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802B1 -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802B1
KR100401802B1 KR10-2001-0019283A KR20010019283A KR100401802B1 KR 100401802 B1 KR100401802 B1 KR 100401802B1 KR 20010019283 A KR20010019283 A KR 20010019283A KR 100401802 B1 KR100401802 B1 KR 10040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heave
rope
pulley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102A (ko
Inventor
권익성
조갑률
Original Assignee
삼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중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8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 E04H6/24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wheeled parking platform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6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of the telescop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설비(100)에 관한 것으로,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를 다수의 회선으로 채용하고 주차공간의 구조학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 고층화된 주차공간일지라도 로프(31, 32, 33, 34)의 길이에 관계없이 신축 오차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 주차실(12)과 리프트(13) 상호간의 엇갈림 상태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한 주차를 가능하게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주차설비{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공간의 구조학적 한계를 극복하면서 리프트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제 1 내지 제 4 로프를 다수의 회선으로 채용하여 고층화된 주차공간일지라도 로프의 길이에 관계없이 보다 안전하고 정밀하게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는 차량에서 사람이 내린 뒤 일정시간이상 동일한 장소에 차량을 세워 두는 것을 뜻하며 승차 및 하차와 짐을 싣고 내리기 위한 단시간의 정차와는 구별된다.
그리고, 근래 들어 차량, 특히 승용차의 보유대수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도시교통의 정체, 교통사고의 증가, 공해문제의 발생 등 갖가지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에서도 주차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주차장은 도로의 노면을 사용하는 노상주차장과 도로의 노면 및 교통광장 외의 장소에 설치된 노외주차장, 그리고 건축물·골프연습장 및 기타 주차수요를 유발하는 장소 등의 부대시설로서 설치된 부설주차장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외주차장은 설치계획에 따라 주차장 정비지구 외에 설치하는 것을 말하고, 이 노외주차장은 지표면을 사용하는 평면주차장과 토지의 입체이용을 도모한 입체주차장으로 나눌 수 있는 데, 그 중 입체주차장은 차량을 운전해서 주차공간까지 이르는 자주식(自走式)과, 기계를 사용하여 주차공간까지 도입시켜 보관하는 기계식, 그리고 차량용 엘리베이터와 방향전환장치 등의 기계를 부분적으로 사용한 병용식 등이 있다.
기계식 주차장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주된 것은 다음과 같다.
(1) 수직순환방식: 메리고라운드(merry-go-round)방식이라고도 하며 가느다란 철탑의 상하부에 장치한 톱니바퀴에 건 체인에 차량을 싣는 케이지(cage)를 매달고 순환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자립식의 파킹타워와 건물의 일부에 조립해 넣은 것 등이 있다.
(2) 다층순환방식: 차량을 싣는 팔레트(pallet)를 다수 연결하고 양끝에서 팔레트를 상단 또는 하단으로 보내면서 어느 층으로나 순환이동이 가능한 방식을 말한다.
(3) 수평순환방식: 다수의 팔레트를 수평방향으로만 순환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리프트 등을 조합하여 다층화할 수도 있다.
(4) 엘리베이터방식: 차량용 엘리베이터와 주차실을 조합시킨 방식이며, 주차실의 위치에 따라 종식·횡식·선회식 등으로 나뉘어진다.
(5) 엘리베이터·슬라이드방식: 엘리베이터방식과 유사하나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수직방향으로만이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이동하여 동일 층에 다수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다.
(6) 평면왕복방식: 평면적으로 팔레트가 왕복하여 차량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출입구와 주차실 사이를 팔레트가 왕복하는 운반식과, 팔레트 위에서 주차하는 격납식 등이 있다.
(7) 2단방식: 팔레트를 상하 2단으로 겹쳐 주차시키는 방식으로 단순한 승강식 외에 피트를 설치한 것과, 하단의 팔레트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해서 차량의 진출입을 용이하게 한 승강식·횡행식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이외에도 차량의 주차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차설비가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 즐겨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주차설비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설비(P)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도로서 메인 프레임(10) 내에 승강로(11)를 사이에 두고 다수의 층으로 구획된 주차실(12)이 표현되어 있다. 승강로(11)에는 차량을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13)가 세팅되고, 이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는 모터(20) 및 감속기(21)의 구동력을 받는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22)에 의하여 권선되어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24)를 통하여 차량의 무게를 상계시켜 주면서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희망하는 주차실(12)에 용이하게 옮겨주기 위한 로프(30)가 결합되어 있다.
리프트(13) 위에 놓여진 차량은 대부분 팔레트(14)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예를 들면 횡행식 이동대차(미 도시됨)에 의하여 팔레트(14)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옮겨지면서 소정의 희망하는 주차실(12)에 입고되거나 출고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지금까지의 로프(30)는 단일의 회선으로 결합되어 4 개의 텐션풀리(40)에 의하여 각도변환이 된 후 모터(20) 및 감속기(21)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트랙션 시브(22)에 집합되면서 아이들 시브(idle sheave; 25)를 통하여 카운터 웨이트(24)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로프(30)가 각각 단일의 회선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주차공간의 구조학적 한계, 즉 모터(2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트랙션 시브(22)가 메인 프레임(10) 내의 승강로(11) 상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4개의 텐션풀리(40)로부터 트랙션 시브(22)를 향하여 집합되는 4개의 로프(30)를 용이하게 각도 변환시킬 수 없기 때문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모터(2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트랙션 시브(22)를 메인 프레임(10) 내부에 구비된 승강로(11)로부터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또 다른 부대공간을 필요로 하여 오히려 주차공간의 최적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사실상 그 적용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주차설비(P)는 고층화될수록 주차효율은 더욱 좋아짐은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주차설비(P)가 고층화될 경우 부수적으로 로프(30)의 길이는 그에 맞게 길어질 수밖에 없고, 더불어 리프트(13)의 승강시 고층 또는 저층을 불문하고 각층의 주차실(12)과 리프트(13) 상호간의 맞물림 상태가 정밀하여야만, 즉 차량의 무게 그리고 모터(20)의 구동력과 카운터 웨이트(24)의 균형에 따라 승강되는 리프트(13)가 고층의 주차실(12)이나 저층의 주차실(12)을 불문하고 평행한 상태(일치되는 상태)로 맞물릴 수 있어야만 차량을 용이하게 주차시킬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차설비(P)는 주차공간의 구조학적 한계 때문에 리프트(13)의 각모서리에 결합되는 로프(30)가 단일의 회선으로 제공될 수밖에 없음으로 인하여 차량의 중량과 로프(30)의 길이에 따른 신축 오차가 발생되어, 결국 안전한 주차를 위한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는 리프트(13)와 각 주차실(12) 상호간의 평행한 상태, 즉 일치되는 상태의 맞물림을 실현할 수 없게 되어 주차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각 층의 주차실(12)에 별도의 록킹(LOCKING; 미 도시됨)장치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원가상승 및 작동시간의 지연, 그리고 설치상의 어려움이 부가되어 추가적인 위험과 비용을 걱정해야만 되는 단점을 노정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프트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제 1 내지 제 4 로프를 다수의 회선으로 채용하고 주차공간의 구조학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 고층화된 주차공간일지라도 로프의 길이에 관계없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차를 가능하게 하는 주차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설비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단면을 시행한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주차설비 10 : 메인 프레임
11 : 승강로 12 : 주차실
13 : 리프트 14 : 팔레트
20 : 모터 21 : 감속기
22 : 트랙션 시브 23 : 아이들 시브
24 : 카운터 웨이트 25 : 미들 시브
31 : 제 1 로프 32 : 제 2 로프
33 : 제 3 로프 34 : 제 4 로프
41 : 제 1 텐션풀리 42 : 제 2 텐션풀리
43 : 제 3 텐션풀리 44 : 제 4 텐션풀리
51 : 제 1 각도변환 풀리 52 : 제 2 각도변환 풀리
53 : 제 3 각도변환 풀리 54 : 제 4 각도변환 풀리
G :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층으로 구획된 주차실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된 승강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리프트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후 제 1 내지 제 4 텐션풀리를 경유하여 모터 및 감속기의 구동력을 트랙션 시브를 통하여 받으면서 아이들 시브를 거쳐 카운터 웨이트에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시브 및 아이들 시브 사이에서 일직선상으로 상기 아이들 시브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미들 시브와,
상기 제 1 텐션풀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1 로프를 각도 변환시켜 상기 미들 시브에 직선상으로 이어주면서 상기 트랙션 시브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하는 제 1 각도변환 풀리와,
상기 제 2 텐션풀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2 로프를 각도 변환시켜 상기 미들 시브에 직선상으로 이어주면서 상기 트랙션 시브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각도변환 풀리와,
상기 제 3 텐션풀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3 로프를 각도 변환시켜 상기 트랙션 시브에 직선상으로 이어주는 제 3 각도변환 풀리와,
상기 제 4 텐션풀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4 로프를 각도 변환시켜 상기 트랙션 시브에 직선상으로 이어주는 제 4 각도변환 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의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된다. 그리고, 도면 중 종래 구성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100)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로서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10)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만을 개략적으로 제시한 도면이고, 아울러 도 3a 및 도 3 c는 본 발명의 핵심이 다름 아닌 별도의 추가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승강로(11)의 상부에 모터(20), 감속기(21) 및 트랙션 시브(22)를 종래와 같이 배치한 후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를 다수의 회선, 바람직하게는 2∼5 회선, 가장 바람직하게는 3 회선으로 채용하여 주차공간의 고층 및 저층을 불문하고 각층의 주차실(12)과 리프트(13)의 맞물림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유지시키면서 안전한 주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그 핵심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표현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과 같이 메인 프레임(10) 내부에 구비된 승강로(11)를 사이에 두고 다수의 층으로 구획된 주차실(12)을 가진다.
승강로(11)에는 차량을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13)가 구비되고, 이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는 모터(20) 및 감속기(21)의 구동력을 받는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22)에 의하여 권선되어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24)를 통하여 차량의 무게를 상계시켜 주면서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희망하는 주차실(12)에 용이하게 옮겨주기 위한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로프(ROPE; 31, 32, 33, 34)는 2∼5 회선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산단가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3 회선으로 채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그러한 실시예를 본 발명의 구체예로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가 각각 3 회선으로 선택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션 시브(22) 및 아이들 시브(23)는 적어도 12 회선을 받아들일 수 있는 12 개의 홈(G)을 구비하거나 그 회선에 비해 상위하는 홈(G)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100)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단면을 시행한 개략 평면도로서, 후술하는 제 1 내지 제 4 텐션풀리(TENSION PULLEY; 41, 42, 43, 44)를 비롯한 제 1 내지 제 4 각도변환 풀리(51, 52, 53, 54), 그리고 트랙션 시브(22), 아이들 시브(IDLE SHEAVE; 23) 및 미들 시브(MIDDLE SHEAVE; 25) 등을 평면에서 바라본 각 구성들의 위치 및 각도 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를 2∼5 회선 중에서 선택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차공간이 높아질수록 필연적으로 길어질 수밖에 없는 4개의 로프(31, 32, 33, 34)의 신축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리프트(13)와 주차실(12) 상호간의 맞물림상에서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더불어 주차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이며, 특히 기존의 승강로(11) 상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별도의 공간을 필요치 않도록 제안하여 주차공간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100)는 다수의 층으로 구획된 주차실(12)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 구비된 승강로(11)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리프트(13)를 구비하고, 이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후 제 1 내지 제 4 텐션풀리(41, 42, 43, 44)를 경유하여 모터(20) 및 감속기(21)의 구동력을 트랙션 시브(22)를 통하여 받으면서 아이들 시브(23)를 거쳐 카운터 웨이트(24)에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를 포함한다.
그리고, 트랙션 시브(22) 및 아이들 시브(23) 사이에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면서 아이들 시브(23)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미들 시브(25)를 구비한다.
미들 시브(25)는 제 1 텐션풀리(41) 및 제 2 텐션풀리(42)가 트랙션 시브(22)보다 전방에 위치되므로 인하여 제 1 로프(31) 및 제 2 로프(32)가 트랙션 시브(22)에 직접적으로 권선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제 1 텐션풀리(41) 및 제 2 텐션풀리(42)로부터 제공된 제 1 로프(31) 및 제 2 로프(32)를 트랙션 시브(22)의 후방으로 인출한 후 다시 트랙션 시브(22)를 경유하여 아이들 시브(23)에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트랙션 시브(22), 아이들 시브(23) 또는 미들 시브(25)는 적어도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를 적어도 한바퀴, 즉 360°이상으로 권선할 경우에는 로프(31, 32, 33, 34) 자체가 겹쳐질 수 있기 때문에 허용될 수 없고, 더불어 트랙션 시브(22), 아이들 시브(23) 및 미들 시브(25) 상호간은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야만 로프(31, 32, 33, 34)의 운동방향에 대한 직진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로프(31, 32, 33, 34)의 운동방향에 대한 홈(G)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일직선 상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 로프(31)는 제 1 텐션풀리(41)를 거쳐 제 1 각도변환 풀리(51)를 통하여 각도 변환된 후 미들 시브(25)에 직선상으로 권회되어 트랙션 시브(22)의 구동력을 받으면서 아이들 시브(23)를 경유하여 카운터 웨이트(24)에 연결되고, 제 2 로프(32)는 제 2 텐션풀리(42)를 거쳐 제 2 각도변환 풀리(52)를 통하여 각도 변환된 후 미들 시브(25)에 직선상으로 권회되어 트랙션 시브(22)의 구동력을 받으면서 아이들 시브(23)를 경유하여 카운터 웨이트(24)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각도변환 풀리(51) 및 제 2 각도변환 풀리(52)는 제 1 텐션풀리(41) 및 제 2 텐션풀리(42)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로프(31) 및 제 2 로프(32)를 미들 시브(25)에 직선방향으로 매개하기 위하여 각도 변환용으로 활용되어 미들 시브(25)와 더불어 제 1 로프(31) 및 제 2 로프(32)의 회선 수를 다수의 회선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그리고, 제 3 로프(33)는 제 3 텐션풀리(43)를 거쳐 제 3 각도변환 풀리(53)를 통하여 각도 변환되어 직선방향으로 트랙션 시브(22)의 구동력을 받으면서 아이들 시브(23)를 경유하여 카운터 웨이트(24)에 연결되며, 제 4 로프(34)는 제 4 텐션풀리(44)를 거쳐 제 4 각도변환 풀리(54)를 통하여 각도 변환되어 직선방향으로 트랙션 시브(22)의 구동력을 받으면서 아이들 시브(23)를 경유하여 카운터 웨이트(24)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3 텐션풀리(43) 및 제 4 텐션풀리(44)는 트랙션 시브(22)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있어 제 3 로프(33) 및 제 4 로프(34)가 트랙션 시브(22)에 직접적으로 권선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미들 시브(25)와 같은 별도의 매개수단 없이 제 3 텐션풀리(43) 및 제 4 텐션풀리(44)로부터 제공되는 제 3 로프(33) 및 제 4 로프(34)를 직선상으로 트랙션 시브(22)에 직접 권선시키더라도 아이들 시브(23)를 통하여 카운터 웨이트(24)에 연결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3 각도변환 풀리(53) 및 제 4 각도변환 풀리(54)는 제 3 텐션풀리(43) 및 제 4 텐션풀리(44)를 통하여 종방향으로 90°꺾여진 제 3 로프(33) 및 제 4 로프(34)를 다시 횡방향으로 90°꺾어 트랙션 시브(22)에 직접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리프트(13) 위에 놓여진 차량은 팔레트(14)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예를 들면 횡행식 이동대차(미 도시됨)에 의하여 팔레트(14)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옮겨지면서 소정의 희망하는 주차실(12)에 보다 안전하게 입고되거나 출고될 수 있게 되고,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를 다수의 회선으로 채용할 수 있으면서 주차공간의 구조학적 한계를 극복한 구조로 설계되어 고층화된 주차공간일지라도 로프(31, 32, 33, 34)의 길이에 관계없이 신축 오차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 주차실(12)과 리프트(13) 상호간의 엇갈림 상태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록킹(LOCKING: 미 도시됨)장치를 구비시키지 않아도 그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 및 주차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100)는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를 다수의 회선으로 채용하고 주차공간의 구조학적 한계를 극복한 구조로 설계하여 고층화된 주차공간일지라도 로프(31, 32, 33, 34)의 길이에 관계없이 신축 오차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 주차실(12)과 리프트(13) 상호간의 엇갈림 상태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한 주차를 가능하게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수의 층으로 구획된 주차실(12)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 구비된 승강로(11)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리프트(13)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후 제 1 내지 제 4 텐션풀리(41, 42, 43, 44)를 경유하여 모터(20) 및 감속기(21)의 구동력을 트랙션 시브(22)를 통하여 받으면서 아이들 시브(23)를 거쳐 카운터 웨이트(24)에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차설비(100)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시브(22) 및 아이들 시브(23) 사이에서 일직선상으로 상기 아이들 시브(23)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미들 시브(25)와,
    상기 제 1 텐션풀리(4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1 로프(31)를 각도 변환시켜 상기 미들 시브(25)에 직선상으로 이어주면서 상기 트랙션 시브(22)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하는 제 1 각도변환 풀리(51)와,
    상기 제 2 텐션풀리(42)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2 로프(32)를 각도 변환시켜 상기 미들 시브(25)에 직선상으로 이어주면서 상기 트랙션 시브(22)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하는 제 2 각도변환 풀리(52)와,
    상기 제 3 텐션풀리(43)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3 로프(33)를 각도 변환시켜 상기 트랙션 시브(22)에 직선상으로 이어주는 제 3 각도변환 풀리(53)와,
    상기 제 4 텐션풀리(44)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4 로프(34)를 각도 변환시켜 상기 트랙션 시브(22)에 직선상으로 이어주는 제 4 각도변환 풀리(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로프(31, 32, 33, 34)는 2∼5 회선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100).
KR10-2001-0019283A 2001-04-11 2001-04-11 주차설비 KR100401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283A KR100401802B1 (ko) 2001-04-11 2001-04-11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283A KR100401802B1 (ko) 2001-04-11 2001-04-11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102A KR20020080102A (ko) 2002-10-23
KR100401802B1 true KR100401802B1 (ko) 2003-10-17

Family

ID=2770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283A KR100401802B1 (ko) 2001-04-11 2001-04-11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8902B (zh) * 2014-04-04 2016-04-06 天马华源停车设备(北京)有限公司 平面移动车库提升架
CN110359747B (zh) * 2019-08-05 2024-05-28 大洋泊车股份有限公司 一种曳引驱动的立体车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102A (ko)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8594B2 (ja) エレベータ通路に複数のかごを有するシステム
KR100466664B1 (ko) 최대자동차주차장치
CN1641170A (zh) 全自动多层停车库
US8925689B2 (e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CN203640363U (zh) 一种链条传动旋转中置升降机的板式纵列机械式停车设备
CN103669942A (zh) 一种链条传动旋转中置升降机的板式纵列机械式停车设备
TW200900343A (en) Lift with two lift cages, which are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KR20190052807A (ko)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CN102373821A (zh) 汽车曳引升降装置
CN112456280A (zh) 一种榫卯连接轿厢系统
KR100401802B1 (ko) 주차설비
JP313576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19175995U (zh) 一种立体车库及升降装置
CN216617056U (zh) 一种边置多层多出入口水平循环停车设备
CN219387396U (zh) 立体式机械车库提升机升降装置
CN215168528U (zh) 一种立体车库
CN108840210A (zh) 一种无机房电梯的曳引悬挂系统
CN111535633B (zh) 机械停车与固定停车空间耦合系统
CN213231114U (zh) 一种电梯底坑
CN114314256B (zh) 电梯四轨交叉结构及其使用方法
KR10036532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209760923U (zh) 轿厢带动力升降机
CN108019071B (zh) 车库升降传动系统
JP2890003B2 (ja) 鉄道車両用立体格納設備
CN111535631A (zh) 一种新型液压传动式立体车库及存取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7