원을 통전시키는 통전스위치(23)에 연결된 제2스위칭 릴레이(31)와; 이 제2스위칭 릴레이(31)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안테나(32b)를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32a)와, 이 모터(32a)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테나(32b)가 한계 위치로의 완전 선회에 되는 경우에 한해 접점의 변화가 수반되는 스위칭 접점(32c)을 갖춘 정/역 전환 구동부(32) 및; 상기 스위칭 접점(32c)의 접점 변화에 따라 상기 유압작동수단(40)으로 전원의 통전을 허용 내지 단절시키는 연결릴레이(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32b)는 플라스틱과 같은 부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32b)의 선회반경은 덱크(12)의 최대 상승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작동수단(40)은 상기 연결릴레이(33)를 통해 전원이 통전되는 솔레노이드밸브(41)와, 이 솔레노이드밸브(41)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오일펌프(42)를 통해 리저버(43)내의 오일이 공급되는 방향전환밸브(44) 및, 이 방향전환밸브(44)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어 덱크를 상승시키는 유압실린더(4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밸브(44)와 유압실린더(47)사이에는 유량을 제어하는 교축밸브(45)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교축밸브(45)와 오일펌프(42)사이에는 체크밸브(46)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KR10-2000-0070357A 2000-11-24 2000-11-24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KR100401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57A KR100401831B1 (ko) 2000-11-24 2000-11-24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57A KR100401831B1 (ko) 2000-11-24 2000-11-24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28A KR20020040328A (ko) 2002-05-30
KR100401831B1 true KR100401831B1 (ko) 2003-10-17

Family

ID=1970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357A KR100401831B1 (ko) 2000-11-24 2000-11-24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3000A1 (en) * 2022-05-02 2023-11-08 Volvo Truck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a tipper truck, associated tipper truck and control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3000A1 (en) * 2022-05-02 2023-11-08 Volvo Truck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a tipper truck, associated tipper truck and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28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1391A (en) Auxiliary interlock control system for power machine
KR100401831B1 (ko) 트럭 덱크의 장애물 감지장치
US20010036397A1 (en) Pressure switch to defeat platform fold operation in a hydraulic lift
JP3656319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ティルト制御装置
JP4328849B2 (ja) ブーム付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のブーム旋回制御用電気回路
JPH08156674A (ja) ダンプカーにおける荷箱昇降用スプール弁の制御装置
JP3783927B2 (ja) ホースリール巻上げ装置
CN113387287B (zh) 回转限位液压系统及其控制方法和作业机械
JP2001329749A (ja) 車両用パワースライドドアの制御装置
KR19990054725A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597438Y2 (ja) 運転室移動式ホイ−ルクレ−ンにおける安全装置
JP2605954Y2 (ja) ブームを有する移動式作業機のアウトリガ装置
JP2549236Y2 (ja) 作業機の操作装置
JPH09249386A (ja) クレーンの安全装置
JP3417356B2 (ja) 電気式フォークリフトの機台制御装置及び電気式フォークリフト
JP2540641Y2 (ja) 高所作業車のバケット旋回制御装置
KR0128377Y1 (ko) 자동차의 리프트 게이트 안전장치
JPH0439824Y2 (ko)
JP3046593B1 (ja) 昇降装置用制御装置
JP3886114B2 (ja) 作業用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H0674858B2 (ja) 作業機械用電磁弁の駆動制御装置
JPH0530096U (ja) 作業車両における旋回台の規制装置
JP2004131208A (ja) ホイール式作業機械
JP2532824Y2 (ja) 把持装置の姿勢制御装置
JP3166412B2 (ja) 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